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이 금(金)"…수다 버린 대중문화

말 수 덜고 관찰만
"비워야 통한다" 공백으로 몰입 높이고 힐링까지
방송 '삼시세끼'·영화 '님아~' 등 다큐 인기
김동률 '그게 나야'서 마지막 1분 침묵 '여운 키워'
"피로사회에 과잉은 독"
침묵 즐기는 '20~40 ES족'
  • 등록 2014-12-16 오전 6:01:30

    수정 2014-12-16 오후 6:12:43

수다 대신 여운이다. 차분하게 관찰하고 툭 던진다. 지나친 말과 상황 연출은 몰입을 막는 ‘독’이다. 침묵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여운을 키운 대중문화 콘텐츠가 인기다. tvN ‘삼시세끼’와 가수 김동룔의 ‘그게 나야’,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목숨’(사진 맨 왼쪽부터 시계방향 순) 등이 그 예다.


[이데일리 스타in 양승준 기자] 30초 동안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방송사고가 아니다. 배우 이서진은 시골집 침대에 누워 멍하니 쉬고 있었다. 백발의 이순재는 옆으로 누워 책을 봤다. 나오는 소리라곤 1950년대 활동했던 미국 컨트리 음악 가수 짐 리브스의 ‘히 윌 해브 투 고’ 음악이 전부.

tvN ‘삼시세끼’ 지난 5일 방송 일부다. 이 ‘말 수 적은’ 예능프로그램은 이날 시청률이 8.2%(AGB닐슨)가 나왔다. 비슷한 시간대 지상파인 MBC에서 방송되고 있는 ‘띠동갑내기 과외하기’의 시청률이 3%대. 이를고려하면 그만큼 시청자 반응이 높다는 얘기다. ‘삼시세끼’를 즐겨본다는 직장인 박성미(34)씨는 “특별히 뭘 하지 않아 좋고, 그냥 편안하게 보게 된다”고 말했다.

지난 5일 방송된 tvN ‘삼시세끼’ 한 장면. 30초의 침묵을 깬 건 이순재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노래에 대한 짧은 감상이 전부다. “옛날 노래들이구나.” 그리고는 다시 침묵이다. 이번에는 39초 동안 아무 말도 없었다. 이서진은 방에 이순재의 이부자리를 폈고, 이호준은 부뚜막에 불을 지폈다.
수다를 던 콘텐츠가 인기다. 영화에서는 말수는 덜고 공백을 키운 다큐멘터리 장르가 주목 받고 있다.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이하 ‘님아~’)는 ‘인터스텔라’와 ‘엑소더스:신들과 왕들’을 꺾고 지난 13일과 14일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주말 극장을 장악했고, 이별을 준비하는 호스피스 병동의 모습을 차분하게 쫓은 ‘목숨’도 약진하고 있다.

침묵은 대중문화에 더 깊숙이 파고들었다. 연말 히트곡 중 하나인 김동률의 ‘그게 나야’에서 마지막 1분은 가수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다. 오케스트라 연주만 흘러서다. 클래식도 아니고 가요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긴 침묵’이다. 가수의 노래까지 줄여 여운을 키운 것이다. 아예 말을 없앤 방송까지 나왔다. 스카이라이프는 채널 힐링에서 하루 종일 자연 사진을 배경으로 잔잔한 음악만 틀어준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비워야 통하는 시대”라고 입을 모았다. 대중문화 콘텐츠에 공백을 둬야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교석 방송평론가는 “말수와 작위적인 상황 연출을 덜고 공간을 이용하는 게 ‘삼시세끼’ 같은 관찰형 예능의 특징”이라며 “시청자에 뭔가를 주입하는 대신 빈 공간을 둬 그 안으로 끌어들이고 공감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진화된 예능의 형태”라고 평가했다.

대중문화 콘텐츠 속 ‘수다의 종말’은 느린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배경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피로사회에서 과잉은 덕이 아닌 독”이라며 “숨 쉴 겨를 없이 앞만 보고 달려온 이들에 새로운 경험은 또 다른 피로라 대중문화 속에서 공간이 많은 콘텐츠를 찾아 위로와 치유를 얻으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현상은 20~30세대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CGV에 따르면 ‘님아~’는 20대 관객의 비율이 약 54%로 가장 높았다. ‘삼시세끼’를 방송하는 CJ E&M 안미현 홍보팀 대리는 “20~49세 시청자로만 따지면 지상파를 통틀어 동시간대 시청률 1위(유료플랫폼 기준)”라며 “출연자의 말을 따라가거나 게임을 쫒아가지 않아도 돼 편안하다는 시청자 반응이 많다”고 반응을 들려줬다.

침묵을 즐기는 20~40세대 ‘ES(Enjoy Silence)족(族)’의 등장이다. ‘ES족’은 ‘침묵을 즐기는 집단’이라는 의미로 느림의 미학, 아날로그의 가치, 여백의 즐거움 등을 즐기는 도시 속 신세대다. ‘힐링’ 채널 편성담당자인 정윤성 스카이라이프TV PD는 “이 채널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대가 주말 오후 6시 이후”라며 “‘무한도전’ ‘런닝맨’ 등 지상파 인기 예능과 주말드라마가 방송되는 시간대인 주말 황금 시간에 되레 힐링 채널 시청률이 가장 높아 놀랐다. 시끌벅적한 프로그램 대신 휴식을 즐기기 위해 채널 시청자들이 이 시간대 몰린 것 같다”고 봤다.

▶ 관련기사 ◀
☞ '호구의 사랑' 최우식 박정민 유이 캐스팅..내년 2월 방송
☞ '힐링캠프' 션·정혜영 "가사도우미 없다, 네 아이 직접 키워"
☞ 강소라, 보이시 매력 폭발..'미생' 섹시미 어디 갔나?
☞ '차 리턴 시킬 진상 연기'…'땅콩리턴' 예능서 난타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토마토에 파묻혀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