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는 2012년 ‘700만 관객’을 돌파한 저력을 바탕으로 2013년 큰 흥행을 기대했으나 시즌 초반 관객몰이에 실패했다. 프로야구 전문가들은 그 원인에 대해서 ‘시즌 전 WBC 성적 부진’, ‘류현진, 이대호 등의 해외진출로 인한 슈퍼스타의 부재’, ‘시즌 개막 즈음의 추운 날씨’ 등 여러 가지 의견들을 개진했다. 이런 요인들이 시즌 초반 흥행 부진의 원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관중 집객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이 연구는 날씨가 좋으면 관객 수가 증가한다는 통상적 직관에 대해서 객관적인 수치 및 데이터를 활용, 실증 분석을 했다. 기후와 관객 수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실시한 이 연구는 2013년 5월부터 11월까지 약 7개월간 진행됐다.
‘2013 프로야구 관객 보고서’는 2009년부터 2013년 9월 13일까지 총 5년간의 정규시즌 경기와 경기 별 기후조건(최고기온, 최저기온, 일교차, 습도, 일 강수량)데이터를 활용했다. 또한 정확한 원인분석을 위하여 기후변수 외에도 야구장의 크기, 경기 팀들의 당시 순위 등의 변수도 추가로 활용했다.
기후에 따른 관객 수의 변화는 구장 크기, 경기 팀들의 순위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조사기간 평균기온인 21.4℃를 기준으로 최고기온이 1℃ 상승할 때 마다 관중수가 95명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교차가 1℃ 상승할 때는 관객 수가 90명가량 증가하고, 습도가 1%p 증가하면 관객 수는 56명가량 감소했다.
5월에 가장 많은 관객이 야구장을 찾는 이유는 쾌적한 날씨 뿐 아니라 시즌 초반의 기대감과 함께 치열한 순위싸움이라는 흥미유발요소가 충분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KBO는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구단은 날씨에 따른 관객 수의 변화를 예측하고 마케팅 전략을 적절하게 구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2014년 1월에 발간예정인 2013 야구발전보고서에서 참고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