[윤정훈의 생활주식]韓 줄이고, 中 늘리고…유니클로 ‘사상 최고가’

패스트리테일링 1분기 영업익 23% 증가…뚜렷한 회복세
중국 매출 증가하며 북미·유럽 매출 감소 상쇄
한국은 올해 매장 추가로 30개이상 정리할 가능성 커
“시장 상황 고려해 비즈니스 네트워크 재구축”
  • 등록 2021-02-06 오전 10:30:00

    수정 2021-02-06 오후 2:28:53

[이데일리 윤정훈 기자]유니클로가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코로나19에 타격을 받았지만, 이를 잘 이겨낸 모습이다. 유니클로는 한국에서 주춤했지만, 중국 시장을 빠르게 공략하며 매출 선방에 성공했다. 유니클로는 올해도 비수익 매장을 정리하고, 중국 매장 공격적 확장에 나선다. 이를 통해 글로벌 SPA(제조·유통 일괄형) 브랜드 1위로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각오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유니클로의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은 최근 9만 2210엔으로 주가를 마감했다. 작년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당시 주가는 4만엔 초반까지 하락했다. 이후 빠르게 회복탄력성을 보이며, 연일 신고가를 이어가고 있다.

2011년 11월 서울 중구 명동 유니클로 명동중앙점 오픈 당시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 명동중앙점은 개점 10년만인 지난달 폐점했다(사진=연합뉴스)
패스트리테일링이 발표한 2021 회계연도 1분기(2020년 9월~11월) 실적은 고무적이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0.6% 감소한 6197억엔(6조 6125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23.3% 증가한 1130억엔(1조 2057억원)을 달성했다.

이같은 영업이익 증가는 불황에 강한 유니클로의 진면목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전세계적으로 실업률이 증가하고 ‘집콕’ 문화가 자리잡았다. 이에 라운지웨어를 주로 파는 유니클로는 견조한 매출을 달성했다.

유니클로의 글로벌 1분기 매출액은 2606억엔으로 전년 대비 7.2% 감소했고, 영업익은 414억엔으로 같은 기간 9.5% 증가했다. 북미와 유럽, 동남아시아 지역의 타격이 컸지만, 급증한 중국 매출이 이를 상쇄시켰다.

중국 지역은 유니클로가 강세인 라운지웨어를 포함해 겨울 의류 등 판매가 큰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중국의 광군절인 11월 11일에는 5년 연속 의류 판매 1위를 기록했다.

유니클로는 올해 중국 지역 공격적 확장에 나선다. 작년 기준 767개의 중국 매장을 올해는 추가로 약 100개 가량 늘린다는 방침이다. 이에 중국은 일본(813개)을 포함해 글로벌 매장수 1위에 등극할 전망이다.

반면 한국 매장은 작년 8월 기준 163개에서 143개(2월 폐점 반영)로 감소했다. 국내에서 불매운동 여파와 코로나19로 오프라인 매장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비용 절감에 나선것이다. 지난달에는 아시아 최대 매장인 명동중앙점도 폐점했다. 한 때 명동에만 3개 점포가 있던 유니클로가 전략을 완전히 바꿨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덕택에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에프알엘코리아는 비용을 절감했다. 패스트리테일링은 1분기 보고서를 통해 “한국 시장은 재고관리를 통해 매출총이익이 개선됐고, 비수익 매장 우선적 정리로 임대료가 절감하며 판관비(판매비와관리비)가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에프알엘코리아는 비용 감축을 올해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에 국내에서 30개 이상 매장이 추가로 폐점될 가능성이 크다.

유니클로는 2021년 회계연도 계획에서 글로벌 점포 60개를 폐점한다고 밝혔다. 이 중 대부분이 국내매장일 것으로 점쳐진다. 국내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작년 유니클로는 30개 매장을 폐점한다고 밝혔고, 이중 국내 매장은 22개가 줄었다. 같은기간 한국과 같이 매장이 줄어든 나라는 싱가포르(2개), 미국(1개), 프랑스(2개)까지 총 4개에 불과하다. 이에 올해도 국내 매장 폐점 러시가 이어질 전망이다.

유니클로 글로벌 주요 매장 현황. 10개 미만 매장 제외(자료=패스트리테일링)
다만 국내 시장을 완전히 정리한다는 뜻은 아니다. 유니클로가 코로나19 장기화에 판매 방식을 바꾸고 있는 것이다. 특히 온라인 쇼핑이 대세가 된 국내에서는 보다 빠르게 온라인화를 진행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국내 SPA 시장은 5조원 이상으로 유니클로도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코로나19에 유니클로는 SPA 브랜드 글로벌 1위에 한걸음 더 다가갔다. 실제 SPA 1위와 2위인 자라(인디텍스그룹)와 H&M이 크게 부진하면서 유니클로와 격차가 좁아지고 있다. 유럽과 북미 기반의 자라와 H&M이 올해도 고전한다면 유니클로에게 올해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인디텍스그룹은 작년 예상매출은 약 27조원이며, H&M은 23조원이다. 유니클로는 2020 회계연도 기준 21조 3750억원이다. 이에 올해 H&M과 순위가 뒤바뀔 가능성도 존재한다. 참고로 국내 패션 1위인 삼성물산의 매출은 1조 7000억원(2019년 기준)이다.

에프알엘코리아 관계자는 “유니클로는 시장 상황과 소비 트렌드, 이커머스를 포함한 비즈니스 네트워크 재구축의 필요성 등을 고려해 출점과 폐점을 진행하고 있다”며 “높은 품질과 기능, 심플한 디자인의 ‘라이프웨어’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편리하게 구매하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