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동해 석유’ 테마주들, 美 액트지오 '리스크' 언급에 일제히 약세
  • ‘동해 석유’ 테마주들, 美 액트지오 '리스크' 언급에 일제히 약세[특징주]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경북 포항 영일만 심해에서 석유와 가스 매장 가능성과 관련 미국 컨설팅 업체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기자회견에서 프로젝트의 ‘리스크’를 언급하자 관련 테마주들이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11시 20분 현재 동양철관(008970)은 전 거래일 대비 8.64% 하락하고 있다. 장 초반 9.89%까지 올랐지만, 하락전환하면서 낙폭을 확대하고 있다. 이밖에 하이스틸(071090)도 9%대 하락하고 있고, 대동스틸(048470)도 11.24% 떨어지는 중이다. 장 초반 15%대까지 오르던 넥스틸(092790)도 3.31% 오름세로 상승 폭을 반납했다. 또한, 한국석유(004090)는 5.58% 하락 중이고, 화성밸브(039610), 대성에너지(117580)도 10%대 떨어지고 있다. 이는 아브레우 고문이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한 이후 기대감이 소멸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날 기자회견에서 아브레우 고문은 큰 규모의 경제성 있는 탄화수소가 누적돼 있다는 사실은 찾지 못했다며 ‘리스크’를 언급하면서 그간 몰렸던 단기 수급이 빠져나간 것으로 해석된다. 아브레우 고문은 “리스크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라며 “석유가 실제로 매장돼 있는지 전망하기 위해서는 4가지 요소가 있는데 기반암, 적유층, 덮개암, 트랙인데, (포항 영일만 일대) 분석 진행 결과, 시추공이 3개가 이미 있고, 탄성적 품질이 좋았다는 점은 이점”이라고 분석했다.그러면서 “기존에 있던 3개의 시추공(유정)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실패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은 시추하는 것밖에 남아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다만, 아브레우 고문은 성공률을 20% 수치가 제시된 것을 두고도 “굉장히 양호하고 높은 수준의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2024.06.07 I 이용성 기자
‘세기의 이혼소송’ SK, 사흘만 상승 전환
  • ‘세기의 이혼소송’ SK, 사흘만 상승 전환[특징주]
  •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항소심 판결 이후 급등세를 보이다 주춤하던 SK 주가가 7일 사흘만에 다시 상승하고 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30분 현재 SK(034730)는 전 거래일 대비 3.23% 오른 16만9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 지난달 30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항소심 판결 이후 SK 주가는 급등했다. 서울고법 가사2부(부장판사 김시철 김옥곤 이동현)는 최 회장이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에게 위자료 20억 원과 재산분할로 1조 3808억 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판결에 따라 SK그룹 지주사 지분율이 흔들릴 수 있다는 관측과 최 회장이 대규모 현금 마련을 위해 현금 배당을 확대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이다. 급등세를 이어가던 주가는 최태원 회장이 3일 그룹 경영과 국가 경제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며 하락 전환했지만, 이날 다시 오르고 있다. 특히 기관은 지난 30일 항소심 판결 이후 SK에 대해 매일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지난달 1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이혼 소송 항소심 공판에 출석했다. (사진=연합뉴스)
2024.06.07 I 원다연 기자
삼양식품 또 신고가…생산라인 확대에 6%대 ↑
  • [특징주]삼양식품 또 신고가…생산라인 확대에 6%대 ↑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7일 장 초반 삼양식품(003230)이 6%대 강세다. 63만 30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또 경신했다. 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1분 현재 삼양식품은 전 거래일 대비 6.20% 오른 61만 7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초반 한때 8%대 이상 치솟아 63만 30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삼양식품은 지난 5일 공시를 통해 해외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밀양 2공장에 투입될 생산 라인을 5개에서 6개로 1개 라인을 추가한다고 공시했다. 한유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삼양식품은 지난 2023년 8월 11일 밀양 제2공장 신설을 공시한 바 있다. 당시 공시에는 2019년 매입한 삼양식품 소유의 밀양산업단지 부지 내 별도의 공장을 신설하겠다는 내용이었다”며 “당시 계획으로는 총 5개 생산 라인이 밀양 2공장에 투입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24년 1분기 삼양식품의 면·스낵 해외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83% 성장하는 등 예상치를 벗어나는 폭발적인 수요 증가가 이어지자 생산 지난 5일 정정 공시를 통해 고 알렸다”고 설명했다. 투자금액도 1643억원에서 1838억원으로 증가했다.한 연구원은 이날 삼양식품 목표주가를 71만원에서 80만원으로 재차 상향 조정했다.
2024.06.07 I 김소연 기자
눌려 있던 2차전지에 수급 몰려…순환매 장세 속 강세(종합)
  • [특징주]눌려 있던 2차전지에 수급 몰려…순환매 장세 속 강세(종합)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2차전지가 오래간만에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순환매 장세가 이어지면서 그간 눌려 있던 2차전지에 외국인과 기관의 수급이 쏠린 탓이다. 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배터리 셀 기업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전 거래일 대비 4.46% 오른 35만1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삼성SDI(006400)도 3.57% 상승했고, 포스코퓨처엠(003670)도 5.15% 올랐다. 코스닥에서도 에코프로비엠(247540)이 6.17%, 에코프로가 4.36% 오르며 간만에 불기둥을 올렸다. 최근 2차전지 업종은 큰 하락 폭을 나타냈다. 실적시즌을 거치면서, 셀 및 양극재 업체 등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가동률 하향조정과 캐파 증설 계획이 지연되거나 축소되는 등 주가에 부정적인 잡음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날 순환매 장세 속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모습이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순환매 장세 시현되며 최근 눌려 있던 2차전지 등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며 “낙폭과대주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됐다”고 전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도 “기관과 외국인의 순매수로 코스닥이 강세를 나타낸 가운데 순환매 장세 속 2차전지 업종으로 수급이 몰렸다”고 전했다.
2024.06.05 I 이용성 기자
'동해 석유' 테마 강관株, 엑트지오 방한에 급등
  • [특징주]'동해 석유' 테마 강관株, 엑트지오 방한에 급등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경북 포항 석유·가스전 매장량을 분석한 미국 휴스턴의 지질 탐사 전문 컨설팅 기업 ‘액트지오(Act-Geo)’사가 방한하면서 강관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가동해 석유·가스전 매장 테마가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시추를 하게 되면 강관 관련주가 가장 먼저 부각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후 1시56분 현재 넥스틸(092790)은 전 거래일 대비 30.00% 오르며 상한가를 찍었다. 동양철관(008970)도 23.66% 오름세를 보이고 있고, 휴스틸(005010)도 19.17% 상승 중이다. 이밖에 하이스틸(071090) 10.04%, TCC스틸(002710) 9.42%, 포스코스틸리온(058430) 6.24% 등 이름에 ‘철’이 들어가면 대부분 수급이 유입되는 모습이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국정브리핑에서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크다며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탐사 시추 계획을 승인했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 당시 석유,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 액트지오의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는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아브레우 박사는 “한국에 아주 중요한 프로젝트”라며 “이와 관련해 더 나은, 더 명확한 답을 하기 위해 왔다”고 방한 목적을 밝힌 바 있다.
2024.06.05 I 이용성 기자
'시멘트株' 급등한 이유…동해 석유 테마 합류·엑트지오 방한
  • '시멘트株' 급등한 이유…동해 석유 테마 합류·엑트지오 방한[특징주]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시멘트주가 동해 석유·가스전 매장 테마에 합류하며 급등 중이다.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후 1시26분 현재 고려시멘트(198440)는 전거래일 대비 26.66%(441원) 오른 2095원에 거래중이다. 삼표시멘트(038500)는 17.67%(515원) 상승하며 3430원까지 올랐다. 시멘트주의 강세는 석유와 가스 탐사 시추시에 시추공을 보호하기 위해 외곽에 강관을 설치하는 케이싱 작업과 시멘트로 암석과 파이프를 붙여주는 시멘팅 작업이 진행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국정브리핑에서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크다며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탐사 시추 계획을 승인했다고 언급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40억 배럴을 현재 가치로 따져보면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 수준”이라고 말했다.이와 관련해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석유,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는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아브레우 박사는 방한 목적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석유·가스 매장가능성)한국에 아주 중요한 프로젝트”라며 “이와 관련해 더 나은, 더 명확한 답을 하기 위해 왔다”고 밝혔다.
2024.06.05 I 이정현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 韓 입국 액트지오 CEO '포스코 고객사' 발언에 '강세'
  • 포스코인터내셔널, 韓 입국 액트지오 CEO '포스코 고객사' 발언에 '강세'[특징주]
  • [이데일리TV IR팀]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의 주가가 오름세다. 국내에 입국한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가 포스코가 고객사라고 발언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액트지오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참여한 미얀마 광구에 대해 유망성평가 등을 시행 한 바 있다.5일 오후 12시 38분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일 보다 4.45% 오른 4만8150원에 거래 중이다.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에 140억 배럴 규모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 액트지오의 비토르 아브레우(Vitor Abreu) 박사가 오는 7일 공식 기자회견을 갖는다.정부에 따르면 아브레우 박사는 5일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후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 관계자를 만난다. 이후 오는 7일에는 한국석유공사와 함께 공식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아브레우 박사는 한국행 비행기에 탑승한 상태에서 연합뉴스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메신저를 통해 진행한 인터뷰에서 “(액트지오는) 이 분야의 세계 최고 회사 중 하나”라며 “고객사로 엑손모빌, 토탈과 같은 거대 기업과 아파치, 헤스, CNOOC(중국해양석유), 포스코, YPF(아르헨티나 국영 에너지 기업), 플러스페트롤, 툴로우 등 성공적인 기업들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액트지오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참여한 미얀마 AD-7 신규 광구의 유망성평가 등도 시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4.06.05 I 김다운 기자
美 국채금리 하락·배터리 사용량 증가…2차전지株 강세
  • [특징주]美 국채금리 하락·배터리 사용량 증가…2차전지株 강세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2차전지 관련 종목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에코프로머티(450080)는 이날 오전 11시 48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1만1400원(13.60%) 오른 9만5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와 함께 포스코퓨처엠(003670)(6.30%)과 LG에너지솔루션(373220)(5.35%), LG화학(051910)(4.57%), 삼성SDI(006400)(4.50%) 등도 강세다. 코스닥 시장에선 에코프로비엠(247540)이 전 거래일 대비 1만3800원 상승한 20만5000원을 가리키고 있다. 에코프로(086520)와 대주전자재료(078600)도 각각 4.25%, 2.82% 오르고 있다. 이 같은 2차전지 관련 종목의 전반적인 강세는 미국 내 고용지표 부진에 따라 미국 국채금리가 내림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간밤 미국 노동부가 공개한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지난 4월 구인 건수는 805만9000건으로 전월(835만5000건) 대비 29만6000건 줄었다. 이는 다우존스 예상치인 840만건을 밑돈 수치다. 미국 고용시장의 냉각을 가리키는 지표에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까지 나흘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최근 나흘간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4.618%에서 4.366%까지 25bp 하락했다. 아울러 올해 들어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이 지난해보다 늘고 있다는 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4월 세계 80개국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은 총 216.2GWh(기가와트시)로, 전년 동기 대비 21.8% 증가했다.
2024.06.05 I 박순엽 기자
‘중화권 기업’ 테마 약세…中, 대만 문제 관련 韓에 '경고' 영향
  • [특징주]‘중화권 기업’ 테마 약세…中, 대만 문제 관련 韓에 '경고' 영향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주한중국대사관이 대만문제 등과 관련 한국 정부에 신중한 언행을 촉구하자 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화권 기업이 테마성 움직임을 보이며 약세를 기록하고 있다. 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15분 현재 헝셩그룹(900270)은 전 거래일 대비 4.59% 하락한 374원에 거래되고 있다.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은 6.58% 하락 하는 등 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화권 기업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한중 갈등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최근 외교차관협의회와 국방장관회담에서 한국이 대만 및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잘못된 발언’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주한중국대사관은 전날 입장문에서 “한국 측이 중국 측 결연한 반대에도 미국, 일본과 대만·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반복적으로 왈가왈부하고 있다”며 “한국 측이 대만, 남중국해 문제에 있어서 언행을 각별히 조심하고 실제 행동으로 중한관계의 대세를 수호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이와 관련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이 정례브리핑에서 “대만 문제와 관련한 우리 정부의 기본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며 “우리는 역내 국가로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이 지속되고 대화와 협력을 통해 양안 관계가 평화적으로 발전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중화권 기업들은 한일중이 정상회의를 진행하면서 한중간 우호적인 관계가 조성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 급등한 바 있다.
2024.06.05 I 이용성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