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김혁수 게임본부장은 이데일리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중국에서 VR 게임과 관련한 판호 규정이 없음을 확인했다”며 “중국 VR 게임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지속해서 시장 상황을 파악하고 지원 규모를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콘진원에 따르면 중국 VR 시장은 올해 9조3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자본을 바탕으로 북미와 유럽, 일본 등 다양한 지역을 개척한 대형 게임사와 달리 중화권 위주의 사업을 펼쳐온 중소·중견 게임사에 특히 희소식이다. 지난 2017년 3월부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으로 불거진 판호 제재는 지난해에도 변함이 없었다. 지난 한해 중국에서 총 1500여개의 게임이 판호를 발급받았지만, 한국 게임에 대한 빗장은 풀리지 않았다.
콘진원 지역본부 내 실감콘텐츠팀에서는 중소형과 글로벌형(대기업 포함)으로 분류해 중소형은 과제당 최대 3억원씩 10개 과제를, 글로벌형은 최대 9억원씩 7개 과제를 지원한다. 아울러 게임본부 내 게임산업팀에서는 설립 5년 이상의 국내 게임사를 대상으로 과제당 최대 9억원씩 총 5개 내외 과제를 지원할 방침이다. 여기에 해외진출 지원 예산으로 6억원을 별도로 책정, ‘중국 광저우 GTI’나 ‘두바이 DGC’ 등 해외 유명 실감형 콘텐츠 전시회 참가 및 비즈니스 미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 본부장은 “차세대 게임 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은 해외 출시를 목표로 하는 중소게임사가 지원에 유리할 것”이라며 “특히 VR 기술과 함께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내용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VR 게임이 시장에 완벽히 정착됐다고 볼 수 없는 시점이다. 특히 중국의 경우에는 VR 콘텐츠가 판호 제재에 당장에는 걸리지 않더라도 언제 다시 규제가 바뀔지 모르는 나라다. 단순히 큰 수요만 보고 중국향 게임을 만들거나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기보다는 글로벌에서 통할 수 있는 ‘웰메이드 게임’이 더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