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스마트시티 전쟁중..IT로 삶의 질 높이다

인도도 미국도 관심..기술 자체보다는 비전과 협력이 중요
스마트홈→스마트시티→세계 에너지 관리로
인공지능이 통제하는 스마트시티?.."인간이 스스로 통제해야"
  • 등록 2016-09-20 오후 4:21:41

    수정 2016-09-21 오전 8:58:59

[이데일리 김현아]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교통이나 환경, 범죄, 보건 같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에 각 국 정부가 앞다퉈 뛰어들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스마트시티 건설을 국가 전략 프로젝트의 하나로 선정해 2016년에서 2020년까지 총 1조위안(약 168조원)의 투자를 추진키로 했을 뿐아니라, 미국과 호주, 이탈리아, 인도, 모로코, 스리랑카 등의 지방자치단체들도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20일 킨텍스에서 열린 ‘2016 스마트시티 이노베이션 서밋 아시아’에서는 미국 워싱턴 D.C., 인도 수랏시, 한국 고양시 등 지자체 관계자들이 컨퍼런스 연사로 나서 도시별 현황과 비전을 소개했고, 고양 스마트시티에 참여하는 LG유플러스,재난안전분야를 특화하고 있는 KT, 고양시 행복주택 내에 ‘고양 청년 스마트타운’을 추진하는 LH공사 등이 전시회에 참가해 스마트시티의 미래를 시연했다.

스마트시티는 지난달 정부가 9대 국가전략으로 선정할 만큼 수출 가능성도 높은 분야다. 개도국은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문제 해결 방안으로, 선진국은 기후변화 대응 및 도심 재생차원에서 스마트시티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도 미국도 관심…기술 자체보다는 비전과 협력이 중요

Kamlesh Yagnik 인도 수랏시 기후변화 트러스트 책임자는 “인도 정부는 2017년 7월부터 스마트시티를 시작해 수랏시를 포함한 20개 도시를 선정해 개발하고 있다”며 “수랏시는 섬유의 본거지로 원단을 조달하는데 이게 전체 GDP의 60%를 기여한다. 그래서 (스마트시티 개발에 드는 비용문제 해결을 위해)강을 육교로 연결하고 강주변의 임시주택을 정리해 도시공간을 넓히고 있다. 스마트솔루션을 활용해 상하수도를 관리하고 LED 가로등으로 교체하는 일 등이 추진 중이고, 이미 수랏시는 CCTV 설치를 통해 범죄를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아르채나 베뮬라팔리 워싱턴 D.C.최고기술책임자는 “스마트시티는 어쩌면 기술과 무관할 수도 있다”며 “도시가 처한 교통혼잡 문제나 쓰레기 처리, 범죄문제를 20년 뒤에 어떻게 해결하고 싶다는 비전을 세우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IT를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각 분야의 대표분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는 협력이 중요하고, 또 다른 도시나 다른 국가와의 협업도 중요하다”며 “우리 도시만이 아닌 공통의 문제가 많고 다른 도시들과 협력하면 비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스마트시티 이노베이션 서밋 아시아 2016(SCISA 2016)이 20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가운데 관람객들이 KT 전시장을 살펴보고 있다. KT는 이번 전시회에서 화재예방이나 미세먼지 관리 같은 공공재난이나 환경 관리 솔루션들을 전시했다. 사진=노진환 기자
스마트홈→스마트시티→세계 에너지 관리

전문가들은 스마트시티는 가족의 공간인 스마트홈과 조금 확장된 스마트빌딩에서 시작돼 사회공간의 통합으로 확대되고, 결국 궁극적으로는 국가나 세계 차원의 에너지관리와 통합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이날 전시 품목들도 스마트홈과 스마트시티가 섞여 있었다. 이를테면 미세먼지 정보를 센서로 수집해 빅데이터로 분석해 댁내에서 알려주면 스마트홈이고, 이를 지자체에 공급해 지자체에서 활용하면 스마트 생태환경 서비스가 되는 식이다.

정부가 올해부터 ITS(교통)와 스마트워터그리드(물), 공간정보를 맡던 국토부와 사물인터넷(IoT) 실증을 맡던 미래부, 에너지저장장치, 스마트그리드 등을 맡아온 산업부의 칸막이를 없애 범부처 프로젝트로 스마트시티를 추진키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김동주 국토연구원장은 “한국은 2000년 초반부터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전국에 걸쳐 구축했고, 이 인프라를 활용해 교통과 방범, 에너지 등을 스마트하게 관리하기 시작했다”며 “현재 고양시를 포함한 전국 50여 개 도시에서 스마트시티 건설이 진행중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볼리비아, 쿠웨이트, 인도 등과 스마트시티 운영경험을 나누고 있다”면서 “하지만 (스마트시티화에 따른) 카쉐어링 확산으로 완성차 기업이 어려워지고, 스마트시티에 많은 비용이 든다는 점, 개인정보 문제 등은 우리가 해결할 과제”라고 부연했다.

빈센초 나데오 이탈리아 살레느로 대학교수는 “스마트시티의 미래 도전과제는 도시가 인공지능에 의해 컨트롤 될 것인가의 문제”라면서 “그런데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사람이 스마트해지는 것은 아니듯이 스마트시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여러 이슈들을 사람이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시티 이노베이션 서밋 아시아 2016(SCISA 2016)이 20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가운데 관람객이 LH공사 부스에서 전시된 드론을 살펴보고 있다. LH공사는 LG유플러스와 함께 고양시 스마트시티에 참여하고 있다. 고양시는 이 드론을 활용해 스마트 영상 분석서비스로 호수공원의 생태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사진=-노진환 기자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이런 모습 처음이야!
  • 이제야 웃는 민희진
  • 나락간 '트바로티' 김호중
  • 디올 그 자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