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황)투매와 폭락..공황에 빠진 시장

  • 등록 2000-12-20 오후 5:51:08

    수정 2000-12-20 오후 5:51:08

국내 자본시장이 심리적 공황 상태에 빠져들었다. 특히 주식시장은 납회를 나흘(거래일 기준) 앞두고 투매 양상까지 벌어지며 마치 날개없이 추락하는 모습이었다. 거래소는 510대로 주저앉았고 코스닥은 사상 처음으로 50대로 추락했다. 원화환율도 급등했다. 20일 자본시장은 미국 나스닥의 연중 최저치 경신 여파로 심하게 흔들리며 문을 열었다. 거래소 코스닥 선물시장 모두 전날 종가보다 뚝 떨어진 하락갭 상태로 급락했다. 미국 FOMC의 금리인하 단행에 대한 기대감이 무너지면서 폭락한 나스닥과 납회를 앞두고 휴장에 따른 시간적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기관의 정리성 매물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이다. 또 원화환율의 급등세가 주가 하락을 거들었다. 오후들어 퍼진 대그룹의 유동성 문제 소문은 하락폭을 더욱 벌려놓았다. 연기금을 동원한 정부의 부양의지는 국내외 악재에 둘러싸여 공허한 메아리로 되돌아왔다. 투자자들은 "내일은 없다. 일단 팔아버리자"는 식의 투매로 대응했다. 거래소시장에서는 외국인이 현-선물 동시 순매도를 이틀간 지속하면서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줬고 계속된 악재에 매수세를 찾기는 힘들었다. 종합주가지수는 전날보다 16.59포인트 떨어진 514.21로 끝났다. 코스닥시장도 외국인과 개인이 물량처분에 주력하면서 60선 아래로 떨어지며 사상 최저치도 갈아치웠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4.42포인트(6.97%) 내린 58.98로 마감했다. 선물시장에서도 적극적인 매수세가 실종되면서 외국인과 개인만 저가매수와 고점매도를 반복했다. 지수는 전날에 이어 장중 한 차례도 반등 시도없이 맥빠진 장세를 연출했다. 결국 선물 최근월물인 3월물 지수는 전날보다 1.90포인트(2.88%) 하락한 64.05로 거래를 마쳤다. 3시장 수정주가평균은 일부 종목의 상승 전환에 힘입어 전일대비 24원(0.15%) 오른 1만5976원으로 마감했다. 그러나 거래미형성종목이 전체 종목의 32% 수준인 40개에 달하는 등 거래편중현상은 여전했다. 채권시장은 예보채 입찰 규모가 확정되면서 수익률이 보합권에 머물렀다. 1차 입찰때와 마찬가지로 예보채 입찰을 하루 앞두고 수익률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입찰물량이 1조8000억원으로 늘어난 것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증권협회가 고시한 국고3년 최종호가수익률은 전날과 같은 6.75%, 국고5년은 1bp 오른 6.91%, 통안2년은 1bp 떨어진 6.87%를 기록했다. 회사채3년 AA-등급과 BBB-등급은 8.10%, 11.80%로 전날과 같았다. 외환시장에서는 달러/원 환율이 전날보다 7.80원 높은 1217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는 지난 4일 1217.10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 은행간 거래가 극도로 위축된 가운데 기업들의 실수요 거래가 시장을 주도, 전체 외환거래규모가 줄어든 가운데 주가폭락과 달러/엔 환율 상승 등 갖가지 악재가 겹치며 달러매수세가 강해졌다. ◇주식시장 = 거래소시장이 시시각각 쏟아지는 국내외 악재에 이틀째 약세를 면치 못했다. 개장전 미국 FOMC회의 결과에 따른 실망감이 시장을 억눌렀고 원/달러 환율 불안과 다시 불거진 현대 유동성 문제 등으로 하락이 가속화됐다. 장중 당국이 지수 방어의지를 표명했지만 도움이 되진 못했다. 종합주가지수는 510선까지 밀렸다. 20일 거래소시장에서는 외국인이 현-선물 동시 순매도를 이틀간 지속하면서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줬고 계속된 악재에 매수세는 찾기 힘든 상황을 보였다. 종합주가지수는 개장 급락 이후 낙폭을 줄이는 듯 했지만 오후에 추가 하락했다. 결국 전날보다 16.59포인트 떨어진 514.21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외국인은 현물을 팔면서 동시에 선물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거래소에서 현대전자를 중심으로 총 522억원 순매도했고 선물시장에서도 989계약 매도 우위를 보였다. 외국인은 현대전자 333만1000주(159억8000만원), 삼성전자 22만주(371억8000만원) 순매도하면서 현대건설 현대차 등을 주로 내다 팔았다. 반면 신한은행 한전 삼성중공업 등을 주로 사들였다. 또 기관은 오전 프로그램매도로 순매도했다가 오후에 정책적인 비차익매수를 급속하게 유입시키며 206억원 순매수로 돌아섰다. 투신과 증권이 각각 445억원, 32억원 어치 매수 우위를 보였다. 프로그램매수는 999억원으로 매도 632억원보다 367억원 우위를 보였다. 또 개인도 236억원 어치 순매수를 기록했다. 대형 블루칩의 경우 한전과 한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약세를 면치 못했다. 외국인 매수세가 강하게 들어온 한전과 노사 타협을 이뤄낸 한통은 각각 1.29%, 1.64%씩 상승했다. 반면 현대전자는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회사측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틀째 하한가를 기록했다. 사상 최저치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도 5.38% 하락했다. 그동안 약세장에서 강세를 보이던 제약주는 차익매물이 쏟아지면서 삼성제약 유유산업(우) 수도약품 등이 하한가를 기록했다. 또 최근 IMT-2000과 위성방송에서 잇따라 탈락한 LG계열의 데이콤과 LG화학도 가격제한폭까지 급락했다. 업종별로는 전기가스, 종금업종이 상승했을 뿐 전 업종이 약세를 보였다. 특히 전기전자와 의약업종의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상승 종목수는 상한가 31종목을 포함해 126종목이고 하락한 종목은 하한가 71종목을 비롯해 705종목이다. 한편 이날 전체 거래량은 3억181만주이고 거래대금은 1조5686억원을 기록했다. 연 이틀간 투매양상이 빚어지며 코스닥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50대로 추락했다. 코스닥시장은 더이상 기댈 곳을 잃어버린 외국인과 개인투자자들이 물량처분에 주력하면서 60선 아래로 떨어졌다. 사상 최저치도 갈아치웠다. 이날 코스닥은 미국 FOMC회의 결과에 실망한 나스닥의 연중 최저치 경신 여파로 투자자들이 매물을 쏟아내며 급락으로 출발, 금세 사상 최저치인 60.56을 깨고 내려갔다. 한때 반발매수세가 유입되며 지수가 안정되는 듯 했으나 오후들어 외국인의 매도강도가 높아지고 개인조차 순매도로 전환하면서 두번째 투매가 나타났다. 결국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4.42포인트(6.97%) 내린 58.98로 마감했다. 전업종에 투매양상이 벌어지면서 벤처기업 제조업 기타업종은 8%가 넘는 하락률을 기록했다. 오전 중 낙폭이 작던 금융업마저도 4.34% 하락했다. 60선이 무너진 이날 534개 종목이 내려 사상 최다 하락종목수 546개(2000년 9월18일)에 육박했다. 하한가는 227개 종목에 달했다. 반면 상한가 11개 등 50개 종목이 상승하는 데 그쳤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70억원, 34억원의 매도우위를 보이며 투매를 불렀다. 기관과 기타법인은 35억원 및 69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대형주 중에서는 한국정보통신 LG홈쇼핑 다음 등이 가격제한폭까지 떨어졌다. 옥션을 비롯해 LG텔레콤과 하나로통신이 IMT-2000 사업자 탈락의 충격이 가시지 않은 듯 10%넘게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중에서 텔슨전자와 씨티아이반도체 단 두 종목만 상승했다. 첨단기술주들의 하락폭은 대형주보다 더 컸다. 하한가 종목이 속출한 가운데 제이스텍과 한국디지탈 등 극히 일부 종목만 상승했다. 한국디지탈은 40원 오르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신규등록주들도 맥을 못 췄다. 최근 강세를 보였던 11월이후 등록된 종목들은 대부분 하한가로 추락했으며 10월에 등록된 아즈텍WB 오리콤 엔피케이 등 3개 종목만 올랐다. 폭락장세에서도 웰컴기술금융 쌍용건설 대백신금 신양피앤피 뉴비전벤처 인피트론 남성정밀 한솔신금 등이 상한가까지 올라 눈길을 끌었다. 증권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코스닥시장에서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는 생각에 매물을 내놓았다"며 "물량을 받아줄 주체가 없어 투매로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선물시장이 나스닥시장 약세와 환율 급등으로 이틀동안 급락세를 이어갔다. 전날 FOMC회의 결과에 대한 실망감으로 발생한 하락갭을 좁히지 못하고 잇단 악재에 낙폭을 확대했다. 오후에는 현대그룹 관련 루머가 불안심리를 키웠다. 선물지수는 다시 64선 아래로 떨어졌다. 선물시장에서는 적극적인 매수세가 실종되면서 외국인과 개인만 저가매수와 고점매도를 반복했다. 지수는 전날에 이어 장중 한 차례도 반등 시도없이 맥빠진 장세를 연출했다. 결국 선물 최근월물인 3월물 지수는 전날보다 1.90포인트(2.88%) 하락한 64.05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외국인은 매수와 매도를 번갈아가며 철저하게 "기술적" 매매패턴을 유지했다. 오후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순매도 전환한 후 989계약 매도 우위로 마쳤다. 반면 개인은 막판 매수를 강화하면 1171계약 순매도를 기록했다. 반면 투신은 1829계약 매수 우위를 보였다. 신영증권 이원종 연구위원은 "이날 선물시장은 별다른 특징없이 거래소 동향에 따라가는 모습"이라며 "현대그룹과 관련된 악성 루머들이 외국인의 현-선물 동시 순매도를 이끌어 시장을 급락시켰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시장 베이시스는 -0.60~-0.40포인트 사이를 오가며 프로그램매도를 유발시켰다. 그러나 선물과 무관한 비차익매수가 적극 유입돼 매도압력을 눌렀다. 종가 기준으로 베이시스는 -0.38포인트이고 괴리율은 -0.64%를 기록했다. 3시장이 강보합세를 나타내며 3일 연속 올랐다. 그러나 거래가 이뤄지지 않은 종목이 전체의 32% 수준인 40개에 달하는 등 거래편중 현상은 여전했다. 3시장 수정주가평균은 전일대비 24원(0.15%) 오른 1만5976원으로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벤처가 3.17% 하락한 반면 일반은 2.12% 상승했다. 거래소와 코스닥이 나스닥 하락 여파로 급락함에도 불구하고 3시장은 장초반 오름세로 출발했다. 이후 박스권내에서 소폭의 등락을 거듭하다가 장 막판 일부 종목의 상승 전환에 힘입어 강보합으로 거래를 마쳤다. 거래량은 전날보다 17만주 증가한 66만주, 거래대금은 2억1000만원 늘어난 4억3000만원을 기록했다. ◇채권시장 = 예보채 입찰 규모가 확정되면서 수익률이 보합권에 머물렀다. 1차 입찰 때와 마찬가지로 예보채 입찰을 하루 앞두고 수익률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입찰물량이 1조8000억원으로 늘어난 것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장 막판에는 현대전자 유동성 문제가 회자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기도했다. 전반적으로 거래가 많지 않은 가운데 국고3년 수익률은 6.75%, 국고5년 수익률은 6.92%로 마감됐다. 통안2년물은 6.88%로 전날 수준에서 끝났다. 개장 초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수익률이 3~4bp씩 떨어졌다. 국고3년 2000-12호는 전날보다 2bp 낮은 6.72%에 거래된 후 6.71%선까지 호가가 나왔다. 외평5년 2000-6호는 3bp 낮은 6.85%에 거래됐다. 통안2년 12월 발행물도 3bp 낮은 6.85%에 거래됐다. 예보5년 43호는 6.97~6.99%에 거래됐다. 21일 예보채 입찰 규모가 당초 예상보다 3000억원이나 많은 1조8000억원으로 늘어나면서 투자심리가 다소 위축됐다. 이후 채권수익률은 추가로 떨어지지 않고 1~2bp의 좁은 범위에서 오르내림을 반복했다. 오후들어 거래가 극도의 소강상태에 빠져들었다. 환율이 슬금슬금 상승하고 코스닥 지수가 연중 최저를 기록하면서 시장분위기가 악화됐다. 국고3년 2000-12호는 6.74~6.76%에, 국고5년 2000-13호는 6.91%에 거래됐다. 통안2년 12월 발행물도 6.84~6.86%에 일부 거래됐다. 장 막판 현대전자 문제와 코스닥 사상최저 등 시장주변 여건이 나빠지면서 매수세가 위축됐다. 국고3년 2000-12호는 6.77%로 상승하기도 했다. 통안2년 12월 발행물도 6.88%로 올랐다. 전반적으로 시장이 활력을 잃은 채 내년초 예보채 발행물량 부담 등을 고민하는 모습이었다. 증권협회가 고시한 국고3년 최종호가수익률은 전날과 같은 6.75%, 국고5년은 1bp 오른 6.91%, 통안2년은 1bp 떨어진 6.87%를 기록했다. 회사채3년 AA-등급과 BBB-등급은 8.10%, 11.80%로 전날과 같았다. ◇외환시장 = 달러/원 환율이 전날보다 7.80원 높은 1217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는 지난 4일 1217.10원이후 가장 높은 수준. 은행간 거래가 극도로 위축된 가운데 기업들의 실수요 거래가 시장을 주도, 전체 외환거래규모가 줄어든 가운데 주가폭락과 달러/엔 환율 상승등 갖가지 악재가 겹치며 달러매수세가 강해지고있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주위 변수로 볼 때 수요우위인 현재 달러수급구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 1250원까지 상승추세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이날 외환시장에서 환율은 전날보다 30전 높은 1209.50원에 거래를 시작, 나스닥지수 급락과 역외선물환(NDF) 환율 상승, 국내증시 약세 등으로 달러매수세가 강해지며 9시33분쯤 1213.70원까지 급등했다. 그러나 코메르츠방크의 외환은행 증자대금등 대기중이던 외국인 직접투자자금이 환율의 추가상승을 막으며 10시4분 1210.50원으로 되밀리기도했다. 이후 코메르츠의 자금을 비롯한 외국인 직접투자자금이 예상보다 적게 공급되면서 달러매수심리가 살아나 11시13분쯤엔 1215.80원까지 급등했다. 오후들어 오전 마감보다 30전 높은 1214.40원으로 거래를 재개한 환율은 달러매물이 부족한 가운데 계속 밀려드는 정유사 등 수입업체의 결제수요로 2시43분쯤 1217.30원까지 치솟았다. 이 수준에서 전자업체 등 수출업체의 네고물량이 공급되면서 환율은 추가상승에 실패, 1216원까지 되밀리기도했지만 막판 일부 은행들의 달러되사기가 등장하면서 4시27분쯤에 1217.70원까지 급등했다. 이날 종가는 전날보다 7.80원 높은 1217원. 시중은행 한 딜러는 "외환시장에 달러공급물량이 없어보인다"며 "달러를 팔아놓고 환율하락을 기다리던 일부 은행들이 막판 달러되사기에 나서면서 상승폭이 더욱 확대됐다"고 말했다. 다른 시중은행 딜러는 "어느 누구도 달러를 팔아놓고 하루를 넘기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나스닥이 오늘밤 기술적으로 반등하더라도 국내증시가 기력을 회복하지못하고 달러/엔 환율이 113엔대이상으로 올라선다면 환율은 상승추세를 이어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은행간 거래에선 달러가 약간 남는 것으로 보이지만 기업들 가운데는 급하게 달러를 팔려는 곳이 없다"며 "달러매수가 점점더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딜러는 "당분간 아래쪽으로 꺾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소액네고만 조금 공급될 뿐이어서 수요우위가 뚜렷해지고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들이 불안심리로 리스크 헤지를 서두르고있다"며 "은행간 거래는 대부분 은행이 포지션을 적게 가져가는 상황이어서 환율에 별 영향을 못주고있다"고 전했다. 외국인들은 거래소와 코스닥시장에서 각각 522억원, 70억원 주식순매도를 기록했다. 외국인들은 지난 15일 515억원 순매도, 16일과 17일 551억원, 639억원 순매수를 나타내는 등 일관되지않은 거래행태를 보이고있다.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상태. 이날 현물환은 서울외국환중개를 통해 10억9000만달러, 한국자금중개를 통해 6억9000만달러가 거래됐으며 스왑은 각각 3억9560만달러, 1억1000만달러가 체결됐다. 환율이 급등하는 과정에서 환차익을 노리는 은행간 투기적 거래가 극도로 위축된 가운데 기업들의 실수요위주로 거래가 이루어졌음을 반증하는 대목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