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한 후인 22일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 금리는 연 4.17~7.10%로 집계됐다. 전날(연 4.17~6.19%)과 비교하면 하단은 동일했으나, 상단이 1%포인트(0.91%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이날 주담대 고정금리도 연 3.90~6.47%로 하루 전(연 3.90~6.09%)보다 상단이 0.33%포인트 상승했다. 이달 초와 비교해도 대출 금리 상단이 모두 올랐다. 지난 1일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 금리는 연 4.05~6.97%, 고정 금리는 연 3.83~6.25% 수준이었다.
연준은 20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연 5.25~5.5%로 유지했다. 예상한 결과다. 그러나 연내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릴 가능성을 열어 놓은데다, 내년 말 금리 전망까지 5%대로 높게 예상하면서 세계 금융 시장이 얼어붙었다.
문제는 연준의 이런 전망으로 국내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시중은행 대출 금리는 은행채 금리의 영향을 받는데 이는 국채 금리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 국채 금리는 미 국채 금리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미 은행들이 채권 발행 물량을 늘리면서 은행채 금리는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주담대 고정금리와 연동되는 은행채 5년물 금리는 지난 4월 말 3.941%까지 떨어졌다가 꾸준히 상승해 전날엔 4.517%로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미 연준의 발표로 금리 방향 전환 가능성이 쏙 들어가면서, 당장 이날 미국 채권 2년물 금리가 연 5.19%, 10년물 금리가 연 4.4% 수준까지 올랐다. 각각 2006년과 2007년 이후 최고치다. 가뜩이나 국내 대출 금리는 최근 고금리 수신 경쟁과 은행채 발행 급증으로 상승 조짐을 보였는데 연준의 최신 전망에 상승 압력이 더 커지게 된 것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현재 미국과의 금리 역전이 계속되고 물가상승 압력이 충분히 안정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우리 정부도 점진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