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고형암 시장 누빌 암 치료 백신 개발사 TOP4, 개발 현황은?
  • 고형암 시장 누빌 암 치료 백신 개발사 TOP4, 개발 현황은?
  • [이데일리 김진호 기자] 2028년을 전후로 고형암 시장을 두드릴 암 치료 백신 신약의 등장이 예고되고 있다. 글로벌 3상 이상 단계에 진입한 암 치료 백신 후보물질을 확보한 주요 기업은 총 4곳이다. 미국 모더나와 셀라스 라이프 사이언스(셀라스), 프랑스 OSE이뮤노테라퓨틱스, 독일 IO 바이오테크 등이 그 주인공이다. 국내에서는 애스톤사이언스가 이들을 뒤쫓기 위해 pDNA 기반 암 치료 백신 후보물질의 글로벌 임상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미국 모더나와 셀라스 라이프 사이언스(셀라스), 프랑스 OSE이뮤노테라퓨틱스, 독일 IO 바이오테크 등 4곳이 암 치료 백신 시장을 이끌 유력 후보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제공=게티이미지, 각사)암 치료 백신은 암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해당 암에 대한 항원을 투입해 면역시스템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의약품이다. 이는 곧 2~4기 이상 후기 난치암 환자에서 신체의 면역능력을 높여, 암의 재발을 막기 위한 용도로 쓰일 수 있는 셈이다. 각국의 기업들은 mRNA부터 펩타이드, pDNA 등 다양한 기술에 기반한 암 치료 백신 후보물질을 발굴해 개발하는 중이다.27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모더나를 비롯한 주요 암 치료 백신 개발사들은 2028년~2030년경 그 시장이 크게 형성될 것으로 예고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암 치료 백신 신약들이 이때부터 상용화 가도에 오를 수 있다는 얘기다.암 치료 백신 개발에 있어 가장 앞선 곳은 모더나와 셀라스, OSE이뮤노테라퓨틱스, IO바이오테크 등 4곳이다. 먼저 모더나는 지난해 8월 흑색종 환자를 대상으로 mRNA 기반 암 치료 백신 후보물질 ‘mRNA-4157’과 미국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등을 병용하는 임상 3상을 개시했다. 모더나에 따르면 mRNA-4157과 키트루다 병용요법의 임상 2b상에서 흑색종 환자의 사망 위험을 키트루다 단독요법 대비 65% 감소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더해 지난 4월 회사는 mRNA-4157과 키트루다의 두경부편평세포암 대상 임상 1상 중간 결과에서를 발표했다. 여기서 객관적 반응률이 27%대로 확인되면서 적응증 확대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셀라스가 개발 중인 펩타이드 기반 암 치료 백신 후보물질 ‘GALINPEPIMUT-S’(GPS)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ML) 대상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회사에 따르면 △2차 또는 3차 치료 단계에서 난소암 대상 키트루다와 GPS 병용요법 △악성 흉막 종피종(MPM) 대상 GPS 단독요법 등의 임상 2상을 완료했고, 난소암과 MPM 등 각 적응증 대상 GPS와 면역항암제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 병용요법도 임상 1상이 종료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다른 암 치료 백신 전문 OSE 이뮤노테라퓨틱스는 자체 발굴한 ‘테도피’에 대해 면역항암제 치료 전력이 있는 비소세포폐암 대상 글로벌 확증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 해당 물질의 탐색 임상에서 대조군 대비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사망 위험을 41%가량 낮춘 것으로 확인되면서 유력한 암 치료 백신 신약 후보물질로 떠올랐다 지난 2019년 종근당(185750)이 테도피의 국내 개발 및 판매 권리를 OSE이뮤노테라퓨틱스로부터 기술이전받은 바 있다.마지막 주자로 IO바이오엔테크는 자사의 ‘IO102-IO103’에 대해 흑색종(임상 3상) 및 전이성 비소세포폐암(임상 2상)등의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암 치료 백신 개발 업계 한 관계자는 “모더나와 같은 곳이 선제적으로 암 치료 백신 개발에 성공하는 선례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해당 분야에 대한 인식 제고와 투자 활성화가 이뤄진다면 후발주자들의 개발에도 훈풍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암종이 있기 때문에 후발주자도 개발에 성공하면, 시장성은 얼마든지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애스톤사이언스는 pDNA 기반 암 치료 백신 후보물질 AST-301에 대해 유방암 대상 글로벌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제공=애스톤사이언스)국내 기업 중 암 치료 백신 개발에서 가장 앞선 곳은 애스톤사이언스다. 회사는 pDNA 방식의 후보물질 3종(AST-301, AST-302, AST-201)과 펩타이드 방식 1종(AST-021p) 등 4종의 임상 단계 후보물질을 확보하고 있다. 애스톤사이언스에 따르면 △HER2 타깃용 AST-301(미국 및 호주 등 유방암 대상 글로벌 임상 2상 진행) △HER2와 IGFBP-2, IFG-IR 등 다중 타깃용 ‘AST-302’(미국 등 글로벌 1상 완료) △IGFBP2 타깃용 난소암 대상 ‘AST-201’(국내 1상 완료) △HSP90 타깃용 AST-021p(국내 임상 1상 완료) 등의 개발 절차를 밟고 있다. 특히 이중 AST-301은 pDNA 방식의 암 치료 백신 중 가장 빠른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한편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리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항암신 시장은 2022년 91억2000만달러(한화 약 12조4800억원)에서 2032년 269억8000만달러(36조9300억원)로 10년 새 약 3배 수준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다만 이 같은 항암백신 시장의 80~85%는 머크의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 ‘가다실’ 제품군을 필두로 하는 암 예방 백신 시장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앞서 언급한 암 치료 백신 후보물질들이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그 나머지 비율 만큼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24.05.29 I 김진호 기자
제넥신, 내년 中 출시할 ‘GX-H9’ 판매 마일스톤 최대 545억원?
  • [단독]제넥신, 내년 中 출시할 ‘GX-H9’ 판매 마일스톤 최대 545억원?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제넥신(095700)의 두 번째 상용화 신약으로 기대되는 지속형 소아 성장호르몬 치료제 ‘GX-H9’가 내년 중국에서 출시돼도 제넥신이 거둘수 있는 매출에는 한계가 있을 전망이다.제넥신 CI (사진=제넥신)28일 이데일리 취재 결과 GX-H9의 판매 마일스톤(Sales Milestone)은 최대 4000만달러(한화 약 545억원)인 것으로 확인됐다.판매 마일스톤은 시판에 돌입한 이후 매출 목표치를 달성했을 때마다 지급받는 금액이다. 따라서 GX-H9의 중국 매출이 일정한 규모를 넘지 않으면 판매 마일스톤을 수령하지 못할 수도 있다. GX-H9는 중국 시장 누적 매출의 10% 판매 마일스톤을 2회에 걸쳐 총 4000만달러를 받기로 계약돼 있다.앞서 제넥신이 중국 아이맵(I-Mab)과 2015년 1월 체결한 기술이전 계약에 로열티는 따로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로열티는 판매 마일스톤과 별개로 판매금액에 비례해서 지급받는 금액이다. 즉 내년부터 GX-H9의 중국 판매가 시작되더라도 제넥신에 들어올 매출은 최대 545억원으로 한정되는 셈이다.중국은 성장호르몬 시장이 2020년 기준 100만달러(약 13억원)에서 2030년 30억달러(약 4조원) 규모로 연평균 43%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이다. 제넥신은 중국 시장에서 약 20%의 점유율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러한 목표와 별개로 GX-H9의 중국 판매에 따른 제넥신의 매출 상한선이 설정돼 있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제넥신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판권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익 창출에 노력하겠다는 방침이다.GX-H9는 아이맵에 중국 판권만 넘긴 상태이기 때문에 제넥신이 다른 지역에서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GX-H9은 지난해 8월 중국 임상 3상 결과 1차 평가변수를 충족시켜 효능과 안전성을 모두 입증했다. 제넥신은 이러한 중국 임상데이터를 바탕으로 남미, 인도 등에 시판을 타진해볼 계획이다. 이를 위한 기술이전·판권 계약을 새로 체결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제넥신 관계자는 “그 다음 단계가 더 중요하다”면서 “중국의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아시아나 남미 지역에서 사업을 어떻게 진행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 여러 회사들과 (GX-H9의 판권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귀띔했다.한편 글로벌 의약품 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전 세계 성장호르몬 시장은 2021년 기준 50억달러(약 6조80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2024.05.29 I 김새미 기자
한올바이오파마, FcRn 계열 치료제 적응증 확대 기대…목표가↑-다올
  • 한올바이오파마, FcRn 계열 치료제 적응증 확대 기대…목표가↑-다올
  •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다올투자증권은 29일 한올바이오파마(009420)에 대해 Fc수용체(FcRn) 계열 치료제의 개념증명(PoC) 입증에 따른 적응증 확장 기조가 이어지고, 내년 상반기 갑상선안병증(TED) 3상 탑라인 발표가 주요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4만6000원에서 5만3000원으로 상향했다. 전날 종가는 3만4950원이다. 박종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올바이오파마와 아제넥스, 이뮤노바트 등을 포함한 FcRn 계열 치료제 개발사의 시가총액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는 FcRn의 신규 적응증 추가와 PoC 입증에 따른 전방 시장 확대”라며 “신규 적응증 개념 입증에 따라 시장성이 확대돼 주가가 상승한다”고 밝혔다.이달 FcRn 치료제의 진입 적응증은 총 23가지로, 올해 하반기 아제넥스의 류마톨로지(Rheumatology) 근염의 PoC 발표가 예정돼 있다. 존슨앤존슨(J&J)도 혈소판감소증(FNAIT)을 신규 적응증으로 추가했다. 아제넥스의 천포창 개발 중단으로 적응증 무한 확장 기대감이 일부 줄었지만 여전히 FnRn 계열 치료제의 적응증 확대가 다른 치료 대안 대비 가장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올바이오파마의 신규 후보물질인 IMVT-1402는 내년까지 4~5개 적응증 임상 등록을 예정 중이며, 2026년까지 10가 적응증을 추가할 것으로 전망했다.바토클리맙 올해 2분기와 3분기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신경병증(CIDP)에 대한 임상 2상 초기 데이터, 올해 하반기 중증근무력증(MG) 3상 탑라인, 내년 상반기 갑상선안병증 3상 탑라인 등의 발표를 예정 중이다. 아제넥스가 CIDP와 MG에 대해 긍정적 임상 결과를 발표하면서 TED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봤다.
2024.05.29 I 김응태 기자
변비 있다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 2배 높아져
  • [아는 것이 힘]변비 있다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 2배 높아져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장과 뇌 건강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이 관심을 끌고 있다. 장을 ‘제2의 뇌’라고 보는 ‘장뇌축(gut-brain axis)’ 이론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 균형이 깨지거나 장 건강이 악화되면 뇌 기능과 감정 상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장뇌축’ 이론은 장과 뇌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장내 미생물이 뇌와 장을 연결하는 신호 전달 역할을 한다는 이론이다. 장내 세균의 불균형은 염증과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신경전달물질의 생성과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우울, 불안, 인지기능저하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뇌신경 물질 중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세로토닌을 포함한 많은 것들이 장내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진다.‘저널 오브 어드밴스트 리서치(Journal of Advanced Research)’에 게재된 광주과학기술원(GIST),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의 기초-임상 융합연구에서는 장 운동성 저하와 알츠하이머병 사이의 인과관계가 규명됐다.알츠하이머 마우스 모델에 지사제의 일종인 ‘로페라미드’를 투여한 결과, 뇌 내의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과 뇌 내 면역세포가 유의미하게 증가했고 기억력 저하 등 병리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했다. 또한 약 313만명의 한국인과 약 438만명의 일본인에서 변비가 있는 환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알츠하이머병의 위험비가 한국 코호트에서는 2.04배, 일본 코호트에서는 2.82배 높은 경향을 확인했다.흔히 알고 있는 알츠하이머병은 원인 미상의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전체 치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두뇌의 수많은 신경세포가 서서히 쇠퇴하면서 뇌 조직이 소실되고 뇌가 위축되는 질환이다. 초기에는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점차 언어기능, 판단력 등 다른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된다.알츠하이머는 일반적으로 8 ~10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인지지능 저하뿐만 아니라 망상, 우울, 불안, 초조, 수면장애 등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치료도 중요하다. 말기 치매의 경우 신경학적 증상과 기타 신체적 합병증이 생겨 독립적인 생활이 불가능하며 대소변실금, 욕창, 폐렴, 요로감염증 등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세란병원 신경과 이은주 과장은 “변비가 있으면 치매 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는 우리 몸의 장과 뇌가 긴밀하게 상호작용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며 “장 운동을 느리게 하는 지사제를 복용한 실험쥐는 알츠하이머 환자 뇌에서 발견되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실제 환자들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장 운동 기능이 떨어지면 알츠하이머병이 악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며 “치매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인지 기능 장애가 서서히 일어나기 때문에 사전에 악화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4.05.29 I 이순용 기자
  • 인스메드, 폐질환 치료제 임상 3상 성공…주가 121%↑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희귀 폐질환 치료약을 개발하는 미국 제약사 인스메드(INSM)가 기관지 확장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발표하면서 28일(현지시간) 주가가 급등했다. 이날 오전 거래에서 인스메드의 주가는 121.09% 상승한 48.64달러를 기록했다.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인스메드는 기관지 확장증 치료 물질 브렌소카팁에 대한 테스트에서 각기 다른 두 가지 수준의 복용량 모두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기관지 확장증 환자의 폐 악화 비율 감소를 측정했다. 더 낮은 용량 수준에서 브렌소카팁 투약 환자의 연간 폐 악화 비율은 21.1% 감소했다. 더 높은 용량 수준에서의 감소율은 19.4%였다. 미국에서는 기관지 확장증에 대해 특별히 승인된 치료법이 없다.인스메드는 올해 4분기 브렌소카팁의 승인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요청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에서는 2025년 중반, 유럽과 일본에서는 2026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리사 베이코 에버코어ISI 애널리스트는 이 데이터가 인스메드를 위한 최상의 시나리오라고 밝혔다. 그는 이전거래일 종가 22달러 대비 3배에 달하는 66달러를 목표가로 제시했다. 리투 바랄 TD코웬 애널리스트는 “브렌소카팁에 대한 임상 결과가 두 가지 복용량 수준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했으며 두 결과 모두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 데이터가 미국과 유럽, 일본에서 브렌소카팁의 승인을 뒷받침하며 상당한 시장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4.05.28 I 정지나 기자
포스백스, 전라남도·화순군과 백신산업특구 활성화 업무협약
  • 포스백스, 전라남도·화순군과 백신산업특구 활성화 업무협약
  • [이데일리 김진수 기자] 고부가가치 예방 및 치료용 백신 개발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 포스백스는 28일 전라남도 도청에서 김영록 도지사 그리고 구복규 화순군수와 ‘전라남도 화순백신산업특구 활성화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왼쪽부터)구복규 화순군수,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홍진 포스백스 대표가 MOU 체결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포스백스)전라남도, 화순군, 포스백스의 업무협약서 체결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위한 민간기업의 투자유치 구체화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전라남도는 글로벌 백신면역치료 허브로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바이오산업을 수출 산업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포스백스는 올 하반기 임상 1상 시험 결과보고서 수령 예정인 사람유두종바이러스 9가 백신의 자국화 및 알츠하이머질환 백신과 치료용 항암백신 등 고부가가치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포스백스는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바이러스유사입자’(VLP)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지역내 바이오의약품 개발관련 민간 기업, 정부기관 그리고 대학의 연구소와 활발한 공동 협력 및 연구에 나설 예정이다. 또 이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생태계 조성자의 역할을 수행한다.플랫폼 기술 VLP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백신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탁월한 항원제시 능력을 활용한 치료용 백신과 유전물질·융합단백질·약물 등의 치료물질(Cargo)을 목표 세포에 전달하는 신규 전달체(Delivery Vehicle)로써 가능성을 보유한 플랫폼 기술로 백신산업특구 활성화 및 생태계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포스백스 관계자는 “V현재 전임상 단계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질환 백신의 경우 LP 플랫폼 기술의 확장성 중 하나인 ‘항원제시 능력’을 기반으로 BIO KOREA 2024에서 다수의 국내외 제약기업들에 큰 관심을 받았다”며 “구체적인 사업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어 그 확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2024.05.28 I 김진수 기자
인트론바이오, RT-PCR 기반 감보로병 진단키트 개발
  • 인트론바이오, RT-PCR 기반 감보로병 진단키트 개발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인트론바이오(048530)는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RT-PCR) 기의 전염성F낭병 진단키트 개발을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인트론바이오 CI (사진=인트론바이오)‘감보로병’으로 알려져 있는 전염성 F낭병은 닭에 감염 시 치사율이 30~100%에 달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높은 전염성과 급속한 전파가 특징이다. 국내에선 연간 약 2만3000여 건의 감보로병 검사가 진행된다. 감보로병은 현재 한천겔침강반응(AGP)이나 효소면역측정법 (ELISA)을 통해 검사가 진행되고 있으나 기술적으로 진보한 RT-PCR 기반의 검사 방식에 대한 수요가 있었다.인트론바이오가 개발한 진단키트 ‘IBDV Typing qRT-PCR Kit’는 단순히 감염 유무를 검사하는 기존 제품과 달리 백신주와 야외주를 감별해 유전자군 감별까지 가능하다. 인트론바이오는 해당 제품 성능에 대한 분석시험을 통해 우수한 유전자 감별 성능까지 확인했다.인트론바이오는 연내 검사제품의 보급과 함께 대량 판매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해당 진단키트는 모니터링 사업을 위해 연구용으로 판매되고 있다. 인트론바이오는 향후 데이터를 축적해 국내외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품목허가를 추진할 계획이다.설재구 인트론바이오 DR사업부 전무는 “인체진단 시장뿐만 아니라 산업동물 질병진단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감염성질병의 분자진단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진단 브랜드 ‘릴리프’(LiliF)의 경쟁력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05.28 I 김새미 기자
로킷헬스케어, 아시아태평양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 참가
  • 로킷헬스케어, 아시아태평양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 참가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장기재생 플랫폼 기업 로킷헬스케어는 다음 달 13일부터 4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22차 아시아태평양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APCN&KSN 2024)에 참가해 신장재생 플랫폼의 환자 치료 방법과 사업화 모델에 대해 소개한다고 28일 밝혔다.로킷헬스케어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신장재생을 위한 탈세포화·재세포화 기술’에 대한 우수 포스터상를 수상한다. 이번 행사에서 발표와 기술 소개를 통해 신장재생 플랫폼의 해외 임상 파트너 발굴도 추진하겠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아시아태평양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 2024에서 우수 포스터로 선정된 로킷헬스케어의 탈세포화·재세포화 기술. (사진=로킷헬스케어)로킷헬스케어는 인공지능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만성신부전(만성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신부전 치료 패치를 개발 중이다. 회사는 지난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장내과 이정표 교수, 서울아산병원 신·췌장이식외과 김영훈 교수와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의 ‘재생의료 연계기술개발’ 사업에 선정돼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로킷헬스케어는 장기를 탈세포화해 환자 세포를 활용해 재세포화 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회사는 탈세포화·재세포화 장기재생기 ‘Dr. INVIVO Niche Regen(닥터 인비보 니치 리젠)’을 자체 개발했다. 회사는 이에 따라 장기 재생이 이뤄지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하고 있다. 유석환 로킷헬스케어 대표는 “만성신부전 환자가 매년 증가하는 상황에서 자사의 신부전 패치 기술과 Dr. INVIVO Niche Regen에 적용된 탈세포화·재세포화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며 “다양한 기술 개발과 연구를 통해 만성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글로벌 장기재생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5.28 I 김소연 기자
췌장암과 간암 3기 환자, 회전형 중입자치료 시작
  • 췌장암과 간암 3기 환자, 회전형 중입자치료 시작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난치암으로 불리는 췌장암, 간암 치료에 중입자치료가 시작됐다.연세암병원은 28일 췌장암 3기 환자 김모씨(남 ·47세)를 대상으로 회전형 중입자치료기 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치료는 주 4회씩 총 12회로 3주간 진행된다.간암 3기 진단을 받은 이모씨(여 ·73세)도 같은 날 중입자치료를 시작했다. 총 4회 조사를 받는 이씨의 치료는 일주일 만에 끝난다.김씨는 2021년 췌장암 3기 진단을 받고 수술이 불가한 상태로 연세암병원에서 항암약물치료를 시작했다. 진단 당시 종양이 복부 혈관을 둘러싸고 있어 24차례 항암약물치료를 시행했으나 암이 더 진행됐다. 이어 스텐트를 삽입해 황달 증상을 조절한 뒤 약제를 바꿔 항암약물치료를 지속하던 중 중입자치료를 결정했다.췌장암의 5년 생존율은 10%에 불과하다. 하지만 일본 방사선의학 종합연구소(QST)에 따르면 병기가 진행돼 수술이 불가한 췌장암 환자의 경우 항암제와 중입자치료를 병행했을 때, 2년 국소제어율이 80%까지 향상됐다는 결과가 있다. 국소제어율은 치료받은 부위에서 암이 재발하지 않는 확률로 특정 부위(국소, 局所)를 타깃하는 중입자치료에 있어 치료 성적을 알 수 있는 주요 지표다. 중입자치료 후 2년 생존율이 56%라는 성적도 나오고 있어 우수한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2022년 간암 3기 판정을 받은 이씨는 수술을 받았지만 2023년 재발했다. 이후 수술을 한 번 더 받고 항암치료를 진행했으나 2024년 다시 재발했다는 소견을 듣고 면역항암제를 복용하던 중 중입자치료를 받기 위해 연세암병원을 찾았다.간암은 방사선치료가 까다롭다. 신경세포가 적은 탓에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해 발견이 늦어 애초에 병기가 많이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받는 데다, 간경화 등으로 간 기능이 저하돼 방사선으로 인한 간독성 위험이 크다. 중입자치료는 정상 세포는 피하고 암세포에만 고선량 방사선을 집중 타깃하는 특성으로 부작용은 줄이되 치료 효과는 높일 수 있다.일본 군마대학병원에서 중입자치료를 받은 간암 환자의 2년 국소제어율은 92.3%에 달했다. QST의 임상연구에서는 5년 국소제어율 81%를 기록했다. 특히 종양의 크기가 4cm 이상으로 큰 경우에도 2년 국소제어율이 86.7%였고, 2년 생존율은 68.3%로 높았다.중입자치료는 필요 시 항암치료 등 기존 치료와 함께 사용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췌장암, 간암과 같이 발견이 늦어 병기가 진행된 채로 진단돼 수술이 어려운 경우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항암치료 등으로 암 크기를 줄인 뒤 중입자치료를 이어가는 형식이다.연세암병원은 고정형치료기 1대와 회전형치료기 2대를 보유하고 있다. 치료기는 탄소입자의 조사 각도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뉜다. 수평으로 고정된 각도에서 조사하는 고정형치료기는 좌측과 우측에서 입자선을 조사하기에 적절한 전립선암을 대상으로 한다. 장기가 호흡과 중력에 따라 움직이고 주변에 다른 장기가 있어 다양한 각도로 조사해야 하는 췌장암, 간암, 폐암 등에는 회전형치료기를 사용한다.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한 회전형치료기는 치료기 안에 환자가 누우면 가장 적합한 각도로 치료기가 회전해 설계된 치료계획에 따라 암세포를 타격한다. 360도 어느 각도에서도 조사가 가능해짐에 따라 해부학적 위치에 맞게 정상 장기에 대한 보호와 종양에 대한 치료 정확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금웅섭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는 “췌장암과 간암은 주변에 정상 장기가 많고 발견이 늦는 경우가 잦아 수술이 어려운 상황이 많지만, 중입자치료는 이때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기존의 항암치료와 새로운 중입자치료의 조화를 잘 이뤄서 최고의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라고 말했다.금웅섭 교수와 의료진이 정확한 치료를 위해 중입자 치료장비를 조정하고 있다.
2024.05.28 I 이순용 기자
에스티팜-차백신연구소, RNA 면역치료제 공동개발…“2026년 임상 진입 목표”
  • 에스티팜-차백신연구소, RNA 면역치료제 공동개발…“2026년 임상 진입 목표”
  •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에스티팜(237690)은 차백신연구소(261780)와 ‘RNA 기반 면역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김경진 에스티팜 대표이사(오른쪽)와 염정선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왼쪽)가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에스티팜)에스티팜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김경진 에스티팜 대표, 염정선 차백신연구소 대표를 비롯한 양사 주요 임원들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mRNA 의약품의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이를 상업화하기 위한 공동개발을 진행한다. 두 회사는 2025년까지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타깃으로 계열 내 최초신약(First-in-class) 메신저리보핵산(mRNA) 의약품 후보물질을 공동으로 도출하고, 2026년에는 임상단계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에스티팜은 mRNA 핵심 플랫폼인 SmartCap®과 STLNP® 기술을 통해 비임상후보 물질을 개발할 예정이다. 차백신연구소는 이렇게 도출된 후보물질의 임상시험을 비롯한 모든 개발 과정을 담당한다. 치료제가 상업화가 될 경우 모든 권리는 차백신연구소가 보유하며, 에스티팜은 치료제의 독점 생산 및 공급권을 갖는다.에스티팜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RNA 기반 신약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자체 캡핑 기술과 LNP 약물 전달 기술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 임상용 의약품은 GMP 생산이 가능한 반월 캠퍼스의 mRNA 전용 생산동에서 생산하여 공급할 예정이다.차백신연구소는 독자개발한 면역증강 플랫폼인 ‘엘-팜포’(L-pampo™)와 ‘리포-팜’(Lipo-pam™)을 활용해 만성 B형간염, 대상포진 등 다양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백신의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면역항암제도 개발하고 있다. 차백신연구소는 인체의 면역반응에 관한 다양한 경험과 전문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본 협약인 RNA 기반 의약품 공동 개발에서 새로운 타깃을 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김경진 에스티팜 대표는 “에스티팜의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ADP(Asset Development Program) 전략을 국내기업으론 최초로 백신연구의 선두주자인 차백신연구소와 진행하게 되돼 기쁘다”며 “국내 RNA 기반 신약연구 및 개발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략적 협업과 공동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염정선 차백신연구소 대표는 “RNA 기반 신약연구분야에서 자체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에스티팜과의 협력을 통해서 차백신연구소는 새로운 분야로 나아갈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며 “현재 백신과 신약개발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mRNA 분야에서 차백신연구소만의 차별화된 타깃을 통해 신약개발 회사로 자리매김 하겠다”고 했다.
2024.05.28 I 나은경 기자
제넨셀 "담팔수 추출물 1형 단순포진바이러스 억제 효과 규명"
  • 제넨셀 "담팔수 추출물 1형 단순포진바이러스 억제 효과 규명"
  •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천연물 신약 개발사 제넨셀은 국내 자생 식물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추출물의 제1형 단순포진바이러스(HSV-1) 복제 억제 효과 및 작용기전을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제라닌의 1형 단순포진 바이러스 플라크 및 루시페레이스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제공= 제넨셀)이번 연구는 경희대 생명과학대 강세찬 교수팀이 성균관대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김형건 교수팀과 공동 진행했으며, 식물생명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플랜츠(Plants, Impact Factor 4.5)’ 최신호에 게재됐다. HSV-1 감염은 입 내부와 주변 피부, 그리고 생식기 부위의 발진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감염된 개인과의 구강 혹은 생식기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상대적으로 드물게 가까운 피부대 피부 접촉을 통해서도 전염이 가능하다.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담팔수에서 다양한 농도로 추출한 제라닌(Geraniin) 성분의 항 HSV-1 효과에 대해 세포 및 동물실험을 실시한 결과, 폐에서 바이러스 번식을 돕는 ‘ICP0’ 단백질의 발현을 획기적으로 저해하는 등 바이러스 복제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제라닌 성분은 바이러스 플라크 생성을 80% 감소시키며 중합효소 활성량에 비례하는 루시페레이스의 양도 약 60% 낮아진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는 치료뿐 아니라 예방이나 재발 방지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제넨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제라닌 기반 신소재가 신약 후보물질로서의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증명한 것으로, 현재 이를 이용해 임상시험 중인 대상포진 치료제의 높은 성공 가능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한편 제넨셀은 담팔수에서 추출한 제라닌 기반 소재 ‘ES16001’로 현재 대상포진 치료제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다.
2024.05.28 I 석지헌 기자
  • 고대안산병원,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연구비 53억 원 수주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병원장 권순영)이 중견급 우수 연구자를 지원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4년도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 과제에 선정돼 총 53억 원의 연구비를 수주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개인기초연구사업 중견업무’ 과제 선정 결과를 발표했으며, 안산병원은 7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이번 선정 결과에 따라 ▲영상의학과 서보경 교수(유방 관상피내암에 대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영상 기반의 위험계층화 고도화 플랫폼 구축) ▲소아청소년과 임형은 교수(고위험임신시 미세먼지 노출이 자손의 만성콩팥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및 SGL2 억제제 조기 투여 효과 연구) ▲신경과 정진만 교수(경두개직류자극을 적용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뇌영상, 임상, 치료 멀티모달 통합데이터 기반의 환자 중심 예후예측 인공지능 모델 개발) ▲산부인과 이경욱 교수(자궁내막 손상 난임 모델에서 3D 프린팅을 이용한 약물 2종 탑재-바이오스캐폴드의 자궁내막 재생 효과 연구) ▲영상의학과 배민선 교수(한국인 여성의 유방암 발생 위험도 예측을 위한 유방촬영술 기반 딥러닝 모델 개발과 평가: 다중유전자 위험도 검사와의 통합 연구) ▲정형외과 박지원 교수(영상-임상 데이터를 통합한 경추 척수증에 대한 치료 결정 지원 통합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신경과 김현진 교수(정량적 수면 미세구조 최적화를 통한 인지 및 정서기능 개선이 가능한 수면 인지행동치료 신기술 개발 연구) 등 7명은 3~5년간 최소 3.7억 원부터 최대 12억 원의 연구비를 각각 지원 받아 기초연구를 수행한다.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서 수주한 이번 연구들은 암, 임신, 뇌, 척추 질환 및 미세먼지 영향 등과 관련해 인공지능과 유전자 분석을 활용한 의학적 기초 연구들로,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미래 의료의 핵심 연구 주제로 꼽힌다.
2024.05.28 I 이순용 기자
삐아, ‘에딧비’ 선케어 3종 올리브영 온라인몰 입점
  • 삐아, ‘에딧비’ 선케어 3종 올리브영 온라인몰 입점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삐아(451250)(대표이사 박광춘)는 기초브랜드 에딧비 선케어 3종을 올리브영 온라인몰에 공식 입점한다고 28일 밝혔다.삐아의 에딧비는 알파 세대를 겨냥한 스킨케어 메이크업 브랜드다. 올리브영에 공식 입점하게 되는 제품은 에딧비 톤업, 시카, 노세범 선세럼 3종으로 순한 성분 배합과 여러 임상 시험을 통해 검증된 제품이다. 민감성 피부도 스킨케어하듯 쉽고 가볍게 바를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지수 SPF50+, PA++++ 등급의 자외선 차단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해당 제품은 동물성 원료를 배제한 비건 인증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성분도 배제시켰다. 패키지 또한 FCS 인증을 받은 종이와 콩기름 잉크를 사용하는 등 친환경 가치를 반영해 회사의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삐아 관계자는 “해당 선세럼은 실사용들로 하여금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제품 출시 3개월만에 올리브영 입점까지 제안받을 수 있게 됐다”며 “회사는 기존의 립, 아이 색조 포인트 메이크업 중심에서 베이스 메이크업 및 스킨케어까지 카테고리를 확장해 사업 보폭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박광춘 삐아 대표는 “에딧비의 선세럼 3종 제품이 모두 올리브영에 공식 입점하게 되면 회사의 핵심 제품인 색조 포인트 메이크업뿐만 아니라 스킨케어 메이크업까지 많은 소비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회사는 각 브랜드별 컨셉에 맞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적극적인 판로 확대로 더 높은 성장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2024.05.28 I 이정현 기자
압타바이오, ‘바이오USA’ 참가…기술수출 논의 진행
  • 압타바이오, ‘바이오USA’ 참가…기술수출 논의 진행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난치성 항암치료제 및 당뇨합병증 치료제 개발업체 압타바이오(293780)가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 참가한다고 28일 밝혔다. 압타바이오 CI (사진=압타바이오)‘바이오 USA’는 미국생명공학협회가 주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컨벤션 행사로 올해는 다음 달 3일부터 6일(현지시각)까지 4일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작년의 두 배 규모인 2만명 넘게 등록해 많은 기대를 받고 있으며, 주요 글로벌 빅파마를 포함해 국내외 유명 제약사 등이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파트너십을 모색할 예정이다. 압타바이오는 ‘아이수지낙시브’ APX-115 당뇨병성신증 치료제, 급성신손상치료제 와 암연관섬유아세포(CAF) Targeting 차세대 면역항암제, 차세대 황반변성 치료제(AB-19) 등 기술수출 논의를 적극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당뇨합병증 치료제인 당뇨병성신증 치료제는 올해 임상2b상 진입 예정인 파이프라인이다. 특히, 지난 임상2a상에서 중증 환자군에서 큰 효과가 입증된 만큼 2b상에서는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확대된 임상을 시행할 예정이다. 연관된 파이프라인인 조영제유발급성신손상 치료제는 당뇨병성신증 임상2상에서 확인된 1차 평가지표인 UPCR(Urine Protein Creatinine Ratio)이 현저히 개선된 것이 확인돼 글로벌 제약사들의 미팅 요청이 쇄도하고 있으며, 현재 다수의 제약사들과 미팅이 확정됐다는 게 압타바이오 측 설명이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신약 후보물질 AB-19는 면역항암제와 차세대 황반변성 치료제를 개발중인 파이프라인이다. 신약 후보물질 AB-19는 면역항암제 동물실험에서 단독 및 병용 투약군 모두에서 키트루다 등 기존 면역항암제 PD-1 억제제 투약군보다 종양 크기가 확연히 감소한 것이 확인됐다. 최근 미국 특허 등록으로 상업화 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면역항암제 및 황반변성 치료제의 세계적인 치료제인 키트루다, 아일리아 등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연이은 특허 만료로 바이오시밀러의 시장진입이 다가오고 있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글로벌 제약사들은 블록버스터 의약품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많은 투자와 병용 연구를 지속하기 위해 새로운 파트너사를 물색하고 있다. 압타바이오 관계자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병용 연구를 위한 신규 파트너사와 적극적으로 미팅에 나서는 만큼 압타바이오의 기술력을 충분히 입증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4.05.28 I 박순엽 기자
신신제약, 세계 최초 경피형 불면증 치료제 개발 본격화…"임상 1상 IND 승인"
  • 신신제약, 세계 최초 경피형 불면증 치료제 개발 본격화…"임상 1상 IND 승인"
  •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신신제약(002800)이 세계 최초 경피형 불면증 치료제 임상시험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신신제약CI. (이미지=신신제약)신신제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불면증 치료제 ‘SS-262’에 대한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8일 밝혔다. SS-262는 경피 약물전달 체계(TDDS)을 적용해 기존 주사제 및 경구형 제제 대비 환자의 복약 편의성이 극대화된 것이 특징이다. 신신제약은 약물 흡수율 증대 및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자체 기술을 기반으로 약물 전달 효과를 향상시켰다. 임상 1상 시험은 건강한 성인 26명을 대상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신신제약은 SS-262와 대조약 간의 약동학적 특성 및 안전성을 비교평가할 계획이다. 임상시험실시기관은 서울효천의료재단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이다.신신제약은 지난 2021년부터 국책과제를 통해 SS-262를 개발 중이다. 신신제약은 해당 과제를 통해 동물실험과 비임상을 진행했다. 신신제약은 연구개발 과정에서 총 3건의 국내외 특허 등록을 통해 기술적 진입장벽 구축도 마쳤다.신신제약 관계자는 “불면증 치료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미국,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 특허를 출원·등록하면서 기술을 고도화했기 때문에 SS-262의 국내 임상 시험도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불면증 치료제에 대한 수출 허가도 획득한 상황으로 SS-262 상용화 시 빠른 글로벌향 매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SS-262은 투약 시 혈중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돼 기존 치료제 대비 환자의 복약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며 “미국 불면증 치료제 시장 규모는 지난 2019년 이미 1조원을 넘어설 정도로 주목받고 있어 관련 분야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2024.05.28 I 신민준 기자
멥스젠, 바이오 USA 2024 참석... ‘프로멥스·나노칼리버’ 해외 공략 본격화
  • 멥스젠, 바이오 USA 2024 참석... ‘프로멥스·나노칼리버’ 해외 공략 본격화
  • 멥스젠은 내달 3일~6일 사이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바이오 USA 2024’에서 장기 조직 배양 장비 ‘프로멥스’(ProMEPS)와 나노입자 제조 장비 ‘나노칼리버’(NanoCalivur) 등의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제공=멥스젠)[이데일리 김진호 기자]멥스젠은 내달 3일부터 6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바이오 인터네셔널 컨벤션 2024(바이오 USA 2024)’ 참석한다고 28일 밝혔다.멥스젠은 인간의 주요 장기 내 세포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모사한 미세생리시스템(MPS)과 다양한 종류의 나노 약물 전달체를 고효율 및 고수율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바이오텍이다. 특히 회사는 MPS의 일종인 생체조직칩과 오가노이드 칩 등을 상용화하기 위한 절차를 빠르게 밟은 것으로 알려졌다.이번 바이오 USA 2024 내 한국관 부스에서 멥스젠은 세계 최초로 출시한 장기 조직 배양 자동화 장비 ‘프로멥스’(ProMEPS)와 올 중순 출시 예정인 나노입자 제조 장비 나노칼리버(NanoCalibur)를 미리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프로멥스는 3차원(3D) 장기 조직 모델링을 위한 세포 주입, 세포 배양, 관류 형성 등 조직 장벽 배양을 위한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하고 완성된 조직의 품질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또 나노칼리버는 ‘메신저리보핵산’(mRNA)과 ‘안티센스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ASO) 등의 치료제 후보물질을 효과적으로 나노입자에 봉입하는 나노입자 제조 자동화 장비다. 회사는 오는 7월 중 나노칼리버의 연구용 모델을, 연내에는 상업용 제조에 쓸 수 있는 GMP(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김용태 멥스젠 대표는 “프로멥스는 효율적 신약개발을 위해 동물실험 의존도를 줄이고자 하는 제약바이오사 및 임상시험수탁기관(CRO) 등이 진행하는 신약개발 과정에서 쓰일 것”이라며 “나노칼리버는 나노입자 약물 전달에 대한 수요가 큰 mRNA 등 나노의약품 시장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2024.05.28 I 김진호 기자
크레오에스지, UN 산하 국제기구와 협력…"백신 개발 가속화"
  • 크레오에스지, UN 산하 국제기구와 협력…"백신 개발 가속화"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크레오에스지(040350)는 자회사 이뮤노백스바이오가 자체 개발한 ‘범용 백신 및 신약 개발 플랫폼(SUV-MAP)’을 중심으로 ‘국제백신연구소(IVI)’와 협력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이뮤노백스바이오는 IVI와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백신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상용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IVI는 UN 산하 국제기구로 전 세계에서 유행하고 있는 감염성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 ‘빌 게이츠’ 재단으로부터 지원받고 있으며, 세계 각국 및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회사는 IVI와 협력 시 글로벌 임상과 허가 절차 진행에 강력한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이뮤노백스바이오는 지난 2018년부터 IVI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다양한 백신 개발을 위해 협력해오고 있다. 앞서 양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공동으로 백신 개발을 진행한 바 있으며, 지난 2020년에는 IVI와 코로나19 백신 전임상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이뮤노백스바이오는 SUV-MAP를 중심으로 IVI와의 백신 공동 개발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SUV-MAP는 재조합 VSV 기술이 적용돼 백신의 안전성과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팬데믹 발생 후 5개월만에 후보 물질을 확정할 수 있다. IVI가 보유한 인프라와 SUV-MAP과의 시너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백신의 신속한 개발이 가능하리라 회사는 전망했다.회사 관계자는 “이뮤노백스바이오는 다양한 백신 개발 국책과제를 IVI와 함께 진행 중으로 향후에도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라며 “IVI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지카, 메르스, SFTS 백신 등에서 예방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백신에 적용 가능한 SUV-MAP을 론칭해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신규 감염병 바이러스가 더 빠르고 다양하게 변이하며 이에 대응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며 “최근 론칭한 SUV-MAP을 적용하면 신속하게 백신 후보물질을 발굴할 수 있어 IVI와의 시너지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024.05.28 I 김소연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