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위기에서 기필코 살아남는 법[정하윤의 아트차이나]<7>

▲거대 설치작업에 거대 이슈 심은 '인슈전'
1400개 기와, 건물 파편 등 배치해
급격한 도시화로 황폐해진 中 표현
캐리어 안에 방문도시 모형 설치한
연작 '휴대용 도시', 환경문제 시사
비행기좌석 웅크린 여자 '트로이인'
전쟁·테러 등 위기에 극복의지 담아
  • 등록 2022-11-18 오전 12:01:01

    수정 2022-11-18 오전 12:01:01

인슈전의 ‘트로이인’(Trojan·2016∼2017). 비행기에서 비상상황을 맞았을 때 좌석에 앉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자세를 취한 여인을 형상화했다. 그리스·로마신화의 ‘트로이목마’를 떠올리게 하는 작품명, 높이 6m에 육박하는 압도적 규모 등이 거대한 위협을 맞닥뜨린 긴박한 상황을 자동연상케 한다. 환경문제, 경제위기, 전쟁·테러 등 지구적 위협 외에 많은 중국 예술가가 처해 있는 상태를 비유한 비틀린 아이콘이란 해석도 있다. 철골·헌옷, 570×220×470㎝, ⓒ인슈전·페이스갤러리 제공.


중국 그림을 보지 못한 지 한참입니다. 한국 미술시장이 자못 뜨거웠던 지난해와 올해, 세계의 작가와 작품이 우리를 기웃거리던 때도 중국은 없었습니다. 중국 ‘큰손’ 컬렉터의 규모와 수가 미국을 제쳤다는 얘기도 이미 2~3년 전입니다. ‘으레 미술은, 그림은 그런 것’이라며 반쯤 우려하고 반쯤 체념했던 한국화단을 뒤흔든, 기발한 감수성으로 뒤통수를 내리쳤던 중국 작가들이 하나둘 사라졌습니다. 예술을 예술이 아닌 잣대로 들여다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술에 기대하는 희망 역시 그런 게 아니겠습니까. 정치에도 경제에도 답이 없다 생각할 때 결정적인 열쇠를 예술이 꺼내놨습니다. 오랜시간 미술사를 연구하며 특히 중국미술이 가진 그 힘을 지켜봤던 정하윤 미술평론가가 이데일리와 함께 그 지점 그 장면을 들여다봅니다. 때마침 ‘한중 수교 30주년’입니다. 다들 움츠리고 있을 때 먼저 돌아보는 시간이고 먼저 찾아가는 길입니다. 매주 금요일 독자 여러분을 깊고 푸른 ‘아트차이나’로 안내합니다. <편집자 주>

[정하윤 미술평론가] 높이가 6m에 육박하는 여인이 웅크리고 앉아 있다. 흰옷을 입고 머리를 풀어헤친 채. 무슨 슬픈 사연이라도 있는 건가. 자세히 보면 여자가 앉은 의자가 비행기좌석이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고 보니 여자의 웅크린 모양 역시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승객들이 취해야 하는 자세다. 여자는 에어백도 가슴에 꼭 품었다.

이 작품의 제목은 ‘트로이인’(2016∼2017)이다. 트로이인이라. 그리스·로마신화에 등장하는 ‘트로이목마’가 떠오른다. 나무로 집채만 한 말 형상을 만들고, 그 안에 숨어든 병사들이 적진의 중심을 파고드는 이야기 말이다. 어쩌면 여자의 웅크린 모습은 트로이목마 속 병사들의 자세일 수도 있겠다.

비상착륙을 앞둔 비행기 안 승객이든 적진침투를 앞둔 트로이목마 속 군인이든 아무튼 곧 닥칠 위험에 대비한 모습인 건 분명하다. 이 여자 앞에 놓인 위기는 대체 뭘까.

작품에 대한 답을 내려면 작품을 만든 작가에 대해 알아야 하는 법. 이 거대한 설치작품을 만든 인슈전(尹秀珍·59)은 베이징을 기반으로 국제미술계에서 활발히 활약하는 중국 미술가다. ‘트로이인’ 같은 대형 설치작업이 인슈전이 주로 하는 방식이지만, 대학 때 전공은 사실 회화였다. 일찍이 ‘자연을 그리는 화가가 되겠다’고 결심했던 인슈전은 “여자가 무슨 공부냐, 돈이나 벌어 와라”는 아버지의 반대와 재정의 어려움을 무릅쓰고 미술대학에 입학했다.

하지만 그렇게 힘들게 들어간 대학수업은 따분했다. 여전히 소련식 사실주의 그리기 방식이 전부였다. 사진처럼 똑같이 그리는 것. 미술가가 되기 위해 꼭 필요한 훈련일 수는 있겠으나 1990년대에 미술가로 살아가기에 그것만으로는 부족했다.

회화 전공 여성작가, 덩샤오핑 개혁 때 설치미술에 심취

인슈전의 흥미를 끈 것은 학교 밖 미술이었다. 그럴 만도 했다. 대학을 다니던 1980년대 후반은 중국 미술에서 아방가르드란 꽃이 만개했을 때였으니까. 덩샤오핑의 개혁·개방·개발 파도를 타고 점차 느슨해지던 문화적 통제 아래, 중국의 젊은 미술가들은 새로운 형식인 설치, 비디오, 퍼포먼스 등을 마음껏 탐험했다. 이 가운데 인슈전은 공간을 압도하는 설치작업에 끌렸다. 한정된 크기의 캔버스에는 다 담을 수 없던 이야기를 설치미술로는 마음껏 풀어낼 수 있었다.

거대한 설치작업에 인슈전은 중국의 현실을 담았다. ‘폐허가 된 도시’(1996)가 그 대표적인 예다. 텅 빈 공간을 1400개의 회색 기와, 건물의 파편. 시멘트가루로 채운 작업이다. 이 모두는 베이징의 공사현장에서 나온 잔해들이다.

인슈전이 이 작품을 구상하던 1990년대 중반, 베이징에는 신축건물이 우후죽순 들어서는 중이었다. 특히 그가 살던 베이징의 옛 골목 후통은 시에서 진행하는 도시화 계획으로 낡은 집들이 빠르게 철거되고 있었다. 아침에 출근할 때는 있던 건물이 퇴근할 때는 사라지는 일이 일상이었던 거다. 인슈전은 그 무렵 어디를 가도 시멘트 냄새를 맡을 수 있었다고 회고한다.

인슈전의 ‘폐허가 된 도시’(Ruined City·1996). 베이징 한 건물의 철거현장에서 1400개의 기와와 건물 잔해, 가구·물건 등을 수거해 배치했다. 남편인 작가 쑹둥과 함께 사용한 나무의자 등 작가의 소유물도 포함됐다. 급격한 도시화로 정작 잃어버린 도시의 본질을 추모하는 형태로 꾸린 설치작품이다. 베이징 서우두사범대에 설치했을 때의 전경. 기와·시멘트가루·가구, 가변크기, ⓒ인슈전·페이스갤러리 제공.


그곳에서 인슈전은 급격한 도시화 때문에 거주지를 잃어버리는 사람들도 목격했다. 더 저렴한 곳으로, 더 외곽으로 떠날 수밖에 없던 이웃 주민들. 그들을 보는 일은 괴로웠다. 이 작품에서 건물의 잔해 아래 배치한 의자·침대·화장대와 같은 가구는 현대화 과정에서 일상을 위협받던 사람들이 있었음을 암시한다.

인슈전은 이 작품을 베이징에 전시했다. 단 며칠간이었지만 인슈전의 인지도는 빠르게 상승했고, 국제미술계에서 수많은 러브콜을 받기 시작했다. 뉴욕과 샌프란시스코 등 미국 전역을 비롯해 영국, 네덜란드, 러시아, 뉴질랜드 등지에서 개인전이 연이어 열렸고, 베네치아·상파울루·시드니 등 다수의 비엔날레에 참여했으며,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지에서 열리는 수많은 단체전에 출품했다.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미술가가 되면서 인슈전은 여행가는 일이 부쩍 잦아졌다. 유년시절에는 상상도 못했던 해외여행을 심지어 밥 먹듯이 하게 된 거다. 짐을 싸고 푸는 것을 반복하며 인슈전은 새로운 작품을 구상했다. 여행가방 안에 세계의 도시를 담는 작업, ‘휴대용 도시’(2001∼)다. 인슈전은 방문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입던 옷을 모아 그 도시의 모형을 만들고 캐리어 안에 설치한다. 지금까지 만든 것은 모두 마흔세 개. 인슈전은 그 가방들을 커다란 전시실에 함께 설치한다.

작품을 만들 때 인슈전은 각 도시의 개성을 나타내려 애쓴다. 그래서 에펠탑, 동방명주, 도쿄타워 같은 각 도시의 대표건축물을 꼭 포함시킨다. 그럼에도 작품 속 배경이 어떤 도시인지를 맞추기는 그리 쉽지 않다. 건축물 몇개를 제외하곤 그 모습이 비슷비슷해서다. 이에 대해 인슈전은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도시들이 개성을 잃어 가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커다란 위기보다 더 큰 위기 극복의 의지 담아내

대서양과 태평양을 문간방 넘나들 듯 다니면서 얻은 것은 화려한 이력과 공고한 인지도만이 아니다. 더 값진 것은 확장된 시야다. 요즘 인슈전의 눈은 베이징뿐만이 아닌 온 세상을 향한다. 그러곤 자신이 마주하는 온갖 거대 이슈를 거대한 스케일의 작품에 담아낸다. 이를테면 세계평화. 인슈전은 알록달록하고 부드러운 무기 모형을 만들어 전시장에 대롱대롱 매달기도 하고, 가위나 칼같이 비행기에는 휴대할 수 없는 물건을 천으로 만들어 공항 검색대를 통과시키기도 한다. 바로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테러와 전쟁에 대한 언급이다. 작품대로라면 어떠한 무기도 사람을 해칠 순 없다.

인슈전의 ‘휴대용 도시: 항저우’(Portable City: Hangzhou· 2011). 개인물품과 공공장소에 ‘기억’이란 카테고리를 결합해 세계화 이슈를 건드려온 연작 ‘휴대용 도시’ 중 한 점. 작가가 방문한 세계의 도시들에서 수집한 옷가지로 도시모형을 만들고 캐리어 안에 다시 배치하는 식으로 그간 43개의 여행가방을 제작했다. 여행가방·옷·돋보기·지도, 64×150×88㎝, ⓒ인슈전·페이스갤러리 제공.


환경오염은 인슈전에게 특히나 중요한 문제다. 빠르게 개발되는 베이징에 살면서 하루가 다르게 환경이 나빠지는 것을 봤기에 그렇다. 그래서 일찍부터 수질오염을 염려하며 얼음을 깨끗이 닦는 퍼포먼스를 펼치기도 했고, 비행기가 대기오염 때문에 착륙할 수 없는 모습을 커다랗게 만들기도 했다. ‘트로이인’이나 ‘휴대용 도시’와 같은 작품에서 사람들이 입던 옷을 재활용해 사용하는 것 또한 쓰레기문제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이기도 하다.

인슈전은 딸을 키우면서 환경에 대한 염려가 더욱 커진다고 말한다. 다음 세대도 과연 숨 쉴 공기와 마실 물을 넉넉히 누릴 수 있을까. 그 기본적인 필요조차 위협받고 있음을 목도하며 인슈전은 슬픔을 느낀다. 자, 이제 마무리에 앞서 서두에 던진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비행기좌석에서 웅크리고 있는 여자에게 닥친 위험은 무엇일까.

아쉽게도 이 작업만으로는 명확히 알기가 어렵다. 작가가 명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하지만 인슈전의 작품세계를 이해한다면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다. 세계를 품은 인슈전은 필시 지구적인 환경문제나 글로벌 경제위기, 또는 국가 간의 전쟁이나 테러를 염두에 뒀을 거다. 물론 코로나19 같은 팬데믹일 수도 있다(인슈전이 팬데믹를 예견한 건 아니었지만 공교롭게도 이 작품을 코로나19가 시작되기 직전인 2019년 베네치아비엔날레에서 발표했다).

이 모두는 개인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커다란 문제다. 이처럼 거대한 환경적·경제적·군사적 위협 앞에서 작품 속 여인은 몸을 꼭 웅크렸다. 좌절이나 낙망의 표현이 아니다. 충격에 대비하는 자세이자 어떻게든 살아남겠다는 의지다. 커다란 위기보다 더 큰 극복의 의지. 이것이야말로 인슈전 작업이 거대한 진짜 이유일 거다.

△정하윤 미술평론가는…

1983년 생. 그림은 ‘그리기’보단 ‘보기’였다. 붓으로 길을 내기보단 붓이 간 길을 보고 싶었단 얘기다. 예술고를 다니던 시절 에른스트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에 푹 빠지면서다. 이화여대 회화과를 졸업했지만 작가는 일찌감치 접고, 대학원에 진학해 미술사학을 전공했다. 내친김에 미국 유학길에 올라 캘리포니아주립대 샌디에이고 캠퍼스에서 중국현대미술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실 관심은 한국현대미술이었다. 하지만 그 깊이를 보려면 아시아란 큰물이 필요하겠다 싶었고, 그 꼭대기에 있는 중국을 파고들어야겠다 했던 거다. 귀국한 이후 미술사 연구와 논문이 주요 ‘작품’이 됐지만 목표는 따로 있다. 미술이 더 이상 ‘그들만의 리그’가 아니란 걸 알리는 일이다. 이화여대 등에서 미술교양 강의를 하며 ‘사는 일에 재미를 주고 도움까지 되는 미술이야기’로 학계와 대중 사이에 다리가 되려 한다. 저서도 그 한 방향이다. ‘꽃피는 미술관’(2022), ‘여자의 미술관’(2021), ‘커튼콜 한국 현대미술’(2019), ‘엄마의 시간을 시작하는 당신에게’(2018) 등을 펴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박결, 손 무슨 일?
  • 사실은 인형?
  • 왕 무시~
  • 한라장사의 포효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