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159건

혼다코리아, 올 뉴 CR-V 하이브리드 사전계약 실시
  • 혼다코리아, 올 뉴 CR-V 하이브리드 사전계약 실시
  •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혼다코리아는 9월 말 공식 출시 예정인 ‘올 뉴 CR-V 하이브리드의 온라인 사전계약을 1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올 뉴 CR-V 하이브리드는 4WD 투어링으로 출시되며 화이트, 그레이, 블랙 및 하이브리드 전용인 어반 그레이와 블루 등 총 5가지 색상으로 판매된다. 인테리어는 스포티한 감성을 더한 오렌지 컬러의 스티치가 적용됐다.올 뉴 CR-V 하이브리드.(사진=혼다코리아.)6세대 완전변경모델로 재탄생한 올 뉴 CR-V 하이브리드는 다이내믹하고 스포티한 SUV 스타일링을 채택했다. 프런트 그릴, 범퍼, 19인치 알로이 휠, 루프레일 등 하이브리드 전용 디자인을 적용했다.파워트레인은 새롭게 개발된 2.0L 직분사 앳킨슨 엔진과 E-CVT 조합의 차세대 2모터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탑재됐다. 모든 영역에서 출력 및 토크가 향상돼 직관적인 가속감을 제공한다. 초기 가속부터 고속 주행까지 소음·진동이 개선되고 스티어링 추종성을 높였다.올 뉴 CR-V 하이브리드는 이전 세대 대비 전장, 전폭, 휠 베이스가 증가해 여유로운 실내공간을 구현한다. 8단계로 조절되는 2열 리클라이닝 시트로 탑승객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적재공간도 동급 최고 수준으로 각종 캠핑 장비나 골프백 4개, 큰 사이즈의 여행용 캐리어들도 거뜬하게 실을 수 있다.운전자 주행 보조 시스템 혼다 센싱(Honda SENSING)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감지 각도가 확대되는 등 대폭 개선됐다. 다양한 충돌 상황에서의 탑승자 상해를 최소화하는 신설계 에어백 시스템도 적용됐다. 이러한 안전 성능 강화로 올 뉴 CR-V 하이브리드는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 충돌테스트에서 TSP+를 획득해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입증했다.올 뉴 CR-V 하이브리드 4WD 투어링의 가격은 5590만원이며 혼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사전 계약이 가능하다.
2023.09.01 I 김성진 기자
‘8년 만에 돌아왔다’..혼다, 8인승 SUV ‘파일럿’ 신형 출시
  • ‘8년 만에 돌아왔다’..혼다, 8인승 SUV ‘파일럿’ 신형 출시
  • [이데일리 박민 기자] 혼다코리아는 8년 만에 풀체인지(완전변경)를 거쳐 완전히 새로워진 4세대 ‘올 뉴 파일럿(All-New Pilot)’을 29일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올 뉴 파일럿은 8인승 대형 SUV로 공간, 편의, 성능, 안전 모든 면에서 대형 SUV의 스탠다드를 제시한다.올 뉴 파일럿의 외관은 더 크고 강인해진 차체에 심플하고 파워풀 디자인을 적용한 정통 SUV 스타일로 진화했다. 이전 세대 대비 전장, 전고, 휠 베이스가 모두 증가해 더 커진 차체 크기와 역동적인 비율로 압도적인 존재감을 완성했다. 특히 혼다만의 독보적인 패키징 기술로 완성한 사용자 중심의 넓고 쾌적한 공간과 압도적인 사이즈의 적재공간을 통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지원한다. 혼다 ‘올 뉴 파일럿’.(사진=혼다코리아)파워트레인에는 혼다 역사상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받는 최신 4세대 V6 엔진과 혼다 최초의 10단 자동변속기를 적용해 강력한 드라이빙 퍼포먼스와 고효율을 양립했다. 올 뉴 파일럿은 업그레이드된 혼다 센싱(Honda SENSING) 및 에어백 시스템 등을 적용해 동급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미국 IIHS 충돌테스트에서 최고 안전등급 TSP+를 획득했다.올 뉴 파일럿의 가격은 6940만원(VAT 포함)이다. 색상은 화이트, 메탈, 블랙 총 3가지로 판매되며, 혼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혼다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365일 24시간 시승 신청, 견적 산출, 계약, 결제까지 한 번에 이용 가능하다.◇심플 & 파워풀 디자인의 정통 SUV올 뉴 파일럿은 동급 대비 가장 긴 전장(5090mm), 가장 높은 전고(1805mm)로 모든 좌석에서 넓고 쾌적한 승차공간을 구현한다. 1열 시트는 새로운 글로벌 프레임(G-Frame)을 적용해 운전자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며, 폴딩 가능한 2, 3열 시트 및 탈부착 가능한 2열 센터 시트로 가족 구성과 사용 목적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3열 공간은 성인 남성 탑승 기준으로 설계되어 남녀노소는 물론 반려동물 이동 시에도 편안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트렁크 기본 용량은 이전 세대보다 증가한 527L로 동급 최대이며, 3열 시트 폴딩 시 1,373L, 2열 시트를 폴딩하면 2,464L까지 확장된다. 2열 센터 시트의 경우 탈거 후 적재공간 내 언더 플로어에 고정 수납할 수 있어 가족, 지인, 연인과 함께하는 장거리 여행에서도 넉넉하게 많은 짐을 수용할 수 있다.혼다 ‘올 뉴 파일럿’.(사진=혼다코리아)◇혼다 최초의 10단 자동변속기 탑재파워트레인에는 최신 4세대 V6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어 강력한 드라이빙 퍼포먼스와 높은 연비 효율을 제공한다. V6 3.5L 직접분사식 DOHC i-VTEC 엔진은 북미 아큐라(Acura) 모델을 비롯한 전륜 기반 고급 모델을 위해 개발된 전체 알루미늄 구조의 최신 V6 엔진이다. 파일럿 특유의 강력하면서도 부드럽게 구현되는 가속감으로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 편안한 주행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10단 자동 변속기와 파일럿 최초의 셔터그릴, 가변 실린더 제어 시스템 VCM(Variable Cylinder Management) 등을 통해 효율도 극대화했다.올 뉴 파일럿은 상시 4륜구동(All Wheel Drive) 시스템이나 흙길, 빗길, 눈길 등 다양한 오프로드 주행 상황에서 후륜에 최대 70%의 동력을 전달하고, 상황에 따라 좌/우 한쪽 축으로 힘을 완전히 보내는 트루 토크 벡터링(True Torque Vectoring)을 구현해 더욱 안정적이고 역동적인 주행감을 선사한다. 일상 주행 시에는 프로팰러 샤프트 회전을 차단해 불필요한 동력 손실을 방지하고 전륜만으로 동력을 전달해 연료 효율을 높인다.혼다 ‘올 뉴 파일럿’.(사진=혼다코리아)올 뉴 파일럿은 최근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 충돌테스트에서 최고 안전 등급인 TSP+(Top Safety Pick+)를 획득했다. 업그레이드된 혼다 센싱(Honda SENSING) 기술과 독자적인 안전 차체 설계 기술인 ACE™ 차체 구조와 개선된 에어백 시스템을 적용한 덕분이다.올 뉴 파일럿에 기본 적용된 혼다 센싱(Honda SENSING)은 90도 시야각의 광각 카메라와 120도 광각 레이더를 새롭게 탑재해 자동 감응식 정속 주행 장치(ACC),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KAS), 추돌 경감 제동 시스템(CMBS), 도로 이탈 경감 시스템(RDM), 후측방 경보 시스템(BSI) 기능이 업그레이드되었다. 이지홍 혼다코리아 대표이사는 “혼다는 자동차의 본질에 집중하며 각 세그먼트 모델의 스탠다드를 제시하는 브랜드라고 생각한다”며 “올 뉴 파일럿이 8년만에 뛰어난 상품성으로 재탄생한 만큼 온로드, 오프로드 모두 다이내믹하게 즐길 수 있는 SUV 본연의 스포티한 매력을 경험해 보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23.08.29 I 박민 기자
맥라렌 서울, 아투라 팝업스토어 열어
  • 맥라렌 서울, 아투라 팝업스토어 열어
  •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영국의 럭셔리 스포츠 및 슈퍼카 브랜드 맥라렌의 공식 수입원 맥라렌 서울이 부산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에서 하이브리드 슈퍼카 ‘아투라’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맥라렌 아투라.(사진=맥라렌 서울.)이번 팝업스토어는 부산의 지역 고객들을 타깃으로 맥라렌의 신형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슈퍼카 ‘아투라’의 브랜드 체험을 위해 기획됐다. 특히 잠재 고객들이 방문하기 편한 백화점 1층을 전시공간으로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전시 공간은 아트(Art)와 퓨처(Future)를 의미하는 아투라의 미래지향적 이미지가 직관적으로 느껴지도록 꾸며졌다. 방문객은 에어로다이나믹 기능성이 돋보이는 익스테리어뿐 아니라 인테리어 관람, 맥라렌의 상징인 다이히드럴 도어 등 아투라의 주요 특징과 고유의 감성을 가까이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다. 관람과 동시에 궁금한 사항은 현장 매니저의 설명을 들으며 브랜드 경험을 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구매 상담도 가능하다. 방문객 대상 이벤트도 진행한다. 방문객 중 추첨을 통해 맥라렌의 헤리티지가 돋보이는 모델 570S, 600LT, 720S, Senna의 피규어를 선물로 제공한다.맥라렌 아투라는 맥라렌이 쌓아온 슈퍼카 엔지니어링 전문 지식과 경험을 총망라한 차세대 하이 퍼포먼스 하이브리드 슈퍼카다. 맥라렌의 신형 3.0리터 V6 트윈터보 엔진에 95마력 전기모터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했다. 엔진과 모터를 합해 최고 출력 680마력(PS), 최대 토크 720Nm에 달하며 최대 31km까지 순수 EV 주행이 가능하다. 최고 속도는 330km/h,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3.0초 만에 도달하며 무게 대비 출력비는 동급 최고인 톤당 488 마력이다. 맥라렌 서울 관계자는 “고객들과의 접점을 확대하기 위해 이번 팝업스토어를 기획하게 되었다”라며 “맥라렌 서울은 앞으로도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를 통한 고객 소통 기회를 창출하여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와 제품을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3.08.22 I 김성진 기자
코스닥 부채비율 소폭 증가…코다코 가장 높아
  • [상반기 결산]코스닥 부채비율 소폭 증가…코다코 가장 높아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코스닥 상장사의 연결 기준 올해 상반기 부채비율은 108.8%로 2022년 말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다코(046070), 와이더플래닛(321820), 케이프(064820), 올리패스(244460), 에이스테크(088800)는 부채비율이 1000%를 넘어섰다.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월 결산 상장사 1230사 중 전기 실적 비교가 가능한 법인 1112사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2022년 12월말 대비 1.6%포인트 증가한 108.8%로 나타났다.올해 상반기 코스닥 상장사 부채총계는 209조3985억원으로 지난해 말 199조1403억원 대비 5.2%(10조2583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자산 총계는 384조8701억원에서 401조8128억원으로 4.4%(16조9427억원) 증가했다. 부채비율은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수치가 낮을수록 재무 건전성이 높다.기업별로 보면 연결기준 코다코의 부채비율이 1578.76%로 가장 높았다. 다만 코다코의 부채비율은 전년대비 1800.28%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와이더플래닛의 부채비율은 1333.67%로 전년대비 774.11%포인트 증가했고 케이프의 부채비율은 1208.35%로 전년비 323.81%포인트 늘었다. 이밖에 △올리패스(1190.98%) △에이스테크(1083.84%) △티로보틱스(117730)(097.35%) △스피어파워(203690)(894.92%) △비에이치아이(083650)(861.41%) △다우데이타(032190)(833.21%) △EDGC(245620)(820.38%) 순으로 부채비율 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에 반해 부채비율이 낮아 상대적으로 재무 건전성이 탄탄한 코스닥 상장사는 엑스페릭스(317770)로 부채비율 3.42%로 나타났다. 에이치엘사이언스(239610)(3.46%),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3.60%), 툴젠(199800)(3.94%)이 3%대 수준이다. 이밖에 △에이프로젠 H&G(109960)(4.24%) △티비씨(033830)(4.29%) △나노신소재(121600)(4.68%) △코메론(049430)(4.69%)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347740)(4.84%) △세진티에스(067770)(4.98%) 등이 부채비율 하위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상반기 코스닥 12월 결산 상장사들의 별도 기준 부채비율은 59.4%로 전년동기 59.8%와 비교해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채총계는 107조90억원으로 지난해 말(104조336억원) 대비 2.9%(2조9758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자산총계는 3.3% 늘어난 287조2384억원으로 나타났다.개별 기준으로 부채비율 상위 기업에 △와이더플래닛 △삼보산업(009620) △에이스테크 △스피어파워 △피플바이오(304840)가 이름을 올렸다. △네오위즈홀딩스(042420) △바이오다인(314930) △홈캐스트(064240) △클라우드에어(036170) △에이에프더블류(312610)는 부채비율 하위 상장사로 조사됐다.
2023.08.17 I 이정현 기자
‘각 잡은’ 싼타페, 5년 만에 돌아왔다..‘글로벌 SUV’ 왕좌 오를까
  • ‘각 잡은’ 싼타페, 5년 만에 돌아왔다..‘글로벌 SUV’ 왕좌 오를까
  •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현대차의 대표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싼타페의 5세대(신형) 모델 ‘디 올 뉴 싼타페’가 출시를 앞두고 구체적 사양이 공개됐다. 도심과 자연을 잇는 1세대 싼타페 콘셉트를 계승하는 동시에 직선적 디자인으로 현대차만의 고유한 디자인을 살렸다는 평가다.현대차가 10일 세계 최초로 공개한 싼타페 완전변경 모델 ‘디 올 뉴 싼타페’. (사진=현대차)현대차(005380)는 10일 ‘디 올 뉴 싼타페’ 월드 프리미어(세계 최초 공개) 영상을 통해 신형 싼타페의 핵심 사양을 공개했다. 2018년 출시한 4세대 이후 현대차가 5년 만에 선보이는 완전변경(풀체인지) 모델이다.◇ 2개 파워트레인 운영…직선 느낌 살린 ‘박스카’디 올 뉴 싼타페는 △2.5 터보 가솔린 △1.6터보 하이브리드 등 총 두 개 파워트레인으로 운영한다. 2.5 터보 가솔린은 18인치 타이어·2륜구동(2WD) 기준 최고 출력 281마력, 최대 토크 43.0kgf·m, 복합연비 11.0km/ℓ이다. 1.6 터보 하이브리드의 경우 기술 내재화를 통해 자체 개발한 신규 배터리를 탑재했다. 동일 기준으로 시스템 최고 출력 235마력, 시스템 최대 토크 37.4kgf·m의 동력성능을 갖췄다. 연비는 산업통상자원부 인증 완료 이후 공개된다.현대차가 10일 세계 최초로 공개한 싼타페 완전변경 모델 ‘디 올 뉴 싼타페’. (사진=현대차)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첫 SUV인 싼타페는 1세대 모델이 처음 출시된 이래 전세계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왔다”며 “광활한 아웃도어와 도심을 아우르는 이번 5세대 싼타페의 대담하고 강인한 존재감을 통해 중형 SUV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디 올 뉴 싼타페는 앞선 모델들과 달리 직선을 강조한 ‘박스카’ 디자인이 특징이다. 긴 휠베이스(자동차의 앞바퀴 중심과 뒷바퀴 중심 사이의 거리)와 현대차 엠블럼을 재해석한 전·후면 램프 ‘H 라이트’가 수평·수직적 인상을 준다. 각을 살려 만들어진 휠 아치와 짧아진 전면부 오버행(돌출부) 역시 강인한 느낌이다.◇ 도심·자연 아우르는 넓은 실내…운전자 편의도 확보넓은 테일게이트(후면부 문)를 중심으로 한 독창적 타이폴로지(유형)도 눈에 띈다. 아웃도어와 도심을 넘나드는 SUV 차량이라는 싼타페의 감성을 담았다. 수직으로 열리는 테일게이트를 활용하면 적재공간을 마치 테라스처럼 활용할 수 있어 도심뿐만 아니라 오토캠핑 등 자연 속에서도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현대차가 10일 세계 최초로 공개한 싼타페 완전변경 모델 ‘디 올 뉴 싼타페’ 테일게이트(후면부 문)이 열리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싼타페 5세대는 전장 4830㎜로 기존 대비 45㎜ 늘렸다. 휠베이스 역시 기존 대비 50㎜ 길어진 2815㎜이며 전고는 35㎜ 높인 1720㎜로 이전 모델보다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2·3열 시트를 완전히 접으면 차급 최고 수준인 725리터(ℓ)의 수하물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골프백을 기울이거나 접지 않아도 실을 수 있는 ‘대용량’이다. 그러면서도 전폭은 1900㎜로 기존과 동일해 콤팩트한 느낌도 준다.신형 싼타페는 대시보드, 송풍구 내부 공간에도 ‘H’ 디자인을 활용해 안팎의 통일감을 줬다. 내부 공간에는 대담한 느낌의 스티어링 휠,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등을 적용했고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밝은 컬러의 시트·헤드라이닝으로 확장성도 느낄 수 있다. 2·3열 시트백에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한 소재를 적용해 지속가능성도 구현했다.현대차가 10일 세계 최초로 공개한 싼타페 완전변경 모델 ‘디 올 뉴 싼타페’ 내부 모습. (사진=현대차)편안한 실내를 조성하기 위한 편의 사양도 눈에 띈다. 1열 운전석·동승석에 등받이와 쿠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릴렉션 컴포트 시트’를, 2열에는 전동 리클라이닝 독립 시트를 적용했다. 이 외에도 1·2열 탑승자가 활용 가능한 양방향 멀티 콘솔, 스마트폰 듀얼 무선충전 시스템, UV-C 자외선 살균 소독 멀티 트레이 등이 실렸다.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를 지향하는 신형 싼타페는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와 차량 시스템 무선(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도 탑재했다.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적용 범위도 편의 기능까지 넓혀 서비스 거점에 직접 가지 않아도 원하는 시간·장소에서 기능을 더할 수 있다. 실물 하이패스 카드 없이도 유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는 카페이(Car-Pay) 연계 ‘이(e)-하이패스’를 비롯해 첨단 안전 사양과 주행 보조 기능도 장착했다.하이브리드 모델에는 이라이드(E-Ride)와 이핸들링(E-Handling) 기술을 탑재해 전동화 모터 기반 주행 성능을 향상했다. 또 운전석 무릎, 2열 사이드 에어백 등을 추가한 10개 에어백을 장착해 안전성도 높였다.◇ 新 라이프스타일·헤리티지 반영…8월 내 공식 출시현대차는 설계에 앞서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신형 싼타페 곳곳에 반영했다. ‘차박’ 선호도가 높아지자 내부 공간을 넓히고 ‘히든타입 어시스트 핸들’을 도입해 루프랙 활용도를 높인 것이 대표적이다.‘디 올 뉴 싼타페’ 미디어 프리뷰 행사에서 현대스타일링담당 사이먼 로스비(Simon Loasby) 상무가 싼타페 디자인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현대차)현대차 고유의 디자인을 계승하려는 움직임도 엿보였다. H 라이트는 앞서 강조한 ‘심리스 호라이즌’(일자형 램프)를 엠블럼과 연결해 발전시킨 결과물이다. 신형 싼타페가 현대의 첫 SUV인 ‘갤로퍼’와 닮았다는 반응도 있다. 이와 관련, 사이먼 로스비 현대스타일링담당 상무는 “직접적 연관성은 없지만 갤로퍼의 날카롭고 정확한 선이 중요한 디자인 유산임을 알고 있다”고 했다.현대차는 이달 내로 신형 싼타페 국내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대기 수요의 경우 약 5만4000대가량으로 예상하고 있다. 북미·유럽 등 해외시장에는 내년 1분기 출시 예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SUV 수요가 높은 북미 시장에서 신형 싼타페 수요가 높을 것”이라며 “북미 시장에서 약 13만5000대가량의 판매량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했다.
2023.08.10 I 이다원 기자
포르쉐 AG, 911 60주년 기념 에디션 신형 911 S/T 공개
  • 포르쉐 AG, 911 60주년 기념 에디션 신형 911 S/T 공개
  • [이데일리 박민 기자] 포르쉐 AG가 아이코닉 스포츠카 911의 60주년을 기념하는 순수 스포츠카 911 S/T를 공개했다.신형 911 S/T는 ‘911 GT3 투어링 패키지’와 ‘911 GT3 RS’의 강점을 결합한 드라이빙 다이내믹이 특징이다. 최고출력 525마력의 911 GT3 RS 4.0L 자연 흡기 박서 엔진과 수동 변속기를 탑재해 민첩한 주행 성능에 최적화된 경량 구조와 러닝 기어 셋업을 갖췄다.포르쉐 911 S/T.(사진=포르쉐 AG)911 S/T의 고회전 엔진은 911 GT3보다 짧은 기어비의 6단 수동변속기를 통해 더욱 다이내믹하게 주행할 수 있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 단 3.7초에 불과하고, 최고속도는 300km/h에 달한다. 모델명은 브랜드 최초의 911이 가진 성능 중심의 특징을 계승했다. 포르쉐는 1969년부터 911 S의 특별한 레이스 버전을 선보였다. 브랜드 내에서 911 ST로 불린 이 모델은 섀시, 휠, 엔진, 차체를 개선해 가속과 제동, 견인력과 코너링 그립을 크게 향상시켰다. 당시 대형 스포일러와 에어로다이내믹 보조 장치는 사용 전이었다. 포르쉐는 신형 911 S/T를 통해 오리지널 911 S(ST)의 정체성을 현행 911 세대에 그대로 적용했다. 911 GT3 RS 요소와 911 GT3 투어링 패키지의 차체를 결합하고, 911 S/T를 위해 특별 개발된 경량 요소를 가미시켰다.911 S/T는 일관된 경량화 디자인으로 더욱 예리하고 직접적인 핸들링이 가능하다. 프런트 보닛, 루프, 프런트 윙 그리고 독특한 흡기구를 가진 도어까지 모두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롤케이지, 리어 액슬 안티롤 바와 리어 액슬의 강화 요소인 시어 패널에도 동일 적용된다. 또한 911 S/T는 마그네슘 휠, PCCB 시스템, 리튬 이온 스타터 배터리 그리고 경량 글래스까지 모두 기본 사양으로 제공한다. 단열재 감소, 리어 액슬 스티어링 생략, 파워트레인 경량화로 911 S/T의 공차 중량은 단 1380kg에 불과하며 수동 911 GT3 투어링보다는 40kg 더 가볍다.포르쉐 엔지니어들은 911 S/T를 위해 경량 클러치를 새롭게 개발하고, 싱글매스 플라이휠과 결합해 회전 질량의 무게를 10.5kg까지 감소시켰다. 911 S/T는 현행 911모델 중 유일하게 리어 액슬 스티어링 없이 더블 위시본 프런트 액슬 디자인과 멀티 링크 리어 액슬을 결합한 모델이며 댐퍼와 제어 시스템을 이에 맞춰 조정했다.포르쉐 911 S/T.(사진=포르쉐 AG)911 S/T의 에어로 다이내믹은 레이싱 트랙보다 공도에 최적화됐다. 확장된 리어 스포일러의 거니 플랩과 중앙 잠금 장치가 장착된 전륜 20인치, 후륜 21인치의 경량 마그네슘 휠을 기본사양으로 제공한다. 또한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이 적용된 풀 버킷 시트를 기본 사양으로 제공하며, 4방향 조절이 가능한 스포츠 시트 플러스 또한 추가 비용 없이 선택할 수 있다. 스포츠 크로노 패키지 계기판과 시계는 클래식한 그린 포르쉐 컬러로 마감된다.911 S/T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의 911 S 레이싱 버전에서 영감 받은 익스클루시브 헤리티지 디자인 패키지를 옵션으로 제공한다. 특히 새로운 외관 컬러 쇼어블루 메탈릭과 휠 림 컬러 세라미카는 911 S/T 모델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0에서 99사이의 스타트 넘버와 장식용 포일을 도어에 적용할 수도 있다.이밖에도 클래식 코냑 컬러가 적용된 천 소재의 시트 센터가 특징으로, 이는 브랜드 헤리티지에 대한 또 다른 오마주 요소다. 블랙·클래식 코냑 가죽에 투 톤 세미 아닐린 가죽 트림, 다이나미카 소재의 타공 패턴 루프 라이닝과 포르쉐 익스클루시브 매뉴팩쳐의 다양한 요소들이 패키지를 완성한다. 차량 후면의 포르쉐 로고와 911 S/T 모델 레터링은 골드 컬러로 장식된다.신형 포르쉐 911 S/T의 판매 가격(부가세 포함)은 29만 2187유로(4억 1577만 원)부터 시작하며, 헤리티지 디자인 패키지 가격은 부가세 포함 1만 7505유로다. 크로노그래프 1~911 S/T는 1만 1950유로에 제공된다.
2023.08.03 I 박민 기자
“전시장을 무더위 쉼터로” 르노코리아, 8월 신차 판매 전략은
  • “전시장을 무더위 쉼터로” 르노코리아, 8월 신차 판매 전략은
  •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전국적인 폭염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전국 르노코리아자동차(르노코리아) 영업 전시장이 여름철 무더위 쉼터로 활용된다. 구매·상담 고객에게는 다양한 경품도 주어진다.르노코리아는 이를 포함해 최대 350만원의 혜택을 담은 8월 판매 조건을 1일 공개했다.르노코리아자동차 QM6와 QM6 퀘스트. (사진=르노코리아자동차)먼저 르노코리아는 ‘슈퍼 쿨(COOL) 썸머 이벤트’를 통해 20일까지 전국 전시장을 무더위 쉼터로 운영하고 방문객에게 시원한 생수를 제공할 예정이다. 전시장을 찾아 상담만 받아도 총 815명에게 차량용 안전 제품 및 여름 휴가철에 어울리는 아이템을 추첨을 통해 제공한다.또 오는 20일까지 차량을 계약하고 출고한 고객에게는 △삼성 비스포크 에어컨 △엔진오일 교환권 △다이슨 에어랩 △백화점 상품권 등 경품을 추첨해 증정한다.르노코리아 차량 재구매 고객을 위한 ‘로열티 프로그램’도 강화했다. 8월에 QM6, SM6, XM3 등 르노코리아 주요 차량을 구매하는 고객은 전 모델 신속 출고가 가능하다.2인승 LPG SUV QM6 ‘퀘스트’를 이달 구매할 경우 재구매 기준 최대 310만원의 구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회 재구매 고객이라면 혜택이 최대 390만원까지 올라간다. 또 160만원 상당의 매직 테일게이트 및 통풍·파워시트 옵션도 무상 제공한다.QM6 구매 시 ‘이지 라이프’(EASY LIFE)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탑재돼 있는 국내 최초 노래방 서비스 차량용 앱을 여름 휴가철에 가족 및 친구들과 즐겁게 이용할 수 있도록 1년 무료 이용 쿠폰과 함께 모바일 마이크를 무상으로 제공한다.재구매로 SM6를 구매한 모든 고객에게는 엔진오일, 오일필터, 에어클린필터로 구성된 안심패키지 3회 이용권을 무상 제공한다.또 SM6 TCe 300 모델을 8월 안에 재구매할 경우 1회 재구매 기준(안심패키지 제외) 최대 350만원, 다회 재구매 고객은 최대 43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전국 영업 전시장 특별 프로모션 차량 최대 170만원 할인과 함께 61만원 상당의 드라이빙 어시스트 패키지II와 LED 매트릭스 비전 헤드램프가 포함된 99만원 상당의 라이팅 패키지 등 고급 사양 옵션이 무상 제공된다. 재구매 할인 혜택의 가족 범위도 이달까지 확대 적용한다. 기존 고객 본인·배우자뿐만 아니라 부모, 배우자 부모, 자녀, 자녀 배우자까지 범위를 넓혀 20만~100만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또한 QM6 LPe 승용 모델 구매 고객은 재구매 고객 특별 휴가비 20만원 추가 지원, 10만대 카운트다운 기념 40만원 특별 할인, 전국 영업 전시장 특별 프로모션 차량 최대 70만원 할인 등도 제공된다.8월에 QM6, SM6, XM3 등 르노코리아 주요 차량을 할부로 구매하는 고객은 10만~60만원의 월 불입금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금리 인하 컨설팅도 함께 진행한다.황재섭 르노코리아 영업총괄 전무는 “르노코리아는 폭염이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8월에 전국 영업 전시장을 무더위 쉼터로 운영하며 시민들의 건강을 시원하게 지켜드릴 예정”이라며 “풍성한 할인 혜택과 신속한 출고를 약속하고 있으니, 많은 고객들께서 다양한 구매 및 상담 혜택이 제공되는 전국 르노코리아 영업 전시장을 방문해 큰 혜택을 누리시길 바란다”고 말했다.르노코리아자동차가 전국 영업 전시장을 여름철 무더위 쉼터로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기간은 오는 20일까지다. (사진=르노코리아자동차)
2023.08.01 I 이다원 기자
"진짜 스포츠카 같네"…현대차, '더 뉴 아반떼 N' 출시
  • "진짜 스포츠카 같네"…현대차, '더 뉴 아반떼 N' 출시
  •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현대자동차가 N 브랜드를 대표하는 ‘더 뉴 아반떼 N’을 출시한다. 모터스포츠에서 영감을 받은 고성능 주행 감성을 반영한 모델이다. 신모델을 출시하며 통해 현대차는 N 라인업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현대차 더 뉴 아반떼 N. (사진=현대차)현대차(005380)는 아반떼 N의 부분변경 모델 ‘더 뉴 아반떼 N’을 26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더 뉴 아반떼 N은 지난 3월 출시한 부분변경 차량 ‘더 뉴 아반떼’의 고성능 모델이다. 지난 4월 열린 상하이 국제 모터쇼에서 디자인을 최초 공개하며 이목을 끌었다.더 뉴 아반떼 N은 N 전용 가솔린 2.0 터보 플랫파워 엔진을 탑재해 약 5500rpm부터 최대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8단 습식 DCT(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적용하면 최고출력 280마력(ps), 최대토크 40kgf·m의 동력성능을 갖출 수 있다. N 그린 쉬프트(NGS)를 작동하면 최대 290마력까지 출력이 일시 향상된다.현대차 더 뉴 아반떼 N. (사진=현대차)디자인 역시 역동적으로 변화했다. ‘파라메트릭 다이나믹스(Parametric Dynamics)’를 테마로 삼고 △확대된 전·후면 범퍼 △19인치 전용 휠 △블랙 엠블럼 등을 적용했다.이를 통해 스포츠카를 연상케 하는 효과를 줬다. 아반떼 N은 전면부에서 기본차 대비 블랙 트림부를 키워 낮고 와이드한 이미지가 강조됐다. 센터 크롬 가니쉬도 더해져 한층 날렵하다. 프론트부터 리어까지 N 전용 레드 스트립부터 이어진 속도감 있는 측면부와, 고성능차 특유의 이미지를 부각한 후면부도 눈에 띈다.현대차 더 뉴 아반떼 N 내부.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내부에는 N 브랜드 특유의 디자인 사양이 도입됐다. 빨간색 스티치를 스티어링 휠, 시트 등에 적용했고 빨간색 NGS 버튼도 적용했다.동급 최고 수준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과 편의사양도 탑재했다. 고강성 경량 차체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을 포함한 8 에어백을 기본 적용했고 △서라운드 뷰 모니터(SVM) △후측방 모니터(BVM)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ISLA) △빌트인 캠 등도 도입했다. 애프터 블로우와 보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등 각종 편의 사양도 적용됐다.현대차 더 뉴 아반떼 N 라인. (사진=현대차)현대차는 더 뉴 아반떼 N과 함께 아반떼 기본 모델에 N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차별화된 내·외장 디자인을 적용한 아반떼 N라인도 출시했다. 가솔린 엔진에서만 선택 가능했던 N 라인을 가솔린 하이브리드 엔진에서도 추가 운영해 고객들이 다양한 파워트레인에서 고성능 디자인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아반떼 N 라인 외장과 내장에 N 라인 전용 △전·후면 범퍼 △18인치 알로이 휠 & 타이어 △립타입 리어 스포일러 △반펀칭 가죽 스티어링 휠 △기어 노브 △가죽 시트 등도 적용했다.아반떼 N의 판매 가격(개별소비세 5.0% 기준)은 △가솔린 2.0 터보 3352만원 아반떼 N 라인은 △가솔린 1.6 2392만원 △1.6 하이브리드 2941만원부터 시작된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세제혜택 적용 전 가격이다.현대차 관계자는 “더 뉴 아반떼 N은 모터스포츠를 통해 연마한 N브랜드의 고성능 DNA가 각인된 차종으로 국내 고객에게 일상과 서킷을 아우르는 고성능의 매력을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현대차는 출시를 기념해 고성능 브랜드 N을 알리는 다양한 마케팅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오는 28~30일 스타필드 고양에서 N 브랜드를 체험할 수 있는 ‘밋 더 N(Meet the N)’ 전시를 열고 아반떼 N·아이오닉 5N 등을 일반 고객에게 최초 공개한다. 또한 강원 동해시 ‘나인비치37ES’에서 N 브랜드 체험 행사 ‘N 비치 시즌2’ 행사도 연다.
2023.07.26 I 이다원 기자
AAM 상용화 열쇠는..“높은 안정성 확보 필수”
  • AAM 상용화 열쇠는..“높은 안정성 확보 필수”[미래기술25]
  •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미래항공 모빌리티(AAM)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꼽힙니다. 에어택시는 말 그대로 하늘을 날아다니는 이동수단이기 때문에 단 한 번의 작은 사고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사망으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죠. 도로에서 자동차를 타다 발생하는 크고 작은 사고와는 치명도 측면에서 그 수준이 완전히 다릅니다. 게다가 빌딩 사이를 날아다니는 기체가 추락할 경우 발생하는 추가피해는 감히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안전에 대한 확신이 없다면 누구도 선뜻 에어택시를 타려고 하지 않을 테죠. 안전성은 그 자체만으로 산업의 성패를 가를 핵심 사안입니다. 현대자동차그룹에서 AAM사업추진담당을 맡고 있는 김철웅 상무도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김 상무는 “AAM과 같은 차세대 기체는 친환경 파워트레인, 저소음, 수직이착륙 등 도전적인 기술적 과제들이 많이 있는데, 이 과제들을 해결하면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가장 큰 난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철웅 현대차그룹 AAM사업추진담당.이 때문에 현대차그룹은 자체적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안전기준을 목표로 기체를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빠른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경쟁사 일부는 ‘1000만 비행시간 동안 1회 미만의 참사적 비행사고가 날 확률’을 안전기준 목표로 삼고 있는데, 현대차그룹은 이보다 100배는 높은 ‘10억 비행시간 동안 1회 미만의 참사적 비행사고가 날 확률’을 안전기준 목표로 삼았습니다.김 상무는 “현대차그룹은 항공업계 최고 수준의 안전기준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며 “시장 진입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역량을 확보하는 중”이라고 했습니다.현대차그룹의 AAM 사업 역사는 아주 오래되진 않았습니다. 2019년 UAM(도심항공 모빌리티) 사업부 신설을 시작으로 항공 모빌리티 산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이후 2020년 CES(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에서 UAM 기체 프로토타입인 ‘S-A1’ 및 사업 비전을 공개했고요. 같은 해 미국 내 모빌리티 독립법인 ‘슈퍼널’을 설립해 항공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지로 진격했습니다. 오는 2028년 미국 내 상용 서비스 도입이 목표입니다. 후발주자지만 경쟁력은 충분하다는 게 현대차그룹의 판단입니다. 자동차 산업을 통해 확보한 높은 기술력이 핵심 경쟁력이라는 것이죠. 경쟁사 대비 높은 안전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기술력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김 상무는 “자동차 양산기술을 기반으로 항공업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대량양산이 가능한 기체를 설계하고 있다”며 “자율주행, 배터리 전동화 기술, 수소연료전지, 디자인 등 기존 자동차 분야의 기술력을 기체에 적용해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추구하는 AAM 사업의 목표는 높습니다. 단지 기체 제조뿐 아니라 AAM 생태계 전 영역에 대한 혁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의지를 갖고 추진하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실증사업(K-UAM 그랜드 챌린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김 상무는 “AI를 바탕으로 실시간 최적경로를 만드는 플랫폼 ‘셔클’(Schucle)을 확장해 육상과 하늘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실증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2023.07.25 I 김성진 기자
탑승객 109명 전원 사망 비극...‘콩코드’의 몰락
  • 탑승객 109명 전원 사망 비극...‘콩코드’의 몰락 [그해 오늘]
  •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1903년 라이트형제가 첫 동력비행에 성공한 이래 불과 100여 년 동안 항공 기술은 놀라운 발전을 거듭했다. 일반 여객기가 대서양을 횡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7시간이지만 ‘콩코드’는 3시간20분만에 주파가 가능하다. 이미 반세기 전 초음속 여객기 시대의 문을 열었지만 지금은 단 한대도 찾아볼 수 없다. 왜일까? 엔진에 불이 붙은 콩코드 항공기가 찍힌 모습이다. 이륙 부터 불이 붙었지만 멈출 수 없었다. (사진=concordesst.com)1975년 영국과 프랑스가 항공기 ‘콩코드’를 선보이며 초음속 여객기의 포문을 열었다. 하지만 2000년 에어프랑스 4590편 추락은 쇠락의 결정적 불을 댕겼다. 2000년 7월 25일 승객 100명과 승무원 9명 등 109명을 태우고 파리 샤를 드골 공항을 출발, 뉴욕으로 향하던 에어 프랑스 소속 초음속 콩코드 제트여객기(이하 AF 4590)가 이륙 직후 한 호텔 건물에 추락했다. 이 사고로 탑승객 전원과 호텔에 있던 4명 등 모두 113명이 사망했다.사고기는 독일 유람선 여행사인 페테르 다일만 리더라이가 전세를 낸 것으로 승객들은 뉴욕으로 가서 현지에서 출발, 16일간 에콰도르의 만타로 가는 유람선에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참변을 당한 것이다. 다수의 목격자에 따르면 사고기는 호텔에 충돌하기 전부터 이미 기체에 불이 붙은 상태였다.목격자들은 사고기가 호텔에 충돌할 때 거대한 불기둥과 시커먼 연기가 하늘로 치솟아 수 마일 떨어진 곳에서도 보였으며 호텔 건물도 전체가 불길에 휩싸였다고 전했다. 사고기는 이륙 당시 연료를 가득 실었던 것으로 확인됐다.엔진에 불이 붙은 콩코드 항공기가 찍힌 모습이다. (사진=concordesst.com)왜 이런 일이 발생한 걸까? 이날 AF4590이 이륙하기에 앞서 컨티넨탈 항공 55편이 먼저 하늘로 날아올랐다. 그러면서 티타늄으로 된 길이 43cm, 폭 3cm 엔진덮개 부속품을 떨어뜨렸다. AF4590편은 이러한 사실을 모른 채 이륙하기 위해 활주로를 내달렸다. 결국 왼쪽 랜딩기어 오른쪽 앞바퀴에 해당 부품이 박히며 타이어가 터졌다. 또 타이어가 터지며 파편이 연료 탱크에 구멍을 내고 전선을 끊어버렸다. 결국 연료에 불이 붙었고 엔진에 화재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당시 비행기는 멈출 수 없었다. 이미 이륙 결심 속도 (V1)를 넘겼기 때문에 만약 이륙하지 않는다면 활주로를 넘어가 오버런 사고를 일으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당시 기장이었던 크리스티앙 마틴은 비행기를 이륙시키고 가장 가까운 르부르제 공항으로 회항을 택했다. 그러나 이미 왼쪽 엔진 계통이 손상된 비행기는 파워를 내지 못했다. 화재로 왼쪽 날개가 녹아내리며 왼쪽으로 기울기까지 했다. 설상가상으로 부품을 밟았던 랜딩기어까지 고장 나 올라가지 않았다. 이에 기장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오른쪽 엔진의 출력을 줄였지만 비행기는 결국 양력을 잃고 이륙 88초 만에 파리 근교 호텔에 추락하고 말았다. 사고 전 콩코드 항공기 모습이다. 일반 비행기보다 얇고 가는 외형이 특징이다. (사진=에어프랑스)사고가 이렇게 걷잡을 수 없이 커진 데는 콩코드의 설계도 문제로 지목됐다. 콩코드는 초음속으로 나는 만큼 가벼워야 했는데 이 과정에서 몇몇 부품을 설치하지 않았다. 이에 타이어에 문제가 생겼을 때 엔진이나 주변 부품으로 문제가 직결되는 취약점이 있었다.미국 NTSB(연방 교통안전 위원회)는 콩코드의 부품을 강화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기술력으로 강화할 경우 콩코드의 무게가 증가해 빠른 속도를 내는 것이 불가능해졌기에 개발사는 이를 무시하고 있었다고 한다.당시 사고의 원인이 기체 결함은 아니어서 운항을 재개했지만 ‘불이 붙은 채 추락하는 콩코드의 모습’은 사람들의 뇌리에 깊게 박혀 버렸다.또 2001년 후반 9·11테러, 아메리칸 항공 587편 추락 사고가 연속으로 일어나면서 항공산업은 쇠퇴했다. 여기에 이제까지 쏟아부은 기체의 유지비 문제 등을 이유로 콩코드는 2003년 운항을 종료하게 됐다.
2023.07.25 I 홍수현 기자
'최신 엔진 달았다' BMW, 뉴 X5·뉴 X6.. 1억1700만원부터
  • '최신 엔진 달았다' BMW, 뉴 X5·뉴 X6.. 1억1700만원부터
  •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BMW 코리아가 프리미엄 준대형 스포츠 액티비티 비히클(SAV) 뉴 X5 및 프리미엄 준대형 SAC 뉴 X6를 국내에 공식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BMW 뉴 X5 (사진=BMW) BMW X5는 BMW SAV 장르를 개척한 모델로 역동적인 주행 감각, 뛰어난 공간 활용성 등을 갖췄다. 뉴 X6는 쿠페 디자인과 SAV를 결합한 혁신적 모델로, 유려한 루프 라인이 돋보이는 감각적인 매력을 발휘해왔다.부분변경 모델인 뉴 X5 및 뉴 X6는 최신 디지털 기술이 탑재된 현대적인 실내, 성능과 효율성 모두 향상된 최신 파워트레인 및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 진보적인 프리미엄 준대형 SUV의 가치를 제공한다.뉴 X5와 뉴 X6의 헤드라이트는 이전보다 더욱 얇아져 넓은 차폭을 강조한다. 새로운 형태의 주간주행등을 돋보이게 했다. 키드니 그릴에는 폭포수가 흐르는 듯 은은한 조명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BMW 아이코닉 글로우(Iconic Glow)가 추가된다. 앞범퍼 좌우에 자리잡은 수직형 에어 커튼과 하단부의 공기 흡입구는 펄 효과가 들어간 크롬 장식과 삼각형 형태의 디자인이 조화를 이룬다.뉴 X5 M 스포츠 모델 및 뉴 X6의 앞범퍼 하단부는 입체적인 형상의 팔각형 디자인 요소로 역동적인 매력을 강조했다. BMW 키드니 그릴에는 더블 바와 M 로고가 장착되며 블랙 하이글로스 M 사이드미러 캡, M 쿼드 파이프 배기구 등이 함께 적용된다.실내에는 최신 디지털 기술 및 세련된 감각의 디자인 요소를 반영했다. 먼저 대시보드 위에는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 및 14.9인치 컨트롤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최신 BMW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새롭게 탑재됐다.컨트롤 디스플레이에는 다양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컨트롤 기능이 탑재돼 물리적인 버튼을 최소화했다. 터치 방식으로 제어하는 센터 콘솔 컨트롤 패널, 새롭게 디자인된 기어 셀렉터 레버를 적용해 공간감을 확대했다.앞좌석에는 BMW 인디비주얼 메리노 가죽 소재의 컴포트 시트가 장착됐다. 조수석 앞쪽 패널에는 모델명 또는 M 로고가 포함된 LED 앰비언트 라이트 바가 새롭게 추가된다.BMW 뉴 X5와 뉴 X6는 전 모델에 48볼트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을 적용했다. 기존보다 더욱 높은 동력성능과 연료효율을 자랑하는 최신 세대 엔진을 탑재했다. 뉴 X5 xDrive40i 및 뉴 X6 xDrive40i 모델은 이전 모델 보다 출력이 41마력 향상된 381마력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이 탑재된다. 또한 뉴 X5 xDrive30d와 뉴 X6 xDrive30d는 최고 출력 298마력, 최대 토크 68.3kg·m을 발휘하는 직렬 6기통 디젤 엔진이 장착된다.뉴 X5 및 뉴 X6 라인업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M60i 모델에는 최고출력 530마력, 최대토크 76.5kg·m를 발휘하는 최신 M 트윈파워 터보 4.4L V8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다.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단 4.3초만에 가속한다.모든 라인업에는 최신 스텝트로닉 스포츠 자동 8단 변속기와 패들 시프트가 기본 장착되며, 엔진 및 변속기를 거쳐 전해지는 동력은 BMW xDrive 지능형 사륜구동 시스템을 통해 각 바퀴에 배분된다. 더불어 장거리 승차감을 위한 에어 서스펜션이 기본 장착된다. BMW 뉴 X6 (사진=BMW)BMW 뉴 X5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인 BMW 뉴 X5 xDrive50e는 BMW 최신의 전동화 기술인 5세대 전기구동계 (GEN5 eDrive) 시스템을 탑재했다. 최신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 및 전기 모터가 결합돼 합산 시스템 출력은 이전 모델보다 95마력 증가한 489마력(부스트 모드 기준), 토크는 10.2kg·m 증가한 71.4kg·m에 달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4.8초에 불과하다. 고전압 배터리 용량은 29.5kWh로 이전 모델 대비 25%가량 증가한 덕분에 가득 충전 시 최대 77km까지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주행이 가능하다. 전기모드 최고속도는 시속 140km다.최신 운전자 보조 시스템과 편의 사양이 탑재된다. 차선 유지 보조 기능, 스탑 앤 고 기능이 포함된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을 담은 드라이빙 어시스턴트 프로페셔널과 자동주차기능 및 3D 서라운드 뷰 기능 이외에도 운전자가 차량 밖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주차 및 차량 제어가 가능한 파킹 어시스턴트 프로페셔널이 기본 사양으로 제공된다.또한, 앞좌석 컵홀더 보온 및 보냉 기능, 크리스탈 소재의 컨트롤러, 4-존 에어컨디셔닝, 하만 카돈 서라운드 사운드, 앞좌석 통풍 시트, BMW 라이브 콕핏 프로페셔널 등의 고급 편의 사양이 대거 탑재된다.가격은 트림에 따라 뉴 X5 xDrive30d가 1억 1700만원~1억 2210만원, 뉴 X5 xDrive40i가 1억 2270만원~1억 2770만원이며 PHEV 모델인 뉴 X5 xDrive50e가 1억 2820만원~1억 3520만원, 고성능 모델인 뉴 X5 M60i xDrive가 1억 5800만원이다.더불어 뉴 X6 xDrive30d가 1억 2580만원, 뉴 X6 xDrive40i는 1억 3140만원이며 고성능 모델 뉴 X6 M60i xDrive는 1억 6150만원이다. (부가세 포함, 개별소비세 5.0% 적용 기준)한편 초고성능 SAV 모델인 ‘뉴 X5 M’과 초고성능 SAC 모델 ‘뉴 X6 M’은 오는 8월 국내에 공식 출시될 예정이다.
2023.07.06 I 손의연 기자
KB차차차가 분석한 ‘컨버터블’ 중고차 인기 순위는
  • KB차차차가 분석한 ‘컨버터블’ 중고차 인기 순위는
  •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KB캐피탈의 중고차 거래 플랫폼 KB차차차가 2021년 1월부터 지난 5월까지 가장 많이 판매된 컨버터블 중고차 모델을 분석한 결과 미니쿠퍼 컨버터블이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분석은 여름을 맞이해 오픈 에어링을 즐길 수 있는 컨버터블 중고차를 대상으로 2021년 1월부터 2023년 5월까지 KB차차차의 판매 데이터와 매물 조회 데이터를 함께 분석했으며, 연간 판매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KB차차차의 판매량 데이터를 추가 분석했다.컨버터블 중고차 판매량 1위는 미니쿠퍼 컨버터블이 차지했으며, 2위부터 5위까지는 벤츠 E클래스 카브리올레, BMW 4시리즈 컨버터블, 포드 머스탱, 벤츠 SLC순으로 나타났다. 미니쿠퍼 컨버터블은 브랜드의 헤리티지를 담은 고유의 개성과 중고차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높은 판매량을 달성했다. 2위를 차지한 벤츠 E클래스 카브리올레 역시 막강한 브랜드 파워와 네임 밸류로 컨버터블 중고차 구매 고객들에게 인기를 끌었다.2018년 이후 연간 판매량을 살펴보면, 미니쿠퍼 컨버터블은 지속적인 판매량 증가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20년 대비 2021년 판매량이 48.5% 증가했다. 판매량 2위를 차지한 벤츠 E클래스 카브리올레 역시 같은 시기 판매량이 53.6% 증가했따.연령대별 조회수를 살펴보면 20대는 포드 머스탱, 30대는 BMW 4시리즈 컨버터블, 40대는 미니쿠퍼 컨버터블과 벤츠 SLC, 50대는 벤츠 E클래스 카브리올레의 조회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특히 1위를 차지한 미니쿠퍼 컨버터블은 여성 조회수 비율이 20.9%에 달했다.KB캐피탈 관계자는 “컨버터블은 신차 가격이 비싼 것에 비해 감가율이 높아 중고차로 선택 시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차종”이라며 “특히 엔데믹 이후 자유롭게 숨을 쉬고, 개방감을 만끽하고자 하는 욕구가 늘어난 만큼 오픈 에어링이 가능한 컨버터블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23.06.30 I 정두리 기자
(영상)월가 애널 10명중 10명 “델타항공 사라”
  • (영상)월가 애널 10명중 10명 “델타항공 사라”
  •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미국의 대형 항공사 델타 에어라인(DAL)에 대해 차별화된 브랜드 파워·비즈니스 전략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항공주 최고 기업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간) 미국의 경제전문매체 CNBC에 따르면 모건스탠리의 라비 샹커 애널리스트는 델타에 대한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70달러를 유지하면서 업종 탑픽(최선호 종목)으로 선정했다. 이 목표주가는 월가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한 목표가 중 최상단에 해당한다. 이날 델타 주가는 전일대비 1.35% 오른 46.71달러에 마감했다. 52주 신고가다. 코로나 엔데믹에 따른 해외여행 수요 회복 영향 등으로 올 들어 40% 넘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라비 샹커는 델타 주가가 단기 급등했음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50% 더 오를 수 있다고 보고 있는 셈이다. 델타항공은 1928년 설립된 미국 4대 항공사 중 한 곳이자 가장 오래된 항공사다. 기관투자자들이 델타 지분 7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델타는 보유 기종 개편과 프리미엄 좌석 확대 등을 통해 성장 모멘텀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델타는 지난 27일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실적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내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을 끌었다. 델타는 “업계 전반적으로 항공기 공급이 부족한데 국제선 수요가 급증하면서 항공권 가격 인상 등 높은 가격 결정력을 보유하게 됐다”며 “여기에 제트연료 비용도 1년 전보다 30% 하락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고려해 2분기와 연간 기준 주당순이익(EPS) 및 잉여현금흐름(FCF) 가이던스를 모두 상향 조정했다. 이어 내달 13일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인데 역대(2분기 기준) 최고 실적이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델타의 열정적인 투자자의 날 행사에 대해 월가에서는 목표가 상향으로 화답했다. 도이치뱅크는 목표가를 종전 47달러에서 58달러로 높였고 서스퀘하나(45→54달러)와 골드만삭스(42→52달러)도 일제히 올렸다. 모건스탠리는 이미 높게 제시한 목표가를 조정하는 대신 업종 탑픽 선정으로 대신한 것으로 해석된다. 라비 샹커는 “델타의 실적 가이던스 상향은 산업 전반의 펀더멘털 개선 요인에 따른 것이라기 보다 독자적 강점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고객 경험에 초점을 둔 전략과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 프렌차이즈 강점 등에 따라 프리미엄 고객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한게 이를 증명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델타는 코로나19 펜데믹 속에서도 고객을 유치했다”며 “업황이 회복되고 있는 만큼 더욱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한 셈”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델타가 펜데믹 이전과 비교해 아직 연간 3000억달러 이상의 항공 여객 수요가 부족하다고 했다”며 “이는 추가적인 성장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라비 샹커 외에도 월가에서는 델타에 대한 낙관론이 지배적이다. 21명의 애널리스트 중 20명(95.2%)이 매수(비중확대 및 시장수익률 상회 등 포함)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평균 목표주가는 56.83달러로 이날 종가보다 22% 높다. 월가의 호평은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 기대감, 밸류에이션 매력 등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수익성 개선의 근거로는 △인건비 상승에도 비용 효율화에 따른 단위 비용 감소 △항공기 공급 부족으로 지속적인 단위 매출 및 마진 확장 가능성 △프리미엄 좌석 확대, 로열티 수익 급증 △항공기 업그레이드(2024~2025년 신형 항공기 133대 인도 예정)에 따른 마진 확대(구형 항공기 대비 최소 10%포인트 상승) 가능성 등이 꼽힌다.저평가 매력도 부각되고 있다. 현재 델타의 주가수익비율(PER)은 2024년 예상이익 기준 6.5배 수준에 그치고 있다. 2024년 예상 이익은 2019년과 유사한 수준인데 당시 델타 주가는 60달러 수준에서 거래됐다.
2023.06.29 I 유재희 기자
"포르쉐의 럭셔리 담았다".. '프라우셔 x 포르쉐 전기 요트'
  • "포르쉐의 럭셔리 담았다".. '프라우셔 x 포르쉐 전기 요트'
  •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포르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조선소 프라우셔와 전기 요트를 개발한다고 26일 밝혔다. ‘프라우셔 x 포르쉐 850 팬텀 에어’는 프라우셔 858 팬텀 에어 데이크루저를 기반으로 하며 전장 8.67m, 전폭 2.49m에 달한다. 포르쉐 모델 최초로 마칸 순수 전기차에 적용되는 PPE 플랫폼의 최첨단 구동 기술을 수상용으로 개발 및 최적화시켰다. 또 총 용량 약100kWh의 리튬 이온 고전압 배터리, 최신 세대의 PSM과 전력 장치 기술 등이 사용된다. 포르쉐의 800볼트 기술 덕분에 전기 보트는 AC 충전은 물론, DC 급속 충전도 가능하다.포르쉐와 프라우셔가 함께 개발하는 미래 지향적인 전기 요트.(사진=포르쉐코리아.)루츠 메쉬케는 포르쉐 AG 재무 및 IT 이사회 부회장은 “‘프라우셔 x 포르쉐 850’ 팬텀 에어는 자사 스포츠카와 마찬가지로 탁월한 성능과 럭셔리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요르크 케르너 마칸 제품 라인 부사장은 “e팬텀 은 탁월한 주행 성능의 전형적인 포르쉐 E-퍼포먼스를 제공한다”며 “강력한 최신 세대 전기 모터와 최첨단 배터리, 수중 위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하는 충전 매니지먼트는 모듈식 PPE가 가진 우수성을 입증한다”고 강조했다. 포르쉐는 이 파워트레인을 다른 크기의 보트에도 적용 가능한지 연구 중에 있다.이번 프로젝트에는 포르쉐의 디자인 시그니처도 반영된다. 스튜디오 F.A. 포르쉐는 스티어링 휠과 쓰로틀 및 통합 디스플레이가 있는 메인 콘솔 제작 등 요트 조종석의 디자인 개발을 맡는다.기존의 드라이브 트레인이 장착된 프라우셔 858 팬텀과 마찬가지로, 전기 요트 역시 최대 9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 후면의 수영 플랫폼은 두 개의 편안한 선 패드가 있는 넉넉한 라운지 공간으로 이어진다. 중앙 통로는 독립형 키와 콕핏에서부터 요트 후방 끝으로 연결된다. 승객들은 요트 전방의 덮개가 드리워진 두 개의 벤치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선상에는 그늘을 만들어주는 두 개의 비미니 탑, 스테인리스 스틸 앵커가 장착된 전동 앵커 윈치 그리고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과 냉장고가 있다. 포르쉐는 고성능, 럭셔리 콘셉트의 시트와 덮개 디자인을 맡는다.프라우셔 x 포르쉐 전기 요트는 2024년 인도 예정이다. 첫 번째 에디션은 25대 한정 제작되며, 2024년부터 고객에게 인도될 예정이다. 요트는 오스트리아 올스도르프에 위치한 프라우셔 조선소에서 생산될 예정이며, 프라우셔가 모든 판매 물류와 애프터 세일즈 관리를 담당한다.
2023.06.26 I 김성진 기자
롤스로이스, 브랜드 첫 순수전기차 ‘스펙터’..아태 지역 최초로 韓서 공개
  • 롤스로이스, 브랜드 첫 순수전기차 ‘스펙터’..아태 지역 최초로 韓서 공개
  •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롤스로이스모터카가 16일 브랜드 최초의 순수전기 모델 ‘스펙터(Spectre)’를 아시아 태평양 지역 처음으로 국내에서 공개했다. 이번 공개 이벤트는 하반기 출시에 앞서 진행됐다. 스펙터는 올해 4분기부터 순차적으로 고객에게 인도된다.롤스로이스 스펙터 (사진=롤스로이스) 롤스로이스는 스펙터 한국 공개 행사를 위해 특별 맞춤 제작된 비스포크 모델 ‘크레센도’를 현장에 전시했다. 프랑스 리큐어의 오묘한 빛깔에서 영감을 얻은 샤르트뢰즈(Chartreuse)와 블랙 다이아몬드 에어로 투 톤으로 마감해 대담하면서도 역동적인 느낌을 주고자 했다. 실내는 그레이스 화이트와 샤르트뢰즈 색상을 조합하고 피오니 핑크 시트 파이핑과 스티치 포인트를 더해 내외부 간 조화를 이뤘다.실내 공간에는 4796개의 별을 코치도어 안쪽에 새겨 넣은 ‘스타라이트 도어’ 및 5584개의 별무리와 스펙터 네임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일루미네이티드 페시아’를 통해 신비로운 밤하늘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려고 했다.롤스로이스모터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총괄 아이린 니케인(Irene Nikkein)은 “롤스로이스 역사상 가장 큰 기대를 받고 있는 모델인 스펙터를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초로 한국에서 선보이게 돼 기쁘다”며 “스펙터는 롤스로이스가 제시하는 대담한 전기화 미래, 진정한 엔지니어링의 정수와 결합한 현대적인 디자인, 브랜드의 상징이기도 한 지극히 자연스러운(Effortless) 슈퍼 럭셔리 경험을 모두 갖춘 모델”이라고 밝혔다.슈퍼 럭셔리 순수전기 쿠페 스펙터는 전동화 전환에도 롤스로이스의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조율된 차량이다. 웅장하면서도 유려한 디자인, 최신 기술이 적용된 비스포크 옵션 및 고도화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펙터의 디자인은 자동차를 뛰어넘어 오트쿠튀르 패션, 선박 디자인, 맞춤복, 현대미술 등 다양한 세계에서 영감을 얻었다. 롤스로이스 팬텀 쿠페를 연상시키는 차량 전면부에는 역대 가장 넓은 그릴과 분리형 헤드라이트를 탑재해 스펙터의 웅장한 크기와 2m에 달하는 위엄 있는 전폭을 강조했다.또 원활한 전면부 공기 흐름을 위해 더욱 완만한 각도로 설계된 판테온 그릴과 총 830시간의 디자인 작업 및 윈드 터널 테스트를 거쳐 탄생한 환희의 여신상이 적용됐다. 이로 인해 롤스로이스 역사상 가장 낮은 항력 계수인 0.25Cd를 달성했다.측면 하단부는 현대적인 요트 디자인에서 영감을 얻은 ‘와프트 라인(Waft line)’을 적용하고 복잡한 디테일이나 장식 대신 부드러운 라인과 가벼운 표면 마감으로 마무리했다. 외관 디자인에서 가장 극적인 부분은 ‘패스트백(fastback)’이다. 지붕부터 후면까지 유려하게 떨어지는 루프라인으로 우아한 측면 실루엣을 완성했다. 여기에 양산형 2도어 쿠페 모델 최초로 23인치 휠을 장착해 웅장한 차체의 존재감을 더욱 강조한다.롤스로이스 스펙터 (사진=롤스로이스)실내 공간에는 비스포크 옵션이 제공된다. 롤스로이스 최초로 적용된 디지털 비스포크 계기판은 디지털 기능과 내부 인테리어 간의 완벽한 통합을 보여준다. 고객은 총 10가지 색상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각 색상은 실내 가죽 색상과 긴밀한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됐다. 영국의 맞춤 정장에서 영감을 얻어 새롭게 제작된 앞 좌석 시트의 일부분 또한 원하는 컬러로 적용할 수 있다.실내에는 새로운 디지털 럭셔리 아키텍처도 적용됐다. ‘스피릿(SPIRIT)’이라는 디지털 기능은 자동차 기능 관리는 물론, 롤스로이스 ‘위스퍼스’ 앱과 연동된다. 고객들이 원격으로 자동차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브랜드 럭셔리 전문가들이 선별한 실시간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롤스로이스는 스펙터가 120년 브랜드 역사상 가장 까다로운 개발 과정을 거쳤다고 강조했다. 스펙터는 총 250만 km를 달리며 400년 이상 분량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축적했다. 영하 40도에서 영상 50도에 이르는 극한의 온도에서 테스트했으며, 북극의 빙설과 사막 등을 넘나드는 다양한 주행 환경에 노출됐다.스펙터는 100%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럭셔리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정교한 압출 가공 알루미늄 섹션과 차량 구조에 통합된 배터리를 통해 스펙터의 강성은 기존 롤스로이스 차량 대비 30% 향상됐다. 거의 700kg에 달하는 배터리는 흡음재 용도로 활용된다.아울러 스펙터는 1000개 이상의 차량 기능이 서로 유연하게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혁신적인 ‘탈중심화 인공지능’ 기술과 운전자의 상황과 도로 환경에 맞춰 정확하게 반응하는 ‘플레이너 서스펜션’을 탑재해 롤스로이스 특유의 ‘마법의 양탄자’를 타는 듯한 승차감을 한층 더 향상시켰다.스펙터에 탑재된 전기 드라이브는 롤스로이스의 상징과도 같은 폭발적인 추진력과 파워, 즉각적인 토크를 제공한다. 스펙터의 주행 가능 거리는 WLTP 기준 약 520km이며, 파워트레인은 최고 출력 430kW와 최대 토크 91. 8kg.m에 달하는 성능을 발휘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4.5초다. 이는 개발 단계 수치이며, 최종 기술 제원은 오는 7월 공개된다.니케인 총괄은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이자 롤스로이스의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하나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가장 많은 스펙터 사전 주문량을 기록하기도 했다”며 “이는 기존 고객뿐 아니라 롤스로이스를 새롭게 접하는 한국 고객들의 요구와 상상력을 사로잡은 것”이라고 말했다.롤스로이스 스펙터에 대한 상담 및 주문은 전국 롤스로이스모터카 공식 전시장에서 가능하며, 시작 가격은 6억 2200만원부터다(VAT 포함).
2023.06.16 I 손의연 기자
BMW 코리아, 플래그십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세단 ‘뉴 750e xDrive’ 공식 출시
  • BMW 코리아, 플래그십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세단 ‘뉴 750e xDrive’ 공식 출시
  • [이데일리 박민 기자] BMW 코리아는 플래그십(주력) 세단 뉴 7시리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뉴 750e xDrive’를 국내에 공식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BMW 뉴 7시리즈는 압도적인 존재감과 고급스러운 감성을 강조한 외관,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선사하는 차별화된 디지털 경험 등 독보적인 럭셔리 감각을 기반으로 새로운 차원의 이동경험을 제공하는 모델이다.BMW 코리아, 플래그십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세단 뉴 750e xDrive 공식 출시.뉴 7시리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인 뉴 750e xDrive는 BMW 트윈파워 터보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과 197마력 전기 모터가 결합돼 합산 시스템 최고출력 489마력을 발휘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는 4.8초만에 가속하며, 이전 세대 대비 50%이상 성능이 향상된 총 용량 22.1kWh 용량의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돼 1회 충전으로 최대 60km의 주행이 가능하다.또한 속도와 주행 모드에 따라 차량의 높이를 최적화된 위치로 조절하는 어댑티브 에어 서스펜션과 지능형 사륜구동 시스템을 통해 뛰어난 안정감과 승차감을 제공한다.여기에 최대 3.5도까지 뒷바퀴를 조향하는 BMW 인테그럴 액티브 스티어링이 기본 적용돼 주차 편의성부터 뛰어난 고속주행 안정성까지 동시에 누릴 수 있다.뉴 750e xDrive에는 첨단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탑재돼 새로운 차원의 디지털 경험을 제공한다. 차량 뒷좌석에 적용된 ‘BMW 시어터 스크린’은 32:9 비율 31.3인치 파노라믹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최대 8K 해상도를 지원한다. 특히 국내 이동통신 3사와 협력하여 한국 자동차 업계 최초로 출시한 차량용 eSIM 서비스를 이용하면 별도의 네트워크 연결 없이 최대 5G 속도로 BMW 시어터 스크린에 내장된 넷플릭스나 유튜브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이외에도 뒷좌석 시트 리클라이닝 기능과 다리 받침대가 조화를 이뤄 마치 비행기 1등석에 탑승하는 듯한 편안함을 선사하는 이그제큐티브 라운지, 완벽한 휴식 시간을 제공하는 마사지 기능, 전좌석 도어 및 앞좌석 중앙 암레스트 온열 기능인 히트 컴포트 패키지 등의 최고급 편의사양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안락하면서도 럭셔리한 이동 경험을 제공한다.BMW 뉴 750e xDrive는 우아함이 강조된 ‘디자인 퓨어 엑설런스’와 날렵하고 강렬한 디자인의 M 스포츠 두 가지 트림으로 제공된다. 가격은 BMW 뉴 750e xDrive 디자인 퓨어 엑설런스가 1억 8940만원, 뉴 750e xDrive M 스포츠는 1억 9240만원이다.
2023.06.05 I 박민 기자
'팰리세이드 출격' 대형 SUV 경쟁 더 치열해진다
  • '팰리세이드 출격' 대형 SUV 경쟁 더 치열해진다
  •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소비자가 ‘큰 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계속되면서 국내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큰 차가 잘 팔릴 수록 제조사의 이익률도 커지는 만큼 완성차 업계도 대형 SUV 출시에 주력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대형 SUV 시장의 절대강자 ‘팰리세이드’의 연식 변경 모델을 내놨고, 기아는 대형 전기 SUV ‘EV9’을 선보였다. 수입차 업계도 대형 전기 SUV를 국내에 빠르게 출시하며 국내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방침이다.◇현대차 절대강자 ‘팰리세이드’..기아 ‘EV9’ 승부수4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대형 SUV는 26만4785대 판매됐다. 전년인 2021년(34만489대)보다 22.2% 감소한 수치다. 이는 대형 SUV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 아니라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기 모델의 출고 지연이 장기화된 영향이 컸다. 또 대형 전기 SUV 출시를 기다리며 일부 소비자들이 차량 구매를 보류하기도 했다. 업계는 올해 반도체 공급난이 완화됐고 신차가 줄지어 나오는 만큼 대형 SUV 판매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현대자동차가 2일 출시한 대형 SUV 모델인 2024 팰리세이드. (사진=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는 지난 2일 상품성을 대폭 개선한 ‘2024 팰리세이드’를 출시했다. 이번에 상품성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스페셜 트림 ‘르블랑’을 추가했다. 르블랑은 12.3인치 대화면 클러스터, 서라운드 뷰 모니터, 후측방 모니터,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 등 고객이 선호하는 사양을 기본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트림 별로 안전·편의사양을 기본화해 경쟁력을 높이고자 했다. 엔트리 트림인 익스클루시브엔 2열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자외선 차단 유리, 레인 센서 등을 기본 적용했다. 인기 트림인 프레스티지엔 운전석 에르고 모션 시트, 1열 릴렉션 컴포트 시트, 스마트 자세 제어 등 기능을 기본으로 넣어 상품성을 높였다.EV9. (사진=기아)기아는 국내 최초 3열 대형 전기 SUV인 ‘EV9’의 사전계약을 지난달 3일 시작했다. EV9 기본 모델인 에어·어스 차급과 고성능 GT 라인 대상으로 사전 판매를 시작한 지 8일 만에 1만367건의 사전계약이 접수되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EV9은 기아의 전기차 모델 중 가장 긴 1회 충전 주행거리인 501km(19인치 휠 2WD 모델 산업부 인증 완료 기준)를 확보했다.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대형 SUV인 만큼 공간 활용성을 강조한다. ‘파노라믹 와이드 디스플레이’, ‘히든 타입 터치 버튼’ 등 새로운 주행경험을 위한 첨단 기능을 탑재했다. 2열과 3열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는 데도 주력했다. 스위블 시트(회전 시트), 릴렉션 시트 등 2열에 다양한 사양을 적용했다. 뒷좌석 냉난방을 각각 제어해 소모전력을 줄이는 ‘3존 독립제어 풀 오토 에어컨’ 기능도 넣었다.렉스턴 뉴 아레나. (사진=KG모빌리티)KG 모빌리티도 ‘렉스턴 뉴 아레나’를 지난달 초 출시했다. 기존보다 프리미엄 기능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12.3인치 풀 디지털 클러스터와 12.3인치 인포콘 내비게이션 등을 적용했다.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엠비언트 무드램프도 32가지 컬러로 확대했다. KG 모빌리티의 능동형 주행안전 보조기술인 인텔리전트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IACC)을 포함한 첨단 주행안전 보조 시스템 딥컨트롤을 적용했다. 긴급제동보조(AEB), 차선유지보조(LKA), 부주의운전경고(DAW), 중앙차선유지보조(CLKA), 스마트하이빔(SHB) 등 첨단 안전사양도 기본 적용했다.렉스턴 뉴 아레나는 전용 스마트키를 제공해 편의성도 높였다. 전좌석 터치센싱 도어핸들&세이프티 파워 윈도, 동승석 워크인 디바이스, 2열 롤러 블라인드, 후진 연동 하향 아웃사이드 미러 및 운전석 전동식 요추받침대 등 고급 편의사양을 적용했다.올해 3분기 국내 출시 예정인 프리미엄 퍼포먼스 SUV 폴스타 3. (사진=폴스타)◇수입차, 프리미엄 강조..큰 전기 SUV로 韓에 도전장올해 하반기부턴 수입차 브랜드의 대형 전기 SUV가 쏟아진다. 수입차 브랜드는 주행성능과 안전·편의사양에서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프리미엄을 강조할 계획이다.캐딜락이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차 ‘리릭’을 하반기 국내에 출시한다. 리릭은 12개의 모듈로 구성된 102㎾/h급 대용량 배터리와 듀얼 모터를 탑재한 사륜구동(AWD) 시스템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최대 출력 약 500마력, 최대 토크 약 62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캐딜락이 자체 테스트한 결과 리릭은 완충 시 약 494㎞의 주행거리(북미시장 인증 기준)를 기록했다.볼보의 EX90도 출격을 기다리고 있다. 안전을 강조하는 브랜드인 만큼코어 컴퓨터를 비롯해 8개의 카메라, 5개의 레이더, 16개 초음파 센서 및 라이다를 처음으로 탑재했다. 듀얼 모터를 탑재해 380kW(약 517마력)를 내며 111kWh급 배터리로 1회 충전 시 600㎞(WLTP 기준)를 달릴 수 있다.폴스타도 3분기 ‘폴스타 3’를 선보이며 프리미엄 대형 SUV 시장을 정조준한다. 폴스타 3는 111kWh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하며 1회 충전 시 WLTP 기준으로 최대 610㎞의 주행거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엔비디아 드라이브의 중앙 집중식 컴퓨팅을 적용했다. 5개의 레이더 모듈과 5개의 카메라, 12개의 초음파 센서를 기반으로 다양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을 지원한다. TMAP과 공동 개발한 정밀도로지도(HD 맵)가 국내 최초로 탑재될 예정이다.업계 관계자는 “차량이 대형화하는 추세와 맞물려 고급화한 안전·편의사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며 “대형 전기 SUV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져 향후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3.06.04 I 손의연 기자
1800만원 '갓성비'로 돌아왔다..KG 모빌리티 ‘더 뉴 티볼리’
  • 1800만원 '갓성비'로 돌아왔다..KG 모빌리티 ‘더 뉴 티볼리’
  • [이데일리 박민 기자] KG 모빌리티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티볼리의 페이스오프(부분변경) 모델 ‘더 뉴 티볼리(에어 포함)’를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지난 2015년 출시 이후 소형 SUV 시장에서 탄탄한 인기를 구축해온 티볼리는 이번에 상품성 개선과 함께 1800만원대의 합리적인 가격을 앞세워 수요층을 확장하겠다는 전략이다.더 뉴 티볼리.(사진=KG모빌리티)새로워진 더 뉴 티볼리는 모던하고 볼륨감 있는 범퍼 디자인을 바탕으로 스포티한 형상의 인테이크 그릴을 통해 강인한 이미지를 표현했다. 비대칭 스노클(인테이크홀)의 기능적인 요소를 개성있게 연출해 실용성과 독특한 매력을 제공한다. 천연가죽시트 인테리어는 새롭게 선보인 오렌지 인테리어 패키지와 그레이 투톤, 블랙인테리어 등 3가지를 준비해 개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새로운 디자인의 18인치 다이아몬드 커팅 휠 및 18인치 블랙 다이아몬드 커팅 휠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트림에 따라 16인치 알로이 휠과 17인치 다이아몬드 커팅 휠이 기본 적용된다. KG모빌리티 관계자는 “토레스에 적용해 많은 선택을 받고 있는 아이언 메탈 컬러를 추가하여 1톤(Tone) 컬러 5가지, 2톤(Tone) 컬러 5가지 등 총 10가지의 바디컬러를 운영해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더 뉴 티볼리는 고객의 니즈에 맞춰 선택할 수 있도록 파워트레인별로 라인업을 확장했다. 강력한 파워트레인이 선사하는 주행의 즐거움을 중시하면 1.5 가솔린 터보 모델을, 일상적인 주행과 1800만원대의 가성비를 추구한다면 1.6 가솔린 모델을 선택하면 된다.더 뉴 티볼리 에어.(사진=KG모빌리티)더 뉴 티볼리의 1.5 가솔린 터보 엔진은 최고출력 163ps/5000~5500rpm, 최대토크 26.5kg·m/1500~4000rpm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고, 1.6 가솔린 엔진은 최고출력 126ps/6000rpm, 최대토크 15.8kg·m/4600rpm를 발휘하며 복합연비는 각각 12.0km/ℓ, 11.6km/ℓ이다. 국내 최고 수준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인포콘(INFOCONN)은 또 다른 만족감을 선사하며 올인원 서비스의 무료 사용기간을 2년에서 5년으로 확대 운영한다. 기존 제공하고 있는 △원격제어 △안전 및 보안 △차량관리 △정보 △엔터테인먼트 등의 서비스와 더불어 새롭게 시작한 ‘마이카 알람’ 서비스를 지원한다. 더 뉴 티볼리(에어 포함)는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능동형 안전기술(Active Safety) 딥컨트롤(Deep Control)이 적용되었다.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AEB)을 시작으로 △전방 추돌 경고(FCW) △차선 이탈 경고(LDW) △차선 유지 보조(LKA) △부주의 운전 경고(DAW) △안전거리 경고(SDW) △앞차 출발 경고(FVSW) △중앙 차선 유지 보조(CLKA) 등 총 14개의 안전운전 보조 시스템(ADAS)을 적용하였다.특히 ‘안전’에 집중해 운전석 무릎 에어백을 포함한 동급 최다 7개 에어백이 적용됐다. 차체의 79% 고장력 강판을 사용하여 안전성 확보는 물론 어떠한 도로 환경에서도 최고의 주행성능을 발휘하는 4WD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어떠한 지형의 도로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더 뉴 티볼리 내부 인테리어.(사진=KG모빌리티)판매 가격(개별소비세 인하 기준)은 엔진 및 트림 별로 1.6 가솔린 모델은 △V1(A/T) 1883만원 △V3 2244만원이다. 1.5 가솔린 터보는 △V5 2209만원 △V7 2598만원이다. 더 뉴 티볼리 에어는 △A5 2294만원 △A7 2698만원이다.KG 모빌리티 관계자는 “티볼리는 2015년 출시해 지난 2023년 5월까지 29만대에 육박하는 누적판매를 기록하며 명실상부 소형 SUV 시장을 개척하고 성장시켜 왔다”며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더 뉴 티볼리는 고객의 니즈는 물론 갓(God)성비를 더한 만큼 정체기에 접어든 소형 SUV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3.06.01 I 박민 기자
거친 산길도, 고속주행도 ‘엄지척’..픽업트럭 자존심 ‘렉스턴’
  • 거친 산길도, 고속주행도 ‘엄지척’..픽업트럭 자존심 ‘렉스턴’[시승기]
  • [이데일리 박민 기자] 가히 ‘코리안 픽업트럭’의 자존심이라고 부를 만한 차량이었다. 비탈지고 울퉁불퉁한 산길도 4륜구동 특유의 강한 힘으로 거침없이 올라갔고, 평편한 도로에서는 흡사 세단과 같은 안정적인 주행감을 선사했다. 이 상태라면 산이든, 계곡이든, 바다든 어디든지 훌쩍 떠나 달려보고 싶은 ‘일상 탈출’ 욕구가 저절로 들었다. 특히 운전 내내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을 정도의 육중한 크기임에도 가속 페달과 핸들링이 생각보다 가벼워 픽업트럭을 운전하고 있는 게 맞나 싶을 정도였다. 이 모든 게 KG모빌리티의 픽업트럭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의 운전대를 처음 잡아보면서 느꼈던 감정들이었다. 특히 이러한 퍼포먼스를 갖췄음에도 차량가격이 3000만원대 중반이라는 점은 또 한번의 감탄 지점이었다.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 차량이 비탈진 산길을 지나고 있다.(사진=KG 모빌리티)◇대한민국 정통 리얼 픽업트럭‘렉스턴 스포츠&칸 쿨멘’은 올해 35년 만에 쌍용차라는 이름을 떼고 새출발에 나선 KG모빌리티가 이달 초 출시한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이다. 픽업트럭인 기존의 ‘렉스턴 스포츠&칸’에서 정통 오프로더와 레저 느낌을 강화해 상품성을 개선한 하이엔드 모델이다. 특히 사명 변경 이후 토레스의 라인업 확장 모델인 ‘토레스 TX’에 이어 두번째로 선보인 신차다. 과거 쌍용차 시절 얻었던 ‘SUV·픽업트럭 명가’라는 명성에 걸맞게 픽업트럭 상품성 개선모델을 들고 시장 공략에 나선 것이다.KG 모빌리티는 이번에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과 함께 대형 SUV 모델 ‘렉스턴 뉴 아레나’ 부분변경 모델도 동반 출시하면서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미디어 시승행사를 진행했다. 특히 올해 정전 70주년을 맞아 ‘DMZ Extreme Trail-CAMP’ 주제하에 강원도 춘천과 화천, 양구 일대 온·오프로드를 누비는 시승코스를 마련해 오프로드의 진면목을 느낄 수 있게 했다. ‘시승의 꽃’인 오프로드는 강원도 화천 평화의 댐에서 인근 산 중턱에 자리한 옛 전두환 전망대 터까지 이르는 왕복 16km구간이었다. 이 길은 평소 일반인에게는 진입이 통제된 길이다.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 차량이 비탈진 산길을 지나고 있다.(사진=KG 모빌리티)이날 오프로드 시승에는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과 렉스턴 뉴 아레나가 모두 동원됐다. 두 차량에는 모두 18인치의 AT타이어를 커스터마이징으로 장착했다. AT 타이어는 험로를 포함해 모든 도로에서 주행이 가능한 전천후 타이어로 불린다. 주로 오프로드 타이어로 활용되는 탓에 타이어의 골격이 매우 튼튼하고,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다만 온로드(일반도로) 주행시 순정타이어에 비해 노면의 노이즈(소음)가 올라오고 주행 질감이 다소 거친 면이 있지만 오히려 오프로드 차량이라는 맛을 안겨줬다.렉스턴 스포츠&칸 쿨멘과 렉스턴 뉴 아레나 모두 평소에는 2륜 구동 상태로 주행하다가 필요 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고속 4륜구동(4H), 저속 4륜구동(4L)의 구동시스템을 갖췄다. 이날 비탈진 산길과 내리막길에서 4L은 최대 토크를 발휘하며 차량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고 밀어주는 압도적인 힘을 느낄 수 있었다. 눈길이나 빗길 등의 도로 환경에서 사용하는 ‘4H’는 직접 써보지 못했지만 성능은 짐작케 했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구동방식 변경이 즉각적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몇 초 간의 시간이 걸리는 점이었다.KG 모빌리티의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사진=KG 모빌리티)무엇보다 오프로드 차량의 백미(白眉)는 땅이 움푹 패인 험로에서 한쪽 바퀴가 빠졌을 때 탈출이 얼마나 수월한지다. 렉스턴은 한 쪽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지며 들렸을 때 해당 바퀴는 순간 잠그고 접지력이 살아 있는 다른 바퀴에 힘을 몰아주는 차동기어잠금장치(LD·Locking Differential) 기능을 탑재해 험로 주행에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진흙길이나 웅덩이, 빙판길 들에서 한쪽 바퀴가 헛바퀴를 돌며 빠져 나오지 못했던 경험이 있던 운전자라면 충분히 끌릴만한 매력 포인트다.‘렉스턴 뉴 아레나’ 차량이 비탈진 산길을 지나고 있다.(사진=KG 모빌리티)◇넉넉한 적재공간과 안정성에 ‘가심비’ 픽업트럭의 또 다른 매력은 각종 짐을 고민없이 실을 수 있는 넓은 적재공간이다. 테일게이트(차량의 뒷문)를 열었을 때 성인 남성 한명이 누울 수 있을 정도의 넓은 공간은 어디든지 훌쩍 떠나고 싶을 때 동반자로서 손색 없는 차량이었다. 렉스턴 스포츠 쿨멘은 적재량이 400kg에 달하고 상위 트림인 렉스턴 스포츠 칸 쿨멘은 파워 리프 서스펜션 적용시 적재용량이 최대 700kg까지 가능하다. 차량 내부 인테리어 디자인 또한 눈길을 사로잡는 지점이다. 첫 인상이 ‘간결하다’, ‘깔끔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수평적 디자인 콘셉트를 적용해 운전자에게 개방감과 넓은 시야각을 제공했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12.3인치 풀 디지털 클러스터는 기본적인 주행데이터는 물론 내비게이션 경로와 AVN 콘텐츠까지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보여줌으로써 각종 정보의 시인성을 높였다. 동시에 운전석 전면의 각종 스위치들은 인체공학적이고 직관적으로 배열해 조작의 편의성까지 증대시켰다. KG 모빌리티의 ‘렉스턴 뉴 아레나’.(사진=KG 모빌리티)여기에 안정성도 빼놓지 않는 부분이다.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은 사이드 에어백을 포함한 6에어백과 렉스턴 뉴 아레나 수준의 최첨단 주행안전 보조(ADAS) 시스템 딥컨트롤(Deep Control)을 비롯해 다양한 첨단 안전기술을 적용했다. 충돌 위험을 감지해 경고는 물론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충돌을 방지하는 ‘긴급제동 보조(AEB)’, 차로 변경 시 충돌위험을 경고하고 사고 발생 시 차선을 유지해 2차 사고를 방지하는 ‘후측방경고(BSW)’, 하차 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탑승객 안전하차경고(SEW)도 더해 안전성을 제공한다. 뛰어난 성능과 우수한 디자인에도 차량 가격이 비싸면 ‘남의 차’에 불과할것이다. 하지만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은 3000만원대 중반 가격으로 가심비(가격 대시 심리적 만족도)까지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차량은 화물 적재용량, 즉 ‘데크’ 스펙에 따라 나뉘는데 적재량 400kg의 렉스턴 스포츠 쿨멘은 △프레스티지 3478만원 △노블레스 3831만원이다. 적재용량 최대 700kg인 렉스턴 스포츠 칸 쿨멘은 △프레스티지 3709만원 △노블레스 4046만원이다. 이밖에 렉스턴 뉴 아레나는 △프리미엄 3979만원 △노블레스 4553만원 △더 블랙 5173만원으로 책정됐다.‘렉스턴 뉴 아레나’ 차량이 비탈진 산길을 지나고 있다.(사진=KG 모빌리티)
2023.05.14 I 박민 기자
토요타코리아, 69년 역사 대표 모델 ‘크라운’ 사전계약 실시
  • 토요타코리아, 69년 역사 대표 모델 ‘크라운’ 사전계약 실시
  •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토요타코리아가 오는 6월 5일 토요타의 플래그십 모델 ‘크라운’을 공식 출시하고 이달 8일부터 전국 토요타 공식 딜러 전시장에서 사전 계약을 실시한다.‘크라운’은 지난 1955년 토요타 최초의 양산형 모델로 출시돼 69년간 ‘크라운’이라는 독자적인 브랜드로 진화했다. 지난해 16세대로 모델까지 출시된 크라운은 ‘새로운 시대를 위한 크라운’을 목표로 세단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를 결합한 크로스오버를 주축으로 세단, 스포츠, 에스테이트 등 총 4가지 타입으로 공개됐다. 토요타코리아 크라운 사전계약실시 배너.(사진=토요타코리아.)한국에 공식 출시되는 크라운은 ‘크라운 크로스오버’ 모델로 2.5리터 하이브리드(HEV)와 2.4리터 듀얼 부스트 하이브리드 등 총 2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된다.크라운 크로스오버에는 새롭고 현대적으로 디자인된 크라운 엠블럼과 차량의 폭을 강조하면서 날카롭고 길게 뻗은 전면부의 전방 지향적인 해머헤드 디자인, 전면부를 가로지르는 주간 주행등 (DRL)이 적용됐다. 후면부는 수평 LED 테일램프와 함께 일자형 LED 램프로 독특한 디자인을 구현했다. 인테리어는 직관적이면서도 편안한 실내 공간을 추구했다. 12.3인티의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MID)와 함께 터치형 센터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아울러 총 8개의 에어백과 함께 업그레이드된 예방안전사양인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를 탑재해 주행 안전성도 높였다.크라운은 승차감 및 주행 감각을 향상시켰다. TNGA-K 플랫폼을 기반으로 설계된 크라운은 2.5리터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2.5리터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과 e-CVT(전자식 무단변속기)가 결합돼 시스템 총출력 239마력을 발휘한다. 크라운 2.4리터 듀얼 부스트 하이브리드 모델은 2.4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 다이렉트 시프트 자동 6단 변속기, 고출력의 수냉식 리어모터(eAxle) 등으로 더욱 강력해진 모터 출력과 퍼포먼스가 특징이다.또한 크라운은 각 배터리 셀의 출력을 향상시켰다. 모터출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높은 배터리 전류를 사용해 엑셀레이터 작동에 대한 반응성을 향상시켜 강력하면서도 부드러운 가속력을 제공한다.강대환 토요타코리아 상무는 “토요타 크라운은 지난해 2월 선보인 RAV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에 이어 다양한 전동화 차량의 선택지를 제공하겠다는 의지와 함께 토요타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2번째 모델”이라며 “크로스오버 모델로 재탄생된 크라운을 가까운 토요타 전시장에서 직접 만나 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3.05.08 I 김성진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