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인플레 우려 속 급등한 엔비디아…韓 증시, 반도체 업종 주목"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미국 증시가 인플레이션 우려 속 혼조세를 나타낸 가운데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업종이 급등했다. 이에 국내 증시도 반도체 중심 업종이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향후 관세발 인플레이션 점증 우려 속 미국채 10년물 금리 상승이 위험 선호 심리를 제약했다. 다만, 엔비디아 H20 칩 중국 판매 승인 호재로 반도체 업종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인 결과 다우지수와 S&P500을 제외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상승 마감했다. 미국의 6월 헤드라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2.7%, 직전 월 대비 0.3%로 시장 예상치와 부합했다. 근원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9%, 직전 월 대비 0.2%로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직전 월 대비 기준 주거비(+0.2%) 상승이 전체 CPI 상승의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의료서비스(+0.5%), 에너지(+0.9%), 식품(+0.3%) 등의 항목의 가격도 상승했다. 이 연구원은 “전반적으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6월 CPI 결과였음에도 수입에 의존하는 생활필수품의 가격이 상승했다”며 “기업들이 수입 비용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며 관세 여파가 점진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8월 1일 유예 종료 이후 추가 관세 인상이 더해질 경우 인플레이션이 재점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불거지며 4.5% 선까지 근접했다.다만, 엔비디아의 급등 영향으로 IT 업종만이 유일하게 상승했다. 미국이 지난 4월 중국 수출을 제한한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판매를 승인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베센트 재무장관도 8월 12일에 종료되는 미·중 무역 협상 마감 시한에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또한, 이날 JP모건, 씨티그룹, 블랙록 등 주요 IB 은행 실적 발표를 시작으로 2분기 실적 시즌이 본격 개막한다. 팩트셋에 따르면, 2분기 S&P500 기업들의 EPS 성장률은 약 4.8%로 2023년 2분기 이후 2년 만에 최저치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이 연구원은 2분기 실적 자체보다는 관세 불확실성 속 기업의 가이던스 내용, 빅테크 기업의 AI 투자 지출 지속 및 AI를 통한 수익성 개선 여부 등에 따라 종목별로 차별화 장세 연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증시가 혼조를 보였지만, 반도체 업종만을 강세를 나타낸 가운데 국내 증시도 이에 영향을 받을 전망이라고 이 연구원은 전했다. 그는 “금일 대중 수출 규제 완화 기대감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을 반영하며 반도체 업종이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 6월 美근원CPI 도 예상치 밑돌았지만…7월 금리인하 물건너가(종합)
-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가 전달보다 소폭 오르긴 했지만, 시장 예상보다는 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가격 하락이 관세 영향으로 상승한 다른 품목들의 가격 인상을 상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난감, 전자제품 등 일부품목에서 가격 상승세가 가속되면서 7월금리인하 가능성은 사실상 소멸됐다.텍사스 주 휴스턴의 월마트 슈퍼마켓에서 직원이 식료품에 가격표를 새로 붙이고 있다. (사진=AFP)15일 (현지시간) 미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6월 근원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9%로 월가가 집계한 예상치(3%)를 소폭 밑돌았다. 근원 CPI는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품을 제외한 지표로, 기조적 물가 흐름을 볼 수 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2%로, 이 역시 시장 예상치(0.3%)를 하회했다. 월간 기준으로 다섯달 연속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결과다.에너지, 식품 등 포함한 헤드라인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올랐고, 전월 대비로는 0.3% 상승했다. 시장예상치는 각각 2.7%, 0.3% 상승였는데 이에 부합했다. 식료품과 에너지 이외의 상품 가격은 보합에서 이번 달 0.2% 상승으로 전환됐다. 특히 장난감, 가구, 가전제품, 의류 등 관세 영향을 많이 받는 품목에서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이는 기업들이 수입 원가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반면 신차(-0.3%) 및 중고차 가격(-0.7%)은 전월보다 하락했다.인플레이션 인사이츠 LLC의 오마이르 샤리프 대표는 “자동차를 제외한 근원 상품 가격은 6월에 0.55% 상승해 2021년 11월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며 “이번 보고서는 관세의 영향이 본격화됐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에너지를 제외한 서비스 부문 물가는 0.3% 상승했다. 서비스 중에서도 최근 수년간 물가 상승을 이끌었던 핵심 분야인 주거비 상승세(0.2%)는 호텔 가격 하락으로 다소 둔화됐다.연준이 중시하는 별도 지표인 ‘주거비와 에너지를 제외한 서비스 물가(슈퍼코어)’는 0.2% 상승했다. 특히 병원 서비스 요금이 크게 오른 것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다만 기대치를 밑도는 물가 상승률이 연이어 나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전체 소비자물가에 얼마나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지는 의문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일부 기업들은 관세 시행 전에 재고를 쌓아두거나 마진을 줄여 소비자 가격 인상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연준은 2주 후 회의를 앞두고 있으며, 일부 위원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지만, 관세가 일시적 충격인지 지속적 물가 압력인지를 놓고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프린시펄 자산운용의 글로벌 수석 전략가 시마 샤는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자극은 단기적일 가능성이 높다”며 “연준은 최소 몇 달간은 관망하는 게 현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