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부진 딛고 상승 기대되는 대형주 8선…포드·에어비앤비 등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UBS가 지난 1년간 미 증시 랠리에서 소외되며 월가의 외면을 받아왔지만 펀더멘털 개선에 따라 역발상 투자자들에게 잠재적인 매수 기회가 될 주식을 선별했다. CNBC 보도에 따르면 UBS는 애널리스트 투자의견이 월가 평균 이하이고 52주 안에 대규모 하락을 경험한 바 있으며 최근 3개월 실적 모멘텀이 강력한 기업을 선정했다. 그 결과 노르웨이지안 크루즈 라인 홀딩스(NCLH), 에어비앤비(ABNB), 포드 모터(F), 에스티 로더(EL), 크로락스(CLX), 화이자(PFE), 일리노이 툴 웍스(ITW), 뉴몬트(NEM) 등 8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자동차 제조사 포드는 올해들어 주가가 4% 하락했으며 다수의 애널리스트들이 보유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이넬 로에스카 번스타인 애널리스트는 지난주 포드에 대해 시장수익률 상회 의견과 함께 목표가 16달러를 제시했다. 이는 현재 주가 대비 약 38% 상승여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로에스카 애널리스트는 “상당한 영업 레버리지와 궁극적으로 전기차 유닛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명확한 길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공유 숙박 플랫폼 에어비앤비 또한 기준에 부합했다.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들은 에어비앤비에 대해 보유 의견을 제시하고 있지만 최근 스콧 데빗 웨드부시 애널리스트는 “현재의 저조한 주가가 매력적인 진입점이 될 수 있다”며 시장수익률 상회 의견을 제시했다. 데빗 애널리스트는 “현재까지의 긍정적인 여행 데이터를 고려할 때 보수적인 2분기 가이던스 대비 잠재적인 상승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크루즈 운영사 노르웨이지안 크루즈도 최근 트루이스트와 미즈호에서 매수 의견을 제시했다. 벤 차이켄 미즈호 애널리스트는 노르웨이지안 크루즈가 2년간 저조한 성과를 보였지만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이라며 단기/중기 추정치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4.06.01 I 정지나 기자
  • VF, 반스 글로벌 사장으로 전 룰루레몬 CPO 임명…주가 7%↑
  • [이데일리 정지나 기자] 의류 브랜드 노스페이스, 반스, 팀버랜드를 소유한 VF(VFC)가 룰루레몬의 전 최고제품책임자(CPO)를 반스 글로벌 브랜드 사장으로 임명한 후 31일(현지시간) 주가가 상승했다. 이날 오전 거래에서 VF의 주가는 7.38% 상승한 13.24달러를 기록했다.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VF는 전 룰루레몬 CPO였던 미셸 선 최가 7월 말부터 반스의 글로벌 브랜드 사장으로 직무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이 소식에 긍정적으로 반응했으며 월가에서도 낙관적 전망을 내놨다. 웨드부시 애널리스트인 톰 니킥과 매튜 퀴글리는 이번 임명에 대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핵심 단계”라고 밝혔다. 웨드부시는 VF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하고 목표가를 10달러에서 11달러로 높였다. 웨드부시는 글로벌 브랜드 사장 자리가 지난 10월부터 공석이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최 사장의 임명이 제품 라인을 활성화하고 브랜드에 다시 한 번 흥미를 불러일으키는데 도움이 될 것”고 말했다. 구겐하임 애널리스트인 로버트 드불과 아리안 라자이도 반스의 턴어라운드가 VF 주가 회복에 매우 중요하다며 매수 의견과 목표가 19달러를 제시했다.
2024.05.31 I 정지나 기자
"엔저 막아라"…외환시장 개입한 日, 한달간 86조 투입
  • "엔저 막아라"…외환시장 개입한 日, 한달간 86조 투입
  • [이데일리 마켓in 김연지 기자]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이 엔화 가치 하락(엔저)을 막기 위해 최근 한 달 동안 약 86조원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셔터스톡 갈무리)31일 일본 재무성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29일까지 9조7885억 엔(약 86조 원) 규모의 외환 개입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앞서 지난 달 29일 아시아 외환시장에서는 엔·달러 환율이 34년 만에 처음으로 달러당 160엔선을 넘어선 뒤 4엔 넘게 급락했다. 이달 2일에도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157엔대에서 4엔가량 급격히 하락했다. 상황이 이렇자 시장에서는 일본의 외환 당국이 엔화 약세를 막기 위해 외환 개입에 나선 것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일본 외환 당국자는 이와 관련해 “외환시장 개입 여부에 대해서는 노코멘트”라는 원론적 입장을 반복해왔다.일본 당국은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145~151엔대에 있던 2022년 9~10월에도 시장에 개입한 바 있다. 당시 엔화 매입 규모는 9조 1000억엔 수준이다.니혼게이자이신문은 “주요 7개국(G7) 합의에서 환율의 과도한 변동이나 무질서한 움직임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에는 개입을 인정하고 있다”며 “4월 29일 160엔대로의 급락은 투기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해 개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다만 당국의 시장 개입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효과는 일시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 간 금리 차가 크게 줄어들기 힘들다는 판단 때문이다. 최근 엔·달러 환율은 157엔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2024.05.31 I 김연지 기자
머스크, 소송까지 걸었는데…올트먼, 오픈AI 영리회사 전환 강행?
  • 머스크, 소송까지 걸었는데…올트먼, 오픈AI 영리회사 전환 강행?
  •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영리회사로 전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사진=AFP)30일 IT 전문 매체 더 인포메이션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과 대화를 나눈 익명의 상대방을 인용해 영리회사 전환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오픈AI는 영리법인을 비영리 법인 이사회가 관리하는 구조다. 2015년 비영리 단체로 출발한 오픈AI는 2019년 영리 법인을 설립하면서 안전한 인공범용지능(AGI) 개발이라는 사명을 실현하기 위해 구조를 바꿨다.올트먼 CEO는 영리 관련 투명성 논란으로 인해 지난해 11월 이사회에서 잠시 축출됐다가 복귀에 성공했다.당시 올트먼을 몰아내는 데 앞장섰던 오픈AI 전 이사 헬렌 토너 조지타운대 보안·신흥기술센터 연구원은 29일 팟캐스트 ‘테드 AI 쇼’에 출연해 “오픈AI 이사회는 회사의 공익적 임무가 수익이나 투자자 이익 등 다른 것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확실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이사회”라고 강조했다.토너는 “이사회는 챗GPT가 출시되는 것을 트위터를 보고 알았다”며 “올트먼은 수년간 정보를 숨기고, 회사에서 일어나는 일을 왜곡하고 어떤 경우에는 노골적으로 거짓말을 해 이사회가 실제 일을 하는 것을 정말 어렵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그는 또 “올트먼은 오픈AI 스타트업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사회에 말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올트먼은 이 펀드를 사실상 소유하며, 수익 창출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등 외부 자금을 조달해 스타트업에 투자해왔다.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지난 3월 오픈AI 영리사업은 회사 설립 당시의 계약을 위반한 것이라며 오픈AI와 올트먼을 상대로 소송을 냈다. 머스크는 오픈AI 경영진이 새로운 AI 기술로 돈을 버는 데 관심을 두면서 자신과 마찰이 커졌다고 주장했다. 머스크는 “현실에서 오픈AI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기술 기업인 MS의 사실상 자회사로 변모했다”고 꼬집었다.머스크는 한때 올트먼 CEO와 공동 창업을 할 만큼 가까운 사이기도 했다. 그러나 영리사업 문제로 충돌한 뒤 2018년 이상회에서 물러났다. 지난 2월에는 오픈AI에 자금을 지원했을 때 대중의 이익을 위해 비영리 기술 개발기업으로 남을 것이라는 합의를 확보했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합의를 위반한 오픈AI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한 MS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오픈AI의 기술로 재정적 이익을 얻지 못하도록 하는 금지 명령을 요구했었다. MS는 오픈AI에 130억 달러를 투자한 파트너다.
2024.05.31 I 양지윤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