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297건

엔케이맥스, 美 관계사 고형암 환자 ‘SNK02’ 1상 중간결과 발표
  • 엔케이맥스, 美 관계사 고형암 환자 ‘SNK02’ 1상 중간결과 발표
  •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엔케이맥스(182400) 관계사 엔케이젠바이오텍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동종 NK세포치료제(SNK02)의 세포독성 강화에 대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오는 31일(현지시간) 개최되는 ASCO에서 발표되는 임상시험은 표준 치료 요법 불응이 병리학적으로 확인된 고형 종양 참가자를 대상으로 SNK02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는 게 골자다. SNK02는 항종양 세포독성이 우수하고 CD16, NKG2D, NKp46, DNAM-1 발현율이 90% 이상인 동종 비유전자 변형 NK세포 제품이다. 엔케이젠바이오텍은 진행성 고형 종양 환자 5명에게 8주 동안 SNK02 60억개를 정맥 주입(IV)으로 투여했다. 회사 측은 SNK02를 고용량으로 투여하면 림프절 제거 없이 자주 투여할 수 있으며, 이전의 여러 표준 치료 옵션에 실패한 고형 종양에 대한 활성을 입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차 평가지표는 부작용(AE), 바이탈 등 검사에 기반을 둔 안전성이다. SNK02의 내약성 및 최대 내약 용량도 평가한다. 폴 송(Paul Y. Song) 엔케이젠바이오텍 대표이사는 “SNK02를 활용한 임상 1상 연구의 중간 데이터를 통해 표준 치료에 불응하는 고형 종양 환자에서 단독요법으로 내약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SNK02는 투여 전 림프절 고갈이 필요하지 않은 고형 종양에 대한 혁신 신약(first-in-class) 동종 NK세포 치료제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이어 “특히 강력한 T세포 반응이 필요한 면역관문억제제와의 향후 병용 요법에서 전반적으로 더 나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자가세포치료제 SNK01과 암에 대한 동종 세포치료제 SNK02라는 두 가지 고유한 세포 치료제 후보에 대해 유망한 1상 시험 결과를 보게 돼 기쁘다”고 덧붙였다.
2024.05.24 I 김응태 기자
'6년째 상장 준비'… 나스닥 간다던 바이오텍 잔혹사
  • '6년째 상장 준비'… 나스닥 간다던 바이오텍 잔혹사
  •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해 기업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겠다고 홍보한 국내 바이오텍 대부분은 몇 년 째 상장에 성공하지 못하거나 퇴출 위기인 것으로 드러났다. 나스닥 상장 이슈는 통상 주식시장에서는 호재로 인식되지만, 실제 성과까지 이어진 사례는 거의 없어 투자자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8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 인스코비(006490)의 미국 바이오 자회사 아피메즈US는 지난 2021년부터 나스닥 상장을 시도해 왔으나 최근까지도 상장 ‘추진 중’ 상태다. 회사는 지난 2021년 9월 30일 글로벌 투자은행(IB)으로부터 시리즈A 투자유치에 성공했다며 2022년 상반기까지 나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2021년 말 금리인상 이슈,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투자가 마무리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후 아피메즈US는 올해 1월 29일 나스닥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3월 초에는 결론이 날 것으로 내다봤지만, SEC로부터 ‘보완’ 요청을 받아 최근까지도 SEC 리뷰가 진행 중인 상황이다. 인스코비는 나스닥 상장을 통해 다발성 경화증(MS) 치료제로 개발 중인 아피톡스의 미국 임상 3상을 완주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운 바 있다. 회사는 지난 2018년 7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지만, 펀딩을 제때 받지 못해 6년 째 임상에 착수하지 못하고 있다. 암 체외진단 전문기업 큐브바이오는 2019년부터 나스닥 상장을 추진해 왔다. 회사는 지난 2019년 1월 중국계 운용사와 나스닥 상장 주관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지만 현재까지 상장 ‘추진 중’ 상태다. 큐브바이오는 암 검사 접근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쉽게 채취가 가능한 소변을 이용, 소변검체 내 특정 대사물질의 농도측정을 통해 신체 내 암의 유무를 조기에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체외진단 전문기업이다. 올해 1월 큐브바이오는 ‘글로벌펀드 LLC’를 자문사로 지정한 후 나스닥 스팩 상장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후 지난 3일에는 합병을 위한 텀시트를 체결했다고 알렸다. 내년 1분기 내 나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는 큐브바이오의 초기 기업 가치는 약 6억2000만 달러(약 8500억원) 규모이며,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미국 자회사의 나스닥 상장을 노리는 에이비프로바이오(195990)도 2018년에 한 차례 자회사에 대해 6900만달러 규모 기업공개(IPO)를 추진한 바 있다. 하지만 돌연 상장을 연기했고, 이후 회사는 새로운 주인을 맞았다. 이후 지난해 10월 SEC에 첫 증권신고서를 제출했으나, 최근 보완요청을 받아 지난달 다시 냈다. ◇상장해도 ‘진땀’자회사의 나스닥 상장을 위해 무리하게 자금을 조달하다 모회사가 위기에 처한 사례도 있다. 엔케이맥스(182400)는 미국 자회사 엔케이젠바이오텍의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박상우 대표가 주식담보대출계약을 체결해 자금을 조달했으나, 대출금을 갚지 못해 반대매매가 발생했다. 박 대표는 반대매매로 최대주주 지위를 상실했다.지난해 10월 나스닥에 상장한 엔케이젠바이오텍 상황도 좋지 않다. 통상 미국 주식 거래소 상장 유지 기준은 최근 30거래일 동안 주가 1달러 이상이고 기업가치가 5000만 달러 이상이어야 한다. 현재 엔케이젠바이오텍의 주가는 1.39달러(7일 종가 기준)이며, 시가총액은 약 3127만 달러다. 이에 대해 엔케이맥스 관계자는 “위 사항이 30일 이상 지속돼도 6개월 이내 해소되면 문제 없기 때문에 상폐 위기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나스닥 상장에는 성공했으나, 이를 지켜내지 못한 기업도 있다. 2022년 말 나스닥 상장 1호 K-바이오 기업으로 주식시장에 입성한 pH파마는 4개월만에 상장폐지됐다. pH파마가 인적분할을 통해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피크바이오는 지난해 3월 상장폐지됐다. 이 회사가 나스닥에서 거래된 기간은 사실상 두 달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진다. pH파마는 2015년 사노피, 존슨앤존슨, 애보트 등을 거친 허호영 대표이사가 설립한 희귀질환치료제 개발사다. 나스닥 상장 도전이 기업가치 상승을 위한 홍보 소재로 종종 등장하는 건 상대적으로 낮은 진입장벽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영국 홍콩 등 해외 주식시장은 적자 기업도 특례 요건을 활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상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실제 미국 나스닥시장 내 3개 하위 시장 중 2개는 적자 기업이어도 일정 수준 이상의 자본이나 시가총액 등 요건의 하나만 충족하면 상장 가능하다. 바이오텍들의 주요 상장 트랙인 기술특례상장 제도에 대해 당국이 계속해서 심사 문턱을 높이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다만 상장 주관을 맡은 증권사가 상장 기업에 관한 주요 정보를 누락하거나 과장, 허위로 기재한 경우 배상 책임을 진다. 들어가기는 어렵지 않을 수 있으나 관리 감독이 엄격해 퇴출도 그만큼 쉬운 셈이다.
2024.05.17 I 석지헌 기자
엔케이맥스, NK뷰키트로 유방암과 NK세포 활성도 상관관계 확인
  • 엔케이맥스, NK뷰키트로 유방암과 NK세포 활성도 상관관계 확인
  •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 엔케이맥스(182400)는 유방암 환자의 주요 임상병리학적 매개변수와 NK세포 활성도와의 임상적 상관관계를 확인한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저널 국제분자과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mpact factor 5.6)에 게재됐다고 13일 밝혔다.해당 연구는 엔케이맥스의 면역력 측정 검사인 ’NK뷰키트(NK Vue Kit)‘를 활용해 이뤄졌다. NK뷰키트는 소량의 혈액(1mL)으로 정확하게 NK세포의 활성도를 수치화 할 수 있는 진단키트다. 결과값은 이상(100pg/mL 미만), 경계(100~250pg/mL), 관심(250~500pg/mL), 정상(500pg/mL 이상)의 네 구간으로 구분된다.이번 연구를 주도한 서영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유방외과 교수 연구팀은 유방암 진단 후 근치적 유방 절제술을 받은 환자 396명을 대상으로 NK세포 활성도 및 주요 임상병리학적 매개변수와의 상관관계를 후향적으로 분석했다.연구결과, NK세포 활성도는 병기, 체질량지수(BMI), 염증성 마커와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NK세포 활성도 검사 결과의 구간 값을 바탕으로 환자군을 구분했을 때 뚜렷하게 나타났다. NK세포 활성도 검사에서 이상구간에 해당하는 100pg/mL 이하의 환자군에서 유방암 3기의 환자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했고, 액와 림프절 전이 양성율이 증가했다. 특히 항암치료 후 불량한 예후와 관련된 염증성 마커인 호중구-림프구 비율(NLR)과 혈소판-림프구 비율(PLR)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환자군을 NK세포 활성도 250pg/mL을 기준으로 구분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유방암은 가장 대표적인 여성 암으로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나타낸다. 특히 삼중음성 유방암은 예후가 나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서 연구팀은 “최근 삼중음성 유방암에 대한 면역항암제의 사용이 확대됐으나, 실제로 반응율이 낮아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환자군을 선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NK세포 활성도를 측정하는 것이 면역항암제를 비롯한 추가적인 치료가 가능한 후보군을 선별하는 데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엔케이맥스 관계자는 “유방암의 여러 임상적 매개변수와 NK세포 활성도와의 상관관계를 NK뷰키트로 확인한 첫 번째 연구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환자 스크리닝에 NK세포 활성도 검사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2024.05.13 I 김지완 기자
엔케이맥스,'유방암·NK세포 활성도 상관관계 연구' 국제저널 게재
  • 엔케이맥스,'유방암·NK세포 활성도 상관관계 연구' 국제저널 게재
  •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엔케이맥스(182400)는 유방암 환자의 주요 임상병리학적 매개변수와 NK세포 활성도와의 임상적 상관관계를 확인한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저널인 ‘국제분자과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mpact factor 5.6)에 게재됐다고 13일 밝혔다.해당 연구는 엔케이맥스의 면역력 측정 검사인 NK뷰키트(NK Vue Kit)를 활용해 이뤄졌다. NK뷰키트는 소량의 혈액(1㎖)으로 정확하게 NK세포의 활성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 진단키트다. 결과값은 △이상(100pg/㎖ 미만) △경계(100~250pg/㎖) △관심(250~500pg/㎖) △정상(500pg/㎖ 이상) 등 네 구간으로 구분된다.이번 연구를 주도한 서영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유방외과 교수 연구팀은 유방암 진단 후 근치적 유방 절제술을 받은 환자 396명을 대상으로 NK세포 활성도 및 주요 임상병리학적 매개변수와의 상관관계를 후향적으로 분석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NK세포 활성도는 병기, 체질량지수(BMI), 염증성 마커와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NK세포 활성도 검사 결과의 구간값을 바탕으로 환자군을 구분했을 때 뚜렷하게 나타났다. NK세포 활성도 검사에서 이상 구간에 해당하는 100pg/㎖ 이하의 환자군에서 유방암 3기의 환자 비율이 유의미하게 확대됐고, 액와 림프절 전이 양성률이 상승했다. 특히 항암 치료 후 불량한 예후와 관련된 염증성 마커인 호중구-림프구 비율(NLR)과 혈소판-림프구 비율(PLR)이 유의미하게 상승했다. 이러한 경향은 환자군을 NK세포 활성도 250pg/㎖를 기준으로 구분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서영진 연구팀은 “최근 삼중음성 유방암에 대한 면역항암제의 사용이 확대됐으나, 실제 반응률이 낮아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환자군을 선별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NK세포 활성도를 측정하는 것이 면역항암제를 비롯한 추가적인 치료가 가능한 후보군을 선별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엔케이맥스 관계자는 “유방암의 여러 임상적 매개변수와 NK세포 활성도와의 상관관계를 NK뷰키트로 확인한 첫 번째 연구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환자 스크리닝에 NK세포 활성도 검사를 활용할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2024.05.13 I 김응태 기자
엔케이맥스 “美 관계사, 파킨슨병 NK세포치료제 ‘SNK01’ IND 승인”
  • 엔케이맥스 “美 관계사, 파킨슨병 NK세포치료제 ‘SNK01’ IND 승인”
  •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엔케이맥스(182400)의 미국 관계사 엔케이젠바이오텍(NKGenBiotech)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자가 NK세포치료제 ‘SNK01’에 대한 파킨슨병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승인으로 엔케이젠바이오텍은 파킨슨병 환자 최대 30명을 대상으로 SNK01의 안전성, 내약성 및 탐색적 효능을 평가하는 1·2a상 임상시험을 진행한다. 오는 하반기 첫 환자 투약을 시작한다. 파킨슨병 환자 20명에게는 SNK01을 투여하고, 나머지 10명에게는 위약을 투여할 예정이다.폴송(Paul Y. Song) 엔케이젠바이오텍 대표이사는 “현재 파킨슨병은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의학적 미충족 요구가 높은 만큼 첫 임상시험을 시작하게 돼 기대가 크다”며 “이번 IND 승인은 신경 퇴행성 질환에 대한 NK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말했다.엔케이젠바이오텍은 파킨슨병뿐만 아니라 중등증 알츠하이머 환자 대상으로 SNK01에 대한 미국 임상을 진행 중이다. FDA는 엔케이젠바이오텍이 멕시코에서 진행했던 알츠하이머 임상 1상 결과를 토대로 1·2a상을 전임상 없이 진행하도록 허가한 바 있다.폴송 대표는 “지난 알츠하이머 임상 1상에서 관찰된 신경염증 감소에 대한 고무적인 결과를 고려할 때, 이번 파킨슨병 임상 결과도 낙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며 “두 가지 퇴행성 신경질환은 서로 다르지만 신경염증 성분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SNK01이 두 적응증 모두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2024.04.30 I 김응태 기자
엔케이맥스, 정족수 부족에도 이사회 강행…기업회생 결의 취소되나?
  • [단독]엔케이맥스, 정족수 부족에도 이사회 강행…기업회생 결의 취소되나?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엔케이맥스(182400)가 정족수 부족에도 불구하고 이사회를 강행한 것으로 드러나 기업회생절차 신청이 취소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엔케이맥스 본사 (사진=이데일리 김새미 기자)18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해보면 엔케이맥스가 정족수 부족으로 흠결 있는 이사회를 강행,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결의한 것으로 확인됐다.엔케이맥스는 지난 17일 이사회에서 경영정상화 및 향후 계속기업으로서 가치 보전을 위해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그러나 이데일리 취재 결과 해당 이사회는 의사정족수가 부족한 상황인데도 개최됐으며, 기업회생절차 신청 안건을 가결시킨 것으로 나타났다.현재 엔케이맥스의 이사회 구성은 최근 사임한 조용환 부사장과 전인오 벤처혁신연구소 소장을 제외한 7명으로 구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사회 결의가 이뤄지려면 이사 과반수가 출석하고, 출석이사의 과반수가 해당 안건에 찬성해야 한다. 엔케이맥스의 경우 이사회가 7명이므로 의사정족수는 4명이 된다.정족수에 미달한 결의가 이뤄졌을 경우 해당 결의는 취소될 수 있다. 따라서 엔케이맥스가 지난 17일 이사회에서 의결한 기업회생절차 신청은 취소될 가능성이 높다.앞서 엔케이맥스는 지난달 29일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신용열 비에스컴퍼니 부사장, 송영호 디오니식스 대표, 정민영 엔케이맥스 이사 등 3명을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하고, 이영열 두레인법무사사무소 법무사와 전인오 벤처혁신연구소 소장을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한 바 있다. 아직 주총에서 선임된 이사들에 대한 등기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사회를 열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법적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엔케이맥스는 기업회생 건으로 이사회 개최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투자 유치를 목적으로 이사회에 들였던 신용열 부사장, 송영호 대표, 전인호 소장을 제외시키려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투자 유치에 실패하자 그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내부적으로 사임 처리까지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해당 이사회 소집 요구에 의사정족수가 미달하자 이들의 사임을 철회한 뒤 다시 이사회 소집을 요구했다.이 경우 이사회 멤버가 총 7명이기 때문에 의사정족수가 4명이어야 한다. 엔케이맥스는 지난 17일 열린 이사회에 3명만 참석했음에도 이사회를 강행했다. 이에 신용열 부사장은 해당 이사회가 흠결 있는 이사회라면서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17일 오전까지 회사에 전화를 통해 직접 참석이 어려우니 컨퍼런스콜을 통해서라도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타진했으나 회사가 참석할 수 없게 막았다고 주장하고 있다.이데일리는 이에 대한 회사 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수 차례 전화를 걸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2024.04.18 I 김새미 기자
“1년도 버티기 힘들다”…존속불확실성 기재된 바이오기업은?
  • “1년도 버티기 힘들다”…존속불확실성 기재된 바이오기업은?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감사의견 ‘적정’을 받았지만 감사의견과 관련 없는 계속기업 존속불확실성이 기재된 바이오기업들이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기업들은 연말까지 운영할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유상증자 등 자금 조달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26일 이데일리 집계 결과 지난해 감사의견 ‘적정’을 받았지만 감사의견과 무관한 계속기업 존속불확실성이 기재된 바이오기업으로는 올리패스(244460), 카이노스메드(284620), 피플바이오(304840), 클리노믹스(352770), 진원생명과학(011000)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계속기업 존속불확실성 항목이 의미하는 바는 1년간 운영하기도 힘들 정도로 현금 여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해당 업체들의 지난해 말 기준 현금성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을 살펴보면 △올리패스 36억원 △피플바이오 52억원 △카이노스메드 164억원 △클리노믹스 110억원 등이다. 진원생명과학의 현금성자산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21억원으로 집계됐다.이 때문에 해당 항목이 기재된 기업들은 향후 자금조달 계획과 안정적인 이익 달성을 위한 재무·경영개선계획의 성패에 따라 계속기업으로의 존속여부가 결정된다. 회사의 계획에 차질이 있는 경우 회사 자산과 부채를 정상적인 사업활동을 통해 장부가액으로 회수하거나 상환하지 못할 수 있다.올리패스는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127억원 발생했고, 유동부채(77억원)가 유동자산(47억원)보다 30억원 초과했다. 지난해 결손금이 2374억원으로 전년 대비 130억원(5.7%) 늘면서 같은 기간 자기자본이 92억원에서 25억원으로 73% 급감했다. 결손금이 이처럼 증가한 이유는 연구개발비와 운영자금 영향이 컸다.올리패스는 지난해 자본잠식률 85.3%를 기록하고 자기자본 대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하 법차손) 비율도 3년 연속 50%를 초과했다. 해당 비율이 2021년 85.3%, 2022년 268.3%, 2023년 690.5%로 집계된 것이다. 이로 인해 올리패스는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다.올리패스는 올해부터 진행 중인 파이프라인의 공동연구개발 계약 및 투자 유치를 통한 자본 확충 등을 통해 수익성 및 재무구조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올리패스가 최근 임상개발팀을 해체하는 등 신약개발에 더 이상 나서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카이노스메드는 지난해 자본잠식률이 15.83%로 자본잠식이 시작되고 3년 연속 자기자본 대비 법차손 비율이 2021년 111.13%, 2022년 53.19%, 2023년 96.62%로 50%를 초과했다. 카이노스메드도 지난해 연결 기준 누적 결손금이 1164억원에 이르면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의문이 제기됐다.카이노스메드가 2014년 중국 장수아이디에 기술이전한 에이즈 치료제 ‘KM-023’는 지난해 말 중국 의료보험에 등재됐다. 카이노스메드는 KM-023의 중국 매출 중 2%를 로열티로 지급받는다. 카이노스메드는 KM-023의 추가 기술이전을 체결하고 이에 따른 로열티 수익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또한 미국 자회사인 패시네이트 테라퓨틱스(FAScinate Therapeutics, Inc.)가 진행 중인 다계통위측증(MSA)과 파킨슨병 치료제로 개발 중인 ‘KM-819’의 기술수출도 노리고 있다. KM-819는 파킨슨병 미국 임상 2상과 MSA 국내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피플바이오는 지난해 174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하며 누적결손금이 684억원으로 집계됐다. 현금흐름도 -163억원으로 계속기업의 불확실성을 제기하는 요인이 됐다. 지난해 54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와 242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증으로 자금을 조달했지만 유동자산이 2022년 293억원에서 148억원으로 줄었다. ‘알츠온’의 론칭으로 광고홍보비를 집행하고 인원 충원에 따른 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특히 현금성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이 2022년 227억원에서 지난해 52억원으로 76.9% 급감하며 유동성 위기에 취약해졌다. 피플바이오 측은 “유동성이 충분히 확보될 때까지는 대대적인 광고홍보비의 집행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면서 “단기·중장기 경영계획을 수립해 당사의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관리,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동성 위험을 충당할 수 있는 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상품 확보에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피플바이오는 제3자배정 유증, 전환사채(CB) 발행 등의 방안도 검토 중이다.클리노믹스는 지난해 자기자본 대비 법차손 비율이 108.8%로 50%를 초과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346억원의 영업손실, 42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108억원의 영업현금흐름이 발생했다. 지난해 276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증을 실시하고 CB 상환으로 유동부채가 120억원 감소했음에도 유동부채(243억원)가 유동자산(182억원)을 61억원 초과했다.클리노믹스의 지난해 현금성자산은 110억원으로 전년(86억원) 대비 28.5% 늘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판매관리비로 2021년 145억원→2022년 190억원→2023년 349억원 등 100억원 이상 사용했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 내로 현금 유입을 더 늘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클리노믹스 경영진은 자구책으로 매출액 증가, 영업비용 지출 절감 등 경영 개선 계획과 유증, 차입금 및 사채 차환을 위한 자금 조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진원생명과학도 2023 회계연도에 감사의견과 무관한 계속기업 존속불확실성이 기재됐다. 지난해 순손실이 778억원으로 전년 대비 103.8% 늘어난 점을 미뤄봤을 때 누적 결손금의 규모도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진원생명과학의 지난해 3분기 말 결손금은 1751억원에 달했다.종속회사인 VGXI가 지난해 3분기 완전자본잠식이 된 점도 재무적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진원생명과학이 VGXI에 생산 의뢰를 위해 선급금으로 지급한 금액 46억원과 대여한 금액 1358억원은 진원생명과학 자산의 73.4%나 차지한다. VGXI의 영업실적이 개선되지 않으면 진원생명과학도 계속기업으로서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이다.바이오업계 관계자는 “계속기업 존속불확실성은 1년 운영비용 대비 남은 현금이 부족할 경우 기재된다”며 “만약 회계감사를 받기 전에 미리 구조조정을 해서 운영비용을 절감해서 보유 현금으로 1년 이상 운영 가능하다면 해당 항목이 기재되는 걸 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런 기업들은 당연히 지금도 투자를 받기 위해 활동하고 있을 것”이라며 “투자 유치가 잘 되지 않는다면 주주 배정 유증을 실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한편 엔케이맥스(182400), EDGC(245620), 세종메디칼(258830), 웰바이오텍(010600) 등은 아직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2024.04.03 I 김새미 기자
최대주주서 지분율 0.01% 된 박상우 엔케이맥스 대표
  • 최대주주서 지분율 0.01% 된 박상우 엔케이맥스 대표[화제의 바이오人]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이번주 바이오업계의 주목을 받은 인물은 단연 박상우 엔케이맥스(182400) 대표다. 엔케이맥스는 지난달 30일 박 대표의 지분이 24일 942만6418주(지분율 11.37%)에서 5418주(0.01%)로 줄었다고 공시했다. 하루 만에 최대주주였던 박 대표의 지분율이 0%대로 급감하면서 회사가 무주공산이 된 것이다.박상우 엔케이맥스 대표는 지난 1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이데일리DB)이 때 시장에선 박 대표의 잠적설까지 돌면서 자의적으로 엑시트한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증폭됐다. 이에 박 대표는 지난 1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각종 의혹에 대해 정면반박하고 “최대주주 지위 회복과 지배구조 안정화를 위해 재무적투자자(FI), 전략적투자자(SI)들과 현재 구체적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앞서 시장에선 지난달 24일 엔케이맥스 최대주주 반대매매설이 돌기도 했다. 이날 박 대표는 회사 공지를 통해 “최근 주식시장의 대내외 변동성으로 인해 주가가 급락했다”며 “회사 내부적인 경영 활동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재무 건전성과 경영 안정성 또한 그 어떤 문제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후 공시를 통해 이날(24일) 박 대표가 대량으로 주식을 장내매도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주주들의 원성이 높아졌다.또 지난달 30일 공시에는 ‘반대 매매에 의한 최대주주 변경’이라 기재돼 있어 박 대표와 주식담보대출 계약을 체결한 KB증권과 이베스트증권이 주주들의 집중 포화를 맞았다. 그러나 KB증권의 주담대는 지난해 12월 22일 엔케이맥스가 전부 상환했고, 이베스트증권에서는 24일 하한가가 발생하자 익일 반대매매가 이뤄질 수 있다고 연락했을 뿐 실제로 반대매매를 강행하진 않았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증권사가 아닌 사채권자에 의한 반대매매였다고 해명했다.엔케이맥스 관계자는 “사채를 통해 자금 융통을 했다가 주가 하락으로 인해 전량 반대매매가 된 것”이라며 “박 대표의 의사에 반해 지분이 매도된 것이기 때문에 반대매매라고 표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 대표는 KB증권의 주담대 연장 불가 통보에 이를 상환하기 위해 사채권자에게 담보대출을 실시했다. 지난달 24일 회사 주가 하락으로 담보비율이 낮아지자 사채권자가 담보권을 실행한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이에 대해 한국거래소 측은 “사채권자가 담보권을 실행한 것을 반대매매라고 하진 않지만 대주주나 회사 입장에선 동일한 개념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며 “그런 의미로 썼으니 더 자세히 공시했다면 좋았겠지만 공시 위반까지 갈 만한 사안은 아니다”고 했다.회사 측은 박 대표가 최대주주 지위를 상실했지만 경영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내년 말까지 박 대표의 대표이사 임기가 보장돼 있기 때문이다. 또 박 대표와 경영진은 조속히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최대주주 지위를 되찾을 계획이다. 협상을 진행 중인 FI는 박 대표의 경영권이 유지될 것을 원하고 있으며, SI 두 곳은 공동 경영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적대적 인수합병(M&A) 위협에 대해서도 크게 우려하지 않고 있다. 박 대표는 “현 상황에서 외부세력이 최대주주를 자처하며 경영권 위협 시도가 나타날 가능성은 없다”며 “준비해오던 사업을 이끌어가면서 이른 시일 내 회사를 정상화해 그동안 주가가 하락하면서 고통받은 주주분들에게 피해를 보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다만 각종 오해를 불러일으켰던 지난달 30일 공시는 지난 1일 정정 공시를 실시했다. 최대주주 변경 사유를 기존 ‘반대매매’에서 ‘최대주주의 장내 매도 및 담보제공주식의 담보권 실행(반대매매)’로 바꾼 것이다. 사채와 관련된 공시를 제때 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는 박 대표가 관련 서류 제출이 늦어지면서 공시에 해당 내용이 누락됐다고 해명했다. 박 대표는 “(공시 누락 등에 대해) 늦었지만 법무팀을 구성해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엔케이맥스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법(첨생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영향으로 지난 2일 상한가에 도달했다.◇박상우 엔케이맥스 대표 약력△1969년 1월 출생△1996년 2월 고려대학교 경제학 학사△1996년~2000년 5월 삼성증권 애널리스트△2000년~2002년 두유웹 근무△2002년 1월 에이티젠 설립△2002년~현재 에이티젠(현 엔케이맥스) 대표이사△2015년 10월 에이티젠,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기술특례상장△2016년 1월 세포 치료제 사업을 위한 관계사 엔케이맥스 설립△2019년 6월 에이티젠, 엔케이맥스 흡수합병 후 엔케이맥스로 사명 변경
2024.02.04 I 김새미 기자
외국인·기관 ‘사자’에 2%↑…810선 복귀
  • [코스닥 마감]외국인·기관 ‘사자’에 2%↑…810선 복귀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 810선에 복귀했다. 종가 기준 3거래일 만의 복귀다. 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6.04포인트(2.01%) 오른 814.77에 거래를 마쳤다. 5거래일 만에 강세다. 지수는 개장 이후 점차 올라 장 초반 817.74까지 오른 뒤 소폭 하락한 뒤 810선대에 머무르는 흐름을 보였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14억원, 966억원 규모를 순매수하고 개인이 홀로 1533억원을 순매도했다. 프로그램별로는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2161억원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종이·목재(4.39%), 제약(3.11%), 운송장비·부품(2.67%), 유통(2.58%), 금융(2.57%) 종목이 상승했다. 이어 기계·장비(1.74%), 음식료·담배(1.73%), 일반전기전자(1.63%) 종목 등도 강세다. 반면 인터넷(-0.23%) 등은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부분 강세를 보였다. 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는 각각 0.44%, 2.81% 상승했고, HLB(028300)와 셀트리온제약(068760)도 8.17%와 3.57% 올랐다. 다만, LS머트리얼즈(417200)는 2.14% 하락했다. 한편, 지난 1일 상장 이후 큰 폭으로 올랐던 이닉스(452400)는 이날 역시 장 초반 큰 상승 폭을 보였으나 전 거래일보다 3200원(8.63%) 하락한 3만3900원에 마감했다. 이닉스는 상장 당일 공모가(1만4000원) 대비 165.0% 상승한 3만7100원에 거래를 마친 바 있다. 또 이달 상장폐지를 앞둔 가운데 정리매매에 들어간 크루셜텍(114120)은 전 거래일보다 9601원(88.49%) 하락한 1249원에 거래를 마쳤다. 상장 폐지일은 오는 15일로, 정리매매 기간은 이날부터 오는 14일까지 7거래일간 진행한다. 반면, 세포치료제 개발업체 엔케이맥스(182400)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에 전 거래일보다 660원(30%) 오른 2860원으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 거래량은 10억7631만주, 거래대금은 8조4667억원이었다. 1183개 종목이 올랐고, 386개 종목이 하락했다. 68개 종목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2024.02.02 I 박순엽 기자
코스닥, 외국인·기관 ‘사자’에 강세…810선대 웃돌아
  • 코스닥, 외국인·기관 ‘사자’에 강세…810선대 웃돌아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 810선대를 웃돌고 있다. 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50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09포인트(1.77%) 오른 812.90에 거래되고 있다. 지수는 개장 이후 점차 올라 장 초반 817.74까지 오른 뒤 소폭 하락해 810선대 초반에 머물고 있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19억원, 527억원 규모를 순매수하고 개인이 홀로 815억원을 순매도하고 있다. 지난 1일 상장한 이닉스(452400)는 전 거래일보다 700원(1.75%) 상승한 3만7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닉스는 코스닥 시장에 첫 상장한 전일 공모가(1만4000원) 대비 165.0% 상승한 3만7100원에 거래를 마쳤으며, 이날 역시 장 초반 16%대 상승 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 세포치료제 개발업체 엔케이맥스(182400)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국회 본회의 통과에 전 거래일보다 590원(26.82%) 오른 2805원에 거래 중이다. 이달 상장폐지를 앞둔 가운데 정리매매에 들어간 크루셜텍(114120)은 전 거래일보다 9851원(90.79%) 하락한 999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장 폐지일은 오는 15일로, 정리매매 기간은 이날부터 오는 14일까지 7거래일간 진행한다. 코스닥 시장에선 업종별로 종이·목재(4.31%), 운송장비·부품(2.97%), 제약(2.52%), 유통(2.47%) 종목이 상승하고 있다. 이어 음식료·담배(1.37%), 금속(1.25%) 종목 등도 강세다. 반면 운송(-0.22%) 등은 약세를 나타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부분 강세를 보였다. 에코프로(086520)와 HLB(028300)는 각각 0.94%, 6.93% 상승하고 있다. 셀트리온제약(068760)은 2.78%, 알테오젠(196170)은 5.46% 강세다. 반면 에코프로비엠(247540)은 0.22%, LS머트리얼즈(417200)는 0.61% 하락하고 있다.
2024.02.02 I 박순엽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