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263건

  • <전문>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장 총재 회담 성명
  • [이데일리 김유정기자] G-20 `Accord for Sustained Growth:' Full Text of StatementCentral bankers and finance ministers from the Group of 20 released the following statement after a two-day meeting in Melbourne. We, the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of the G-20, have adopted the reform agenda below that translates our G-20 Accord for Sustained Growth into concrete policy measures for our countries. The United States continues to build on the growth-enhancing policy actions of the recent past and has new proposals to raise growth prospects. Lowering marginal rates and reducing the bias against capital formation in the tax code has been key. Fostering more open foreign trade and investment,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developing more confidence in corporations through improved corporate governance standards, and establishing more confidence in retirement security have alsohelped growth prospects, while maintaining price stability. A new dialogue with China and the American Competitiveness Initiative are two areas with promise for future economic growth. Canada is focused on promoting a more competitive and productive economy. It is committed to sound monetary policy, debt reduction and tighter spending control, and to strengthening government framework policies and Canada's economic union, promoting a competitive and efficient tax system, and making effective government investments in key drivers of growth such as education, infrastruc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Brazil will continue to ensure macroeconomic stability, implement further microeconomic reforms, increase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deepen domestic financial markets. In Mexico, significant accomplishments were made during President Fox's administration (2000-2006) on budget and fiscal responsibility, securities market, credit and savings and economic competition. Pending areas remain the pension system forpublic sector employees, labor market, corporate governance of state-owned enterprises and fiscal reform. Europe Members of the European Union will pursue further structural reforms, which are coordinated as part of the Lisbon strategy. At the level of EU member states, such reforms focus on raising potential growth and increasing employment through enhanced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mpetitiveness and innovation. They include product market liberalization, growing financial market integration, more flexible labor markets that maintain employment security, support for entrepreneurship,lighter regulation and actions to boost R&D. At the EU level, important progress is also being made. In particular, freeing up the cross-border provision of services is expected to boost competitiveness. The final adoption of the Services Directive is expected by the end of 2006. Germany Germany remains committed to continuing the reforms already begun to consolidate state finances and to enhance the foundations for growth and employment. The structural deficits of all levels of government will be reduced by a comprehensiveconsolidation package. Framework conditions for investment and innovation are being improved by structural reforms in corporate taxation, th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costs and the new high-tech strategy. Other structural reforms, such as increasing theretirement age or measures to promote improvements in health care or in the basic allowance for job-seekers, will help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The reform priority for France will be to focus on further enhancing job creation, by delivering a fairer tax system that facilitates the transition from welfare into work, andeliminating social contributions at low salary levels for small firms. France is also committed to achieving fiscal balance in the medium-term by meeting constant real spending targets and reducing its public debt. In addition, higher private sector investmen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will be promoted. Recent pension and health care reforms have also delivered major results, and further improvements arealso underway. Italy To raise productivity and employment, Italy plan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simplify the regulatory environment, foster framework conditions conducive to enhanced competition and private investment and reduce the restrictions that hamper competition in the product market. The United Kingdom is committed to entrenching stability and to building a flexible, enterprising economy with a highly-skilled, high-productivity workforce and a strong science and innovation sector. It is determined to ensure fairness alongside flexibility, providing security and support for those that need it. It is also delivering lasting improvements in public services through sustained investment and reform. Russia The Russian Federation will concentrate on improving human well-being and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its social policy through further reforms of public health and education systems. Russia will also focus on developing infrastructure, stimulatinginnovations, supporting manufactured export and attracting foreign investment. Civil service and administrative reforms will be continued. Turkey will undertake reform of public finances, including restructur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broadening the tax base, as well improving the regulation and supervision of the financial sector. In South Africa, the government is committed to a number of interventions, given the fiscal space created on the basis of sound public finances over the last decade. The basis of the reforms will be done under the framework of the Accelerated and Shared Growth Initiative for SA, which focuses on increasing public investment; enhancing the efficiency of parastatal firms; skills development; improving public service delivery; expand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reducing the interest cost of governmentdebt; and reforming tax policy and administration. Saudi Arabia Saudi Arabia places high priority on diversifying the economy, reducing dependence on oil, enhancing the investment-friendly environment, maintaining monetary and financialstability and expanding employment opportunitie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ide-ranging economic and structural reforms have been undertaken, including ncouragement of the private sector, further strengthening and expansion of the financial system and labor market reforms. In India, the objective of the reform program is to achieve sustained higher growth along with social equity and inclusiveness. The government is also alive to the fact that growth can be constrained by inadequate infrastructure. It is, accordingly, the endeavor to provide quality roads, railways, ports, airports,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to the industry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The objective of fiscal policy is to achieve fiscal consolidation and ensure elimination of the revenue deficit by the end of fiscal year 2008-09. This process will be revenue-led and will involve rationalizing the taxstructure and improving the tax GDP ratio. In addition, India's financial sector is being gradually reformed within a well-defined road map to improve the quality of financial services and upgrading credit delivery systems. Indonesia Indonesia will focus on fiscal consolidation and transparency, while continuing to strengthen its public debt management. It will give a high priority to enhancing privatesector involvement in the economy through credible and fair policy and risk-sharing frameworks and creating a better investment climate, namely by removing infrastructure constraints, introducing a public-private partnership scheme by improving regulatory frameworks and financing sources, and maintaining monetary and financial stability. It is also committed to enhanc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mpoweringthe people and reducing poverty. Japan will continue its reform agenda that includes measures to promote further reform of the financial system, to advance privatization, such as in postal services, and to address more vigorously the problem of fiscal sustainability. Korea, China Korea will continue to closely monitor macroeconomic developments in order to address in a timely manner the dual economic risks of slower growth and recent housing price rise. Economic policy will focus on raising Korea's growth potential through structural reforms. Key among these are the continued developments of the financial system by deregulating capital markets and steps to enhance productivity in the services sector. Korea will also continue to address large expenditure pressures from population aging by tackling health care and pension related problems. Economic reform in China aims at establishing and improving the modern enterprise system, setting up a pricing system in reflection of market demand and supply and the scarcity of resources, allowing market forces to play a bigger role in resource allocation in a bid to increase allocation efficiency, thus further developing the market economy. The reform also targets at coordinated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socialharmony that enables every citizen to share the benefits of reform and development. At the current stage, priorities include: accelerating the reform of state-owned shares in large SOEs; speeding up comprehensive rural reform; deepening fiscal, tax, investment and pricing reforms; pressing ahead with the social security system reform; and further improving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Australia is committed to improving nation-wide efficiency in the provision of water, transport, and electricity; improving health services and skills recognition; reducing the regulatory burden on Australian business; simplifying superannuation taxation; facilitating the transition from welfare to work; and establishing a national workplace relations system. Australia will also maintain its strong record of macroeconomic managementthrough the ongoing operation of medium-term fiscal and monetary policy frameworks.
2006.11.19 I 김유정 기자
  • (마이클 브린의 서울Insight)누가 한국을 알아주랴
  • [이데일리 마이클브린 칼럼니스트] 한국을 처음 방문하는 외국인 사업가들은 누구나 한국의 발전상에 혀를 내두른다. 일전에 한 아일랜드인은 나에게 "난 한국이 제3세계쯤 되는 나라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놀라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국인들은 그런 평가를 자랑스럽게 여겨왔다. 기대 이상이라는 평가는 분명 기분 좋은 일이다. 하지만 한국은 이미 선진국의 대열에 이른 나라이다. 시험을 잘 치른 학생들처럼 머리를 토닥이며 칭찬해주길 기대할 필요는 더 이상 없지 않을까.한국은 경제 규모 세계 제 12위를 자랑하는 나라이다. 세계적으로 인정 받아 마땅한데, 막상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다. 한국을 바라보는 세계의 눈길은 한국의 실제 위상에 미치지 못한다. 이 괴리는 수십억 달러를 들여서라도 반드시 좁혀야 한다.한국의 주식시장은 40% 이상이 해외의 투자자들로 이뤄져 있다. 삼성전자, 하나은행, KT&G 와 같은 우량 기업의 지분 상당수를 외국인들이 쥐고 있다. 갑작스레 그 자금들이 빠져나간다면 재앙이나 다름 없는 사태가 벌어질 것이다. 또 한국에는 더 많은 직간접 투자의 기회들이 잠자고 있다. 이들이 아직 깨어나지 못한 건 그만큼 한국이 투자자들에게 알려지지 못한 때문이다. 하지만 위상의 차이를 줄이는 건 어려운 일이다.한국이 인지도 면에서 떨어지고 이미지가 좋지 않다는 것을 정부는 이미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다. 이에 인베스트 코리아(Invest Kore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많은 정부기관들이 산업자원부의 지원 아래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기관들이 자신의 전문영역을 벗어난 외부의 문제까지 해결해주리라 기대하는 건 무리이다. 이는 사실 대통령의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이다. 큰 틀에서 윤곽을 잡아주고 일관적인 지침과 함께 실무진을 조율해주는 역할이 필요하다. 대통령은 한국의 CEO로서 전체 업무 약 삼분의 일에 해당하는 시간을 국가 홍보에 나서야 한다. 투자자들에게 한국을 알리고 국가적 평판을 관리하는 데 시간을 들여야 한다. 해외순방은 곧 투자유치를 위한 로드쇼로 여겨져야 한다. 대통령의 발언은 해외의 투자자들에게 어떤 감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인가 하는 관점에서 짚어져야 한다. 대통령이 집행하고 추진하는 모든 정책 역시 투자 유치의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북한 핵실험사태 이후 금강산 여행을 지속하는 결정에서 전시작전통수권의 환수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책은 투자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대통령은 또한 산업자원부, 재정경제부, 외교통상부 등의 정부기관을 도와 관계부처가 원활하게 조율되어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힘써야 하는 것이다. 대통령은 이 같은 프로모션을 꾸준하고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 북한핵실험 사태와 같은 위기상황에서만 앞에 나설 일이 아닌 것이다. 한국을 프로모션하기에는 또 다른 어려움이 남아있다. 외국의 옵서버들은 한국이 자국을 설명하는 일에 능숙하지 못하다고 지적한다. 논쟁이나 토론에 좀처럼 끼어들지 않으려는 전반적인 습성 때문인 것 같다. 그러나 한국은 이에 꼭 뛰어들어야 한다. 한국의 미래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마이클 브린(인사이트 커뮤니케이션즈 컨설턴츠 대표이사) <영어원문> PROMOTING KOREAForeign business people visiting Korea for the first time always express surprise at how developed the country is. "I was expecting the Third World," one Irish visitor once said to me. "But this place is amazing."Such comments used to make Koreans proud. It is nice to be discovered to be better than people expected. But Korea is an advanced country and doesn’t need to be patted on the head by other advanced countries as if it has passed a middle school exam.The world’s 12th largest economy should be well known. But it isn’t. There is a gap between what’s real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verseas. Closing that gap is a multi-billion dollar necessity for Korea. Over 40 percent of the Stock Market is foreign. Many of the best known companies(Samsung Electronics, Hana Bank, KT&G) are majority foreign-owned. If that money were to be withdrawn in a panic, it would be a catastroph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ot more potential investment, both direct and indirect, that is not here because those investors don’t know anything about Korea. But closing the gap is difficult.The government has known for several years that the country has low awareness and bad image problems. Various agencies do their part. Invest Korea and KOTRA under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are active attrac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Ministry of Finance & Economy addresses the indirect investment community. But they cannot be expected to solve problems that lie outside of their area of expertise.This is, in fact, a problem that calls for presidential attention. It requires guidance from the top and consistency and coordination in the working-level execution. Put another way, the President, as CEO of Korea Inc. needs to be spending one third of his time on Investor Relations and Reputation Management. His overseas tours need to be considered as Investor Relations roadshows. His comments need to be considered for the effect they will have on sentiment about Korea. Every program he pushes or decision he makes, from continuing the Kumgangsan Tours in the face of North Korea’s nuclear test to requesting the return of wartime control from the U.S. military, needs to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national I.R. part of his job description.He should also support the work of MOCIE, MOFE, MOFAT and other agencies concerned with the national image by making sure that there is some measure of coordination. And he also needs to make sure that the efforts to promote Korea are consistent - rather than just occasional responses to crises, such as the North Korea nuclear test.There is another aspect to this effort by Korea that is more difficult to get right. Foreign observers often note that Korea does not explain itself very well. There is a reluctance in Korea to engage in the battle of ideas. But this is a battle Korea must engage in. Its future depends on it.By Michael Breen(The president of Insight Communications Consultants)
  • (달러/원 CME 상장)②은행들도 거래 준비에 `박차`
  • [이데일리 황은재기자] 달러/원 선물·옵션 시카고상업거래소(CME)&nbsp;상장에 맞춰 시장조성자(Market Making) 역을 맡은 국내은행과 외국계은행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거래를 위한 인프라 구축 뿐만 아니라 상장 이후 유동성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에&nbsp;고심하고 있다.&nbsp;상장이 되더라도 거래 활성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자칫하면 지난달&nbsp;27일에 상장된&nbsp;위안화 선물·옵션처럼 형태만 남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은행들이&nbsp;달러/원 CME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nbsp;NDF보다 CME 선물의&nbsp;접근도가 더 높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nbsp;역외 장외상품인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의 경우 신용도가 높은 일부 은행들만 참여할 수 있지만 CME 달러/원 상품의 경우 역외 장내 상품으로 신용도가 낮은 은행 등의 기관을 비롯해 기업과&nbsp;개인까지 참여가 가능하다. ◇ CME 거래 준비 `이상무` 시장조성자 역할을 맡은 은행들은 "CME 상장에 맞춰 담당자를 선정했고 거래를 위한 준비를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다"며 "상장에 맞춰 차질없는 준비를 하겠다"고 진행상황을 밝혔다. 초기 시장조성자 기능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nbsp;국내은행으로는 신한은행, 우리은행, 산업은행이,&nbsp;외국계 투자은행 가운데는 도이체방크, 깔리옹은행 등으로 알려졌다. 시장조성자는 유동성공급자 역할 외에도 스페셜리스트, 호가 제시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시장조성역할을 담당할&nbsp;것으로 예정된&nbsp;한 국내은행 관계자는 "달러/원 거래를 담당하는 외환딜러와 FX스왑 딜러가 CME 달러/원 상품 담당 딜러 역할을 할 예정"이라며 "이와 관련한 기자재 설치와 내부 준비가 완료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은행들도 기존 선물거래와 거래 방식이 같아 주문시스템 설치 및 담당자 선정으로 간편한 준비를 하고 있다. ◇`첫술에 배부르랴` 시장조성역을 담당할 은행들에게 충분한 유동성 확보 가능성에 대해 묻자&nbsp;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초기 시장의 유동성 확보가 시장조성자들의 역할에 달려있음을 생각하면 다소 의외다. 그들의 전망은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는 것. NDF 시장에 익숙해져있고 증권선물거래소(KRX)에 상장된 달러/원 선물 역시 거래량이 적기 때문에 CME도 초기에는 고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nbsp;은행들은&nbsp;환헤지 수요를 CME 상품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는 눈치다.&nbsp;&nbsp;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달러/원 스팟(현물) 거래와 스왑부분의 헤지 수요를 CME 상품으로 할 계획"이라며 "시장조성자의 경우 수수료 부담이 다른 참가자들의 비해 낮을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헤지 수요가 늘어나면서&nbsp;유동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면 기존 NDF 거래 수요가 이동하면서 참가자들의 수요 역시 크게 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용태 삼성선물 리서치팀 부장은 "초기 유동성 문제만 해결된다면 헤지 목적의 거래는 NDF보다 접근이 쉬워 CME로 유입될 가능성이 많다"며 "CME 선물이 만기 결제시 현금 결제 방식이 아닌 현물 인수도 방식으로 전환될 경우 NDF 시장이 더욱 위축될 것"이라고 했다. 장내 상품이기 때문에 기업이나 개인들까지도 참여가 가능해 거래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nbsp;CME 측도 우리나라의 무역규모 등을 고려할 때 활성화 가능성이 높다는긍정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장밋빛 전망에 그칠 수도그러나&nbsp;이같은 기대와 달리&nbsp;장밋빛 전망에 그칠 가능성도 높다.&nbsp;초기 거래를 유도하는&nbsp;헤지 수요에만 기댈 수 없기 때문. 시중은행 외환업무 관계자는 "외국계투자은행들의 경우 500~1000만달러 단위로 큰 물량이 많은데 이 주문을 받아줄 수 있는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을지 사실은 의문이다"고 지적했다.&nbsp;그는 "국내은행들이 시장조성을 하면서 당장 거래 단위를 키울 수 없겠지만&nbsp;홍보와 마케팅을 통해 기업 등 다양한 참가자를 통해 규모의 거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만기 정산시 원화 결제를 가능케 해 국내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것,&nbsp;변동성이 줄어들 경우 적절한 증거금 조정을 통해 투기 거래자들의 수요를 투기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nbsp;외환자유화와 함께 장기적으로는 해외 투자자들의 국내 투자를 늘려 달러/원 상품에 대한 투자 규모를 늘릴 필요도 있다. 김용태 부장은 "한국이 세계10대 무역국으로 수요가 많을 것으로 CME는&nbsp;기대하고&nbsp;있지만 이를 위해서는&nbsp;CME 스스로도&nbsp;일반 기업 및 개인 시장 활성화를 통한 시장 저변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006.09.14 I 황은재 기자
(ELW, 투자의 새 코드)⑧"거래소는 판매채널"
  • (ELW, 투자의 새 코드)⑧"거래소는 판매채널"
  • ▲ 클레멘스 로이터 SWX 상품서비스관리본부장[스위스 쮜리히=이데일리 배장호기자] 세계적인 명품 매장들과 글로벌 은행들이 고풍스런 유럽식 건물 속에서 한데 어우러져 있는 스위스 쮜리히 중앙역 거리(Bahnhof strasse). 이 거리를 살짝 벗어난 지점에 스위스 금융거래의 중심 역할을 하는 스위스거래소(SWX)가 위치해 있다. 역사와 첨단이 공존하는 이 도시에서 현대적 시설과 구조를 갖춘 SWX 건물은 스위스 금융의 현재의 미래의 발전상을 짐작케 할 만큼 당당한 위용을 과시하고 있었다. SWX는 스위스거래소 뿐만 아니라 독일, 스웨덴 등 유럽 주요국의 주식시장과 파생상품시장 5~6곳을 거느린 종합그룹의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이 거래소에서 ELW를 비롯한 파상생품 거래를 책임지는 클레멘스 로이터(Clemens Reuter·사진) 상품서비스관리본부장을 만났다. -파생상품 거래에 있어 스위스거래소(SWX)의 역할은 ▲스위스거래소는 파생상품이 거래되는 단순한 시장(Marketplace)를 넘어 다양한 상품들을 수많은 투자자들의 니즈(needs)에 맞게 전달해 주는 판매채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또한 거래소는 시장의 거래 체결에 머물지 않고 내부 계산 시스템에 의해 거래 공정가를 계산하고 이를 실제 가격과 비교해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돕고 있다. -공정가 산출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거래소가 공정가를 산출함으로써 투자자들이 잘못된 가격 정보를 근거로 실수 거래할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거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시장 조성(market making) 기능이 중요한데 거래소가 생산하는 공정가 정보는 발행자의 시장 조성 기능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8000개가 넘는 파생상품을 단순 거래 연결을 넘어 공정가격까지 산출하려면 강력한 시스템이 필요할 것 같다. ▲그렇다. 원활한 파생상품 거래를 위해서는 강력한 전산 인프라는 필수적이다. 스위스거래소는 지난해 11월에 'Quotematch'라는 강력한 성능의 거래 플랫폼을 도입해 수많은 파생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됐다. 이 시스템 도입 후 거래소를 통한 파생상품 거래 규모 성장은 한층 가속도를 내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은 파생상품 거래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고 있다. 현재 스위스거래소에서는 ELW 발행 은행들은 굳이 복잡한 신고 서류 작성 등을 거치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ELW 종목 상장이 가능하다. 웹상에서 상품을 상장하면 바로 다음날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발행자와 투자자들로서는 필요한 상품을 적기에 만들고 매매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상장종목수가 이 정도로 많으면 특색있는 다양한 구조의 상품들이 많을 것 같은데.. ▲많은 종목을 상장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유동성을 풍부하게 확보하는 것이다. 유동성은 복잡한 상품구조보다는 단순한 구조에서 더 용이하게 확보된다. 실제로 스위스거래소에 상장된 종목을 보면 상대적으로 구조가 단순한 ELW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상장된 ELW도 대부분은 단순한 플레인 바닐라(plain vanilla) 구조다. -ELW 발행으로 인해 개별 현물주식이나 현물시장이 영향을 받는 경우는 없었나 ▲그런 적은 없었다. 대부분 발행자들이 ELW의 기초자산으로 지수와 같은 유동성이 풍부한 것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ELW의 기초자산으로 SMI(스위스시장지수), DAX(독일시장지수), 니케이225 등 주요 시장 인덱스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ELW의 기초자산에 대해 어떤 특별한 제한을 둔건가? ▲ELW의 기초자산에 대해 제한을 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발행자들 스스로 기초자산의 유동성을 고려해 상품을 발행한다. 만약 ELW가 현물시장에 영향을 미칠 상황이 된다면 발행자가 감마트레이딩이나 델타 헤징시 스스로 위험을 통제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물론 일정 범위 이상으로 가격이 변동할 경우에는 거래 제한 등 시장 붕괴를 막기 위한 장치도 마련돼 있다. -대부분 국가들의 ELW 거래 결제 방식이 현금결제인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도 현금 결제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ELW 거래 역사가 오래된 스위스는 여전히 실물 결제를 고수하고 있다.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가 ▲발행 은행들이 실물 결제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ELW 발행 은행들은 발행 ELW의 기초자산인 주식을 상당 규모로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물 결제시에는 현금 결제시에 드는 증거금 등에 대한 절차나 비용이 수반되지 않는 잇점이 있다. 다만 상품 구조에 따라서는 현금 결제도 가능하다. 가령 여러 종목으로 구성된 바스켓이 기초자산인 경우에는 현금 결제가 보다 용이할 것이다.▲ 스위스 자본시장의 심장부 SWX(Swiss Exchange) 건물 출입구 전경
2006.09.11 I 배장호 기자
  • (edaily리포트)누굴 위한 채권거래 장내화인지?
  • [이데일리 황은재기자] 채권시장의 장내 거래 추진에 대한 시장과 관계당국의 불협화음이 하루 이틀이 아닙니다. 이를 지켜보는 채권시장 담당기자에게도 적지않은 숙제입니다. 시장의 생각을 모아가는 입장이기에 어느 한쪽 편을 들기도 어렵습니다. 그러나 관계당국이 채권거래 시스템에 대해 편협한 시각으로 보고 있는게 아닌지 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채권시장의 장내화 문제에 대해 채권외환팀의 황은재 기자가 전합니다. 우리나라 채권시장은 주식시장과 달리 대부분 장외에서 거래됩니다. 채권이 가진 독특한 특성을 반영해 장내거래보다는 장외거래를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 있습니다. 우선 기관투자가들이 100억원 단위의 대규모 거래를 주로 하기 때문에, `아는 사람`과 채권을 주고 받고 싶어하지, 생판 모르는 사람과는 잘 거래를 하지 않습니다. 왜, 주식도 대량거래는 장외에서 서로 가격과 수량 등을 약속을 한 다음에 장내에서는 시간을 맞춰 체결만 하잖아요.더구나 주식은 종목이나 가격이 표준화되지만, 채권은 그렇지 않습니다. 만기가 다르면 모두 다른 채권이고, 같은 회사가 발행했어도, 발행조건이나 만기 등에 따라 완전히 다른 종목입니다. 주식처럼 표준화시켜서 모든 사람이 쉽게 온라인으로 `믿고 거래`하기란 참 어렵죠.&nbsp;◇ "정부 당국은 채권시장을 알기나 하나?" 증권선물거래소(KRX) 는 웹페이지에서 우리나라의 채권시장의 거래 시스템에 대해 `친절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가운데 눈길을 끄는 부분은 `채권 장외시장`에 대한 설명입니다. *채권장외시장=대고객 상대매매시장 &nbsp;-거래장소, 거래유가증권, 조건의 비표준화 등 유가증권에서 거래가 곤란한 채권에 유통성을 부여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nbsp;-실제 매매정보가 시장참여자들에게 실시간으로 공시되지 않아 시장 가격의 분할로 거래의 비효율성이 높습니다. &nbsp;`실시간으로 공시되지 않아 시장 가격의 분할로 거래의 비효율성이 높습니다`&nbsp;과연 그럴까요? 이 말을 접한 채권시장 관계자들은 `코웃음`을 칩니다. `한참 몰라도 너무 모른다` 말도 잊지 않습니다. 채권 장외거래는 주로&nbsp;메신저를 이용해서 호가를 주고 받습니다. 이전에는 전화로 했지만 메신저을 통해 실시간으로 호가 전달이 가능해지자 이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각 증권사별로 거래 주문을 받으면 연결돼 있는 고객들에게 가격을 전달합니다. 한 고객은 여러 증권사를 통해 호가를 받다보니 가격 탐색도 실시간으로 이뤄집니다.&nbsp; 이 기능을 증권사 브로커(중개인)들이 하고 있습니다. 반면 장내거래는 일부의 국채전문딜러들이 호가를 제출하고 이에 따라 거래가 이뤄집니다. 그러나 이들이 제시하는 호가도 장외시장의 호가변동에 맞춰 집니다. 장내 거래가 많아 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장내거래는 여전히 실제로는 장외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장내에서는 시늉만 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당국은 장외거래는 `불투명하고 비효율이 심하다`고 합니다. 메신저에 대한 해킹 위협도 지적합니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nbsp; 아이러니하게도 지난주 금요일 장내에서 발생했던 것과 같은 `사고`는 장외시장에서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호가를 속여 매매를 했다가는 시장에서 아예 퇴출당하는 것이 불문율인지라 몇푼 더 벌겠다고 고객을 속이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경쟁시장에서 비경쟁을 강요하다?지난 금요일 장내거래 과정에서 국민은행이 채권 200억원어치를 팔려다 주문 사고가 났습니다. 당시 시장 금리가 4.90%였는데 5.90%에 매도 주문을 낸 것입니다. 거래는 성사됐고 국민은행은 4억원 이상의 매매손실을 기록해야했습니다. 국민은행은 국채전문딜러(PD)기관으로 반드시 장내매매로만 거래하게 돼 있습니다. 이 소식을 접한 채권시장 관계자들은 밀어부치기식 장내거래가 주는 폐해가 나타났다고 지적했습니다. 호가를 잘못 입력한 국민은행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주식의 경우도 상한가와 하한가 범위를 넘어가면 호가 입력이 안됩니다. 그러나 채권은 그렇지 않습니다. 시장 금리가 4.90%인데도 5.90%의 호가가 입력됩니다.증권사의 한 채권관계자는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데 오히려 거래소가 거래당사자에게 전화를 해서 거래 자체를 취소하라고 압력을 넣는다"며 "근본적으로 잘못된 시스템을 가지고 시장 탓만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리고 말이죠. 장내거래는 비공개 경쟁시스템인데 매매실수가 날 때마다 KRX가 사사건건 관여한다고 합니다. 거래당사자들을 우선 보호해야하는 입장인데 오히려 암묵적인 거래취소를 요구하고 있다는 게 장내거래의 투명성 자체도 생각해봐야할 것 같습니다.지난 금요일 거래 사고에 대해 관계기관에 전화를 한 결과 "거래 상대방과 협의중"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거래 체결 상대방이 누구인지 국민은행은 알고 있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관계기관인 KRX는 거래 상대방을 노출한 것입니다. 주식 거래에 있어 누가 샀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지난달 2일에도 장내거래 시스템은 전산 오류 등으로 거래가 마비돼기도 했습니다. 단 4일간의 시험가동후에 새 장내거래 시스템을 연게 화근이었습니다. 그래도 증권선물거래소는&nbsp; 새로운 장내거래 시스템을 개통하면서 "현재 장외 거래의 고비용 구조를 해결하고 장내거래를 더 육성하기 위한 차원"이라며 "전자거래 활성화를 통해 채권시장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외국인 투자를 늘리는 등 선진화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 "외국인이 못들어오잖아요"에 대한 의문장내거래를 활성화해야 하는 중요한 단골 이유중 하나가 외국인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라는 겁니다. 브로커들과 채권딜러들간의 밀착관계가 너무 심하고 메신저 문화에 적응하지 못해 외국인이 국내 채권시장에 진입하지 못한다는 겁니다.그럼 외국계 금융기관의 국내 지점들은 어떻게 채권을 거래할까요? 딜러는 우리나라 사람이 많지만 책임자(헤드)는 대부분&nbsp; 외국인들이 맡고 있는데요. 그런데도 우리나라 채권시장에서 거래 잘하고 있습니다. 국내 증권사가 미덥지 않으면 외국계 국내 지점에 거래 창구를 터 놓고 거래하면 됩니다. 외국인들이라고 해서 채권가격을 속이거나 할 정도로 우리 시장이 미숙하지 않습니다. 채권시장도 거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투명함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미국, 일본 등도 장외거래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데 우리나라는 장내거래를 해야한다는 명제는 다소 앞지른 게 아닌가 싶습니다. 한 증권사의 채권운용관계자는 "외국인들이 못들어온다고 하는데 장내거래의 가격탐색 기능이 빠른지 장외거래가 효율적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정부와 관계당국의 기본적인 채권시장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큰 문제"라고 꼬집었습니다. ◇ 채권브로커는 수수료에만 혈안이 돼 있다(?)KRX가 장내거래를 유도하면서 내세운 것 중에 하나가 `장내거래는 수수료가 싸다`였습니다. 장내거래를 하면 100억당 100만원이나 하는 장외시장의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KRX는 100억원당 2만5000원의 거래 수수료를 받습니다. 2만5000원과 100만원. 차이가 아주 큽니다. 그런데 정작 브로커에게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는 금융기관이나 펀드매니저들은 별 불만을 제기하지 않습니다. 이상한 일이죠? 이는 브로커가 하는 일이 단순한 중개에 그치지 않기 때문인 듯 합니다. 2만5000원의 장내 수수료는 수수료일 뿐이지만, 100만원에는 브로커의 정보 탐색비용, 시장조성(Market Making) 역 등에 대한 대가가 포함돼 있다고 보여집니다. 100만원이 싼 것인지 비싼 것인지 판단하기란 어렵습니다. 다만&nbsp;무엇을 대가로 지불하는 수수료인지가 중요하다는 겁니다. 만약 장내거래로 수수료를 대폭 낮출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시장참가자들이 받을 수 있다면 그렇게 바꿔야지요. 그러나 그 전에 따져는 봐야 하지 않겠습니까.시장참가자들은 오히려 "거래소 수익 창출에 장외시장을 죽이려 드는 것 아니냐"는 음모론을 제기합니다. 거래소 입장에서야 당연히 장내거래가 늘어날수록 수익이 늘지요.&nbsp; 이런 오해를 풀려면 일방적으로 장외거래를 `나쁜 것`으로 몰아붙일 게 아니라, 장내거래가 더 좋은 이유를 실제 시장에서 보여줘야 할 것입니다.장내거래를 둘러싼 갈등, 채권시장이 풀어야할 과제입니다. 회원사인 증권사들의 반발, 당국의 채권시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대화의 고리가 보이지 않습니다. 장내거래가 의무화돼있지 않은 한 투신사의 채권운용본부장은 "장내거래를 강요한다고 해도 장내거래의 불편함을 생각하면 할 이유가 없다"며 "정부의 밀어붙이기는 시장 이해부족"이라고말했습니다. 정부와 관계당국은 밀어붙일 기세입니다. 강하게 밀어붙일수록 저항도 강합니다. 혹시 금융시장에 대한 당국의 시각이 `불투명하고 비리의 온상이다`는 시각의 접근은 아닌지 노파심이 들기도 합니다.
2006.04.03 I 황은재 기자
  • (시사경제용어)그린슈(Green Shoe)
  • [이데일리 김국헌기자] 최근 상장된 롯데쇼핑이 해외주간사에게 공모주식수의 15%에 해당하는 `초과배정옵션` 일명 그린슈(Green Shoe)를 부여해 골드만삭스, 노무라증권 등 해외주간사들이 초과배정옵션 15% 가운데 6.9%에 해당하는 47만1945주를 행사했다. 롯데쇼핑은 국내주간사와는 초과배정옵션 계약을 하지 않았지만 해외에 상장된 주식수가 더 많기 때문에 해외주간사와 해외공모주식수의 15%에 해당하는 102만8571주의 초과배정옵션 계약을 맺었다.초과배정옵션이란 무엇일까? 초과배정제도는 초과 청약이 있을 경우 주간사가 증권발행사로부터 추가로 공모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콜옵션이다.상장 이후 주가가 공모가 밑으로 떨어질 경우, 주간사는 초과배정옵션을 포기하고 시장에서 매입해 청약자에게 배부한다. 반대로 공모가를 웃돌며 상승할 경우, 주간사는 초과배정옵션을 행사해 청약자에게 배부한다. 자연스럽게 시장조성(market making)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공개를 한 기업은 상장 초기 주가를 안정시키위해, 공모주간사는 추가 수수료 수입을 얻기 위해 초과배정옵션 계약을 맺는다. 원래 초과옵션배정제도는 상장 초기 주가 안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공모가격이 공정하게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지난 2002년 인수주간사가 공모방법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제도가 개편되면서 시장조성의무와 초과배정제도라는 보완장치를 도입했다. 초과배정옵션제도가 도입되면 발행가는 낮아지고, 상장 이후 주가는 일정수준에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초과배정옵션이 주어질 경우 인수자는 발행가를 낮게 책정해 상장된 이후 주가가 올라가면 초과배정을 받아 차익을 보려고 하기 때문이다. 신주 발행가가 비싸게 책정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투자자들도 우려를 덜 수 있다. 반면 증권을 발행하는 기업과 공모 주간사는 그만큼 미발행 위험을 줄일 수 있다.한편 시장조성의무는 증권 발행을 주간한 인수인(underwriter)이 상장 이후 일정기간 동안 주가를 일정수준 이상이 되도록 가격지지책을 쓰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공모가의 90% 수준에서 가격지지책 도입이 결정된다.
2006.03.15 I 김국헌 기자
  • "아시아는 일본에 감사해야"-타임誌
  • [조선일보 제공]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아시아판 최신호가 아시아 국가들은 최근 성장에 대해 일본에 감사 해야 한다는 논지의 글을 커버스토리로 실었다.전 싱가포르 외교관이자 국립 싱가포르 대학의 `리콴유(李光耀) 행정대학원` 학장인 키쇼어 마흐부바니는 15일자 타임 아시아판에 `근대 아시아의 탄생(The Making of Modern Asia)`이라는 제목의 글을 실었다. 그는 이 글에서 “잔혹한 일본 식민통치로 고통받은 한국마저도 일본을 (성장의) 모델로 삼지 않았다면 그렇게 빨리 성장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반일감정이 극에 달한 중국도 일본에 고마워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마흐부바니는 중국이 아시아의 4마리 호랑이(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가 택하고 있는 자유시장 경제를 본받으면서 현재의 국력을 누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이 아태지역에 던진 돌 하나가 큰 파장을 일으켰고 결국 그 여파는 중국에까지 이득을 갖다 줬다”며, “아시아는 일본에 커다란 감사의 표시를 해야 한다”고 적었다.마흐부바니는 “자와할랄 네루 인도 초대 총리가 1905년 일본이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는 것을 보고 (아시아 나라인) 인도도 영국에서 독립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됐다”며, 일본은 2차대전 패전 후에도 신속히 재건에 성공, 아시아의 성장을 재촉했다고 주장했다.
  • 앤디 시에 "중국, 경착륙보다 지역불균형이 더 위험"
  • [edaily 하정민기자] 앤디 시에 모건스탠리 아시아태평양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또다시 중국 경제의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중국이 아직 경착륙 불안에서 벗어나지 않았다고 줄곧 주장해온 시에는 중국 경제의 지역불균형이 경착륙 우려 이상으로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시에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지역불균형과 거시정책(Regional imbalances and Macro policy-making)` 보고서를 통해 해안공업지역과 내륙지방의 경제 불균형이 날로 심화하고 있다고 20일(현지시간) 지적했다. 양자의 차이는 통화정책을 비롯, 중국 정부의 효과적인 거시정책 집행을 방해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양쯔강&주장 삼각주와 서부 내륙지방 불균형 심화 중국 경제는 남동부 양쯔강 삼각주(YRD Yangtze River Delta)와 남부 주장 삼각주(PRD Pearl River Delta)를 양대 축으로 삼고 무서운 속도로 발전해왔다. 잘 알려진대로 양쯔강 삼각주는 상하이를 중심으로 제지앙, 장쑤 지방을 포괄하는 중국 핵심 공업단지다. 선전, 푸지안 등 광둥지방 주요 도시들이 운집해있는 주장 삼각주역시 홍콩과의 지리적 근접성을 바탕으로 오래 전부터 해외 기업들의 중국 진출기지 역할을 담당해왔다. 중국 중원을 가로지르는 양쯔강 삼각주는 차이나 붐의 근원지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경제수도 상하이를 중심으로 항저우, 쑤저우, 난징 등 대도시가 속해있는 양쯔강 삼각주는 중국에서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난징대 등 인근 명문대학에서 배출하는 풍부한 노동력과 해외수출에 필수적인 교통인프라 등을 갖춰 중국 뿐 아니라 세계 유명 기업들이 속속 진출한 상태다. 양쯔강 삼각주가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숫자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작년 한 해 양쯔강 삼각주의 총 수출규모는 2000억달러에 달한다. 1998년 430억달러에서 불과 5년만에 다섯 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이 지역 수출이 중국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8년 23.5%에서 34%로 늘었다. 양쯔강 삼각주는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비용절감을 위해 대만 전자업체들이 대거 진출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대만 기업들은 쑤저우와 쿠샨 등에 대규모 공장을 속속 건립했고 일본, 유럽, 미국 기업들도 뒤따랐다. 이후 5년간 양쯔강 삼각주 경제는 급팽창했고 부동산 가격은 홍콩이나 대만에 뒤지지않을 정도로 치솟았다. 양쯔강 삼각주에 가려있지만 주장 삼각주의 위용도 대단하다. 주장 삼각주는 중국 정부가 지난 1990년대 초 가장 먼저 경제개방을 단행한 곳이다. 아시아의 금융허브 홍콩과 지리적으로 밀집한 이 지역은 제조기지 광둥성, 금융과 교통요지 홍콩, 도박 관광산업이 경쟁력을 갖춘 마카오 등 각자의 강점을 활용해 다른 지역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협력관계를 만들어왔다. 비록 5년 전부터 양쯔강 삼각주에게 1위 위치를 넘겨주긴 했지만 아직도 막대한 해외직접투자(FDI)를 끌어들이는 등 중국 경제에 상당한 힘을 불어넣고 있다. 반면 내륙지방, 특히 서부 내륙지방 경제는 지극히 취약하다. 중국 서부지역 면적의 80% 이상은 모두 해발 500m 이상인 고원지대다. 강우량은 극도로 적고 교통, 관개시설 등 기본적 인프라도 허술하다. 수많은 소수민족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 문화적으로도 한족과 이질점이 많다. 중국 정부가 정책적으로 해안 공업지역을 발달시키는 동안 내륙지방의 빈곤은 날로 심각해져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현재 중국 서부의 1인당 GDP는 약 500달러로 상하이 4500달러의 9분의 1에 불과하다. ◆지역불균형이 거시정책 효과 떨어뜨려 시에 이코노미스트는 양자의 극심한 불균형이 거시정책 집행 자체를 가로막고 있다고 진단했다. 해안공업지역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금리인상이 불가피하지만 내륙지방 경제에는 금리인상이 `불 난 집에 기름 끼얹는 격` 이라는 이유다. 양쯔강 삼각주와 주장 삼각주 지역의 경우 금리인상을 늦출 수 없다고 시에는 지적했다. 두 지역은 현재 1980년대 말 대만 경제와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과도한 투자와 자산 버블을 차단하기 위해서 강력한 통제정책이 불가피하다는 것. 금리인상은 물론 통화가치 절상도 병행해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반면 내륙지방의 경우 금리인상은 그렇지 않아도 빈곤한 가계의 부채부담만 강화시킨다고 우려했다. 중국 내륙지방 경제가 처해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추가 통화완화정책도 모자랄 판이라고 지적했다. 해안공업지역의 넘쳐나는 유동성이 이미 내륙지방으로 흘러들었지만 섣부른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그나마 이뤄지고 있는 개발 작업도 지연시킬 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한편 시에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가 지역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동 유연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미국 경제도 비슷한 경험을 겪었으며 이를 노동 유연성으로 돌파했다고 설명했다. 19세기 미국은 경제가 발달한 동북부 지역과 취약한 남부 지역의 격차가 상당히 컸다. 이는 직간접적으로 남북전쟁의 원인이 됐고 1920년대 남부에서 석유산업이 발달하기 전까지 불균형은 해소되지 않았다. 석유 발견 이후 동북부에서 시작한 산업화 바람은 중서부→서부→남부로 이어져고 각 지역의 생활수준은 비슷해졌다. 시에는 격차 해소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이 `노동 유연성(labor mobility)` 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정부가 노동 유연성을 극대화하는 정책을 펼침으로써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했다는 것. 중국의 노동유연성이 겉으로는 유연해보이지만 실상은 다르기 때문에 불균형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현재 1억5000만명의 중국인들이 고향을 떠나 타 지역에서 일하고 있지만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해안공업지역에서 거주하는 타 지역 근로자의 경우 저임금과 차별에 시달리고 있다고 그는 우려했다. 이 문제를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결해야만 경제 불균형이 줄어들 수 있다는 논리다. 시에 이코노미스트는 지역불균형 현상은 비단 중국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유럽중앙은행(ECB)역시 서유럽-동유럽 간 경제 격차 때문에 통화정책 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유럽에서도 아직 미국식 노동 유연성 문화가 정착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2004.07.21 I 하정민 기자
  • 엽기 美사이트 김선일씨 조롱…네티즌 분노
  • [조선일보 제공] 미국의 한 엽기·성인사이트가 김선일씨의 죽음을 조롱하는 내용의 글과 참수 사진을 띄워 한국 네티즌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폴(Paul)이라는 미국인이 운영하는 이 사이트(www.conXXXXXXXXXXXXXXXX.com)는 ‘찹 수이’(Chop Suey: 고기와 야채를 한데 볶은 미국식 중국요리)라는 제목으로 김씨의 죽음을 조롱했다. 글쓴 이는 김선일씨 이름의 끝자인 ‘일(IL)’과 발음이 같은 ‘ILL’이라는 영어단어를 사용, ‘최신 테러리스트 비디오에서 김선일 망가지다(Kim Sun Il gets ILL in this latest terrorist video)’란 부제를 달았다. 이 사이트의 운영자는 김선일씨의 참수 동영상을 한 편의 영화로 표현, “주연, 비명 여왕 김선일(stars scream-queen Kim Sun-Il)”이라고 장난을 쳤다. 또 김선일씨에 대해 “개를 먹는 한국인(a dog-eating Korean)”이라고 묘사했다. 이 사이트를 본 후 제보해온 김영롱씨(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거주)는 “지금 한국인들은 김선일씨의 죽음에 대해 큰 충격과 분노를 겪고 있는데, 이런 모욕적인 글을 보니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다음은 사이트에 실린 글 전문 Wednesday, June 23, 2004 Chop Suey Kim Sun Il gets ILL in this latest terrorist video (최신 테러리스트 비디오에서 김선일 망가지다) If political climates were like geographic climates, the weather right now in the Middle East recently could be described as “Cloudy religious agendas with an 80% probability of execution.” (정치 기상도를 날씨에 빗대 말해본다면 지금 중동의 일기예보는 “광신의 구름이 짙게 드리운 가운데 처형 집행될 확률 80% 이상이다.”) Yes, the world’s favorite masked video darlings, Johnny Jihad and the Allah Ackbars, are back again to put either the “fun” or the “mental” in “fundamentalism” - depends on which deity you pray to, I guess. (그렇다. 전세계에서 사랑받는 이 복면의 비디오에 나오는 사람들인 쟈니 지하드와 알라 아크바르는 ‘근본주의’의 ‘근’과 ‘본’을 보여주기 위해 다시 돌아왔다. 여기선 어떤 신을 믿느냐가 관건이다.) Their latest hit video, which has been making noise at all the news networks, stars scream-queen Kim Sun-Il as “The guy who gets his head cut off in the name of a merciful God.” (최근 모든 뉴스를 떠들썩하게 장식하고 있는 그들의 최신 히트 비디오는 비명 여왕 김선일이 “자비로운 신의 이름 아래 참수를 당하는 사내”로 출연한다.) For us American viewers, the sight of a dog-eating Korean being decapitated doesn’t stir quite the same emotions as wholesome, cracker-ass Americano “Nearly Headless” Nick Berg getting carved like a Thanksgiving goose, but the sequel is never as good as the original, ya know. (우리 미국 시청자들에게는 개를 먹는 한국인의 머리가 잘려나가는 장면은 예전의 “거의 머리가 잘린” 미국인 닉 버그가 추수감사절 거위 마냥 조각당하는 모습이 주었던 그 완전한 느낌을 주지는 못하지만 원래 오리지널을 능가하는 속편은 없지 않은가.) Besides, this time around, JJ and the AA’s included actual music in their video - a light, peppy little number about how much they love Allah, and how, through his guidance, all their heathen enemies will be vanquished. (게다가 이번에 JJ와 AA(Johnny Jihad와 Allah Ackbars)는 비디오에 음악까지 삽입했는데-그들이 얼마나 알라신을 사랑하는지 그리고 알라의 인도 하에 어떻게 그들의 야만스런 적들이 패배하게 될지에 대한 가볍고 밝은 음율이 그것이다.) At least, I assume that’s what the song is about - just sounds like a bunch of hooting and hollering to me. (적어도 내가 추측하기에는 - 이 노래들은 얼핏 듣기에는 야유와 불평의 소리로 들릴 수도 있다.)
  • (정명수의 월가 키워드)Specialist
  • [뉴욕=edaily 정명수특파원] 아틀란타에 살고 있는 헬렌은 대학원생이다. 그녀는 학비에 보태기 위해 주식 투자를 하기로 했다. 그녀가 노린 회사는 XYZ라는 컴퓨터 회사다. 존은 시애틀의 한 자동차 정비 공장에서 일하는 엔지니어다. 그는 아파트를 늘려가기 위해 XYZ 주식을 팔기로 했다. 헬렌과 존은 일면식도 없지만,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돼 있는 XYZ 주식을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다. ◇헬렌이 존을 만났을 때 헬렌과 존은 NYSE `멤버 회사`인 A증권사와 B증권사에 각각 전화를 건다. 헬렌은 자신의 담당 브로커인 피터에게 XYZ 주식을 100주 사고 싶다고 말한다. 피터는 "마켓 오더(market order)로 살까요, 리미트 오더(limit order)로 살까요"라고 묻는다. "지금 XYZ은 얼마에 거래되고 있나요" 헬렌이 되묻는다. "마지막 거래가 40달러12센트에 거래됐어요.(The last sale in XYZ was 40 and 12.) 지금 40달러에 1만주 비드(bid)가 나와 있고, 40달러12센트에 5000주 오퍼(offer)가 있어요." 피터가 씩씩하게 말한다. XYZ를 40달러에 1만주 사자, 40달러12센트에 5000주 팔자가 있다는 뜻이다. 헬렌은 "마켓으로 사주세요. 제가 오늘 집에 없거든요. 정확한 체결 가격은 내일 알려주세요."라고 말한다. 피터는 "체결 가격은 금방 나와요. 몇분만 기다려주면 바로 전화를 드리죠"라고 답한다. "피터, 다음달에 제가 친척집에 가서 자리를 오래 비우거든요. XYZ 주가가 갑자기 떨어지면 어떻게 하죠?" 헬렌이 걱정스럽게 묻는다. "언제든지 가까운 지점에 전화만 주세요. 주가가 급락하면 그때 팔면 되죠. 아니면 리미트 오더로 매도 주문을 내놓고 가든가. 특정 가격을 정해 놓고 팔자 주문을 내면, 자동으로 주문이 들어가는거죠." 헬렌은 피터의 조언대로 XYZ가 30달러에 도달하면 매도하도록 리미트 오더를 함께 내기로 했다. 비슷한 시각, 시애틀의 존도 브로커에게 전화를 걸어 XYZ 100주를 팔겠다고 말한다. 헬렌과 존의 주문은 A, B증권사를 통해 입력되고, NYSE 트레이딩 플로어에 있는 브로커 부스에 전산으로 전달된다. 헬렌의 주문을 접수한 A증권사의 커미션 브로커(Commission Broker)는 XYZ 거래가 이뤄지는 트레이딩 포스트(trading post)로 간다. "XYZ는 지금 얼마야?" XYZ 담당 `스페셜리스트(specialist)`에게 묻는다. "40 and 12 - 40 and 38 - ten by ten. The last sale was at 40 and 25." 스페셜리스트는 스크린을 흘깃보고는 빠르게 답한다. XYZ의 최고 매수가격(bid)은 40달러12센트, 최저 매도가격(offer)은 40달러38센트라는 뜻이다. `ten by ten`은 bid가 1000주, offer도 1000주라는 의미다. NYSE의 최소 거래 단위는 100주이기 때문에 여기서 ten은 1000주를 의미한다. XYZ의 직전 거래가격은 40달러25센트다. 헬렌의 주문을 가지고 있는 브로커도 자신의 브로커 부스 또는 포스트의 스크린에서 호가 정보를 볼 수 있지만, `관례적으로` 스페셜리스트에게 호가 상황을 물어본 것이다. 포스트 주위에는 여러명의 브로커들이 호가 상황을 지켜보며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고객의주문을 가장 좋은 가격에 처리하기 위해 눈치를 보는 것이다. 그때 존의 매도 주문을 들고 있던 브로커가 포스트 주위의 브로커를 상대로 크게 외친다. "100 at 40 and 25.(40달러25센트에 100주 매도)" 최저 매도가격 40달러38센트보다도 13센트나 낮다. 헬렌의 브로커는 반사적으로 "Take it!"이라고 외친다. 신속하게 움직이지 않으면 호가를 다른 브로커에게 빼앗길 수 있기 때문이다. 브로커는 거래 체결 내역을 단말기에 입력한다. 수초후 피터는 헬렌에게 전화를 걸어서 XYZ 체결 가격을 알려준다. ◇211년의 전통..스페셜리스트 NYSE는 세계 최고의 증권거래소다. NYSE는 메이저 거래소로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스페셜리스트라는 독특한 방식의 주식 거래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앞서 나온 헬렌과 존의 주식 매매가 NYSE의 전형적인 거래 방식이다. NYSE에서는 멤버(member) 회사만이 트레이딩 플로어에서 증권 매매를 할 수 있다. 멤버 회사 또는 멤버인 개인은 일정한 자리세를 내고 멤버십을 딴다. 가장 최근에 거래된 멤버십 가격은 185만달러였다. 통상 멤버십 가격은 200만달러를 호가한다. 현재 NYSE의 회원사 수는 333개, 일반 투자자들과 거래하는 회원사는 238개다. NYSE의 멤버 수는 1953년이후 1366개로 고정돼 있다. 플로어에서 거래를 담당하는 브로커는 2종류가 있다. 커미션브로커(Commission Broker)는 멤버 회사에 소속된 브로커다. 이들은 자신이 소속된 하우스(회사) 고객의 주문을 전담 처리한다. 독립브로커(Independent Broker)는 개인자격의 멤버라고 할 수 있다. 어떤 하우스에도 소속돼 있지 않고 독자적으로 매매에 참여한다. 커미션브로커가 특정 주문 처리에 바쁘거나 휴가를 갔을 경우 하우스와 계약을 맺고 주문을 처리해준다. 독립브로커는 흔히 `2달러 브로커`로 불린다. 브로커 수수료로 100주당 2달러를 받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다. NYSE 고유의 스페셜리스트는 브로커들 사이에서 주가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스페셜리스트의 기능을 알기 위해서는 NYSE의 매매 체결 과정을 다시 정리할 필요가 있다. NYSE의 트레이딩 플로어에는 20개의 트레이딩 포스트가 있다. 모든 증권매매는 포스트에서 이뤄진다. 각각의 포스트에는 특정 스페셜리스트가 배정돼 있다. 스페셜리스트 앞의 컴퓨터 단말기에는 해당 포스트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호가 정보가 일목요연하게 나온다. 이같은 호가 정보는 포스트 주위의 브로커들에게도 공유된다. 1500여개의 브로커 부스와 각 부스에 소속된 브로커들은 스페셜리스트를 축으로 경매 방식으로 증권을 거래한다. 211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스페셜리스트는 NYSE 증권 거래의 시작과 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가 TV에서 NYSE 플로어를 보면, 그야말로 `시장`이라는 느낌을 받는 것도 NYSE가 고집스럽게 스페셜리스트라는 `사람 중심의 시장 매매 제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페셜리스트의 역할 NYSE에는 7개의 대표적인 스페셜리스트 회사가 있고, 이들은 모두 443명의 스페셜리스트를 고용하고 있다. 각각의 스페셜리스트 회사는 특정 주식의 호가 형성, 즉 시장조성(market making)을 담당한다. 라브랑쉐, 스페어리드앤캘로그, 플리트, 반더뮬렌, 베어와그너, 퍼포먼스스페셜, 서스퀘아나가 7대 스페셜리스트다. 이들 `7대 마피아`의 위력을 직감하려면 다음의 숫자를 보면된다. 라브랑쉐는 다우 존스 30종목 중 9종목의 시장조성자다. 스페어리드앤캘로그는 3종목, 플리트는 9종목, 반더뮬렌은 3종목, 베어와그너는 4종목 등 모두 28종목이 이들 스페셜리스트의 손에 의해 최초 호가가 만들어진다. 다우 존스 지수의 마켓메이킹이 이들 스페셜리스트에 달려 있다는 뜻이다. S&P100을 구성하는 100종목 중 93종목, S&P500을 구성하는 500종목 중 424종목이 7대 마피아를 통해 시장 조성을 한다. 스페셜리스트의 역할은 크게 5가지다. 우선 포스트를 책임지면서 경매 방식의 증권매매를 주관한다. 스페셜리스트들은 최초 오프닝 가격을 고시하고 장중에는 브로커들의 매수, 매도 호가를 공시한다. 둘째, 스페셜리스트는 딜러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자신의 계정으로 주식을 사고 팔 수 있고, 고객의 주문을 대행하기도 한다. 스페셜리스트의 자기매매는 시장조성자로서 해당 종목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중요한 기능이다. 셋째, 브로커 간의 호가가 일치하지 않을 때 스페셜리스트는 그 연결 기능을 한다. 일종의 촉매제 역할이다. 호가 갭을 중간에서 조정함으로써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매수 주문이 급격하게 늘어나 매도 주문을 압도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스페셜리스트는 자기 계정으로 매수, 매도 수요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는 자본공급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다섯째, 호가가 급변할 때 스페셜리스트는 시장에 개입, 가격 변동에 쿠션역할을 한다. 이해할 수 없는 가격의 급등 및 급락을 제어하는 완충작용이다. 한마디로 스페셜리스트는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 결과 NYSE 증권 거래의 98%가 직전 가격의 8분의1 포인트라는 좁은 가격 범위내에서 이뤄지게 된다.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면서 매매가 활발하게 이뤄진다는 의미다. 그러나 이같은 스페셜리스트의 역할은 `선관의 의무`가 충실하게 지켜질 때 빛을 발하는 것이다. 스페셜리스트는 모든 매매 주문의 한 가운데에 서 있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자신의 이익을 채울 기회도 그만큼 많다. NYSE가 자랑하는 스페셜리스트에 대한 비판도 여기서 출발한다. ◇프런트 러닝 NYSE 개혁을 진두지휘하는 존 리드 회장은 지난달 7개 스페셜리스트 중 규모가 가장 큰 5개 회사에 대해 1억달러씩의 벌금을 부과했다. 증권거래위원회(SEC)도 이들 회사에 대해 소환장을 발부했다. 스페셜리스트들이 2000년부터 2002년까지 고객의 비용으로 자기 거래를 함으로써 이른바 프런트 러닝(front running)을 했다는 것. 프런트 러닝은 고객의 주문을 처리하기에 앞서 자신이 그 주문 정보를 이용, 주식을 매매함으로써 이득을 얻는 행위를 말한다. 예를들어 A고객이 B주식을 10달러에 10만주 매수키로 주문을 냈다면 이 주문을 접수한 스페셜리스트가 미리 B주식을 9.5달러에 매수한 후 10달러 또는 10.5달러에 A고객에게 되파는 식이다. 만약 스페셜리스트들이 이같은 프런트 러닝을 상습적으로 해왔다면 이는 NYSE의 거래 시스템 자체를 부인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스페셜리스트는 공정한 주가 형성을 돕는 심판관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페셜리스트에 대한 조사는 지난 4월 최초로 제기됐었다. 당시 조사의 핵심은 프런트 러닝이 아니라, `부적절한 시장 개입`이었다. NYSE는 스페셜리스트들에게 `negative obligation`이라는 규정을 두고 있다. 스페셜리스트가 굳이 시장 조성을 하지 않아도 주식 매매가 가능한 상황에서는 스페셜리스트의 주문을 즉각 철회해야한다는 것이다. 반대의 규정도 있다.(affirmative obligation) 이는 매수-매도 호가가 불균형할 때 스페셜리스트가 시장에 개입, 월활하게 거래를 유도해야한다는 의무다. 4월 조사 당시에는 스페셜리스트들이 매수-매도 호가가 일치하는 상황에서도 이를 직접 매치하지 않고, 자신이 매도자로부터 주식을 사서 매수자에게 되팔았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같은 의혹도 스페셜리스트의 신뢰를 깎아내리는 것이지만 프런트 러닝만큼 심각한 위법 행위는 아니다. 스페셜리스트의 존폐를 거론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해진 것은 NYSE의 리차드 그라소 전 회장이 거액 연봉 파문으로 쫓겨난 후 `시장 개혁` 목소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프런트 러닝이 도마위에 올랐고, 의회에서까지 스페셜리스트 문제를 거론하기에 이르렀다. ◇대형 기관투자자들의 불만 스페셜리스트에 대한 비판은 대형 기관투자자들로부터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기관이 피델리티다. 피델리티는 NYSE도 나스닥처럼 모든 증권거래를 전자거래로 일원화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스페셜리스트를 근간으로 하는 경매 시스템이 비효율적이라는 것. 피델리티의 스콧 드사노 글로벌에쿼티 트레이딩 헤드는 "나스닥 방식의 거래가 바로 우리가 가야할 방향"이라고 목청을 높였다. 그러나 피델리티같은 대형 기관투자자가 스페셜리스트를 불신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 피델리티는 NYSE 하루 거래량의 4~5%를 차지하는 큰 손 중의 큰 손이다. 피델리티 거래가 전체 거래의 10% 가까이 근접하는 경우도 종종있다. 이처럼 거대 기관들은 자신의 주문이 노출되거나 다른 기관에 의해 역이용당하는 것이 몹시 못마땅한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리미트 오더다. 대형 기관투자자들은 개장 직후 특정 주식을 특정 가격에 매입하는 리미트 오더를 자주 사용한다. 리미트 오더는 오픈북(OpenBook)이라고 하는 특정한 매매 단말기에 호가 정보가 집중된다. 스페셜리스트들이 리미트 오더 상황을 취합, 자신들의 입맛대로 프런트 러닝을 했다는 것이 피델리티같은 대형 기관들의 주장이다. 피델리티는 이같은 문제 때문에 자신들은 리미트 오더를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밝힐 정도다. NYSE는 이런 큰 손들의 불만을 모른척 할 수 없다. 그렇다고 스페셜리스트 제도를 폐지하자니 저항이 만만치 않다. 2세기가 넘도록 유지된 기득권을 쉽게 내놓을 리 없기 때문이다. 일례로 스페셜리스트 회사 중 가장 규모가 큰 라브랑쉐는 NYSE의 이사회 멤버이기도 하다. 그라소 전 회장 시절, 스페셜리스트 회사들은 그야말로 `언터처블스(untouchables)`였다. 스페셜리스트의 순기능도 놓치기 아까운 측면이 있다. SEC의 윌리엄 도날드슨 의장조차도 "스페셜리스트가 가장 적절한 가격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할 정도다. 도날드슨 의장이 전직 NYSE 회장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그의 스페셜리스트 옹호 발언은 이 제도가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스페셜리스트에 대한 불만이 쌓여왔지만, NYSE의 스페셜리스트 의존도는 꾸준히 높아졌다. 1995년 8.6%에 불과했던 스페셜리스트 자체 매매 비중이 지난해에는 14.9%로 높아졌다. 이는 수익성을 위해 스페셜리스트들이 자기 매매를 늘린 탓도 있지만 증시 침체기에 가격 변동을 줄이기 위해 시장 개입을 많이 했다는 뜻도 된다. ◇가격이냐 시간이냐 대형 기관들이 스페셜리스트를 폐지하자고 주장하지만, 시장 조성자의 유무는 가격 안정성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여준다. NYSE 개혁의 선봉에 있는 존 리드 회장도 전자거래가 거래 체결 시간을 줄여줄 수 있을지 몰라도, 최적의 가격을 찾아내는데는 약점이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미국 주식시장에선 가격 안정성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사건이 일어났었다. 1999년 이뮬렉스 사건이 그것. 이뮬렉스라는 회사의 CEO가 회계 부정에 휘말려 자살했다는 거짓 보도자료가 비즈니스와이어에 잘못 게재된 사건이 있었다. 보도자료 내용은 완전히 거짓이었지만 이같은 소문은 삽시간에 시장에 퍼졌다. 이뮬렉스 주가는 119달러에서 32달러로 수직 하락하기 시작했다. 주가가 떨어질 때 투기적인 세력들은 공매도를 하기 마련이다. 미국 시장에서도 당시 이뮬렉스에 대한 공매도 공격이 있었다. 특정 공매도 세력은 이뮬렉스가 100달러선이 위협받자 107달러에서 공매도 주문을 냈다. 이 주문은 마켓오더였는데 주가가 수직 하락하는 상황에서 매도 호가가 너무나 급격하게 떨어지자 공매도 주문이 제때에 체결되지 않았다. 주가가 35달러까지 떨어지고 나서야 이 주문이 체결됐다. 이후 보도자료가 거짓이라는 사실이 알려졌고, 이뮬렉스 주가는 다시 급반등하게 된다. 35달러에 공매도 주문을 체결한 투기세력들은 한순간에 투자자금을 날려버렸다. 스페셜리스트는 이처럼 주가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온갖 불확실한 정보를 중간에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서킷 브레이커처럼 매매 자체를 중단시킬 수도 있지만, 서킷 브레이커는 가격이 이미 급등 또는 급락한 이후에 발동되는 것이 보통이다. 스페셜리스트는 그야말로 스페셜한 상황에 써먹으려고 존재하는 것이다.
2003.11.13 I 정명수 기자
  • "관료,기자에 정기적으로 돈봉투"-국정홍보 차장
  • [edaily 국제부] 국정홍보처 정순균 차장은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 온라인판 22일자 기고문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소송은 정부와 언론의 오랜 유착관행을 바로잡고 투명한 관계를 설정해야 한다는 절실한 필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차장은 이 글에서 많은 한국 기자들이 중요한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기사를 작성하곤 함으로써 개인의 명예와 사생활을 훼손하고 사업상의 피해를 입힌다고 밝혔다. 또 정부 관료들이 각 부처별로 영향력이 있다고 여겨지는 기자들에게 술과 식사를 대접하고 정기적으로 돈봉투를 건넸다고 소개했다. 정 차장은 정부의 소송 제기가 이같은 관행을 바로잡는 동시에 악의적으로 날조된 기사에 대응하기 위한 "대담한 개혁조치"의 일부이며 몇몇 언론과 학자들이 이를 언론탄압으로 과장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정 차장의 이번 기고는 18일자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에 실린 "노무현 대통령과 언론"이라는 제목의 사설에 대한 반박문 형식으로 게재된 것이다. 당시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은 노무현 대통령의 언론사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시했었다. 다음은 AWSJ에 실린 기고문 원문. Standing Up to the Press in Korea I refer to your Aug. 18 editorial, "President Roh vs. the Press," and wish to address why the Korean government is waging war against the misguided practices of the press and President Roh Moo Hyun has filed a libel suit against some newspapers. The government action was necessitated by the dire need to correct the long-standing collus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and to set up new transparent relations. President Roh defines it as "healthy relations of tension" vis-a-vis the press. Many Korean reporters tend to file a report without first checking and confirming important points, resulting in damaged personal reputations, infringement of privacy and business losses.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80% of the government"s request for correction or rebuttals were found to be valid during the past five months. Many government officers used to subscribe to the early-morning issues of daily newspapers to see if there were any unfavorable stories, so that they could call the editors before the main issue came out. The officials curried various favors with the media, maintained a select group of supposedly influential reporters at each government agency, wined and dined them, and regularly handed them envelopes of cash. In order to rectify these wrong practices as well as establish a new whole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the Roh Moo Hyun administration is launching a set of bold reforms. One measure was to disband the exclusive group of reporters assigned to Cheong Wa Dae -- the office of the president -- and various government ministries and agencies and institute a regular briefing system, open to all media representatives. Other actions involved banning government agencies from subscribing to early morning editions of daily newspapers and prohibiting bureaucrats from making improper contacts with reporter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is providing sufficient access to news sources. The policy of the incumbent administration is to respond boldly and in a lawful manner to obviously erroneous articles as well as malicious and concocted reports. Some media and journalism scholars allege that this represents oppression of the press. But I have to make clear that the government has never lost faith in freedom of the press. In the sense that freedom of expression, especially criticism against a government, constitutes the essence of freedom of the press, that very freedom is blossoming under the current administration more so than under any previous administration or even anywhere in the world. The government"s responses to incorrect reports are being made openly,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and law. It is time the old abuses by the Korean press, including misguided concoction of facts and incorrect reporting, are stopped once and for all. All the Korean administration asks of the press is that it files reports on the basis of truthful and correct information. This is not asking too much of a responsible media. Jung Soon-kyun Vice Minister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Republic of Korea
2003.08.22 I 국제부 기자
  • (영어원문)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
  • [edaily 김진석기자] Common Values, Principles and Strategy: Joint Statement between President Roh Moo-hyun and President George W. Bush On May 14, 2003, President Roh Moo-hyu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President George W. Bush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eld a summit meeting at the White House in Washington, D.C. Noting that 2003 marks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e two leaders pledged to work together to promote the values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market economy shared by the people of both nations and to build a comprehensive and dynamic alliance relationship for continued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The ROK-U.S. Alliance President Roh and President Bush welcomed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ROK-U.S. alliance and paid tribute to those who have contributed to the alliance, particularly the Korean host communities and the members of U.S. Forces Korea (USFK) who have devoted themselves to the defense of peace and freedom on the Peninsula. President Bush reaffirmed the U.S. commitment to a robust forward presence on the Peninsula and in the Asia- Pacific region. The two leaders pledged to work closely together to modernize the ROK-U.S. alliance, taking advantage of technology to transform both nations’ forces and enhance their capabilities to meet emerging threats. In the context of modernizing the alliance, the two leaders agreed to work out plans to consolidate U.S. forces around key hubs and to relocate the Yongsan garrison at an early date. President Bush pledged to consult closely with President Roh on the appropriate posture for USFK during the transition to a more capable and sustainable U.S. military presence on the peninsula. They shared the view that the relocation of U.S. bases north of the Han River should be pursued, taking careful account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security situation on the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The two leaders also noted the opportunity provided by the Republic of Korea’s growing national strength to continue expanding the role of the ROK armed forces in defending the Korean Peninsula. President Roh and President Bush welcomed the growing bilateral ROK.-U.S. cooperation on international security challenges beyond the Korean Peninsula. President Bush thanked President Roh for his support on Iraq and welcomed the Republic of Korea’s decision to deploy medical and construction units and undertake other efforts to assist with post-conflict humanitarian assistance and reconstruction in Iraq. President Roh expressed his support for U.S. and international efforts to establish lasting peace and security in the Middle East. The two leaders also reviewed progress and cooperation in the war on terror, noting the contribution of ROK forces to Operation Enduring Freedom and Afghan reconstruction. To commemorate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alliance, the two Presidents welcomed the convening of forums of experts to conduct discussions on the future of ROK-U.S. relations and to generate fresh ideas for both governments. North Korea President Roh and President Bush reaffirmed that they will not tolerate nuclear weapons in North Korea. They noted with serious concern North Korea’s statements about reprocessing,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and its threat to demonstrate or transfer these weapons. They stressed that escalatory moves by North Korea will only lead to its greater isolation and a more desperate situation in the North. Both leaders reiterated their strong commitment to work for the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elimination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through peaceful means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y welcomed the role played by China at the April 23-25 trilateral talks in Beijing. They agre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are essential for a successful and comprehensive settlement and that Russia and other nations can also play a constructive role in multilateral diplomacy. While noting that increased threats to peace and stability on the peninsula would require consideration of further steps, they expressed confidence that a peaceful resolution can be achieved. Noting that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the two leading donors of humanitarian food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two Presidents reaffirmed that humanitarian assistance is provided without linkage to political developments and noted the need to ensure that the assistance goes to those in need. President Bush stressed that North Korea’s nuclear programs stand in the way of the bold approach and the abil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consider comprehensive steps to assist the many needs of the North Korean people. President Roh outlined his Peace and Prosperity Policy and President Bush reiterated his support for the process of South-North reconciliation. President Bush not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s used this dialogue channel to call upon the North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President Roh stated that futur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will be conducted in light of development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two leaders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maintaining close coordination between the ROK and U.S. governments on this issue as well as in trilateral consultations with Japan. Economic Relations The two leaders agreed on the importance of working together to promote prosperity in their two countries, in the region, and around the world. They agreed that Korea"s economic fundamentals are strong and expressed high confidence in the prospects for continued increases in trade, investment and growth in the Republic of Korea. President Bush welcomed and supported President Roh"s commitment to continued structural reform of the Korean economy and his goal of making Korea a regional hub for trade, finance, and investment in Northeast Asia. The two leaders agreed that progress on open trade, investment, and transparency are essential to making this hub concept a reality, and recognized the important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this effort. The two leaders expressed a desire for enhanced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and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resolve bilateral trade issues through consultation, and agreed to explore ways to further strengthen the already close economic and trade partnership.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global trade liberalization, the two leaders expressed their determination to work together to achieve a successful conclusion of the Doha Development Agenda. The two leaders also agr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APEC forum. Toward a Full Partnership Taking note of the one hundredth anniversary of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President Bush conveyed his deep respect not only for the contributions of Korean-Americans to American society but also for the ideals of democracy, peace and prosperity realized by the citizens of the Republic of Korea. President Roh extended his appreciation to the U.S. government and its people for all that has been done to help Korean-Americans realize their dreams in American society. President Roh and President Bush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bilateral cooperation across a broad range of global issues. In this context, the two leaders welcomed ROK and U.S.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project, in the Global Forum on Corruption to be held in Seoul later this month, and on other effor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combat crime and infectious diseases around the globe. The two leaders agreed that their frequent telephone calls since President Roh’s election in December and their substantial discussion in Washington have built a personal foundation of mutual trust and respect that will enhance ROK-U.S coordination on North Korea and other challenges in the months and years ahead. President Roh thanked President Bush for his hospitality and invited him to make a return visit to Seoul at his convenience. President Bush said he looked forward to another visit to the Republic of Korea.
2003.05.15 I 김진석 기자
  • (증시조망대)박스권 상단.."후속매기 SOS"
  • [edaily 한형훈기자] 15일 주식시장은 박스권의 상단인 600선에 근접함에 따라 이를 돌파할 수 있는 수급구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두달동안 진행된 520~620선의 구간은 이라크 전쟁과 북핵, 경기 문제가 섞인 의미있는 박스권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속등으로 지수가 지난 2월말 고점이자 120일선이 놓인 620선에 다가서면서 강한 경계감을 내비치고 있다. 랠리 초반 시장진입에 성공한 개인이 차익실현에 열중하고 있는 데다 산 만큼 다시 풀어야 하는 프로그램 매매의 특성으로 60일선 돌파이후 집중력 있는 후속 매기가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가 상승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외국인이나 기관의 시각 선회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전일(14일) 주식시장은 프로그램 매수에 힘입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선물시장의 강세에 따른 콘탱고 정착으로 프로그램 매수가 빠르게 유입, 지수상승을 견인했다. 북한이 핵 문제와 관련해 다자회담 수용 의사를 밝힌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종합주가지수는 11.43포인트(1.96%) 오른 594.40로 끝났다. 기관이 749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572억원, 221억원을 순매도했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이 895억원, 비차익이 534억원으로 총 1429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지수는 0.89포인트(2.17%) 상승한 41.97로 마감했다. ▲LG투자증권 = 기존 약세권의 테두리를 벗어나기에는 시기적으로나 재료적으로 불충분하다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박스권 상단부에 근접한 상황에서 투자가들도 기존 보유 전략에서 벗어나 점차 단기 이익 실현을 통한 비중 조절이 요구된다. ▲대우증권 = 북핵리스크가 점차 완화되어 가는 양상을 띄며 외평채 스프레드와 원/달러환율은 축소 및 강세를 나타내는 등 컨트리 리스크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이 전기전자업종을 중심으로 순매도세를 지속하고 있고 개인은 지수상승을 이용하여 차익실현 중이다. 매수차익거래잔고와 미수금이 부담스러운 수준에 근접하고 있어 추가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며 1차 저항선은 지난 2월 고점과 120일선이 위치한 620선 부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증권 = 수급측면에서 프로그램 매수와 외국인 매도가 대조적이다. 심리적 측면은 여전히 우호적인 변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술적 측면에서 단기 상승에 대한 부담은 남아 있지만 추가적인 상승 여력은 남아 있다는 판단이다. 펀더멘털 측면은 부정적인 변수로 남아 있다. 단기적 측면에서 추가적인 상승을 예상해 볼 수 있으나 반등폭은 제한적 수준에 그칠 것으로 판단이다. 그 수준을 620선 전후로 예상하는데 단기 매매에 국한하는 대응 전략을 권고한다. ▲현대증권 = 주가 할인요인이었던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는 측면을 감안해 볼 때 시장은 점차 저점을 높여가는 주가 흐름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불확실성 해소가 부여할 수 있는 적정 주가 복원에 대한 기대치가 620선 내외로 평가되고 있고 아직은 경기 회복에 대한 의미있는 신호를 발견한 상황이 아니라는 점에서 단기적으로 600선 이상에서는 이익실현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대신증권 = 미국 증시의 안정세를 기반으로 북핵 리스크 완화로 인하여 국내 증시의 상승세는 좀 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초 주가 수준까지 지수 반등이 이어지면서 미국 증시와의 수익률 격차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실적호전이 예상되는 업종(비금속, 인터넷, 철강금속, 제약, 소프트웨어, 화학 등)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시장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증권사 데일리] -교보 : 단기 기술적 부담감은 여전히 상존 -우리 : Making good progress in korea -대신 : 아직 남아있는 상승 여력 -하나 : 사흘째 상승 590선 회복 -한화 : 상승기조 유지속 단기부담 -굿모닝신한 : KOSPI 단기상승 목표치에 대한 검토 -브릿지 : 실적주 중심의 종목별 차별화 -한양 : 외평채 스프레드와 외국인 매매패턴에 주목 -동원 : 삼성전자 실적발표 전까지 종목장세 -LG투자 : 박스권 상단부 접근중, 향후 전망은 -대우 : 수급상 부담과 종목별 차별화에 대비 -부국 : 국내 할인요인은 일정부분 반영 -동부 : 과열권과 종목별 반응 -현투 : 증시 주변요건 호전으로 추가상승을 염두해 둔 시장대응 -서울 : 증시환경개선과 유동성에 기인한 점진적 상승구도 -현대 : 불확실성 해소 국면의 후반부 -동양종금 : 최근 유입되고 있는 프로그램 매수에 대한 이해 [뉴욕 증시]어닝시즌 "실적 랠리"..다우,8300선 회복 뉴욕증시가 본격적인 어닝시즌을 맞아 기업들의 실적 호재를 바탕으로 랠리를 보였다.다우지수는 8300선을 상회했으며 나스닥도 2% 가까이 오르는 급등 장세를 연출했다. 다우지수는 지난주말 대비 1.80%, 147.69포인트 상승한 8351.10포인트, 나스닥도 1.92%, 26.10포인트 오른 1384.95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라크 전쟁이 사실상 미-영 연합군의 승리로 끝나면서 투자자들은 관심을 전쟁 뉴스에서 경제 전반의 펀더멘탈로 이동시켰다. 특히 실적발표 시즌을 맞아 일부 기업들이 대거 예상보다 긍정적인 실적을 쏟아놓으면서 증시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부정적이었다.2월 기업재고는 전월대비 0.6% 증가한 1조5550억달러를 기록해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0.2% 증가를 상회,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달러는 주요국 통화들에 대해 약세를 나타냈으며 국채가격은 하락했다.국제 유가는 이라크가 내달부터 석유수출을 재개할 것이라는 뉴스에도 불구하고 소폭 상승했으나 금값은 하락했다. [증시 주요 뉴스] ◇헤드라인 -조선: 북핵 다자회담 곧 결실..부시, 성사가능성 공식언급 -동아: 부시 북핵해결 진전있다..다자간 포럼통해 외교적으로 처리 -한겨레: 소버린, SK경영개입 선언..크레스트지분 14.99%로 늘어 -한국: 핵 추가행동 안하면 북지원 제시..부시 북핵문제 진전있다 -경향: 다자회담 급속진전..북, 비공식경로통해 수용통보 -한경: 소버린 "SK는 시범케이스"..사업계획 재조정.SK텔 등 자산매각 요구 -매경: 부시 "북한핵 해결 진전..정부, 다자간 대화 조기착수 -서경: 크레스트, SK지분 14.99%늘려..경영적극참여 공식선언 ◇주요기사 (크레스트, SK지분 경영개입) -소버린 "SK경영참여"..경영진과 지배구조 개혁작업 희망(동아) -소버린, SK 지분 14.99%확보..SK가치 높여 실리 얻기(매경) -SK텔레콤 경영권 비상..SK통해 SKT 경영에 참여할 가능성(조선) -0.01% 더 사면..SKT경영권 겨냥(한국) -소버린, 겉으론 장기투자 속내는 경영개입(서경) -소버린 경영참여요구, 간판은 개혁 속내는 시세차익(한경) -크레스트 지분취득 지연신고..정부, 검찰에 고발키로(전조간) (구조조정 끝나면 구조본 해체돼야) -구조본 업무 끝나면 재벌 스스로 해체해야(한국) -구조본 임무끝나면 해체해야..강철규 공정거래위원장(매경) -구조조정 끝나면 구조본 해체해야(동아) -재벌구조본부 해체돼야..강철규 공정위장(조선) -정건용 산업은행 총재 중도퇴진..낙하산 인사 되풀이조짐(전조간) -강남구 재건축 쉬워질 듯..경제적 효용.주거편의 고려해 승인(한경) -이라크 복구 건설특수 없다(매경) -생보 신상품 차별화 경쟁..위험률 독자개발(한경) -삼보컴 이홍순 부회장 사임..새 대표 박일환씨(매경) -SK글로벌에 5천억 자구요구..채권단, 그룹차원 지원요청(한경) -삼양식품 2세경영 못믿겠다..장남 전인정 사장 경영부진 책임퇴진(한경) -휘발유값 리터당 50원 인하(한국 등) -항만기자재업계 도산위기..인천남항 등 중국 업체에 넘어가(매경) -에이스침대, 아트레 흡수합병(한경) -재건축 아파트값 급등 단속강화(서경) -시중자금 단기부동화 심화..단기유동성 비중 5년째 상승(서경) -고용허가제 업종나눠 시범실시..정세균 정책위의장(서경) -은평뉴타운 생태전원도시로..전체38%녹지조성(서경) -KT, 지주회사 체제로 가나..유선 위기감 확산(한경) -김원웅 의원 지난주 극비 방북..정통일.이문화와 사전조율(조선) -인간 게놈지도 100%완성됐다..예상보다 2년 앞당겨(한국) -한총련 발전적 해체 고려..정재욱 새의장(한겨레)
2003.04.15 I 한형훈 기자
  • 선물·옵션, 잇단 규정개정..기관비중 증가전망
  • [edaily 김현동기자] 선물옵션 기본예탁금 인상, 기관의 차익·헤지거래 사후증거금제 도입, "깊은외가격 옵션" 매도 제한 등 KOSPI선물·옵션시장 관련 규정들이 잇따라 개정되면서 향후 국내 파생상품의 질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현재 60%에 달하는 KOSPI200 선물·옵션시장 개인투자자 비중이 줄고 30% 수준에 머물고 있는 기관투자자들의 시장참가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선물·옵션기본예탁금 인상 증권거래소는 지난달 24일부터 선물옵션기본예탁금을 종전 500만원에서 1500만원으로 인상했다. 이는 보유 포지션에 대한 리스크 관리 개념에서 출발한 선물옵션시장에서 위험에 대한 인식이 낮고 자금력이 약한 개인투자자들의 시장참여를 제한하는 조치로 신규 시장참가를 어느 정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파생상품의 고수익성만을 기대한 일부 개인투자자들이 실현 가능성이 낮은 초저가 옵션종목에 대한 단기 투자를 막는데 상당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선물옵션기본예탁금이란 고객이 선물·옵션계좌를 개설한 후 최초로 주문하거나 미결제약정을 전액 해소한 날 다음날 낮 12시 이후에 새로 주문할 때 사전에 증권회사에 예탁하는 금액을 말한다. ◇기관 차익·헤지거래 사후증거금제 도입 오늘(14일)부터는 결제능력이 우수한 적격 기관투자자의 헤지·차익거래에 대한 사후증거금 제도가 시행된다. 기관투자자에 대한 사후증거금제 시행은 사전 위탁증거금 징수에 따른 거래불편과 금융기회비용 발생 등으로 기관투자자의 차익·헤지거래 시장참여가 저조한 상황에서 기관의 시장참가 비중을 늘리기 위한 조치다. 증권거래소는 "투기적인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은 국내시장 상황을 고려해 기관들의 선물옵션시장 참가비중을 높이기 위해 이번 조치를 취하게 됐다"고 밝히고 있다. ◇투기적 외가격거래 제한 또 이르면 오늘(14일)부터 증권사들의 "깊은외가격(Deep out of The Money) 옵션" 매도포지션에 대한 영업용순자본비율 산정시 위험 가중치가 부과된다. 이는 거래량 규모면에서는 세계 1위시장이지만 실현 가능성이 낮은 "깊은외가격 옵션"에 대한 지나친 매수세로 인해 "투기시장"이라는 비난을 받아온 KOSPI200 옵션시장의 질적 수준을 한단계 높일 것으로 전망이다. 지금까지 국내 증권사들은 만기일까지의 시간가치 감소효과를 선점, 안정적인 프리미엄 수입을 취득하기 위해 "깊은외가격 옵션"을 매도하는 "스트랭글 매도"(Short Strangle)전략을 주로 구사해 왔다. 특히 지난 2001년 9·11테러 사태이후 "대박"을 노린 개인투자자들을 중심으로 "깊은외가격 옵션"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더구나 옵션만기일을 전후로 시장 변동성이 급변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면서 "복권식" 옵션투자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위원회는 지난 11일 증권업감독규정 개정안을 의결하면서 "깊은외가격 옵션" 매도포지션에 대한 재무건전성 지표 산정시 위험액을 기초자산의 시가에 기초자산의 해당위험값의 20%를 곱한 금액을 가산한다고 밝혔다. "깊은외가격 옵션"이란 "옵션의 행사가격과 기초자산의 시가와의 차이가 기초자산의 시가액의 해당위험값을 곱한 금액보다 큰 외가격 옵션"을 말한다. 금융감독원 경영지도팀 민봉기 조사역은 "실제로 지난 4월물 옵션만기일 전후로 증권사들의 매도포지션이 많이 줄었다"면서 "트레이더들의 입장에서는 불편한 점이 있겠지만 증권회사의 리스크관리 차원에서는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시장 관계자들은 옵션시장에서 마켓메이킹(Market Making)을 수행하는 증권사의 포지션 조절에 어느 정도 어려움은 예상되지만 시장의 질적개선 차원에서는 바람직한 조치라는 평가다.
2003.04.14 I 김현동 기자
  • (자료)연준리 FOMC 발표문 전문
  • [뉴욕=edaily 공동락특파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18일 공개시장정책위원회를 통해 현행 금리 1.25%를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다음은 연준리의 성명서 전문. For immediate release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decided today to keep its target for the federal funds rate unchanged at 1-1/4 percent. While incoming economic data since the January meeting have been mixed, recent labor market indicators have proven disappointing. However, the hesitancy of the economic expansion appears to owe importantly to oil price premiums and other aspects of geopolitical uncertainties. The Committee believes that as those uncertainties lift, as most analysts expect, the accommodative stance of monetary policy, coupled with ongoing growth in productivity, will provide support to economic activity sufficient to engender an improving economic climate over time. In light of the unusually large uncertainties clouding the geopolitical situation in the short run and their apparent effects on economic decisionmaking, the Committee does not believe it can usefully characterize the current balance of risks with respect to the prospects for its long-run goals of price stability an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Rather, the Committee decided to refrain from making that determination until some of those uncertainties abate.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heightened surveillance is particularly informative. Voting for the FOMC monetary policy action were Alan Greenspan, Chairman; William J. McDonough, Vice Chairman; Ben S. Bernanke; Susan S. Bies; J. Alfred Broaddus, Jr.; Roger W. Ferguson, Jr.; Edward M. Gramlich; Jack Guynn; Donald L. Kohn; Michael H. Moskow; Mark W. Olson, and Robert T. Parry.
2003.03.19 I 공동락 기자
  • (진단)ETF,상장 일주일..자금유입·차익거래 숙제
  • [edaily 김현동기자] 상장지수펀드(ETF)가 거래된지 일주일을 맞았다. 일단 거래량이나 거래대금면에서는 당초 예상했던 수준을 웃돌고 있어 시장관계자들은 시장개설 초기 나름대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렇지만 KODEX200을 제외하고는 ▲거래량이 저조한 수준을 보이고 있고 ▲AP들의 시장조성(market making)이 활발하지 못하는 점, ▲연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가들과 개인투자자들의 신규 참여 부진 등은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거래량/수익률, "초기치곤 괜찮다" ETF시장이 개장된 지난 14일 전체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각각 445만1650주, 342억3835만2300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18일 현재 전체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각각 200만2429주, 163억3180만7000원이다. 주말이라는 점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첫날 이후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15일 403만6503주, 313억2634만7000원 ▲16일 360만2320주, 281억7285만3000원 ▲17일 306만6529주, 242억2577만1000원를 각각 기록했다. 종목별로도 KODEX200을 제외하고는 감소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다만 KODEX200은 일단 주말효과를 배제한다면 200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어 그나마 위안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배재규 삼성투신 시스템운용본부장은 "지난 15일과 16일 추가설정이 이뤄지는 등 자금이 계속 들어오고 있다"면서 "KODEX200의 경우 안정적인 거래량과 함께 지수추적면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어 상품으로서의 매력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수익률면에서도 괜찮은 성적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 KODEX200의 경우 주간단위로 8.8% 상승했고 KOSEF도 8.4% 올랐다. 다만 KODEX50과 KOSEF50은 각각 3.5%와 4.1% 상승에 그쳤다. ◇차익거래 활성화 필요성 상장 이후 나흘동안 KODEX200 KOSEF KODEX50 KOSEF50의 거래를 이끈 것은 시장초기 마켓메이커(market maker)로서의 역할을 부여받은 지정판매회사(AP)였다. 특히 KODEX200의 경우 DSK CSFB SSB 외국계 증권사들의 거래참여도 주목을 끌었다. KOSEF의 경우에는 11개 국내 AP증권사들의 차익거래나 자전성 거래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뤄졌다. 실제로 KOSEF50의 경우 상장 첫날을 제외하고는 이론가대비 저평가가 극심하게 나타나면서 이를 이용해 선물과 KOSEF50간의 차익거래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뤄지기도 했다. 특히 KOSEF50이 이론가대비 저평가가 가장 극심하게 나타나면서 일부 차익거래자들의 차익거래가 시도됐다. 저평가된 KOSEF50을 매수하고 주식바스켓을 매도하는 ETF와 현물간의 차익거래를 수행했다. KOSEF50은 상장첫날을 제외하고 ▲15일 (-)0.39% ▲16일 (-)0.77% ▲17일 (-)2.23% ▲18일 (-)1.99% 로 NAV대비 저평가 상태가 지속됐다. 한 시장 관계자는 "유동성 문제로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KOSEF50이 가장 저평가되어 있었기 때문에 주로 KOSEF50을 대상으로 ETF를 매도하고 주식바스켓을 매수하는 차익거래를 제법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선물의 저평가가 지속되면서 KOSPI선물과 ETF간의 차익거래도 일부 했다"고 덧붙였다. 이 증권사는 지난 16일 선물을 매수하고 KODEX50을 매도하는 ETF와 KOSPI선물간의 차익거래를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장전문가들은 ETF와 주식바스켓, ETF와 KOSPI선물간의 차익거래외에도 ETF 종목간의 차익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는 오늘(18일)도 확인된 것처럼 KOSEF가 KODEX200에 비해 지속적으로 저평가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한 전략이다. 즉 이날 KODEX200은 전일대비 350원(4.33%) 오른 8430원을 기록했고 KOSEF는 290원(3.60%) 상승한 8350원에 마감했다. 상장 첫날 이후 KOSEF는 KODEX200에 비해 지속적을로 저평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만큼 영업일수 5일동안 장중 KODEX200과 KOSEF간의 가격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가 가능한 범위가 발생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가능하다. 한 파생상품 담당 애널리스트는 "AP들의 차익거래가 미미한 수준이지만 이뤄졌는데 그렇지만 다양한 차익거래를 구사하지는 않은 것 같다"면서 "규모가 100억~200억원 수준에 그치고 있는데 고평가된 KODEX200과 저평가된 KOSEF간의 차익거래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그러나 "실제로 LG투신운용측에서도 KOSEF가 저평가되어 있어 싸게 살 수 있다고 말하고는 있지만 주당 NAV가 추적대상지수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불안하다"고 지적했다. 또 AP로 참여하지 않은 증권사들의 경우 KODEX200과 KOSEF 주식바스켓의 차이와 ETF시장의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차익거래를 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즉 AP로 참가한 증권사만 설정과 해지를 할 수 있어 AP로 참가하지 않은 증권사가 KODEX200과 KOSEF간의 차익거래를 시도하려면 삼성투신컨소시엄과 LG투신컨소시엄에 참가한 AP증권사 모두에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설정환매 신청계약서를 작성해야 한다. 더구나 기존 보유주식으로 ETF에 대한 설정을 해야 하는데 KODEX200과 KOSEF는 KODEX200의 경우 110개 종목이고 KOSEF는 12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바스켓 차이가 있으며 종목간의 비율도 차이가 있다. 더구나 ETF의 발행단위인 1CU가 10만주라서 차익거래가 기회가 발생할 경우 10만주를 한번에 거래하게 되는데 한번에 10만주를 거래하기에는 ETF시장의 유동성이 아직은 부족한 상태다. 현재 LG투신컨소시엄에 AP로 참여한 증권사와 삼성투신컨소시엄의 AP 중 어느 곳도 두 곳 모두에 대한 설정환매를 할 수 있는 증권사가 없는 실정이다. 즉 만약 LG투신컨소시엄에 AP로 참여한 대우증권이 KOSEF를 환매하고 난 뒤 KODEX200을 사려면 삼성 굿모닝신한 등에 설정신청을 요청해야 한다는 말이다. ◇유동성 공급이 우선 결국 ETF시장이 예상보다 빠른 시간내에 조기 정착한 것으로는 보이지만 시장 규모 자체가 지금보다 더 커져야만 차익거래의 활성화는 물론이고 향후 다양한 지수개발은 물론이고 투자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본격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일단 지난주(10월14~18일) ETF시장에서 적은 규모이기는 하지만 KODEX200 KOSEF KODEX50 등으로 설정과 환매가 이루어져 추가적인 자금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종목별로 KODEX200을 제외한 나머지 종목에서는 적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초기 설정분에 대한 환매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장 이후 닷새동안 지수가 상승한 만큼 수익확보 차원에서의 환매로 볼 수 있다. ETF라는 상품 자체가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기투자 상품인 만큼 보수적인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은 물론이고 연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가들의 자금이 ETF로 들어와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 차원에서 운용사를 비롯해 증권거래소, 투신협회 등 유관기관들의 ETF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자 교육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삼성투신운용과 LG투신운용은 자사 홈페이지(삼성투신: www.etfs.co.kr LG투신: www.kosef.co.kr)를 통해 거래당일 KODEX200과 KOSEF에 대한 거래분석과 PDF를 제공하고 있다. 일단 나름대로 투자자에 대한 정보서비스 차원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이라는 평가다. 그렇지만 실제 ETF의 거래를 책임지고 있는 증권거래소의 정보제공은 형식적인 측면에만 치우치고 있다는 평가다. 시장 초기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상장 이후 ETF상품 자체에 대한 홍보가 소홀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ETF거래정보를 제공하는 증권전산 체크단말기의 경우 ETF폴더가 따로 제공되지 않고 있어 ETF시장의 존재자체를 알리는 데 소홀히 하고 있다는 인상이며 그날그날 ETF 시장참가자들의 투자자자별 거래동향도 제공하지 않고 있다. ETF가 주식처럼 장중 거래된다는 차원에서 투자주체별 동향을 공개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렇지만 ETF가 개별종목의 성격을 띄고 있기는 하지만 지수연동 상품이라는 점에서 투자주체별 동향 제공은 하나의 투자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2002.10.21 I 김현동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