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1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된 코로나19 대응 태스크포스(TF) 언론 브리핑에서 “우리는 즉시 미국인들에게 수표를 지급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며 “미국인들은 앞으로 2주 동안 현금이 필요하다. 이는 일종의 업무중단 급여와 같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수표를 직접 미국인들에게 보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므누신 장관은 설명했다.
수표 규모와 관련, 므누신 장관은 ‘1명당 1000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보도를 고려한 듯, “언론에 나온 것보다 조금 더 클 수도 있다”고 했다. 다만, 그는 “연간 수백만 달러를 벌고 있는 사람들에게 (수표를) 보낼 필요는 없다”며 선별적인 지원이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 브리핑에 참석한 트럼프 대통령은 “급여세 (면제)도 방법이지만, (시간이) 몇 달이 걸릴 수 있다”며 “우리는 훨씬 더 빠른 것을 원한다”고 했다. 야당인 민주당의 반발을 사고 있는 급여세 면제는 장기적 과제로 내비두고, 일단 현금 투입을 통한 부양책을 시도하겠다는 것이다.
|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대규모 경기부양 패키지를 미 의회와 논의 중이며, 이를 위해 이날 중 의회 대표들과 만날 것이라고 므누신 장관은 전했다. 앞서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4명의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코로나19 확산 사태에 대응하고자 8500억달러(약 1055조원)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는데, 이를 확인한 셈이다. 일각에선 이 부양책 규모가 최대 1조20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이 부양책은 트럼프 대통령이 줄곧 요구해왔던 급여세 인하 등 대규모 현금 투입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가운데 500억달러(약 62조원)는 직격탄을 고스란히 맞은 항공업계에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부양책은 지난 6일 상·하원 의회를 통화한 83억달러 규모의 긴급예산법안과 지난 14일 하원의 문턱을 넘은 유급병가·무료검사 등의 내용이 담긴 1000억달러(124조원) 규모의 패키지 부양책에 이은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요청하고 미 의회가 화답하는 세 번째 부양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브리핑에서 “우리는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산업과 소기업에 구제책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그것(경제 회복)은 펑하고 터져나올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우리가 이겼다’고 말하며 여기에 설 것”이라며 “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빨리 이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부양책은 크게 갈 것”이라는 언급도 수차례 되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