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의원들은 선거의 첫 단추부터 잘못 꿰어졌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선거 원인이 우리 당 공직자의 성 비위 문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당은 당헌당규를 개정해 후보를 내고, 피해자에 대한 제대로 된 사죄도 없었다”며 “당내 2차 가해를 적극적으로 막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 배경에는 “이 문제를 회피하고 외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오만함”이 있었다고 짚었다.
하지만 이들 청년 의원들조차 과거 정국마다 사과나 쇄신은 커녕 강성 일변도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세금 837억원이 소요되는 것과 관련해 장경태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이 탄핵당해서 발생했던 선거 비용에 대해 (국민의힘이) 사과하지 않았다”고 했다. 장 의원은 페이스북에 “과거 검찰총장은 특권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책임지고 사임했다”며 윤석열 총장의 자진사퇴를 압박했다. 장 의원은 민주당 초선 의원과 열린민주당 의원들과 함게 윤 총장 탄핵과 윤 총장 수사를 위한 특검 도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오영훈 의원 역시 조국 전 장관 자녀 입시 특혜 논란에 대해 “그 당시 관행적으로 해온 행위가 지나치게 부풀려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소영 의원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에 대해 야당이 상임위에서 따져 묻자 “형법상 사자명예훼손에 해당할 수 있는 내용을 주장하고자 할 때는 기자회견장에서 면책특권을 내려놓고 하는 것이 책임 있는 태도”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