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92건

벳엔진㈜, 암유전자 검사를 통한 치료제 추천 서비스 사업 본격화
  • 벳엔진㈜, 암유전자 검사를 통한 치료제 추천 서비스 사업 본격화
  •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벳엔진(Vet&Gene)은 작년 반려동물 암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시작하고, 이번 달 본격적인 사업 확대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해당검사는 미국 비디엄(Vidium)사와 협력하여 수의종양전문의들에 의해 진행되는 전문적인 암유전자 검사로서 진단뿐 아니라 추천 치료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비만세포종, 림프종, 골육종과 같은 일반적인 반려견 암 뿐만 아니라 진단이 불확실한 종양 등을 모두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표적치료가 가능한 치료제를 미국 종양전문의가 추천하는 방식이다. 또한, 필요시 조직 및 세포 병리학 검사도 동시에 의뢰가 가능하다.강미애 벳엔진 연구소장은 “환견의 암세포 및 조직 검체에서 추출한 핵산에 대한 120개의 암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식별한 후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해 암 진단과 예후 그리고 다약물 내성을 포함한 유전자 정보뿐만 아니라 맞춤 암 치료제까지 추천되며 95% 민감도와 99% 특이도를 보이는 검사서비스”라고 설명했다.㈜벳엔진은 현재 박사급 전문 수의사와 종양학, 면역학, 분자생물학 전문 박사급 연구인력을 보유한 반려동물 질병진단기관이며 다량의 동물용 검체를 확보하고 있는 바이오뱅킹 기업이다. 또한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지난해 동물용 의약품 임상시험 실시기관으로 지정되어 다수의 동물용 의약품 및 의료기기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벳엔진이 제공하는 암유전자검사 서비스 의뢰에 대한 상세정보는 ㈜벳엔진 홈페이지 공지사항란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2024.04.26 I 이윤정 기자
제놀루션, 홈뷰티·그린바이오 등 신사업 발판 실적 반등 청신호
  • 제놀루션, 홈뷰티·그린바이오 등 신사업 발판 실적 반등 청신호
  •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의료기기 전문기업 제놀루션(225220)이 올해 실적 반등을 노린다. 제놀루션은 주요 제품인 핵산추출 시약·장비가 코로나19 진단키트에 활용되면서 팬데믹 수혜를 누렸다. 하지만 코로나19 엔데믹에 접어들면서 실적이 주춤하고 있다. 제놀루션은 홈뷰티(가정용 미용)와 동물용 리보핵산(RNA) 치료제 등 그린바이오 신사업 강화를 통해 코로나19 엔데믹 돌파구를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피부미용기기시장 진출…혈당 측정기시장 진출 추진 15일 의료기기업계에 따르면 제놀루션은 지난해 매출 9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381억원)과 비교해 4분의 1가량 감소했다. 지난해 영업적자(손실)는 71억원으로 전년 147억원에서 적자전환했다. 코로나19 진단키트에 사용되면 주요 제품인 핵산추출시약·장비 등의 판매량이 줄어든 영향이다. 제놀루션은 코로나19 팬데믹과 함께 급성장했다. 제놀루션의 2019년 매출은 40억원에 불과했지만 2020년 853억원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2억원에서 54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엔데믹 추세로 전환되면서 실적이 감소하고 있다. 핵산추출시약·장비의 지난해 매출은 약 79억원으로 전체 매출(98억원)의 약 81%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제놀루션은 신사업 진출을 통해 실적 개선을 꾀한다. 제놀루션은 자회사 비앙블바이오텍을 앞세워 피부미용기기 시장에 진출했다. 제놀루션은 지난해 10월 지분 50%를 출자해 비앙블바이오텍을 설립했다. 비앙블바이오텍은 최근 콜드 플라즈마 기술 기반 개인용 뷰티디바이스 앙블쁘리띠를 출시했다. 앙블쁘리띠는 한 손에 들어오는 크기로 집에서 손쉽게 피부관리를 할 수 있는 소형 피부미용기기다. 앙블쁘리띠는 트러블 원인균 살균효과가 입증된 저온 플라즈마 기술과 쁘리띠의 자체기술인 오존제거필터가 적용됐다.플라즈마를 활용한 피부미용기기는 피부와 접촉해 플라즈마를 생성할 때 오존이 함께 발생한다. 앙블쁘리띠의 경우 발생한 오존을 특허받은 오존제거필터 기반의 음압오존 제거 기술로 제거해 저온 플라즈마 기술과 시너지를 만들었다. 앙블리띠는 국내 전자파인증(KC)과 미국(FCC), 유럽(EC), 일본(PSE) 인증을 완료했다. 비앙블바이오텍은 특허 받은 나이아신 골드 원료와 티트리 허브오일을 이용한 미백, 주름개선 이중기능성 화장품 알에프 포샵 쁘리띠도 출시했다. 비앙블바이오텍은 홈뷰티 사업 확대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외 홈뷰티산업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은 2013년 800억원에서 지난해 1조6000억원 규모로 확대됐다. 마켓츠앤마켓츠에 따르면 전세계 가정용 미용기기시장 규모는 지난해 140억달러(약 19조원)에서 2030년 899억달러(약 124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제놀루션은 혈당측정기 사업 진출도 추진한다. 제놀루션은 최근 회생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혈당측정기 제조업체 필로시스 인수를 위한 인수합병(M&A) 조건부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수원회생법원에서 진행되는 인가 전 인수합병과 관련한 것이다. 앞으로 공개 입찰 절차를 진행해 인수의향자 또는 입찰자가 없거나 제놀루션의 인수 내용보다 더 유리한 인수 내용을 제시하는 입찰자가 없는 경우 제놀루션을 최종 인수예정자로 선정하기로 하는 스토킹 호스 비딩 방식의 조건부 투자 계약이다.필로시스는 2003년 5월에 설립된 혈당측정기 및 스트립 제조업체다. 혈당 수치를 고객 스스로 측정할 수 있는 개인용 혈당측정기와 측정기에 사용되는 혈당측정지, 병원용 혈당측정기 등을 개발, 제조, 판매한다. 특히 필로시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모바일 혈당 측정기를 제조·판매한다는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필로시스는 지난해 매출액은 87억원을 기록했다. 제놀루션은 필로시스를 인수할 경우 의료기기 사업 분야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제놀루션 관계자는 “필로시스의 모바일 혈당 측정기는 젊은 층에게도 어필할 수 있는 만큼 향후 안정적인 실적이 예상된다”며 “필로리스는 수출 비중이 커 양사간 해외 네트워크 시너지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꿀벌 등 동물용 리보핵산 치료제 상용화 제놀루션은 동물용 리보핵산 치료제도 상용화한다. 제놀루션은 세계 최초로 꿀벌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제 허니가드-R을 개발했다. 제놀루션은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에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꿀벌 낭충봉아부패병은 꿀벌 에이즈로 불리며 꿀벌 개체 수 급감을 유발한다. 낭충봉아부패병은 높은 치사율에도 불구하고 치료와 예방제가 전혀 없는 상황이다. 제놀루션이 개발한 치료제는 이중가닥 리보핵산(dsRNA) 기반 바이러스 억제제로 임상시험에서 치사율을 60%나 감소시켰다. 의료기기업계는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 농림축산식품부의 품목 허가를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꿀벌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제는 1년에 상하반기 두번 사용한다. 농림축산식품부의 품목허가를 받을 경우 오는 8월에 출시가 예상된다. 제놀루션은 국내 품목 허가 후 아시아와 전 세계로 꿀벌 낭충봉우부패병 치료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제놀루션은 꿀벌 낭충봉우부패병 치료제 외에 진균(노제마병)과 해충(응애) 치료제도 개발하고 있다. 의료기기업계는 홈뷰티와 그린바이오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연내 영업흑자 전환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제놀루션 관계자는 “영업흑자 전환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4.18 I 신민준 기자
엔젠바이오, 분자진단 전문기업 제놀루션과 '맞손'
  • 엔젠바이오, 분자진단 전문기업 제놀루션과 '맞손'
  •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반 정밀진단 플랫폼 전문기업 엔젠바이오(354200)는 분자진단 전문기업인 제놀루션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제놀루션은 리보핵산(RNA) 전문 바이오 기업으로 자궁경부암, 인플루엔자 등의 바이러스성 질환부터 성매개 감염병, 장내세균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 가능한 핵산추출 자동화장비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엔젠바이오는 체외진단 분야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 기술력과 암 진단 제품 및 소프트웨어(SW)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 양사의 시너지 효과를 회사는 기대했다.이번 업무 협업으로 엔젠바이오는 제놀루션과 함께 핵산 추출부터 라이브러리 제작, 데이터 분석 단계를 포함한 NGS 검사 전체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기 위한 확장형 시스템을 출시하는데 협력할 예정이다. 공동 사업 개발 일환으로 △NGS 자동화 장비와 정밀진단 패널의 패키지 사업 협력 △양사의 해외 영업망을 활용한 공동 마케팅 △글로벌 유통 협력 등도 추진한다.엔젠바이오 관계자는 “확장형 시스템으로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 방지, 검사 시간 단축 등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NGS 검사를 제공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제놀루션 관계자는 “엔젠바이오와의 업무 협약을 통해 NGS 기반 정밀진단 분야로의 진출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밀진단을 위한 당사의 핵산추출 기술이 양사의 발전에 기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엔젠바이오 관계자는 “인수 예정인 미국의 클리아랩을 포함해 논의 중인 해외 주요 임상검사 실험실에서 해당 자동화 장비를 적용한 정밀진단 제품을 평가하는 등 NGS 정밀진단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2024.03.13 I 이은정 기자
제놀루션, 김상훈 前 메드트로닉 코리아 상무 CFO로 영입
  • 제놀루션, 김상훈 前 메드트로닉 코리아 상무 CFO로 영입
  •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그린바이오 전문기업 제놀루션(225220)은 전 메드트로닉 코리아 재무담당 김상훈 상무를 제놀루션 신임 최고재무책임자(CFO) 겸 부사장으로 영입했다고 5일 밝혔다. 김상훈 신임 부사장은 재무와 회계 분야에서 경험을 쌓아온 전문가다. 그는 회계학 전공 석사로 애보트 코리아,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코리아, 마이크로소프트 코리아를 거쳐 메드트로닉 코리아의 재무운영 담당 상무를 역임한 바 있다. 또한 2007년부터 15년간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EK Health Services Inc 와 Data Care Corporation에서 CFO를 맡으며 재무와 기업 경영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김상훈 부사장은 제놀루션의 특수관계인으로 제놀루션의 의결권있는 주식 2.24%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사업의 검토와 추진에 있어 적극적으로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할 계획이다. 그는 주주 가치 극대화를 위해 IR·PR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으며,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에 도달할 때까지 최저임금만을 받겠다고 밝혔다.김상훈 신임 부사장은 “올 해 제놀루션은 핵산추출 기기와 시약의 미국 CLIA Lab 진출 확대, 홈뷰티 사업 론칭, 레드바이오 부문의 송도 사옥 이전 등을 앞두고 있다”며 “35년간 관련 업계 경력을 바탕으로 주요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024.03.05 I 이은정 기자
바이오노트, 고양이 레트로바이러스 2종 검사 카트리지 출시
  • 바이오노트, 고양이 레트로바이러스 2종 검사 카트리지 출시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바이오노트(377740)는 현장용 분자진단장비 ‘Vcheck M10(이하 M10)’ 전용 고양이 면역결핍바이러스(FIV)·고양이 백혈병바이러스(FeLV) 검사 카트리지 제품 ‘Vcheck M FIV·FeLV’를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Vcheck M10 전용 FIV·FeLV 검사 카트리지 제품 (사진=바이오노트)M10은 기존에 별도 장비로 진행되던 핵산 추출(Nucleic acid extraction)과 핵산 증폭(PCR)을 한 장비로 통합한 자동화 장비다. 검사 과정이 간편해 일반 동물병원 수의사도 별도의 교육 없이 PCR 검사를 동물병원 현장에서 할 수 있다.기존 1~3일 정도 소요되던 전문 검사기관 의뢰 방식의 PCR 확진 검사를 제품 카트리지를 통해 30분~1시간 내외에 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M10 장비는 8개의 채널 확장을 통해 실험실(Lab)에서부터 대형, 소형 병원까지 규모별로 최적화해서 사용하는 게 가능하다.바이오노트는 이달부터 해당 제품의 해외 수출도 본격화할 방침이다. 해외에서 반응이 좋은 ‘개 벡터(Vector) 8종’, ‘개 빈혈(Anemia) 8종’ 제품 등의 판매를 가속화하고, 연내 ‘설사(Diarrhea) 8종’을 출시할 예정이다.바이오노트 관계자는 “분자 진단 검사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동물용 현장 분자 진단 시장에서의 글로벌 점유율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바이오노트는 반려견에게 치명적인 진드기 매개질환인 바베시아증(Babesia gibsoni) 검사 카트리지의 연내 국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에 호흡기, 빈혈 관련 제품과 산업용 동물을 타깃으로 하는 제품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2024.03.05 I 김새미 기자
제놀루션, 국제꿀벌연구협회 아시아 국제 학술대회서 연구 발표
  • 제놀루션, 국제꿀벌연구협회 아시아 국제 학술대회서 연구 발표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그린바이오 전문기업 제놀루션(225220)이 2024년 ‘COLOSS Asia 국제 학술대회’에서 꿀벌 치료제 연구에 대한 학술발표를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제40차 한국양봉학회 정기총회도 겸했다. 제놀루션 R&D 전략기획실 김우진 박사가 국제학술대회서 연구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제놀루션)COLOSS Asia 국제학술대회는 서울대학교에서 약 300여명의 양봉 관련 산학연 연구자와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국제꿀벌연구협회(COLOSS), 한국양봉학회, 국립농업과학원, 안동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서울대학교, 아시아 양봉협회가 공동주관을 맡았다. 제놀루션은 꿀벌 치료제와 진단 연구에 대한 학술발표를 진행했다. 제놀루션의 R&D 전략기획실 김우진 박사는 ‘꿀벌 바이러스 및 병원체 세션’에서 ‘dsRNA를 이용한 국내외 꿀벌 병원균 방제 기술과 전망’을 발표했다.또 포스터 학술 발표를 통해 자동화 핵산추출장비인 ‘NX-Duo’의 꿀벌 병원체 핵산 추출 우수성을 소개했다. 특히 균질화 단계 없이 신속 추출된 핵산 시료를 이용해 LAMP(등온증폭) 방법에 의한 현장진단검사(POCT) 가능성을 제시해 큰 호응을 얻었다.아울러 제놀루션은 dsRNA 합성서비스, 분자진단 제품 및 꿀벌 사육 시스템 홍보를 위한 전시를 진행했다. 전시 부스를 통해 핵산추출시스템 시리즈와 작년 판권 계약을 체결한 Bio-rad의 주요 제품군들을 선보였으며, 최근 특허 출원한 꿀벌 유충 사육 시스템 시제품을 소개해 국내외 꿀벌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한편, 제놀루션은 dsRNA를 이용한 꿀벌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제인 허니가드-R의 품목허가를 신청한 상태로 꿀벌 집단 실종의 주요 원인의 하나인 응애와 노제마병에 대한 연구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2024.02.23 I 박순엽 기자
바이오니아, MEDLAB Middle East 2024 성황리 종료
  • 바이오니아, MEDLAB Middle East 2024 성황리 종료
  • (제공=바이오니아)[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바이오니아(064550)는 2월 5일부터 8일까지 두바이에서 개최되는 MEDLAB Middle East 2024(이하 MEDLAB)에 참가해 중동, 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직접적인 연간 매출 향상을 목적으로 거래처 미팅을 진행했다.MEDLAB은 올해 23번째를 맞는 중동 최대 국제 의료기기 전시회로서, 글로벌 40개국에서 900개 기업의 3만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가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의료기기업체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정보 공유의 장으로 인식되고 있다.바이오니아는 30 여개국 200여개 업체들과 미팅을 진행하며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오만 등 글로벌 신규 시장 진출 전략을 강구했다. 바이오니아는 현재 중동, 아프리카 및 서남아시아 지역 내 아랍에미레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등 국가별 거점 대리점을 10곳 이상 보유하고 있다.체외진단 의료기기는 해외수출 시 국가별 인허가를 취득해야 한다. 행사 기간 중 바이오니아는 신규 시장 업체 대상 국가별 인허가 절차 등 향후 협력 사업을 논의하고 분자 진단 솔루션 제안 활동을 지속했다. 회사는 앞으로도 차별화된 분자 진단 솔루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계속적인 결핵(TB), 후천성면역결핍성증후군(HIV), B형 간염(HBV)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선다.2022년 유럽 인증을 취득한 Iron-qPCR™는 40분대에 최대 40종의 병원체를 한번에 검출할 수 있는 제품으로, 기존에 별도로 진행되던 핵산 추출 과정과 유전자 증폭(PCR) 과정을 하나로 통합시키며 전과정을 자동화시켰다. 검사 시간도 기존 4시간에서 40분대로 획기적으로 줄였다. Iron-qPCR™은 사우디아라비아, 필리핀 등에서 중저개발국에서 판매가 완료된 바 있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 대리점과의 2023년 비즈니스 분석을 통해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여 전략을 강화할 것”이라며 “신규 거래처와도 최대한 많은 접점을 확보해 차세대 진단 제품 수요를 확보하고 글로벌 통합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24.02.08 I 김지완 기자
제놀루션, 올봄 홈뷰티 시장 도전한다
  • 제놀루션, 올봄 홈뷰티 시장 도전한다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제놀루션(225220)이 올해 3월 저온 플라즈마 기술이 적용된 피부미용기기를 출시, 홈뷰티 시장에 도전한다.제놀루션 본사 사진 (사진=제놀루션)29일 이데일리 취재에 따르면 제놀루션이 올해 3월 피부미용기기 출시를 목표로 지난 10월 자회사를 신설한 것으로 확인됐다.제놀루션은 지난해 10월 20일 종속회사 설립을 위한 자본금 출자의 건에 대해 이사회 결의를 마치고 같은달 23일 비앙블바이오텍을 신설했다. 법인명인 비앙블에는 영어 Be 동사 ‘Be’와 프랑스어 ‘Envol’을 조합한 단어로 ‘높이 날자’는 뜻이 담겼다. 해당 사명에는 김기옥 대표의 프랑스에서 수학한 경험이 반영됐다.◇저온 플라즈마 활용 미용의료기기 개발…3월 론칭 예정제놀루션은 지난해 미용의료기기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고 소형 미용의료기기를 개발해왔다. 해당 제품은 저온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미용의료기기로 여드름 치료에 특화된 홈뷰티 디바이스일 것으로 추정된다.제놀루션 관계자는 “플라즈마는 살균 효과가 증명됐기 때문에 우선 여드름 치료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고, 미백이나 기타 피부 개선도 가능할 것으로 자체 임상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당초 출시를 계획했던 시기는 지난해 12월이었지만 일정이 다소 지연되면서 올해 3월 론칭을 목표로 하게 됐다. 제놀루션은 해당 제품의 국내 전자파인증(KC)과 미국 FCC 인증은 완료한 상태다. 국내 시판을 위해 필요한 오존 인증 획득은 내달 말 마칠 예정이다.제놀루션은 빠른 상용화를 위해 일단 피부미용기기로 출시하고 의료기기 인증을 받기 위한 임상은 추후 진행하기로 했다. 피부미용기기와 달리 피부미용의료기기로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증·허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의료기기 인증은 늦어도 내후년까지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레드오션이지만 수익성 높은 홈뷰티 시장 ‘눈독’제놀루션은 해당 제품 출시를 통해 홈뷰티 시장에 진출하게 된다. 해당 제품은 집에서 소비자가 직접 피부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제품으로 기업소비자간거래(B2C)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홈케어 기기를 중심으로 한 홈뷰티 시장은 레드오션이지만 수익성이 높고 시장 성장성이 높다.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800억원이던 국내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은 지난해 1조6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마켓츠앤마켓츠에 따르면 세계 시장 규모는 지난해 140억달러(약 18조원)에서 2030년 899억달러(약 119조원)로 연평균 26.1%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국내에선 의료기기업체인 클래시스(214150) 외에도 제약·바이오기업인 동국제약(086450), 파마리서치(214450) 등이 홈뷰티 시장에 진출한 상태다. 동국제약은 지난해 1월 홈뷰티 디바이스 ‘마데카프라임’을 출시해 5월부터 마케팅을 강화하는 등 판매를 본격화했다. 동국제약의 지난해 홈뷰티 제품 매출은 200억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마리서치는 지난해 6월 홈뷰티 디바이스 ‘리쥬리프’를 출시했으며, 클래시스는 이달 프리미엄 홈뷰티 디바이스 ‘볼리움’을 선보였다.홈뷰티 디바이스는 의료 접근성이 낮은 해외로도 확장 가능성이 높다는 강점이 있다. 제놀루션도 미국, 유럽, 일본 등에 제품 내장 배터리에 대한 안전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오는 3월 인증을 받으면 해당 국가들에 대한 수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신성장동력 확보 시급했던 제놀루션…홈뷰티로 활로 뚫을까제놀루션의 홈뷰티 사업 진출이 새로운 캐시카우가 될 수 있을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제놀루션은 엔데믹 이후 매출이 줄어들면서 안정적인 새로운 매출원이 필요한 상황이었다.제놀루션은 자사의 핵산추출시약·장비가 코로나19 진단키트에 쓰이면서 코로나19 수혜를 입었던 업체다. 제놀루션의 매출은 2020년 853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1년 728억원, 2022년 38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매출액은 누적 7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1% 급감해 연매출 역시 상당히 줄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더구나 지난해 3분기 누적 영업손실은 44억원으로 연간 영업손익이 약 10년 만에 적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의료기기업계 관계자는 “최근 국내 의료기기업체들이 홈뷰티 디바이스를 출시하며 매출을 다각화하는 추세”라며 “홈뷰티 시장이 유망한 것도 있겠지만 의료기기업체로선 개발이 크게 어렵지 않으면서 수익성이 좋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4.01.30 I 김새미 기자
HLB 계열사, 교모세포종 백신 2상 종료…‘리보세라닙’ 이을 차세대 플랫폼 성과 눈길
  • HLB 계열사, 교모세포종 백신 2상 종료…‘리보세라닙’ 이을 차세대 플랫폼 성과 눈길
  •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HLB(028300)의 자회사인 미국 암 치료백신 개발사 이뮤노믹테라퓨틱스가 지난해 교모세포종 치료백신 임상 2상을 마무리했다. 연내 임상 결과가 글로벌 학회 등을 통해 발표될 예정인데, ‘리보세라닙’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약허가 발표를 앞둔 HLB가 또 하나의 호재를 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뮤노믹 백신플랫폼 ‘UNITE’ 성적표 나온다8일 미국 국립보건원(NIH) 임상시험 정보사이트인 ‘클리니컬 트라이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30일 이뮤노믹의 교모세포종 치료백신 ‘ITI-1000’의 임상 2상 (임상명 ‘ATTAC-II’)이 종료됐다. 관련내용은 지난해 12월7일 클리니컬 트라이얼에 게시됐다.이뮤노믹 파이프라인 개발 현황 (자료=이뮤노믹테라퓨틱스)교모세포종이란 뇌에 생기는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하지만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이 2년도 채 되지 않고 5년 생존율은 10% 미만이어서 ‘최악의 암’으로 꼽힌다. 미국에서만 연간 2만명의 환자가 발생하는데, 이중 약 1만명이 교모세포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이다. 현재 FDA 승인을 받은 교모세포종 치료제는 로슈의 ‘아바스틴’(성분명 베바시주맙)과 화학치료제인 테모졸로마이드(제품명 ‘테모달’) 둘 뿐이다.ITI-1000 임상 2상은 18세 이상의 GBM 환자 1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플로리다 대학교, 올랜도 병원(Orlando Health), 듀크대학교 메디컬센터 등 미국 내 3개 사이트에서 진행됐다. 교모세포종 1차 치료제인 항암제 테모졸로마이드(TMZ)와 함께 ITI-1000 백신을 투약했을 때의 평균 전체 생존율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골자다.ITI-1000 임상 2상은 지난 2016년 듀크대학과 플로리다대학이 연구자 임상으로 시작했으나 결과가 좋게 나타나자 환자 수를 늘리고 임상 설계를 보완해 허가용 임상으로 확장 진행한 것이다. 클리니컬 트라이얼에도 임상시험의뢰자는 플로리다대학으로 명시돼 있다.실제로 앞서 듀크대학의 크리스틴 배치 박사가 2021년 미국 신경종양학회에서 발표한 임상 2상 관련 중간데이터에 따르면 파상풍-디프테리아(Td) 백신을 전처리한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 결과, 5년 mOS(전체 생존기간 중간값)가 ATTAC-II 임상에서 38.3개월, 확장 코호트 임상에서 37.7개월을 각각 보였으며, 수지상세포의 림프절 이동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켰음을 확인했다. 아직 완전히 데이터 취합이 끝나진 않았지만 최종적인 임상 2상 결과도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진행된 HLB 임시주주총회에서 진양곤 회장은 “이뮤노믹은 ITI-1000의 상업화에 대한 권한만 갖고 있고, 임상 권한은 플로리다대학에 있어 자세한 임상 2상 결과는 플로리다대학이 학회 등에서 발표해야 회사도 알 수 있다”면서도 “임상을 통해 UNITE 플랫폼의 높은 가치를 확인했다”고 말했다.회사 관계자는 “현재 임상 완료 후 데이터 분석 등을 진행 중”이라며 “향후 결과 확인 후 대학 측과 진행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며, 회사는 현재 완전한 권리를 가진 ‘ITI-1001’, ‘ITI-3000’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기대주는 UNITE 기반 후속타자 ‘ITI-1001’·‘ITI-3000’ITI-1000은 이뮤노믹의 세포치료 백신 플랫폼 UNITE를 적용해 만든 백신후보물질로, 교모세포종에서 많이 발현하는 거대세포바이러스의 ‘pp65’ 단백질을 수지상세포(DCs)에 활성화시켜 치료하는 면역세포 치료백신이다. 이번 임상 결과가 중요한 이유는 UNITE가 이뮤노믹이 역점을 두고 개발 중인 차세대 후보물질들에도 두루 적용되기 때문이다.앞서 대학 주도로 진행된 ITI-1000에서 UNITE의 가능성을 확인한 이뮤노믹은 현재 ITI-1000외 UNITE를 활용한 후보물질 2건에 대한 임상을 추가로 진행 중이다. 특히 후속 개발물질인 ITI-1001과 ITI-3000은 기존 개발 중인 ITI-1000보다 진보된 형태여서 회사의 기대감이 높다.이뮤노믹이 보유한 UNITE 적용 후보물질들의 기전. 1번은 기존 ITI-1000의 기전이며, 항원의 타깃 RNA를 백신형태로 만들어 바로 주입하는 2번은 ITI-1001과 ITI-3000의 기전이다. (자료=HLB)ITI-1000이 환자의 몸 밖으로 면역세포를 추출해 타깃 항원을 넣은 뒤 환자에게 재주입하는 형태의 세포치료제인 반면, 후속 물질인 ITI-1001은 항원의 타깃 리보핵산(RNA)을 백신형태로 만들어 바로 주입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방식의 치료백신이다. ITI-1000보다 생산과정이 단순해 비용이 적게 드는 반면 편의성은 높다. ITI-1000이 연구자 임상을 허가용으로 전환한 사례여서 이뮤노믹의 접근권한이 제한적인 반면 ITI-1001과 ITI-3000은 상업화뿐 아니라 임상에 대한 권한도 이뮤노믹이 보유하고 있다.ITI-1001은 교모세포종 치료제로 지난해 8월 임상 1상 첫 환자 투약이 종료됐고, 악성 피부암인 메르켈세포암 치료제 ITI-3000은 지난해 6월 말 종료된 임상 1상에서 안전성과 효능을 확인, 현재 2상을 준비 중이다.이뮤노믹은 보유 중인 후보물질들의 임상 진행과 함께 기술수출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회사 측은 기술이전 성과가 가시화되면 나스닥 상장 준비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뮤노믹은 지난 2020년 HLB가 리보세라닙 이후 차세대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인수한 미국의 면역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이다. 지난해 9월 기준 HLB가 40.99%, HLB글로벌(003580)이 3.6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HLB USA 법인장인 김동건 사장이 이뮤노믹 대표를 겸직하고 있다.
2024.01.09 I 나은경 기자
랩지노믹스, 제놀루션 장비 美 법인 도입 “국내 진단사와 시너지 기대”
  • 랩지노믹스, 제놀루션 장비 美 법인 도입 “국내 진단사와 시너지 기대”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랩지노믹스(084650)는 클리아랩 큐디엑스(QDx Pathology)에 제놀루션의 핵산 추출장비를 도입한다고 8일 밝혔다. 핵산 추출장비 공급과 함께 시약 공급계약도 체결하며 본격적인 시너지가 기대된다.사진=랩지노믹스큐디엑스는 추출 프로세스 내 기존 설비를 제놀루션의 장비 및 시약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핵산 추출 자동화장비를 도입함으로써 복잡한 프로세스를 일원화하고, 원가 절감 및 신속한 결과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랩지노믹스는 지난해 1월 루하프라이빗에쿼티(PE)로 최대주주가 변경된 이후 국내 유수의 진단 기업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제놀루션의 장비 도입으로 미국의 체외진단 시장에서 국내 기술력을 입증하고 미국 진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다.조정희 랩지노믹스USA 대표는 “이번 계약은 클리아랩 인수 후 국내 기업과 협업해 미국 시장에 진출한 첫번째 성공 사례라는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국내의 우수한 기술력을 미국 진단 시장에 선보여 글로벌 시장에서 K-진단 기술력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어 “국내 우수한 진단 및 바이오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보다 경쟁력 있는 시스템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사업을 확장하겠다“며 ”올해는 미국 서부에 위치한 클리아랩의 추가 인수를 목표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이종훈 랩지노믹스·루하PE 대표는 “제놀루션 등 여러 국내 유수의 바이오 기업과 구축한 전략적 관계를 기반으로 미국 시장을 적극 공략해 윈윈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핵심 전략”이라며 “K-진단을 미국에 선보일 수 있는 훌륭한 플랫폼으로 발돋움하겠다”고 강조했다.랩지노믹스USA는 랩지노믹스의 100% 자회사로 지난해 8월 뉴저지 소재에 위치한 클리아랩 큐디엑스를 인수했다. 큐디엑스는 미국 클리아랩 시장에서 100위권 내 순위며 경쟁력 있는 클리아랩으로 분자 분석 서비스 등 병리학 진단에 강점이 있다. 현재 미국 내 28개주에서 약 1600여개 의료기관에 분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4.01.08 I 이정현 기자
엑세스바이오, 제놀루션과 美 클리아랩 시장 진출 협력 추진
  • 엑세스바이오, 제놀루션과 美 클리아랩 시장 진출 협력 추진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코스닥 상장 미국법인 엑세스바이오(950130)는 제놀루션(225220)과 미국 클리아랩(CLIA Lab)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엑세스바이오(좌)와 제놀루션(우)의 로고 (사진=각사)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양사는 미국 클리아랩 시장 진출을 위한 분자진단 분야의 자동화 장비·시약 개발·보급을 위해 공동 협력한다. 또 해외 네트워크 활용을 통해 미국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특히 엑세스바이오는 한국에서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성능의 분자진단 제품을 발굴해 미국 진단랩 개발 테스트(LDT) 시장 진출에 교두보 역할을 할 계획이다.LDT는 클리아랩에서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없이 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 진단 제품의 미국 시장 출시 가속화 방안으로 활용된다.전 세계 LDT 시장은 지난해 51억달러(한화 약 6조6500억원) 규모로 연평균 6.7%씩 성장해 2028년에는 약 76억달러(약 9조91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엑세스바이오 관계자는 “미국은 코로나 팬데믹의 응급상황을 거치며 진단랩 시설이 증가하며 분자진단이 보편화됐다”며 “이러한 시장 상황을 바탕으로 LDT 사업을 통해 수익원을 다변화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고 말했다.한편 제놀루션은 자궁경부암, 인플루엔자 등 바이러스성 질환과 성매개 감염병, 장내세균 등 박테리아성 질환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 가능한 핵산추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2023.11.15 I 김새미 기자
엑세스바이오 자회사 ‘웰스바이오’, 핵산자동추출장비 유럽 CE-IVDR 인증 획득
  • 엑세스바이오 자회사 ‘웰스바이오’, 핵산자동추출장비 유럽 CE-IVDR 인증 획득
  •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엑세스바이오(950130)의 자회사인 웰스바이오㈜(대표 최영호, 이민전)는 최근 핵산자동추출장비인 ‘careSTART™ P1 system’에 대한 유럽 CE-IVDR 인증을 획득했다고 1일 밝혔다.웰스바이오가 CE-IVDR 인증을 획득한 핵산자동추출장비 ‘careSTART™ P1 system’. (제공=웰스바이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careSTART™ P1 system”은 인체유래 검체로부터 유전자 증폭 검사(PCR)를 위한 핵산(DNA, RNA)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장치로, 유전자를 20여분만에 높은 수율로 고속 추출할 수 있다. 본 제품을 도입하면 현재 의료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질병의 분자진단 관련 전체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검사의 정확도까지 높일 수 있다.유럽연합은 지난 2022년 5월 26일부터 EU 국가에서 판매되는 체외진단의료기기(IVD)의 필수 요구 조건인 CE에 대해, 보다 엄격한 임상적 증거 마련 및 인증기관 사후 심사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체외진단의료기기 규정(EU Regulation 2017/746, IVDR)’의 적용을 의무화했다.웰스바이오는 해당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기존 CE-IVDD에서 CE-IVDR로의 전환 작업을 면밀히 준비해 왔으며, 이번 인증 획득을 통해 제품의 높은 신뢰도를 입증한 동시에, 유럽 체외진단시장의 다양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체외진단 전문기업으로서의 기반을 다지게 됐다.본 제품은 이미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 허가는 물론 미국 FDA Device Listing까지 마쳤다. 회사 측은 이번 CE-IVDR 인증을 통해, 향후 아시아는 물론 미국과 유럽 등 선진 시장으로의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됐다.웰스바이오 관계자는 “당사의 강점인 분자진단 분야에서 핵산의 추출과 증폭 및 분석까지의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포트폴리오 완성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면서 “모기업 엑세스바이오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미국 및 유럽 선진 시장에서의 큰 성과를 이룰 것이라 자신한다”고 밝혔다.웰스바이오는 이달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의료기기 전시회 ‘MEDICA(메디카) 2023’ 현장에서 본 제품을 정식 소개할 계획이며, 향후 유럽 각국에 구축된 대리점들을 통해 다양한 진단검사기관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에 나설 전망이다.한편 웰스바이오는 팜젠사이언스를 최대주주로 둔 엑세스바이오의 자회사로, 차세대 체외진단 제품 개발을 목적으로 2013년에 설립된 체외진단의료기기 전문 개발·생산 기업이다.
2023.11.01 I 김지완 기자
이글벳, 제놀루션과 손잡고 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 맞손
  • 이글벳, 제놀루션과 손잡고 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 맞손
  •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이글벳(044960)은 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R&D) 역량 확보를 위해 유전자치료 연구개발 전문기업 제놀루션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4일 체결했다고 밝혔다.(사진=이글벳 제공)양사는 이글벳이 보유한 동물의약품 대량생산 기술 및 글로벌 판매, 유통망과 제놀루션이 보유한 유전자치료제 R&D 기술력을 중심으로 협력할 방침이다.제놀루션은 다량의 샘플을 신속 처리할 수 있는 핵산 추출 플랫폼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dsRNA를 이용해 동물, 곤충 또는 바이러스의 필수 생존 단백질 생성을 막는 기전으로 RNA동물치료제와 농약을 개발하고 있다. 미국 의료기술 전문지인 메드테크 아웃룩(MedTeck Outlook)이 선정한 ‘2022년 대한민국 상위 5개 분자 진단 솔루션 회사’에도 올랐다.품목허가 대기 중인 ‘허니가드-R액’은 꿀벌 유충이 번데기로 변태하기 전 말라 죽게 만드는 낭충봉아부패병(SBV)의 치료제다. 꿀벌 유충에 RNA를 넣어 SBV 바이러스 발현을 막는 작용기전이다. 지난 3월 임상시험을 완료하고 4월 농림축산검역검사본부에 품목허가를 신청한 상태다. 허니가드-R액은 양봉업계의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 ‘내성’이 없는 유전자치료제로 양봉산업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빠르면 오는 4분기 내 품목허가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회사 측은 내다봤다.제놀루션은 낭충봉아부패병 외에 꿀벌을 숙주로 삼는 꿀벌응애 및 노제마병, 양계의 와구모, 양돈 및 양계의 콕시듐 등에 대해서도 획기적인 유전자치료 방식의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예상했다.이글벳 관계자는 “대량생산 기술 및 판매, 유통망을 활용해 세계 최초 동물용 유전자치료제를 글로벌 유통하는 등 동물의약품 분야에서 ‘퀀텀 점프’할 수 있도록 제놀루션과 긴밀하게 협업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3.09.05 I 양지윤 기자
제놀루션, 피부미용의료기기 출시 초읽기…내년 실적 반등 겨냥
  • 제놀루션, 피부미용의료기기 출시 초읽기…내년 실적 반등 겨냥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제놀루션(225220)이 내년 실적 반등을 위한 신무기로 준비 중인 피부미용의료기기가 빠르면 연내 출시될 전망이다. 제놀루션은 피부미용기기 시제품을 테스트하는 최종 단계에 진입한 상태다. 이외에도 이중가닥 리보핵산(dsRNA) 기술을 바탕으로 사업다각화를 통해 실적 반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제놀루션 본사 사진 (사진=이데일리DB)24일 의료기기업계에 따르면 제놀루션은 신사업으로 피부미용의료기기 사업을 낙점하고, 관련 제품의 시제품을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해당 제품을 피부미용기기로 출시할지, 품목허가 단계를 거쳐 피부미용의료기기로 출시할지는 미정이다. 피부미용기기로 출시할 경우 안전 기준 적합성을 확인 받고 이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신고한 후 제조·판매할 수 있다. 따라서 상용화까지 걸리는 기간이 단축되며, 공산품으로 유통된다. 반면 피부미용의료기기로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1등급의 경우 신고, 2~4등급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증·허가 과정을 거쳐야 한다.◇신사업으로 피부미용의료기기 낙점…늦어도 내년 제품 출시지난해 제놀루션은 신사업으로 프로바이오틱스 사업을 검토했으나 피부미용의료기기 사업으로 방향을 틀었다. 피부미용의료기기 시장이 보다 유망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미용시술 시장 규모는 2021년 120조원에서 2030년 330조원으로 연평균 15%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제놀루션의 상반기 보고서에는 신사업으로 미용의료기기 판매사업이 추가돼 있다.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실제로 올해 들어 국내 피부미용의료기기 기업들은 수출과 실적 성장세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클래시스는 지난 23일 주가가 3만5950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95.3% 뛰었다. 같은 기간 루트로닉과 제이시스메디칼의 주가는 각각 85.8%, 50.7% 올랐다.제놀루션은 체외진단 의료기기 사업을 영위해왔기 때문에 해당 미용기기 개발에 걸리는 시간이 길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제품 성능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드러냈다. 제놀루션 관계자는 “저온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미용의료기기”라며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제품의 성능 관련해서 연구개발을 많이 진행했다”고 강조했다.제놀루션은 해당 기기의 시제품을 테스트하는 단계로 빠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에는 제품을 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부터 관련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이다. 제놀루션 관계자는 “출시 시기는 앞으로 조율될 수도 있겠지만 내부적으로는 내년부터 관련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또 다른 신성장동력 ‘그린바이오’, dsRNA 대량생산공정 개발 중제놀루션의 또 다른 신성장동력은 그린바이오다. 내년 상반기에 꿀벌치료제 ‘GN01’의 품목허가를 획득하면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그린바이오 분야 전문기업으로 확장하겠다는 게 제놀루션의 포부다. 이를 위해 제놀루션은 R&D 센터 산하에 그린바이오팀을 따로 두고 동물의약품, 작물보호제 개발에 힘쓰고 있다.특히 제놀루션은 자체적인 dsRNA 기술을 바탕으로 실적 반등의 기반을 쌓고 있다. 제놀루션은 dsRNA을 kg 단위로 합성 가능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갖고 있는 업체다. 이러한 대용량 dsRNA 합성 기술의 단위를 kg에서 t으로까지 확충해 글로벌 동물의약품·작물보호제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는 계획이다.이미 제놀루션은 고객 의뢰 맞춤 dsRNA 합성 서비스를 통해 연간 10억원의 매출을 창출하고 있다. dsRNA를 대량 생산할 경우 매출처를 해외 대학이나 연구소뿐 아니라 그린바이오 업계로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놀루션 관계자는 “dsRNA를 대량으로 합성해야 동물의약품이나 작물보호제(농약)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dsRNA를 kg에서 t 단위로 늘려서 합성할 수 있는 설비를 확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이를 위해 제놀루션은 대량 dsRNA 합성 플랫폼 공정을 개발 중이다. 내년 3월에 인천 송도 사옥이 완공되면 마곡 본사의 남는 공간에 dsRNA 대량생산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해당 설비 구축을 위한 인력도 올해 초 영입해둔 상태다. 송도 사옥은 핵산추출장비·시약을 위한 레드바이오에 집중하고, 마곡 본사는 연구개발(R&D)과 dsRNA 대량생산설비 등 그린바이오를 위한 공간으로 분리할 방침이다.한편 제놀루션은 최근 한국바이오래드와 판권 계약을 체결하면서 관련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해당 매출은 올해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래드는 1952년 설립된 생명과학 연구·임상진단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이다.정유경 신영증권 연구원은 “제놀루션의 실적은 최저점을 지나는 중”이라며 “사업다각화 노력이 결실을 맺을 시 2024년부터 추가 업사이드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3.08.30 I 김새미 기자
인트론바이오, 분자진단 검사 시스템 ‘파스타 시리즈’ 출시
  • 인트론바이오, 분자진단 검사 시스템 ‘파스타 시리즈’ 출시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인트론바이오(048530)는 분자진단 검사 시스템 ‘파스타(FaSTAR)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7일 밝혔다.(왼쪽부터) ‘파스타프렙96(FaSTARprep96)’과 ‘파스타앰프96(FaSTARamp96)’ (사진=인트론바이오)인트론바이오가 이번에 출시하는 시스템은 분자 진단 검사에 활용할 수 있는 ‘파스타프렙96(FaSTARprep96)’과 ‘파스타앰프96(FaSTARamp96)’이다. 파스타 시리즈는 인트론바이오가 개발·판매하는 분자 진단키트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해당 시리즈는 업그레이드된 사용자 친화적 프로그램을 도입해 사용 편의성과 검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가격 경쟁력도 확보했다.파스타 프렙96은 최대 96개의 검체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자동화 핵산 추출 장비다. 회전식 믹싱(rotary mixing) 방식의 최신 추출 기술을 적용했고 장비에 최적화된 파스타-XT PGS DNA·RNA 키트를 사용해 핵산 추출을 진행할 경우 20분 이내에 98% 이상의 높은 회수율 확보가 가능하다. 추출 과정에서 장비의 파트별 구동 범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헤파(HEPA) 필터와 UV 램프를 운용해 샘플의 오염 위험도를 최소화한 점도 강점이다.파스타 앰프96은 5채널을 운용해 멀티플렉싱이 가능한 실시간 유전자증폭(Real-time PCR) 장비다. 독립적인 온도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재현성 높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중심의 빌트인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독립적으로 쉽고 빠르게 기기 작동이 가능하며, PC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서는 최대 10대까지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분석 프로그램을 제공해 결과 도출, 분석에 최적화된 환경을 구현했다.인트론바이오는 분자진단 제품 핵심 소재 뿐만 아니라 진단 분야 제품 개발·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동물, 식품부터 인체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추출·진단키트 제품라인을 구축하고 있다.박만순 인트론바이오 전략사업부 상무는 “파스타 시리즈는 글로벌 스탠다드를 기반으로 검사 효율성과 편의성은 물론, 결과의 정확성 극대화에 중점을 두고 개발된 시스템”이라며 “향후 인체 진단 검사 시장의 장비 수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관련 진단 제품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3.08.07 I 김새미 기자
'시장 규모 9조' 절대강자 없는 항암 백신, 국내 선점 기업은?
  • '시장 규모 9조' 절대강자 없는 항암 백신, 국내 선점 기업은?
  •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항암 백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화이자와 로슈, 존슨앤드존슨 등 글로벌 빅파마들이 항암 백신을 개발하고 있지만 눈에 띄는 성과가 없는 만큼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에게 기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항암 백신 시장이 2027년 9조원 이상의 규모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에게 매력적인 요인이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애스톤사이언스, 글로벌 임상 2상 진행24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항암 백신 개발과 관련해 임상 진행 단계가 가장 앞서 있는 국내 기업은 애스톤사이언스다. 애스톤사이언스는 종양 항원(체내에 들어와서 감염에 대항하는 백혈구인 림프구에 부착될 수 있는 외부물질)인 HER-2 항원을 코딩한 플라스미드 디옥시리보핵산(pDNA) 기반 항암 백신 ‘AST-301’을 개발하고 있다.‘AST-301’은 티(T)세포의 활성화를 돕는 항원의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디옥시리보핵산(DNA)에 삽입해 체내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애스톤사이언스는 ‘AST-301’의 적응증을 유방암과 위암으로 나눠 글로벌 임상 2상을 각각 진행 중이다. 유방암 적응증은 미국과 대만에서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위암 적응증은 대만에서 임상 2상 승인 완료 및 환자 모집을 진행하고 있다.에스톤사이언스는 지난 4월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2023)에서 위암 적응증 치료제 ‘AST-301’을 미국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와 병용 투약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AST-301’과 키트루다의 병용요법군이 키트루다 단독요법군에 비해 우수한 종양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일례로 25일째 종양성장억제율이 ‘AST-301’·키트루다 병용요법군에서는 49%, 키트루다 단독요법군에서는 36%로 나타났다.애스톤사이언스는 펩타이드 기반 암 백신 ‘AST-021p’도 개발 중이다. 애스톤사이언스는 표준 치료법이 없는 재발성 혹은 진행성 고형암을 대상으로 ‘AST-021p’의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애스톤사이언스는 올해 하반기 ‘AST-021p’의 임상 1상 최종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미약품·지니너스, 내년 임상 1상 진행 예정한미약품은 메신저리보핵산(mRNA)을 기반으로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돌연변이 케이라스(KRAS)를 타깃으로 하는 암 백신 ‘HM99462’을 개발하고 있다. 케이라스 단백질은 세포 성장과 분화·증식·생존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케이라스는 다양한 돌연변이를 일으켜 폐암과 대장암, 췌장암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전해진다.‘HM99462’는 케이라스가 활성화하지 못하도록 신호전달 연쇄 역할을 하는 ‘에스오에스(SOS)1’ 단백질과의 결합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한미약품은 ‘HM99462’의 전임상 결과, G12C, G12V, G12D 등과 같은 주요 케이라스 변이를 가진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 세포의 생존 및 증식에 조절하는 신호 전달 인자(ERK) 인산화효소를 감소시켰다고 밝혔다. 또 ‘HM99462’는 케이라스 변이 비소세포폐암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단독 투여 때 허용 용량 내에서 종양 성장을 억제했다. 한미약품은 내년 초쯤 ‘HM99462’의 임상 1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지니너스(389030)는 싱글셀(단일세포) 수준에서 전체 유전자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싱글셀 분석 기술을 통해 개인 맞춤형 항암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싱글셀 분석이란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의 한 종류로 단일세포 단위로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싱글셀 분석은 조직 단위에서 유전자(DNA)나 리보핵산(RNA)을 추출해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일반적인 차세대염기서열분석검사(NGS)에 비해 세밀한 분석을 할 수 있다. 지니너스는 싱글셀 분석 기술에 기반한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지니너스는 싱글셀 분석과 바이오인포매틱스 알고리즘을 결합해 종양신생항원 예측 플랫폼 백시너스를 구축했다. 백시너스에 자체 개발한 신생항원 도출 알고리즘 백파이프가 포함돼 있다. 지니너스는 백파이프로 도출한 물질을 통해 개인 맞춤형 항암백신을 개발 중이다. 지니너스의 개인 맞춤형 항암백신은 이르면 내년 1분기 늦어도 내년 중에는 국내 임상 1상에 진입할 전망이다. 현재 전 세계에서 항암 백신(치료용)은 캐나다 발리안트 파마슈트컬스(발리안트)의 말기 전립선 암 치료제 ‘프로벤지’가 유일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전 세계 항암 백신 시장 규모는 2020년 33억4500만달러(약 4조3000억원)에서 2027년 73억달러(약 9조4000억원)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항암 백신시장은 아직 절대 강자가 없는 만큼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에게 블루오션이 될 수 있다”며 “항암 백신시장 규모도 적잖기 때문에 선점할 경우 실적의 급성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2023.07.28 I 신민준 기자
클리노믹스, 전혈 10㎖서 폐암변이 검출...‘원스톱 올인원 서비스’ 개발
  • 클리노믹스, 전혈 10㎖서 폐암변이 검출...‘원스톱 올인원 서비스’ 개발
  •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게놈 전문기업 클리노믹스(352770)는 전혈 10㎖에서 혈장 분리와 세포유래DNA(cfDNA) 추출, 폐암유발 EGFR 유전자 변이 4종을 3시간 반 내 동시 검출하는 ‘원스톱 올인원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KMDF)이 주관하는 시장친화형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제품개발 사업(총 사업비 75억원, 연구기간 총 2단계 3+2년) 지원의 결과다. 서울아산병원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참여했다.클리노믹스의 암연구소장인 이성훈 박사는 지난달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유럽암학회 (EACR)에 참석해 2020년부터 진행해 온 KMDF 지원 ‘병원정보시스템(HIS) 연동 폐암진단용 실시간 액체생검 분자진단 시스템’ 연구사업의 시제품인 원스톱 올인원 시스템과 연구자 임상결과를 발표했다.클리노믹스는 대용량 전혈에서 혈액 구성성분을 오염없이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OPR-2000 장비와 Disc 제품군을 개발해 사업화하고 있었으나, 시장에서 분리된 혈액 성분에서 핵산분리 및 분석까지 가능한 장비와 시약 개발에 대한 수요가 있음을 파악하고 본 사업에 참여했다는 설명이다. 이번에 개발한 성공한 ‘클리노 SEA-1000 올인원 시스템’은 OPR-2000 장비와 Disc 제품군에 적용된 기술을 이용한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클리노 SEA-1000 올인원 시스템을 사용했을 때, 전혈 10㎖에서 분리된 cfDNA 양은 기존의 cfDNA 분리 시약과 동일한 성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폐암환자 EGFR 돌연변이 RT-PCR 결과를 조직을 이용한 검사결과와 비교했을 때는 90% 이상의 민감도와 85% 의 특이도를 보였다. 기존의 EGFR 돌연변이 검출 시약이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이번에 개발한 장비와 시약은 혈액 기반 액체생검을 이용한다.연구책임자인 이성훈 박사는 “아직까지 대용량 전혈 10㎖을 사용하는 올인원 시스템은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든 제품이기 때문에 향후 개발이 완료되고, 사업화 될 경우 연구자들과 임상의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재 인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며 2024년 12월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고 말했다.
2023.07.20 I 나은경 기자
씨젠, 분자진단 대중화 핵심 ‘AIOS’…공급 전략은?
  • 씨젠, 분자진단 대중화 핵심 ‘AIOS’…공급 전략은?
  • [이데일리 김진수 기자] 씨젠(096530)은 코로나19 팬더믹 이후에도 기술공유 사업 등을 통해 계속해서 분자진단 사업을 이어가겠다는 목표를 실천 중이다.씨젠은 대용량의 자동화된 신드로믹 검사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으로, 씨젠의 성장을 위해서는 진단 분석 기계 AIOS(에이오스)의 활용이 필수적인 만큼 제품 공급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전망이다.씨젠 관계자는 “진단시약 생산 및 판매만으로는 향후 매출을 높이기 어렵다”라며 “장기적인 매출 확보를 위해서는 진단 분석 기계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전체 장비 판매 금액 감소했지만 ‘AIOS’로 반전 기대코로나19 대유행이 지나면서 씨젠의 개별 추출장비, 진단장비가 포함된 ‘전체 장비 판매 금액’은 줄어드는 추세다. 구체적으로 2020년 832억원, 2021년 650억원, 2022년 293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올해 1분기에 88억원으로 집계되면서 올 한해로 예상했을 때는 장비 판매 금액이 다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씨젠 관계자는 “전체 장비 판매 금액이 줄어드는 것은 코로나19 상황 변화에 따른 회사매출 감소에 기인한 것”이라며 “일시적으로 폭증했던 부분을 제외한다면 전체적으로 완만한 우상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올해부터 씨젠의 장비 판매 금액을 다시 견인하는 것은 지난해 7월 처음으로 출시된 전자동 유전자증폭(PCR) 검사 시스템 AIOS인 것으로 분석된다. AIOS는 핵산 추출부터 유전자증폭(PCR) 검사와 결과 분석을 아우르는 분자진단 검사 과정을 자동화한 점이 특징이다.AIOS는 모든 규모의 병원 및 검사실에서 합리적인 비용으로 분자진단 도입을 가능하게 해 씨젠이 목표로 하는 ‘분자진단 대중화’의 핵심으로 꼽힌다.씨젠의 진단 분석 기계 AIOS. (사진=씨젠)다른 검사 장비들은 검사 전 과정에서 각각 다른 장비를 활용하기 때문에 사람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반면, AIOS는 모든 검사 과정이 자동화되면서 검사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운용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사람의 손과 접촉이 최소화 되면서 오염이나 실수로 인한 검사의 오류 가능성도 크게 줄였다.씨젠 관계자는 “AIOS는 전체 장비를 구매해야하는 타사 제품과 다르게 원하는 부분만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병원뿐 아니라 중소형 병원도 도입에 부담이 없어 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씨젠의 신드로믹 검사와 시너지도 기대AIOS 장비를 통해서 모든 시약의 분석이 가능하지만 특히 씨젠의 씨젠의 독보적인 멀티플렉스 진단시약 기술을 활용한 ‘신드로믹(Syndromic) 기반’ 분자진단 검사와 함께 했을 때 더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시너지가 기대된다.신드로믹 검사는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를 한꺼번에 검사해 원인을 한 번에 찾아내는 검사를 말한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독감, 일반감기의 경우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처방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질병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경우 증상 기반의 신드로믹 검사를 활용하면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씨젠 관계자는 “AIOS는 다른 제품들에 대한 분석도 문제없지만 신드로믹 검사와 함께 했을 때 정확성이 더 높아진다”라며 “신드로믹 검사를 더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기계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AIOS 공급이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특히, 씨젠이 최근 새롭게 실시 중인 ‘기술공유 사업’ 전략과도 맞물리면서 AIOS 공급을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씨젠의 기술공유 사업은 신드로믹 PCR 기술을 전세계 원하는 진단기업 등에 공유한 뒤 현지 맞춤형 제품을 개발·생산하는 방식으로, 개발된 제품의 글로벌 판권은 씨젠이 보유해 매출을 올리는 구조다.씨젠은 신드로믹 PCR 기술을 공유하면서 AIOS 장비까지 함께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씨젠 관계자는 “AIOS를 먼저 공급할 수도 있고 신드로믹 PCR 제품을 먼저 공급할 수도 있어 순서는 큰 의미가 없다”라며 “2028년까지 100여개국 기업과 기술공유 사업 계약을 성사시키는 것이 목표인 만큼 AIOS 공급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2023.07.19 I 김진수 기자
탈리다쿰,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특허 취득
  • 탈리다쿰,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특허 취득
  • 탈리다쿰 제공.[이데일리 문다애 기자] 비건 뷰티브랜드 탈리다쿰이 핵심 원료인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에 대해 국내 특허를 취득했다고 18일 밝혔다. 주된 내용은 ‘아토피 등 극건성 피부의 보습과 진정 및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지니는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함유 피부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특허다.흰민들레 태좌는 꽃의 씨방에서 밑씨가 열리는 부분으로 식물의 종자 육성을 주관하는 부위다. 염증 완화 및 피부장벽 개선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A 및 B, B2, 필수 아미노산, 무기질을 함유했다.탈리다쿰은 흰민들레 태좌 부위의 세포를 채취, 배양, 추출하는 특허 기술을 통해 기존 흰민들레 추출물에 비해 비타민, 피토케미컬과 같은 2차 대사산물 등의 성분 효능을 더욱 증진시키고 지속 가능한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원료에 최적화된 온도에서 추출하는 저온 감압 추출법을 통해 성분의 손상을 최소화했다. 탈리다쿰은 이번 특허를 통해 주력 제품인 ‘에이치엠베리어’ 라인의 핵심 원료인 흰민들레 태좌 추출물이 사람의 각질 형성 세포 및 섬유아세포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아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인 DPPH 라디칼 소거능 검사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인정받았다.또한 흰민들레 태좌 추출물이 천연 보습인자이면서 각질세포의 케라틴 섬유 조직 결합에 관여하는 물질인 필라그린(FLG) 유전자의 메신저리보핵산(mRNA) 발현 양을 증가시켜 보습과 피부장벽을 더욱 견고하게 하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 보호 및 피부 노화 억제에도 효능이 있음이 공식적으로 입증됐다.채문선 탈리다쿰 대표는 “이번 특허는 난치성 켈로이드 피부 질환을 겪으며 흰민들레 효능과 안전성을 직접 경험한 뒤, 성분에 대한 확신으로 오랜 시간 연구개발한 끝에 얻게 된 성과”라고 말했다.한편, 탈리다쿰은 ‘소녀여 일어나라’는 뜻으로, 우리 안에 내재된 본연의 힘과 아름다움을 되찾아가는 여정을 돕고자 하는 비건 코스메틱 브랜드로, 핵심 원료인 흰민들레 태좌 추출물에 대해 국내 특허 등록 외에도 미국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2023.07.19 I 문다애 기자
랩지노믹스, 제놀루션과 분자진단 효율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랩지노믹스, 제놀루션과 분자진단 효율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랩지노믹스(084650)는 RNA(리보핵산) 추출 전문기업 제놀루션과 업무협약 및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미국 유전체 분자진단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인 협업 관계를 구축한다. 두 기업 간 강점을 적극 활용해 미국 진출 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랩지노믹스 관계자는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핵산 추출 장비를 도입해 당사의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반 유전자 검사 서비스의 효율이 높아질 것”이라며 “향후 클리아 랩 인수를 통한 미국 유전체 분자진단 시장에서 최적화된 서비스로 암 진단, NGS 검사, 액체생검 등 고부가 가치 진단 콘텐츠를 선보이겠다”고 전했다.랩지노믹스는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타 진단업체와 협력 관계를 구축해왔다. 지난 2022년부터 엔젠바이오, 에이비온, 노보믹스 등과 협업해 △액체생검 기반의 암 진단 서비스 △차세대 진단실험실 자동화 시스템 구축 △암 예후 진단키트 등의 분야에서 긴밀한 협업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랩지노믹스는 NGS 기반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로 동남아시아, 유럽 지역에 진출해 유전체 분자진단에서 높은 기술력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제놀루션의 핵산 추출 장비를 도입해 핵산 추출이 필요한 분자 진단에 적용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제놀루션의 핵산 추출 장비와 전문 시약은 경쟁사 대비 처리량, 처리속도, 가격 경쟁력 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또한, 랩지노믹스가 분자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시행 중인 사우디아라비아, 베트남, 태국 등에 글로벌 공급망을 이미 확보해 핵산 추출 장비를 판매하고 있다.
2023.05.24 I 이정현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