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30년]"누구나 사랑하는 인터넷을 만들자"

한국 인터넷의 선구자 전길남 KAIST 명예교수 인터뷰
  • 등록 2012-05-29 오전 10:15:15

    수정 2012-05-29 오전 10:15:15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1982년 5월15일. 경북 구미 소재 한국전자기술연구소(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미국에서 돌아 온 한 젊은 과학자의 주도로 서울에 있는 컴퓨터에 원격 로그인을 시도하려던 참이었다.

`$ rlogin snucom`.

구미 연구소의 `디지털이퀴브먼트(98년 컴팩에 인수됨) PDP` 컴퓨터 모니터에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컴퓨터로 원격 접속됐음을 알리는 문구가 떴다. 연구원들은 서로 얼싸안고 환호성을 질렀다. 한국 인터넷의 역사적인 첫 시작이었다.

▲ 전길남 박사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 빅뱅 시대의 씨앗을 뿌린 `한국 인터넷의 아버지` 전길남 박사(KAIST 명예교수·70)는 당시를 회상하며 소년처럼 들떴다. 한국 인터넷 30주년을 맞아 26일 홍은동 자택에서 그를 만났다.

당시 전 박사의 도전은 한 마디로 무모하기 이를데 없었다.   한국의 경제력은 아프리카 가나 수준이고 기술 수준도 PC, 운영체제(OS)는 언감생심, 흑백 TV나 간신히 만드는 수준이었다.   "PC, 뭐에 쓰는 물건인고" 하는 게 당시의 분위기였다.  

"미국에 있을 때 알파넷(미 국방성이 구축한 네트워크로 인터넷의 시초)을 연구하며 PC끼리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지 관심이 많았어요. 알파넷을 들여 오려고 했는데 군사 목적으로 쓰일 때라 반출할 수 있는 나라가 영국, 노르웨이뿐이었지요. 상상도 못할 최첨단 기술을 조국에 소개해야겠다고 마음 먹었습니다."

일본 오사카 출생인 그는 오사카대를 거쳐 UCLA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9년, 보장된 출세 길을 마다하고 박정희 정부 시절 해외 과학자 유치 계획에 따라 한국 생활을 시작했다. 독재 정권의 서슬이 퍼렇던 시절, 미국 동료들이 모두 "미쳤느냐"며 한국행을 만류했다. 그러나 전 박사는 일본에 있을 때부터 조국의 선진화에 기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전길남 박사의 당시 시도는 현재 집집마다 깔려 있는 초고속 인터넷망 발전의 기술적인 초석이 됐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 받아 그는 지난달 세계 인터넷학회(Internet Society)가 선정한 `인터넷 명예의 전당` 첫 수상자로 선정됐다. `인터넷의 창시자` 폴 배런, 빈트 서프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 의장 등 32명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90년대 후반 등장한 웹과 넷스케이프 브라우저를 보고 드디어 한국서도 인터넷이 `테이크 오프(take off, 도약)` 하겠구나 싶었어요. 한국이 유무선 인터넷 선진국이 된 것은 재빠르게 유선 인프라를 구축했고 선택과 집중을 잘 했기 때문이에요. 독자 개발한 CDMA를 과감히 포기하고 WCDMA 위주로 간 것은 순발력 있는 선택이었죠. 스마트폰도 잘 만들었고..."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발생한 수많은 폐해들은 그의 마음을 무겁게 만들었다. 여배우 동영상 유출 사건이나 최진실씨의 자살, 대규모 해킹 문제를 보면서 그는 인터넷의 사회적인 역할에 대해 회의감을 갖기도 했다.

"누구나 좋아하는 한강 자전거 도로처럼 누구나 사랑하는 인터넷을 만어야 합니다. `액티브X` 문제처럼 우리가 한 실수를 인정하고 개선해야 해요. 인터넷 대란 때 공적인 보고서 한 장이라도 나왔습니까. 최진실씨 사건 때도 앞으로 이런 걸 없애자는 조치가 있었나요. 잘못을 인정하고 개선해야 진짜 선진국이죠."

▲ 한국 인터넷 역사상 최초로 모니터에 뜬 글자를 회상하며 종이에 적는 전길남 박사. `rlogin`은 유닉스 OS의 로그인 명령어를, `snucom`은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뜻한다.


한국 인터넷의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그는 최근 `아프리카 프로젝트`에 몰두 중이다.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과학자들과 IT 시작 단계인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 IP 표준, 정보 보안, 사생활 침해 등 인터넷 전반의 문제를 조언하는 모임을 이끌고 있다. 일 년에 두 번 아프리카행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진행방향이 다른 호선들과 왜 다른 줄 아세요? 영국 산업혁명 때 처음 발명된 전차 방향을 따라했기 때문이에요. 최초 표준은 이래서 중요해요. 인터넷 인구가 지금 20억명인데 10년 내 30억명이 됩니다. 한국이 겪은 기술적 문화적 시행착오는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세계적으로 인터넷은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합니다."

전 박사는 고희의 나이에도 하루 50km씩 자전거 라이딩을 즐길 정도로 정력을 과시한다. 스마트폰은 갤럭시 넥서스를 쓴다.

■전길남 KAIST 명예교수

▲1943년 일본 오사카생 ▲1965년 일본 오사카대 전자공학과 졸업 ▲1967년 미국 UCLA 전산학 석사 ▲1969년 록웰 인터내셔널 ▲1974년 UCLA 시스템공학 박사 ▲1979년 한국전자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1982년 KAIST 전산학과 교수 ▲2008년 KAIST 정년퇴임 ▲2008년 일본 게이오기주쿠대학교 부총장.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빠빠 빨간맛~♬
  • 이부진, 장미란과 '호호'
  • 홈런 신기록
  • 그림 같은 티샷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