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웹툰, 글로벌 웹툰 1위…포스트 디즈니 될 것"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 자신감 뿜뿜
미국 MAU 1250만명..이제 디지털 시대 디즈니 될 것
국적 불문 12만 명의 작가 몰려..마블, 넷플도 구애
최종 목표는 오토 드로잉..카카오엔터 1.2조 유치엔 "부담된다"면서도 자신감
  • 등록 2023-01-17 오후 4:07:35

    수정 2023-01-18 오전 8:08:34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


“웹툰에선 글로벌 1위입니다. 앞으로 각오는 포스트 디즈니(Post-Disney)가 되겠다는 게 정확한 표현 같아요.”

김준구 네이버웹툰·웹툰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레드우드시티에서 기자들을 만나 “디지털 사이드에서 수많은 크리에이터들의 IP(지식재산권)를 전 세계로 보내는 역할을 하고 싶다”며 이같이 말했다.

디즈니는 아날로그 시대를 대표했던 콘텐츠 인프라 회사다. 디즈니를 통해 다양한 IP 플레이어들은 전 세계 곳곳에 자신의 작품을 선보였다. 그런데 네이버웹툰은 디지털 시대, ‘디즈니의 후예’가 되겠다는 포부다.

김준구 대표는 네이버가 웹툰을 검색의 보조 서비스 정도로 생각했던 때부터 웹툰 사업을 이끌었다. 2014년 미국에서 영문 웹툰을 시작한 것도 그였다. 이후 유료 모델이 정착되고, 2016년 미국에 ‘웹툰엔터테인먼트’라는 법인을 설립하고 2017년 네이버웹툰이 분사하기까지 ‘네이버웹툰=김준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네이버가 지분 67.52%를 가졌고, 네이버웹툰 지분 100%를 소유한 모회사다. 김 대표는 웹툰엔터테인먼트와 네이버웹툰 대표이사(CEO)다.

미국 월간 이용자수 1250만명…70%가 25세 이하

그가 웹툰을 넘어 웹툰과 웹소설, 웹드라마 등을 아우르는 ‘포스트 디즈니’를 언급한 것은, 웹툰에선 압도적인 선행주자라는 자신감덕분이다.

네이버웹툰의 미국 월간활성이용자 수(MAU)는 22년 2분기 기준 1,250만 명에 달한다. 모바일 앱마켓 분석업체 data.ai에 따르면 지난해 네이버웹툰(라인웹툰 통합앱 기준)의 미국 월간 이용자 규모는 2위 사업자(만타 코믹스)보다 7배 이상 높다. 글로벌 전체 웹툰 시장 내에서도 수익과 월간 이용자 수에서도 독보적인 1위다. 미국 지역 사용자 중 70%는 25세 이하다.글로벌 가입자평균매출(ARPU)은 1만 3.000원으로, 한국은 8,000~3만 원이다.

네이버웹툰 북미 MAU(22년 2분기 기준)의 1250만 명이다. 2위(M사)보다 7배, 3위(T사)보다 7배 이상 많다.(2022년 1~12월 MAU, data.ai, 내부 집계와 숫자는 다를 수 있음). 네이버웹툰(라인웹툰)미국 지역 사용자 중 70%는 25세 이하다.


김준구 대표는 “미국 진출 초기 창작자 400명에게 연재 제안 메일을 보내면 1명도 회신하지 않을 정도로 웹툰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다. 맨 땅에 헤딩하듯 비즈니스를 시작했다”고 회상했다. “2014년 영어 서비스를 시작한 후 웹툰 생태계를 확대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자한 끝에, 지금은 엄청난 수의 창작자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작품을 아마추어 창작 공간 ‘캔버스(Canvas)’에 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네이버웹툰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창작자와 사용자가 모이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자 마블, DC 코믹스, 넷플릭스 등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러브콜도 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DB


국적 불문 12만 명의 작가들이 몰려


‘로어 올림푸스’처럼 창작 공간 ‘캔버스’에서 탄생한 작가들이 글로벌 웹코믹 부문상을 휩쓸고 있다. 캔버스에는 12만 명이 넘는 창작자들이 몰리고 있고, 로어 올림푸스는 ‘아이스너 어워드(Will Eisner Comic Industry Awards)’의 ‘베스트 웹코믹(Best Webcomic)’ 부문, ‘하비 어워드(The Harvey Awards)’의 ‘올해의 디지털북(Digital Book of the Year)’, ‘링고 어워드(Ringo Awards)’의 ‘베스트 웹코믹(Best Webcomic)’ 부문 등 3대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김 대표는 “로어 올림푸스 그린 작가님은 뉴질랜드에서 활동한다. 저희가 미국에서 성공한 플랫폼이다 보니, 뉴질랜드 작가가 조인한 거다. 그런 역할을 해 주는 게 캔버스라고 생각한다”면서 “미국서 교사든 회계사든 안정적인 직업을 하던 분들이 웹툰을 한다는 건 이 일이 좋기 때문도 있지만, 경제적인 보상없인 할 수 없다. 그런 위상이 미국에서 만들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네이버웹툰 한국 작가들은 2021년 8월 네이버웹툰 발표에 따르면, 전체 작가 연평균 수익은 2억 8,000만 원, 1년 내 데뷔한 신인 작가는 연간 1억 5,000만 원 수준이다. 심지어 당시 기준으로 12개월 간 124억 원을 번 작가도 있다.

궁극적 목표는 오토 드로잉…카카오엔터 1.2조 투자엔 “부담된다”면서도 자신감

네이버웹툰의 무기는 창작공간 ‘캔버스’외에도 AI(인공지능)기술력도 있다. 김 대표는 “자동 컬러링, 자동 펜터치 등 기술이 굉장히 많다. 창작의 영역에서는 궁극적으로 오토 드로잉까지 가고 싶다”면서 “제작 툴 뿐아니라 저희만의 콘텐츠 추천 기능도 고도화하고 있다. 이게 웹툰엔터테인먼트의 기술력”이라고 소개했다.

얼마 전 네이버와 함께 한국의 빅테크를 대표하는 카카오의 자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등에서 1.2조 원의 투자를 유치한 데 대해선 “굉장히 부담스럽다”면서도 자신감을 내비쳤다.

김준구 대표는 “2등(카카오엔터테인먼트)이 10조 찍었으면 1등 플레이어는 이 정도 찍겠지라는 외부 기대가 많아지면 하는 사람 입장에선 부담이 있지 않겠느냐”면서도 “일하는 면에선 (오히려) 재밌다고 생각하고, 당연히 1위 플레이어로서 그런 밸류나 여러 측면에서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어느 수준이 적정한가는 시장이 판단할 몫”이라고 했다.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의 뉴욕 증시 상장이나 콘텐츠 분야 인수합병(M&A)에 대해선 일정 대로 간다고 했다.

그는 “ IPO(기업공개)는 내부적으로 플래닝 한 부분은 있는데 네이버 전체 IR과 맞물려서 해야 되는 부분이라 말씀드리긴 어려울 것 같다”면서도 “시장 상황보다는 저희의 준비가 더 중요한거라 생각해 상황이 가정대로 움직이면 시장의 큰 변화에 굴하지 않고 발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밸류체인과 좋은 IP, 좋은 협력 관계를 가지기 위해 투자나 인수와 관련해 언제든 열심히 트레킹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지난해 3분기 네이버웹툰 매출은 전년동기에 비해 106.7% 증가한 2685억 원으로 콘텐츠 매출 중 86%의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아직 흑자전환에 성공하진 못했다. 이에따라 분기별로 수익성을 개선해 상장 시점까지 손익분기점에 도달한다는 목표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