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북한 무인기 도발에 대한 우리 군의 작전이 그렇게 허술했을까. 우리 군은 북측 지역에서부터 미상 항적을 최초 포착·추적했다. 미상 항적을 분석하던 중 해당 비행체가 남하하자 6분 후 특이 항적으로 판단해 상급 부대에 보고했다. 레이더가 소형 비행체를 탐지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항적이 위협이 되는 비행체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하는데, 저속의 조류 등 비행체와 실제 위협을 구분하기는 매우 어렵다. 비행체 열을 탐지하는 TOD의 경우에도 40배율까지 확대해서 봐야 무인기인지 아닌지 어렴풋이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도 우리 운용 요원들은 최초 북한 무인기와 이후 4대의 무인기 모두를 탐지·식별해 추적했다. 지난 2014년과 2017년 북한 무인기 남침 때는 아예 탐지 자체를 못했던 것과 비교하면 발전했다는 얘기다. 특히 ‘왜 격추시키지 않았느냐’는 지적에 군은 억울한 측면이 있다.
민가 밀집지역으로 진입한 북한 무인기를 사격하기에는 유탄과 파편의 영향 등을 감안하면 불가능한 작전이다. 실제로 강화도 전방으로 침투한 나머지 항적들도 강화역사박물관 인근으로 접근해 들어와 사격이 어려웠다. 기회를 노리던 우리 군은 주문도 밖 상공 쯤에서 기총 100여발을 쐈지만, 이는 조준사격이 아닌 지향사격이었다. 군이 축적한 북한 무인기 재원에 따르면 2m급 소형무인기는 13㎏ 정도로 화학무기와 폭약을 장착했더라도 400~900g 정도로 알려졌다. 이 정도 양을 공중 살포시 그 효과는 미비하고, 폭약 역시 파괴력이 크지 않다는 얘기다.
육군 1군단과 수도방위사령부 간 상황 공유 미비 지적도 이같은 북한 무인기에 대한 위협 평가시 큰 고려사항은 아닐 수 있다. 서울로 진입한 무인기 외에 4대의 무인기가 차례로 월남시 합참 차원의 작전이 이뤄진 배경이다. 물론 군의 공조 체계나 비행금지구역(P-73) 침범 번복에 대한 부분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그래도 현장 작전 요원들의 노력은 평가해줘야 하지 않을까. 군의 사기가 말 그대로 ‘바닥’이다.
| 적 소형무인기 대응 및 격멸훈련에서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천마’ 발사대가 작전을 하고 있다. (사진=합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