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청년 '달고나'를 응원합니다

  • 등록 2021-12-03 오전 6:30:00

    수정 2021-12-03 오전 6:30:00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 코로나19가 사회를 휩쓴 지 2년이 지났다. 청년을 덮친 고용 충격과 이를 완화하기 위한 대책이 오갔다. 팬데믹과 함께한 지난 시간은 청년에게 어떻게 기억되고 있을까. 징후는 곳곳에 아프게 남았다. 최근 대학생, 취준생, 사회초년생, 맞벌이 부부 등 여러 청년과 대화를 나눴다. 그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청년들은 누구보다 열심히 일상을 살고 있었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을 떨치지 못했으며, 사회 양극화에 대한 허무와 좌절을 품고 있었다. 그리고 청년들이 바라는 것은 자신이 최선을 다한 만큼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그에 따른 대가(소득)를 얻으며 살 수 있는 삶과 미래였다.

최근 화제가 됐던 오징어게임 열풍은 이런 현상이 공명했기에 작동한 것인지 모른다. 양극화 사회의 비극과 그럼에도 끝까지 인간에 대한 기대를 포기하지 않는 주인공. 청년들도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 일자리가 한정되어 있다는 걸 안다. 그럼에도 수백 대 일의 경쟁에 뛰어드는 건 다른 선택지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시에서는 내년도 2조2999억원의 일자리 예산을 편성해 청년과 세대를 아우르는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 특히 디지털 신기술 교육과 취·창업을 연계하는 ‘청년취업사관학교’ 등을 추진해 청년 고용 회복을 앞당긴다. IT,소프트웨어(SW) 인재를 육성하는 한편 미래청년기획단에서는 그동안 공공에서 접근하기 어려웠던 틈새를 공략해 혁신적인 일자리를 발굴하여 청년의 선택지를 확장한다.

틈새는 청년의 필요와 사업 현장이 만나는 곳에 있다. 기술을 습득하여 한 분야의 숙련자가 돼 고소득을 창출하는 미래를 꿈꾸는 청년의 필요와 사업 현장의 수요가 만나는 곳이 포인트다. 사례는 멀리 있지 않다. 이미 스스로 영역을 개척하는 청년과 일터가 있다. “사용자에게 꼭 맞는 생활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게 하고, 그 디자인을 현실에 구현” 하도록 돕는 콘텐츠와 기술로 230억의 누적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 천연비누를 만들어 창업 4년만에 매출 55억원을 달성한 소셜벤처 대표, 도시에 버려지는 가전에서 다시 금·은·동 등 자원을 재생산하며 “부가가치가 높다”고 말하는 도시광산 기술자, “20대에 타일 시공을 배우기 시작하면 30대에 집 한 채 마련하는 것은 어렵지도 않다”고 당당하게 말하는 인테리어 시공기업 대표까지. 하지만 정작 이런 일자리는 대다수 청년들이 접근하기 어렵다. 숙련을 위한 교육이 도제식 위주이며, 업무 노하우와 영업자산이 알음알음 전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고 싶어도 접근하기 어려운 일. 필요와 현장이 만나는 곳에 그동안 공공에서 접근하기 어려웠던 새롭고 혁신적인 일자리가 있다.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에서 내년부터 ‘미래 청년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여 청년들의 선호가 높으나 접근 방법이 어려운 혁신적 분야를 발굴해 일자리로 연결한다. △콘텐츠 크리에이터 △제로웨이스트 △기술자영업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일자리 500개를 만든다. 각 분야별 전문기관을 선정하여 직무 훈련을 강화하고 숙련자를 양성해 젊은 기술자를 양성하고자 한다. 한 분야의 ‘달’인이 되어 ‘고’소득을 창출하는 미래의 ‘나’. 청년이 바라고 꿈꾸는 미래를 살아갈 수 있도록 서울시가 함께하고자 한다.

청년일자리 문제는 지난 20여년 간 시대의 화두였으며 누구도 해결하기 어려웠던 과제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 일상을 누구보다 열심히 살아가는 청년의 삶이 존재하는 한, 서울시는 그들을 위해 힘 있는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한라장사의 포효
  • 사실은 인형?
  • 사람? 다가가니
  • "폐 끼쳐 죄송"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