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전기차 정책 취소”…‘트럼프 리스크’에 2차전지 줄줄이 약세
  • “전기차 정책 취소”…‘트럼프 리스크’에 2차전지 줄줄이 약세[특징주]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국내 증시에서 2차전지 관련주들이 줄줄이 약세로 마감했다.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통령후보가 전기차 정책을 취소하겠다는 뜻이 전해지면서다.1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전 거래일 대비 3.86% 하락한 34만9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삼성SDI(006400)도 2.04% 하락했고, 포스코퓨처엠(003670)도 4.55% 떨어졌다. 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도 각각 4.07%, 1.58% 떨어지면서 2차전지 관련주들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이는 미국에서 주도하고 있는 전기차 정책이 11월 대선 이후 정권이 바뀌면 취소될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공화당 대통령 후보는 최근 하원 공화당 의원들과의 비공개 회의에서 “내가 다시 대통령이 되면 바이든 대통령의 전기차 정책을 철회할 것”이라며 “배터리와 전기차에 대한 모든 의무는 미친 짓”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에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후보가 하원 공화당 의원들과 만난 비공개회의에서 (취임하면) 바이든 대통령의 전기차 정책을 취소하겠다고 말한 영향이 커 보인다”며 “코스닥은 2차전지주 시총이 크다 보니 지수 낙폭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코스닥 지수는 이날 1.05% 하락한 862.19에 마감했다.
2024.06.14 I 이용성 기자
 이마트, 또 52주 신저가…악재소멸에도 지지부진
  • [특징주] 이마트, 또 52주 신저가…악재소멸에도 지지부진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14일 장 초반 이마트(139480)가 52주 신저가를 또 기록했다. 이마트는 5만 8100원까지 밀렸다. 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 32분 현재 이마트는 전 거래일 대비 0.17% 오른 5만 8300원에 거래되고 있다.이마트는 5만 8300원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장 중 한때 5만 8100원까지 떨어지며 52주 신고가를 또 경신했다. 올해 2월 8만원대까지 갔던 이미트 주가는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6만원대마저 깨지며 5만원 후반대에 머물고 있다. 이마트는 지난해 사상 첫 적자를 냈다. 증권가에서는 이마트의 악재가 소멸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주가는 지지부진한 모양새다. 주가 상승을 위해 실적 개선이 필요하단 의견이 나온다. 남성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잠재적 부채에 대한 리스크는 해소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마트에게 있어 가장 크게 부담됐던 부분은 SSG.COM 사업부의 주주간 계약 사항으로, 잠재적 부채 증가로 이어질 수 있었던 요인이다. 진난 4일 공시를 통해 재무적투자자(FI)가 기 투자한 지분을(30%) 제3자에 매각하거나, 신세계그룹이 인수한다는 조건으로 마무리됨에 따라 관련 리스크는 해소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2024.06.14 I 김소연 기자
수출 청신호에 화장품株 랠리…선진뷰티 15%대 급등
  • [특징주]수출 청신호에 화장품株 랠리…선진뷰티 15%대 급등
  •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대미 수출 호조로 국내 화장품 업체들의 실적이 성장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며 화장품주가 강세다.1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24분 선진뷰티사이언스(086710)는 15.99% 상승한 2만2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국화장품(123690)은 1만1050원으로 20.77% 상승 중이다. 제이준코스메틱(025620)도 18.07% 뛴 882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외에도 토니모리(214420)(13.08%), 한국화장품제조(003350)(10.48%), 리더스코스메틱(016100)(7.55%), 코리아나(027050)(7.44%), 코스맥스(192820)(6.3%), 잇츠한불(226320)(5.51%), 뷰티스킨(406820)(5.44%) 등도 상승세다. 화장품주 전반이 강세를 띠는 것은 대미 수출 규모가 대중 수출을 앞선 가운데 화장품 수출이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에서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등에 따르면 올해 1~5월 대미 수출 규모는 533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대중 수출 규모 526억9000만달러 대비 6억1000만달러 더 많은 수준이다. 대미 수출 확대는 화장품이 이끄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분기 중소기업의 대미 수출액은 전년 대비 24.5% 증가했는데, 화장품은 60.5% 성장하며 증가 폭이 우위를 보였다. 이승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올해 화장품 주가는 코스피 지수를 상회하며 상승하고 있다”며 “K뷰티의 글로벌 확장과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가 이뤄지는 가운데, 여름철 선케어 제품 수요 급증으로 인한 계절적 성수기가 매출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4.06.14 I 김응태 기자
에이피알, 증권가 목표치 43만원→60만원 상향에 강세
  • [특징주]에이피알, 증권가 목표치 43만원→60만원 상향에 강세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에이피알(278470)이 장 초반 급등하고 있다. 증권가에서 목표가를 파격적으로 올려잡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1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12분 현재 에이피알은 전 거래일 대비 6.33% 오른 39만4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개별 기업의 특별한 호재가 없지만, 급등한 이유는 증권가에서 목표가를 크게 올려잡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차증권은 이날 에이피알의 목표가를 43만원에서 60만원으로 42% 상향했다. 이는 에이피알이 경제적 해자를 갖고 있고, 생산능력 확대로 해외 수출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기 때문이다. 곽민정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에이피알의 신제품 울트라 튠은 앱에서만 모드 변환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이는 사용자 데이터 확보를 통한 동사의 향후 신제품 타겟팅, 소비자 행동 분석 등에 적용될 수 있어 강력한 해자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 뷰티 디바이스와의 강력한 차별화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평택 2공장을 중심으로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는 점과 울트라 튠 외 올해 3분기 하이푸 디바이스가 출시하는 것 역시 강력한 성장 모멘텀”이라며 “중국 주요 플랫폼 대형 라이브 커머스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24.06.14 I 이용성 기자
 에이에스텍, 국내 유일 유기선크림 원료社...글로벌 1위 독점공급 부각에 '강세’
  • [특징주] 에이에스텍, 국내 유일 유기선크림 원료社...글로벌 1위 독점공급 부각에 '강세’
  • [이데일리TV IR팀]에이에스텍(453860)이 오름세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화장품 관련주가 주목받는 가운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원료를 글로벌 1, 2위 고객사 2곳에 독점 공급한 사실이 부각되면서 주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13일 오후 2시 18분 에이에스텍은 전거래일보다 8.26% 오른 4만5850원에 거래 중이다.2005년 설립된 에이에스텍은 자외선 차단제와 화학물질 원료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이다. 자외선 차단제 원료는 크게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있는데 에이에스텍의 주력 생산 제품은 유기계열 자외선 차단 원료다.특히 에이에스텍은 독자적 합성 기술에 기반해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게 DHHB 국산화에 성공했다.에이에스텍은 원료의약품 개발 사업을 통해 원천기술을 내재화하고, 2019년 DHHB(Diethylamino Hydroxy benzoyl HexylBenzoate)를 개발 및 양산했다. 에이에스텍의 DHHB는 자외선 차단제와 화장품에서 UV필터로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로 무기계열보다 사용감이 좋고 제형 적용 범위가 넓어 자외선 차단 제품 중 90% 가량 차지하고 있다. 에이에스텍은 UVA 차단제 글로벌 1위 기업인 DSM사와도 2022년 상호독점공급계약을 체결했다. 2024년 5월부터 시작되는 상호독점공급계약에 따라 ‘Uvimax A’를 2028년까지 DSM에 독점으로 공급하게 됐다.김성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올 초 보고서를 통해 “2023년 11월 1공장 완공을 통해 연간 600톤에서 1200톤으로 CAPA 증설을 완료했으며, 2025년에는 2400톤으로 2공장 증설이 예정됨에 따라 고객사 요구 물량 대응 및 매출 성장이 가능하다”고 내다봤다.또한 김 연구원은 “올해 5월부터 DSM향 독점 공급계약이 시작되기에 매출이 본격화될 전망“이라며 ”기존 고객사향 DHHB 추가 물량도 기대되며 신규 원료 납품 일정에 따른 추가적인 실적 성장도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2024.06.13 I 김다운 기자
 시노펙스, 수입 의존 혈액여과기 최초 국산화...'120조' 마켓 정조준에 '강세&...
  • [특징주] 시노펙스, 수입 의존 혈액여과기 최초 국산화...'120조' 마켓 정조준에 '강세&...
  • [이데일리TV IR팀]시노펙스(025320)의 주가가 오름세다. 14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APCN(아시아태평양국제신장학회) 학술대회에서 시노펙스가 국내기업 최초로 혈액투석관련 핵심 제품과 기술을 소개한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에서는 연간 약 2000만개의 인공신장기용혈액여과기(혈액투석필터)가 사용되고 있으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13일 오전 11시 37분 시노펙스는 전일보다 3.16% 오른 1만450원에 거래 중이다.시노펙스는 14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APCN(아시아태평양국제신장학회) 학술대회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혈액투석관련 핵심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시노펙스는 13일부터 16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APCN2024 행사에 ‘The Development History of Korean Mobile Hemodialysis Machines-한국 이동형 혈액투석 시스템 개발 역사’를 주제로 초청 강연을 한다.시노펙스의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는 지난 3월 식약처로부터 인증을 받고 정식판매가 가능한 상황이다. 국내 기업 최초다. 회사 측은 이번 APCN 2024행사를 통해 아시아지역에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번 강연 발표자인 이진태 박사는 “이번 APCN 2024 학술대회는 한국에서 14년만에 개최되는 행사로 시노펙스가 우리나라 최초로 개발·국산화한 혈액투석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공식적으로 공개하는 자리”라며 “한국 식약처의 인증을 기반으로 수출이 가능한 아시아 지역 국가들을 대상으로 이번 행사를 통해 시노펙스의 첨단 의료기기 기술을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또한 “진행 중인 글로벌 인증인 CE MDR·US FDA을 통해서 해외수출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현재 국내에서는 연간 약 2000만개의 인공신장기용혈액여과기(혈액투석필터)가 사용되고 있으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혈액투석 관련 시장은 연간 120조원 규모로 예상되고 있다.
2024.06.13 I 김다운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