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이어 “우리나라가 예전에는 중저가 상품 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았으나 이제는 최고의 하이테크 분야, 고가 물품 시장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고 무역 품목과 대상 국가들이 다변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덕수 전 회장은 “무역은 그 나라가 가진 모든 것을 나타내는 측정치로,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 엔지니어, 근로자의 우수성과 정부의 정책이 결합된 결과”라면서 “우리나라가 1998년 이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를 제외하고 연속해서 무역 흑자를 보인 것은 큰 성취”라고 말했다.
사공일 전 회장은 1964년 제정된 ‘수출의 날’이 1990년 수입까지 함께 고려하는 ‘무역의 날’로 바뀌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한국은 무역을 통해 성공한 나라로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자열 회장은 “반도체, 자동차 뿐 아니라 신산업, 그리고 중소벤처기업의 영향으로 내년에도 무역 성장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우리의 무역 상대국이 중국, 미국, 일본 뿐 아니라 신남방 국가들로 다변화된 것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사전환담 후 전·현직 무역협회 회장들과 기념식에 동반 입장했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최고의 무역 성과를 거두기까지 함께 애써온 무역인들의 노고에 대한 감사와 존중의 의미를 담은 것”이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