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째 토론’서 이재명·윤석열 소상공인·방역 정책 곳곳서 ‘충돌’(종합)

이 “추경 신속 지원 왜 반대?” vs 윤 “작년 날치기 통과”
대장동 녹취록 ‘그분’ 놓고도 난타전 격화
윤 “정부 데이터 공유할 수도 안 할 수도”…안철수 ‘절레절레’
심상정, 양강 후보 종부세 완화 정책 싸잡아 비판
  • 등록 2022-02-21 오후 11:22:56

    수정 2022-02-21 오후 11:23:46

[이데일리 박태진 김보겸 배진솔 기자] 세 번째이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첫 대선후보 TV토론회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책과 방역정책 등을 정면충돌했다. 여기에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도 각종 경제 정책에 날을 세우면서 4자 토론회는 난타전으로 격화됐다.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 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 초청 1차 토론회에 앞서 대선 후보들이 토론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 “야당 코스프레 안돼” vs 이 “반론 기회도 안 주나”

4명의 후보는 21일 오후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MBC 미디어센터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토론회’(초청1차)에 참석했다. 이날은 중앙선관위 주관 공식 1차 토론으로, 경제분야를 다뤘다.

이 과정에서 윤 후보가 이 후보의 답변을 건너뛰려고 하자 이 후보가 강력히 반발하면서 신경전이 일어났다.

윤 후보는 코로나 시대 경제대책을 주제로 한 시간총량제 토론회에서 “민주당에서 손실보상법을 지난해 7월 자기들끼리 날치기 처리했다”며 “방역이라는 공공정책에 따른 재산권 제한에 있어 보상권 개념을 거론하지 않다가 최근에 선거를 앞두고 손실을 소급 보상한다고 했지만 결국은 그걸 하려면 최소 50조원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오늘 이 후보가 이번 선거 이후 코로나 대응이 확 바뀐다고 선언했고 마치 야당처럼, 지금 정부가 ‘국힘 정부’가 되는 것처럼 말했다”며 “170석 여당이 법안을 날치기 통과할 땐 방관하다가 여당 후보로서 집권 정부의 방역정책의 실패를 인정을 했는데, 결국은 민주당이 대선에서 책임져야 하는 게 아닌가. 야당 코스프레 하는 게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발언을 마친 윤 후보는 곧바로 심상정 정의당 후보에게 생각을 물었고, 이 후보가 자신이 얘기하겠다고 손을 들었다.

이에 윤 후보가 “얘기를 해봐야 본인 얘기할 게 뻔한데 객관적인 3자 입장에서 말해보라고 묻는 것”이라고 했고, 이에 발끈한 이 후보가 “그게 토론이다. 내가 얘기하고 반박하고 그러는 게 토론”이라고 했다.

이 후보는 심 후보와 안 후보의 발언을 마치고 자신의 차례가 되자 “윤 후보가 내게 반론 기회를 안 줘서 이제야 반론한다”며 “문재인 정부가 방역 성과를 낸 것 자체는 부인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윤 후보·부인 마스크 안 쓴다”

이어 윤 후보를 저격하며 “윤 후보 본인은 마스크를 안 쓰고 부인도 안 쓰지 않나. 대구에서 사람들이 죽어 나갈 때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신천지를 압수수색하지 않았다. 국가 방역에 가장 비협조적인 분이 방역 자체 성과를 폄훼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지적을 드린다”고 반격했다.

이 후보는 “문재인 정부가 잘한 것 많다. 부족한 게 있으면 채우고 잘못한 게 있으면 고치고 필요하면 더해서 새 정부가 될 것이다. 국민의힘이 방해만 하지 말고 협조 좀 해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두 사람은 이날 우여곡절 끝에 여야 합의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대해서도 설전을 이어갔다.

이 후보는 윤 후보를 향해 “국민의힘은 신속 지원에 왜 반대하는가. 추경이 지금도 난항을 겪는다는데 진짜 이해가 안 된다. 코로나 때 국민들이 국가 대신 책임진 게 너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생긴 손실도 책임져야 하는데, 국민의힘은 불이 났으면 빨리 꺼야지 양동이 크기를 가지고 미룰 일이 아니다”고 꼬집었다.

이에 윤 후보는 “전 지난해 9월부터 50조원 정도의 재원을 시급히 마련해 손실보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며 “그런데 민주당은 손실보상 없는 손실보상법을 지난해 7월 날치기로 통과시켰다”고 받아쳤다.

이어 그는 “이 후보가 그간 손실보상 얘기를 한 적 없이 전국민 재난지원금만 지난해 내내 30만~100만원 사이를 얘기했고. 나보고는 ‘퍼주기즘’이라고 했다”며 “찔끔 14조원을 보내 놓고 합의하자고 하길 래 우리 당에서는 더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한 것이고 아마 오늘은 17조원 정도에 어쩔 수 없이 민주당이 날치기로 통과하려 하기 때문에 우리도 일단 거기서 합의를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윤-안, 단일화 결렬 후 신경전 벌여

두 후보는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핵심 인물들의 녹취록에 등장하는 이른바 ‘대장동 그분’을 둘러싸고도 충돌했다.

이재명 후보는 녹취록 속 ‘그분’은 자신이 아닌 조재현 대법관이라며 사과를 요구했고, 윤석열 후보는 “사과할 생각이 없다”고 맞섰다.

최근 단일화 결렬로 껄끄러운 관계가 된 윤 후보와 안 후보도 신경전을 벌였다.

안 후보가 먼저 윤 후보를 향해 “디지털 데이터 경제라고 말했는데, 핵심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윤 후보가 “5G라거나 데이터들이 신속하게 움직이고 이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과 이것들이 전부 클라우드에 모여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안 후보가 “그건 하드웨어 쪽이지 데이터 인프라는 아니다”라고 지적하자, 윤 후보는 “운용을 위해서는 상당한 정도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안 후보는 또 “정부 데이터 개방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질문했다.

이에 윤 후보는 “정부 데이터는 공유할 수도 있는 것도 있고 보안사항도 있는 것 아니냐”고 답했다.

그러자 안 후보는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드는 모습을 보였다.

안 후보는 “국가 데이터 공개는 데이터 산업, 인공지능의 근본”이라며 “정부에서 이런 것들을 전혀 공개하지 않다 보니 우리나라가 갈수록 뒤처지고 있고, 차기 정부의 중요한 국정운영 목표 중 하나가 공공 데이터 공개라고 믿기에 여쭤본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런 부분에 대해 확실한 문제의식을 안 가진 것 같아서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심 후보는 거대 양당 후보의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완화 정책을 두고 몰아세웠다.

심 후보는 이 후보에게 “이 후보는 평소 보유세 강화를 무척 강조해왔다. 그런데 민주당이 종부세를 완화할 때 왜 한마디도 안했느냐”라고 따져물었다.

이에 이 후보는 “보유세와 거래세를 낮추자고 했다. 양도세는 기능을 제대로 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슬라이딩식으로 깎아 주자고 한 것”이라며 “당내 정책에 대해 기초자치단체장으로서 말하기 어려웠을 뿐, 일방적 감세에 동의한 바 없다”고 답했다.

심 후보는 윤 후보를 향해서는 “뉴스에서 ‘20억짜리 집에 산다고 갑부가 아니다. 세금으로 다 뺏어갔다’고 했다”며 “선관위 자료를 보니까 공시가격이 10억5000만원에, 시가는 30억원 집에 사는데 종부세로 92만원 낸 것이 세금폭탄인가”라고 몰아세웠다.

이에 윤 후보는 “종부세를 폐지하자는 얘기는 아니다. 재산세랑 합쳐서 하고, 차입으로 집 가진 분들은 순자산을 기준으로 부과해야지 빚내서 집 가진 경우도 일률적으로 세금을 내라고 하는 것을 합리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심 후보는 주식 양도세 도입 계기를 놓고도 윤 후보를 몰아세우기도 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 상큼 플러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