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우주에서 운용되는 다양한 위성들을 묶어 관리해 우주 감시 체계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센터가 문을 열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종 위성군 우주 감시정찰 기술 특화연구센터(HSRC)’를 개소했다고 2일 밝혔다.
 | 이종 위성군 우주 감시정찰 기술 특화연구센터 개념도.(자료=KAIST) |
|
민간우주개발 시대가 빨라지면서 위성 기술은 점점 작아지고, 연결되는 추세이다. 이번에 개소한 특화연구센터에서는 초소형 이종 위성군 설계, 운영 관련 기초기술을 연구한다. 가령 서로 다른 임무 장비를 탑재한 다수 이종 위성 집합체를 활용하는 감시정찰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센터는 국방핵심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방위사업청이 지원하며,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관리를 맡아 오는 2028년까지 총 221억원의 정부출연금을 투자한다. 주관기관은 KAIST가 맡고, 14개 대학과 4개 기업체로 구성된 산학연 컨소시엄이 참여한다.
센터 소속 연구실은 △이종 위성군 설계 및 운용기술 연구실 △이종 위성군 온보드감시정찰 기술 연구실 △우주 통신 연구실 △이종 위성군 우주 검증·기반기술 연구실 등 총 4개 연구실이며, 앞으로 14개의 세부과제를 개발한다.
이를 통해 이종 위성군 시스템 연구 역량을 모으고, 국가 안보를 위한 핵심전략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최한림 센터장은 “이종 위성군을 통합적, 협력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은 세계적으로도 개발이 끝나지 도전적인 기술”이라며 “앞으로 핵심 우주기술의 국제 수월성을 확보하고, 군의 우주국방 로드맵의 실현에도 기여할 기술 기반을 다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