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극우 vs 중도' 유럽의회 둘로 쪼개질 듯…EU 정책도 ‘빨간불’
  • '극우 vs 중도' 유럽의회 둘로 쪼개질 듯…EU 정책도 ‘빨간불’
  •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유럽의회 선거에서 극우 포퓰리즘 진영의 의석이 대폭 늘어났다. 경제난, 반(反)이민 정서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극우 세력의 약진은 향후 5년 동안 유럽연합(EU)의 각종 정책 결정에 대한 영향력이 그만큼 커진다는 의미다. 유럽 내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하고 그동안 추진해 온 각종 정책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10일(현지시간) 유럽선거 관련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이끄는 극우정당 이탈리아형제들(FdI)의 승리를 축하하며 연설하고 있다. (사진=AFP)◇프랑스·이탈리아 극우 완승…독일서도 2위 급부상EU가 집계한 유럽의회 선거 잠정 결과에 따르면 10일(현지시간) 오전 11시 38분 기준 중도우파 유럽국민당(EPP)은 유럽의회 전체 의석(720석) 가운데 185석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으론 중도좌파인 사회민주동맹(S&D) 연합이 137석, 중도진보 성향의 자유당그룹(Renew Europe)이 79석으로 뒤를 이었다. 중도 진영으로 대표되는 이들 세 정당이 확보한 의석은 총 401석으로 약 56%를 차지한다. 강경우파인 유럽보수와개혁(ECR)과 극우인 정체성과민주주의(ID)는 각각 73석, 58석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 각국의 극우정당들이 이들 두 연합에 속해 있다. 남은 의석들은 녹색당-유럽자유동맹(Greens/EFA)에 52석, 무소속에 46석, 좌파(The Left)에 36석, 기타 신생 정당 등에 54석이 각각 배정됐다. 신생 정당은 대부분이 극우 성향으로 간주된다. 각국의 의원 수는 인구비례를 고려해 할당되는데, 독일이 96석으로 가장 많다. 다음으론 프랑스(81석), 이탈리아(76석), 스페인(61석), 폴란드(53석) 등의 순이다. 인구가 적은 국가는 리스본 조약에 따라 최소 6석이 보장된다. 선출된 의원은 EU의 입법, 예산안 심의·확정권을 갖게 되며 임기는 5년이다. 국가별 선거 결과는 EU 내 1~3위 경제대국이자 주요7개국(G7)에 속한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선거 결과가 특히 중요하다. 프랑스에선 마린 르펜이 이끄는 극우정당 국민연합(RN)의 예상 득표율이 31.5%로 에마뉘엘 마크롱의 르네상스당(14.5%)을 두 배 이상 누르고 압승했다. RN은 ID에 속해 있다. BBC는 “프랑스의 대통령과 총리가 다른 정당 출신인 적은 종종 있었지만, 극우 출신 총리는 없었다”고 짚었다. 결국 마크롱 대통령은 패배 충격에 조기 총선을 치르겠다고 깜짝 발표했다.독일에선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이 예상 득표율 30.3%로 1위를 차지했다. 주목할만한 점은 극우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15.6%)이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이끄는 사회민주당(SPD·14.1%)을 누르고 2위를 차지했다는 점이다. 이탈리아에선 조르자 멜로니 총리가 이끄는 극우 성향의 이탈리아형제들(FdI)이 잠정 집계에서 28.59%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외에도 네덜란드, 헝가리, 벨기에, 스페인, 폴란드 등 유럽 곳곳에서 극우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중도 진영은 체면 치레를 한 덕분에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연임을 노릴 수 있게 됐다. 다만 그의 임기 연장을 위해선 361표가 필요한데, 중도 진영에서 몇 명의 의원들이 이탈할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폴리티코는 지적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전날 밤 연설에서 “강한 유럽을 위한 중도가 여전히 다수 남아 있다. EPP는 여전히 안정된 닻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극단주의 정당들로부터 (유럽을) 보호하려면 정치적 동맹들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다른 중도 정당들에 자신의 위원장 연임을 지지해달라고 촉구했다. 마니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유럽의회 선거에서 극우정당인 국민연합(RN)에 큰 격차로 패배한 뒤 대국민 연설을 통해 하원을 해산하고 오는 30일 조기 총선을 치르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사진=AFP)◇극우 EU 내 영향력 확대…각종 정책 제동 가능성극우 세력의 약진으로 EU의 미래 주요 정책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당장 녹색당의 의석이 18석 줄어든 것에서 기후변화 정책의 후퇴 가능성이 엿보인다. CNBC는 “기후변화와 이민자 정책부터 우크라이나 지원을 비롯한 국방 정책, 미래 산업 전략 등까지 그동안 추진해온 각종 법안의 통과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늘어난 의석수 만큼 극우 진영이 EU 주요 정책 전반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란 의미다. CNBC는 “유럽의회 내부적으로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변화는 EU 뿐 아니라 외부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유한 서유럽 국가들과 가난한 동유럽 국가들 간 분담금 갈등이나 일부 회원국의 EU 탈퇴 가능성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극단적 전망도 나온다.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지의 극우정당들은 유럽의 경제난이 단일 통화(유로·Euro) 체제에 따른 무역불균형 때문이라고 주장해 왔다. 영국 싱크탱크 채텀하우스의 아르미다 판 리즈 선임연구원은 “극우의 영향력은 이미 EU 내부에서 느껴지고 있지만, (이번 선거 이후) 더 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EU가 야심차게 추진해온 탄소중립 정책은 정말로 위기에 놓였다”고 말했다.
2024.06.11 I 방성훈 기자
SM "차가원 템퍼링 사실로 확인… 법으로 책임 물을 것"
  • SM "차가원 템퍼링 사실로 확인… 법으로 책임 물을 것" [공식]
  • 차가원 회장(왼쪽)과 첸백시(사진=뉴스1·SM엔터테인먼트)[이데일리 스타in 윤기백 기자] “법과 원칙에 따라 차분하게 대응하면서 법원을 통해 첸백시 측의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에스엠엔터테인먼트(이하 SM)가 엑소 첸백시(첸·백현·시우민)과 아이앤비100 모회사 원헌드레드 차가원 회장의 부당 대우 요구에 대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SM은 10일 공식입장문을 통해 “이 모든 사건의 본질은 당사 소속 아티스트들에 대한 MC몽, 차가원 측의 부당한 유인(템퍼링)이라는 점”이라며 “오늘 명확히 확인된 바와 같이, 첸백시의 아이앤비100은 첸백시가 독자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이 아니었다”고 밝혔다.이어 “작년 첸백시와 합의서를 체결할 당시 MC몽, 차가원 측과 첸백시 간 템퍼링에 대한 부분을 문제 삼지 않는 대외적 메시지를 배포하면서까지 엑소를 지키고자 노력했던 당사는 오늘 기자회견을 접하고는 참담한 심경을 금할 수 없다”며 “엑소를 향한 당사의 진심을 더 이상 왜곡하지 않길 바란다”고 촉구했다.개인 매출 10% 요구건에 대해서는 “엑소 중국 멤버들과의 전속계약 분쟁 시에 법원의 중재에 따라 실제로 실행됐던 기준이며, 이미 선례가 있는 합리적인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다”며 “법원의 중재로 도출되었던 기준을 첸백시 건에도 적용했으며, 실제 합의 과정에서도 이러한 요율에 대하여 상호 논의되어 체결이 완료됐다”고 밝혔다.이어 “그런데 아이앤비100은 어느새 MC몽, 차가원 측의 계열사로 편입됐고, 이제는 합의서를 지킬 필요가 없다는 취지로 당사에 내용증명을 발송했다”며 “이는 엑소 멤버로서의 권리와 이점만 누리고 의무는 이행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처럼 첸백시는 법적으로 유효하게 체결된 계약 자체를 반복하여 무시하는 행위를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음반·음원 유통 수수료에 대해서는 “당사가 첸백시와의 분쟁 과정에서 첸백시 측에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유통사와 협상이 잘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미로 언급한 부분”이라며 “애당초 당사가 다른 유통사의 유통 수수료율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또 “실제로 합의서 체결 과정에서 첸백시 측이 유통 수수료율 관련 내용을 합의의 조건으로 넣어 달라 하였는데, 당사가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없으므로 합의서 내용에는 포함할 수 없다고 설명하면서 해당 규정을 삭제했다”며 “이에 따라 합의서 체결본에는 해당 조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SM은 유통 수수료율 조정이 불가하면서 다른 식의 배려를 해줬다고 밝혔다. 지난해 초부터 SM에서 발매를 목표로 준비해왔던 백현의 솔로 앨범을 개인 법인에서 발매할 수 있도록 하고, 백현이 일방적으로 취소한 일본 공연의 위약금도 SM이 지불한 것으로 드러났다. SM 측은 “이와 별개로 첸백시 및 아이앤비100은 당사가 주요 주주로 있는 타 유통사(드림어스)와 좋은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했다”며 “그에 따라 음원, 음반 유통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어, 첸백시가 특별히 손해를 입은 것도 없다”고 짚었다.끝으로 SM 측은 “당사는 본인들의 사익 추구를 위해 전속계약에 이어 합의서까지 무효라는 주장을 매번 되풀이하는 첸백시의 행동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며 법으로 시시비비를 가리겠다고 밝혔다.앞서 엑소 첸백시 측 법률대리인은 기자회견을 열고 “SM은 작년 재협상(2023년 6월 18일) 합의 조건에 따른 음반·음원 유통 수수료 5.5% 보장 의무를 불이행했다”며 “그러면서 아티스트(첸백시)에게 개인 음반 발매, 개인 콘서트, 광고 매출액 10%를 요구하는 것은 부당한 처사”라고 주장했다.차가원 회장도 “당사는 이 순간부터 SM과 전면전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며 “SM은 그동안 진행했던 첸백시 연예 활동 정산 근거자료를 모두 제공하라”고 촉구했다.◇SM 공식입장 전문안녕하세요 SM엔터테인먼트입니다.첸, 백현, 시우민(이하 첸백시)과 관련하여 금일 진행된 INB100 측의 긴급 기자회견 방식이나 그 내용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며 아래와 같은 당사의 입장을 전달 드립니다.MC몽, 차가원의 템퍼링, ‘가족 이상의 관계’라고 부인 중먼저 이 모든 사건의 본질은, 당사 소속 아티스트들에 대한 MC몽, 차가원 측의 부당한 유인(템퍼링)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합니다. 오래전부터 MC몽, 차가원 측은 당사와 전속계약이 유효하게 체결되어 있는 여러 아티스트들에게 접근하여 왔습니다. 이후 첸백시 측은 유효하게 체결한 재계약을 무효화하기 위해 갖은 트집을 잡기 시작했습니다. 그럼에도 당사는 인내심을 가지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고, 결과적으로 개인 활동을 독자적으로 진행하고 싶다는 첸백시의 요청을 수용하였습니다. 즉, 당사와 첸백시와의 전속계약은 현재도 유효하지만, 개인 법인을 통해 개인 활동을 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첸백시는 개인 법인 매출의 10%를 지급하는 등으로 합의서에 스스로 날인하였습니다. 유효한 계약을 수정해줄 의무가 없음에도 당사가 이와 같은 합의를 한 것은 첸백시와의 법적 분쟁을 이어감으로써 EXO 그룹 활동에 지장이 발생하게 된다면, 이는 EXO 활동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다른 EXO 멤버들 및 EXO를 응원하는 팬들에 대한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그런데 오늘 명확히 확인된 바와 같이, 첸백시의 INB100은 첸백시가 독자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첸백시의 INB100은 어느새 MC몽, 차가원 측의 자회사로 편입된 상황입니다. 이미 충분히 짐작하고 있던 부분이지만, 금일 기자회견에서 스스로 밝힌 내용을 통해 첸백시에 대한 템퍼링이 분명한 사실로 드러났습니다. 작년 첸백시와 합의서를 체결할 당시, MC몽, 차가원 측과 첸백시 간 템퍼링에 대한 부분을 문제 삼지 않는 대외적 메시지를 배포하면서까지 EXO를 지키고자 노력했던 당사는 오늘 기자회견을 접하고는 참담한 심경을 금할 수 없습니다. EXO를 향한 당사의 진심을 더 이상 왜곡하지 않길 바랍니다.첸백시, EXO 멤버로서의 권리/이점만 누리고, 약속/의무는 팽개치려 해실제로 첸백시는 당사와 상호 간의 협의 하에 합의서를 체결한 이후, 개인 법인을 통해 독자적으로 음원, 음반 유통 등의 계약을 체결하였고, 콘서트나 방송에 출연하는 등 다양한 개인 활동을 자유롭게 펼쳐왔습니다.이와 관련하여, 개인 법인 매출의 10%를 당사가 지급받는 부분은 당사와 EXO 중국 멤버들과의 전속 계약 분쟁 시에 법원의 중재에 따라 실제로 실행되었던 기준이며, 이미 선례가 있는 합리적인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법원의 중재로 도출되었던 기준을 첸백시 건에도 적용하였으며, 실제 합의 과정에서도 이러한 요율에 대하여 상호 논의되어 체결이 완료되었던 것임을 말씀드립니다.그런데 INB100은 어느새 MC몽, 차가원 측의 계열사로 편입되었고, 이제는 합의서를 지킬 필요가 없다는 취지로 당사에 내용증명을 발송하였습니다. 이는 EXO 멤버로서의 권리와 이점만 누리고, 의무는 이행하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첸백시는 법적으로 유효하게 체결된 계약 자체를 반복하여 무시하는 행위를 지속하고 있습니다.당사는 INB100 측의 내용증명 공문을 받은 후, 우선 EXO 멤버 중 D.O., 첸, 수호가 각자 개인 앨범 및 콘서트, 작품을 통한 활동을 하고 있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하여, 그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를 문제 삼지 않아 왔습니다. 그럼에도, 첸백시 측은 이러한 당사의 배려까지 왜곡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드립니다.당사의 금전적 손해 감수하고 EXO 지키려는 다방면 노력 왜곡INB100 측에서 당사가 행한 부당한 처사라고 밝힌 유통 수수료율에 관한 주장은 사실과 다릅니다. 이는 당사가 첸백시와의 분쟁 과정에서 첸백시 측에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유통사와 협상이 잘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미로 언급한 부분입니다. 애당초 당사가 다른 유통사의 유통 수수료율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없습니다. 실제로 합의서 체결 과정에서 첸백시 측이 유통 수수료율 관련 내용을 합의의 조건으로 넣어 달라 하였는데, 당사가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없으므로 합의서 내용에는 포함할 수 없다고 설명하면서 해당 규정을 삭제하였고, 이에 따라 합의서 체결본에는 해당 조항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더구나 당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으로 첸백시가 원하는 유통 수수료율 등의 조정이 어렵게 되었을 때, 당사는 첸백시 측에 대해 다른 식의 배려를 해 주었습니다(2023년초부터 당사에서 발매를 목표로 준비해왔던 백현의 솔로 앨범을 개인 법인에서 발매할 수 있도록 하고, 백현이 일방적으로 취소한 일본 공연의 위약금도 당사가 지불하는 등). 이와 별개로, 첸백시 및 INB100은 당사가 주요 주주로 있는 타 유통사와 좋은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하였고, 그에 따라 음원, 음반 유통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어, 첸백시가 특별히 손해를 입은 것도 없습니다.금일 기자회견에서 첸백시의 법률대리인인 이 변호사는 첸백시가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의 결정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성인이고 독립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주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러한 본인들이 고용한 대형 로펌과 당사간의 1년 6개월여 간의 협의를 통해 체결한 재계약 및 합의서에 대해 무효 주장을 되풀이하는 행동을 더이상 인내할 수 없습니다.당사는 본인들의 사익 추구를 위해 전속계약에 이어 합의서까지 무효라는 주장을 매번 되풀이하는 첸백시의 행동을 용인하지 않을 것입니다. 첸백시 측은 여론전을 통해 자신들의 잘못된 행동을 정당화하려 합니다만, 당사는 법과 원칙에 따라 차분하게 대응하면서 법원을 통해 첸백시 측의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2024.06.10 I 윤기백 기자
“멀어진 데카콘”…야놀자 상장에도 소프트뱅크 못 웃는 이유
  • [마켓인]“멀어진 데카콘”…야놀자 상장에도 소프트뱅크 못 웃는 이유
  • [이데일리 마켓in 허지은 기자] 미국 증시 상장을 본격화한 야놀자에 투자를 집행한 재무적투자자(FI) 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시장에서 추정한 야놀자 기업가치는 최대 12조원에 달하지만, 일각에선 지난 2021년 기록한 8조원 달성도 힘들 거란 전망이 나온다. 당시 야놀자에 2조원을 투자한 일본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역시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야놀자가 오는 7월 미국 나스닥 상장을 위해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목표 기업가치는 70억~90억달러(9조 5000억~12조 3000억원) 수준으로 전망됐다. 야놀자는 이번 상장으로 4억달러(약 5400억원)를 조달할 것으로 보인다. 상장 주관사는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맡았다. 야놀자는 지난 2021년 주관사를 선정하고 일찌감치 상장 준비를 해왔다. 해외 증권사를 주관사로 선정한데다, 지난해 뉴욕증권거래소(NYSE) 출신 알렉산더 이브라힘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영입하고 올해 3월 뉴욕에 ‘US 오피스’를 열며 미국 증시 상장 시기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이어졌다. 야놀자가 마지막으로 인정받은 기업가치는 2021년 시리즈E 투자유치에서 기록한 8조원이다. 당시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2호(SVF II CRYSTAL SUBCO (SINGAPORE) PTE. LTD.)는 야놀자에 2조원을 투입해 지분 24.9%를 확보해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창업자인 이수진 대표가 지분 16.37%를, 공동 창업자인 임상규 야놀자C&D 대표가 8.25%를 보유 중이다. 야놀자는 2007년 설립 이후 2015년 시리즈A(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100억원) 투자유치를 시작으로 △2016년 시리즈B(파트너스인베·SL인베·SBI인베) △2017년 시리즈C(스카이레이크인베·아주IB투자) △2018~2019년 시리즈D(GIC·한화운용·KT·SBI인베) 등 외부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를 키워왔다. 2017년 시리즈C 당시만 해도 기업가치는 5000억원 수준이었지만 시리즈D를 거치며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 반열에 올랐다. 이후 2년이 채 되지 않아 8조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며 기업가치가 8배 이상 불어났다. 소프트뱅크는 야놀자의 최소 기업가치를 10조원으로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하지만 현실적으로 야놀자가 상장까지 데카콘(기업가치 10조원 이상 비상장사) 달성은 힘들 거란 전망이 우세하다. 지난해 매출은 7667억원을 기록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2019년 흑자전환한 이후 2021년부터 현재까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장외시장에서 야놀자의 시가총액은 7조 1000억원대다. 이달 초까지만 해도 6조원대를 유지했으나 상장 계획이 알려지며 시총이 급증했다. 야놀자의 기업가치를 평가할 비교기업(피어그룹)이 마땅치 않다는 점도 변수다. 야놀자는 여행 플랫폼으로 사세를 키웠지만 최근 클라우드 사업 투자를 늘리고 있다. 야놀자는 지난해 자회사 야놀자클라우드를 통해 글로벌 여행 솔루션 기업 ‘고 글로벌 트래블(GGT)’을 인수하기도 했다. 클라우드 사업은 지난해 영업이익 8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한편 야놀자에 투자한 국내 FI들은 대부분 수익 구간에 접어들었다. 2015년 시리즈A에 투자한 파트너스인베를 비롯해 시리즈B(파트너스·SL·SBI), 시리즈C(스카이레이크·아주IB) 투자사 등은 10배 이상의 수익이 전망된다. 시리즈D 투자자들도 7~8조원의 기업가치만 달성하더라도 최소 7배의 수익이 전망된다. SBI인베스트먼트(019550)는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 전일대비 8.04%(75원) 급등한 1008원에 거래를 마치기도 했다.
2024.06.10 I 허지은 기자
‘올림픽 출전 마감 D-7’…김주형 22위·안병훈 23위·임성재30위
  • ‘올림픽 출전 마감 D-7’…김주형 22위·안병훈 23위·임성재30위
  • 임성재(사진=AFPBBNews)[이데일리 스타in 주미희 기자] 파리올림픽 골프 남자부 출전 마감 시한이 일주일 밖에 남지 않은 가운데, 한국 선수들의 세계랭킹에 극적인 변화는 없었다.10일(한국시간) 발표된 남자골프 세계랭킹에 따르면 김주형(22)은 지난주와 동일한 22위, 안병훈(33)은 3계단 오른 23위, 임성재(26)는 2계단 상승한 30위에 이름을 올렸다.오는 8월 1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파리올림픽 골프 남자부에 한국 선수는 2명 출전할 수 있다. 오는 17일 메이저 대회 US오픈이 끝난 뒤 발표되는 세계랭킹에서 가장 순위가 높은 한국 선수 2명만 파리올림픽에 나설 수 있다. 이대로라면 김주형과 안병훈의 출전이 유력해진다.현재 한국 선수 중 세 번째 순위에 자리한 임성재는 이날 끝난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특급 대회’ 메모리얼 토너먼트에서 공동 8위로 활약하며 더 높은 순위 상승을 기대했지만, 순위가 두 계단 밖에 오르지 않아 아쉬움을 삼켰다. 더 큰 랭킹 포인트가 주어지는 메이저 대회 US오픈에서 반전을 기대해야 한다.이날 메모리얼 토너먼트에서 시즌 5번째 우승을 차지한 스코티 셰플러(미국)는 평균 16.40점을 기록, 세계랭킹 2위 잰더 쇼플리(미국·8.72점)를 두 배 가까운 점수 차로 따돌리고 압도적인 세계랭킹 1위를 유지했다. 56주 연속 세계랭킹 1위다.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 윈덤 클라크(미국), 빅토르 호블란(노르웨이)이 3~5위로 뒤를 이었다.
2024.06.10 I 주미희 기자
씨젠, SW 개발사 펜타웍스 인수… "IT 핵심역량 내재화 속도"
  • 씨젠, SW 개발사 펜타웍스 인수… "IT 핵심역량 내재화 속도"
  •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글로벌 분자진단 토탈솔루션 기업 씨젠(096530)이 국내 SW(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기업 펜타웍스(Pentaworks)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고 10일 밝혔다.지난 2015년 설립된 펜타웍스는 백엔드 시스템 개발이 강점인 회사로 국내 주요 대형 유통사, 건설사 등 다양한 기업과 프로젝트를 수행해왔다.씨젠은 UX(사용자경험)/UI(사용자 인터페이스) 기획 및 컨설팅 업체인 브렉스에 이어 펜타웍스까지 인수하며 IT 핵심역량 내재화를 통한 디지털혁신(Digital Transformation)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통해 브렉스와 펜타웍스의 전문성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SW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회사 측은 “이번 인수는 IT전문인력 및 기반기술 확보를 토대로 기존 진단사업뿐만 아니라 기술공유사업을 포함한 신사업의 역량을 강화하고 중장기 전략을 고도화하는 차원에서 성사됐다”라고 설명한 뒤 “이로써 SW 개발 전체 프로세스를 아우르는 체계를 갖추게 됐다”라고 평가했다.펜타웍스는 SW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자체 R&D 플랫폼(AER/SSP)을 보유하고 있어 씨젠의 미래 신사업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기존 진단사업 강화를 위한 고객용 주요 웹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펜타웍스는 씨젠의 디지털혁신 업무와 더불어 기존의 자체사업도 꾸준히 확대할 방침이다.노시원 씨젠 사업개발실장은 “펜타웍스는 e커머스(전자상거래) 관련 백엔드 개발에 주력해온 SW 개발 전문기업으로, 씨젠의 주요 개발환경과 통합 및 연계가 가능해 구축비용 절감 등 양사 간 시너지효과가 기대된다”며 “지난 브렉스에 이어 이번 인수를 통해 미래사업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빠르게 지원하고 정보보안을 더욱 강화하는 등 씨젠의 디지털혁신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씨젠은 그간 SGDDS(시약자동개발시스템), SG STATS(통계분석시스템) 등 다양한 솔루션을 내부적으로 구축해 바이오 분야 시약기술에 다양한 IT기술을 접목하는 등 바이오 업계에서 디지털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협업 관계를 맺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AI 솔루션을 활용해 SGDDS 고도화를 통한 진단시약 개발자동화를 꾀하고 있다.
2024.06.10 I 석지헌 기자
에스오에스랩 "수요 확대 라이다 시장, 기술로 승부"
  • [IPO출사표]에스오에스랩 "수요 확대 라이다 시장, 기술로 승부"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전 세계적으로 라이다(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에 대한 수요와 시장의 기대는 갈수록 더 커지고 있습니다. 에스오에스랩이 수년 전부터 준비해온 라이다 제품별 양산 시기가 올해와 내년, 특히 내후년에 몰린 만큼 이번 상장을 기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하고, 2027년엔 4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이사는 1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 설명회에서 “에스오에스랩은 다양한 산업에서 높은 수준의 라이다 기술과 제품을 인정받은 국내 대표 라이다 기업”이라며 “글로벌 혁신 기업들이 요구하는 라이다를 개발하면서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선순환 구조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1등 라이다 회사로 성장하겠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이사가 1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에스오에스랩)◇“라이다 기술 등록 특허 국내 최다…기술력 입증”에스오에스랩은 지난 2016년 정 대표를 포함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박사과정 4명이 모여 창업한 라이다 기술 전문기업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춰 사물과의 거리 및 다양한 물성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로, 카메라와 달리 사물 간 거리 측정을 할 수 있고 개인정보도 보호할 수 있어 자동차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산업 안전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정 대표는 “라이다가 필요한 자율주행차 시장이 기대보다 늦게 열리면서 앞서 진취적으로 사업을 진행했던 일부 글로벌 라이다 회사는 폐업·파산을 맞았다”면서 “글로벌 라이다 수요는 10년간 연평균 21.6% 늘어날 전망이지만 미국과 중국의 갈등까지 더하며 시장에서 경쟁할 업체는 오히려 줄어든 상태”라고 설명했다.에스오에스랩은 설립 2년 차에 웨이퍼 이송 장치(OHT)·무인 운반 차량(AGV)에 쓰이는 2D 라이다 제품인 ‘GL(General LiDAR)’을 개발해 반도체 공장 등에 공급하면서 자율주행차 이외의 시장에서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2022년엔 차량·로봇 등 자율주행 모빌리티에 쓰이는 3D 고정형 라이다 제품 ‘ML(Mobility LiDAR)’도 개발하면서 기술을 고도화했다.특히, ML은 라이다 제품의 상용화에 가장 큰 약점인 가격과 크기를 극복하고 AI 기술을 통해 라이다의 정확도·안정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른 라이다의 간섭, 날씨 상황 등 외부 환경에서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술도 적용하면서 경쟁력도 키웠다. 라이다 기술 관련 등록 특허도 국내기업 중 가장 많은 88건을 보유하고 있다. (사진=에스오에스랩)◇로봇·오토모티브·인프라 등 여러 산업 적용 가능에스오에스랩은 올해부터 △로봇·오토모티브 분야로의 제품 공급 △산업 안전·스마트시티 등 인프라 분야로 데이터 솔루션 공급 등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정 대표는 “기존 카메라가 들어가는 곳엔 라이다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에스오에스랩은 2022년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과 모바일 로봇용 라이다 공동개발을 시작해 현재 로보틱스랩 모바일 로봇 플랫폼에 해당 라이다를 탑재했다. 현재 로봇 플랫폼은 테스트 중이며, 양산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또 반도체 OHT 대표기업인 세메스(SEMES)에도 2022년부터 GL 제품을 공급하면서 국내·외 OHT 업체를 고객사로 추가 확보하는 데 나서고 있다. 정 대표는 “로봇 분야에선 글로벌 광산 채굴 기업, 국내 방산·중장비 기업 등과 제품 개발을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고, 인프라 분야에선 조선·건설업 등 다양한 산업 재해에 노출된 기업에 대한 영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국내 공기업 야외 자율주차 관제 프로젝트도 수주하는 동시에 국내 스마트시티 조성 프로젝트도 수주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에스오에스랩은 이를 통해 4년간 연평균 매출액 성장률 144%를 기록하고 오는 2027년엔 매출액 1443억원, 영업이익 443억원을 기록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에스오에스랩은 매출액 41억원, 영업손실 83억원을 기록했다. 에스오에스랩은 이번 상장을 통해 유입되는 자금을 제품 양산화 준비와 신제품 개발에 사용되는 연구개발비, 운영·시설자금 등으로 쓸 예정이다. 한편, 에스오에스랩은 이번 상장에서 200만주를 공모한다. 공모 예정가는 7500~9000원으로 최대 공모금액은 180억원이다. 지난 3일부터 이날까지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이 진행됐으며, 오는 14일과 17일 이틀간 일반 청약을 거쳐 이달 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 맡았다.
2024.06.10 I 박순엽 기자
코아스템켐온 “시신경척수염 치료제 임상 1상 식약처 승인”
  • 코아스템켐온 “시신경척수염 치료제 임상 1상 식약처 승인”
  •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코아스템켐온(166480)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동종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활용한 시신경척수염 치료제로 개발 중인 ‘CE211NS21’ 에 대한 1상 임상시험계획(IND)를 승인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공개된 임상시험계획에 따르면, 이번 1상 임상은 시신경척수염 범주질환(NMOSD) 환자들을 대상으로 CE211NS21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적 및 약력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설계 연구다.목표 임상 대상자 수는 최대 12명으로 투여 첫 시점 이후 4주 그리고 16주 시점에 맞춰 총 세 번의 투여가 진행되며, 투약 진행 이후에는 12주, 24주 시점에 유효성 평가를 함께 진행한다. 회사는 임상 시작을 연내 ‘뉴로나타-알’의 임상 3상 마지막 투여가 끝나는 시점인 오는 10월 이후 연이어 시작 할 수 있도록 계획 중이다. 임상은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및 경희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회사 관계자는 “CS211NS2의 비임상시험에서 중간엽줄기세포가 나타내는 다양한 표면 마커를 확인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신경 보호 및 항염증인자를 발현함에 따라 신경회복 및 보행 장애회복 치료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며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된 모든 치료제는 재발 방지 약물이며, 신경 회복 및 장애 회복을 위한 치료제는 시장에 없어 이번 임상 연구를 시작으로 해당 질환 내 최초의 재생의료치료제 개발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시신경척수염은 중추 신경계의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으로 주로 시신경과 척수를 침범하며, 자가면역 항체인 항아쿠아포린 4항체(anti-aquaporin 4 autoantibody, AQP4-Ab)에 의한 수초의 파괴와 이로인한 이차적인 축삭 손상이 나타난다. 병이 한번 이환되면 평생을 재발(1년 내 2~3회)과 호전을 반복하게 되며 신경계 손상이 반복되면 점차 신체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다년간의 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오랜 기간 축적된 데이터가 있는 상황에서 ‘CE211NS2’의 임상에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며 “이외 향후 파이프 라인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4.06.10 I 나은경 기자
김치硏, R&D 역량 인정…기관운영평가 사상 첫 '우수' 등급
  • 김치硏, R&D 역량 인정…기관운영평가 사상 첫 '우수' 등급
  •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세계김치연구소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시행한 23개 연구기관 대상 기관운영평가에서 지난 2010년 설립 이래 처음으로 ‘우수’ 등급을 받았다. 한국식품연구원과의 통폐합 이슈를 딛고 독자적인 연구개발(R&D) 역량을 선보이고, 김치 산업계와 학회 등과 협력을 강화하면서 기관이 탈바꿈한 점을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세계김치연구소 연구원들이 김치 R&D에 몰두하고 있다.(사진=세계김치연구소)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운영평가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에 따라 3년마다 받게 돼 있다.김치연은 지난 2010년 설립 이후 이뤄진 기관운영평가에서 ‘미흡’과 ‘보통’ 등급을 받아 왔다. 한국식품연구원 산하 부설기관으로 시작해 광주로 이전하면서 독자적인 연구소로 설립됐지만 광주라는 지역적 한계, 신생 연구소라는 한계 등이 작용했다.2019년말부터 한국식품연구원과의 통폐합이 논의되기 시작해 수년간 논의를 거쳐 현행체계를 유지하기로 결론이 났다. 현 장해춘 소장이 부임하기 직전까지 소장 선임이 지연되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하지만 장 소장 취임 이후 진행한 연구개발역량과 개방형 협력체계 구축을 추진하면서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김치연은 ‘김치 발효과학 전문 R&D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운영 시스템을 마련하고, 지난 2022년부터 2027년까지 6년 동안의 중장기 로드맵을 만들어 이행하며 기관을 정상화했다.세계김치연구소 전경.(사진=세계김치연구소)특히 기관 임무(R&R) 중심의 기획·이행 시스템과 기관 차원의 개방형 협력체계 구축, 김치 산업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기술 기반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강화했다. ‘한국통’인 샘 리처드 미국 펜실베니아대 교수 등 6명을 ‘글로벌 김치 앰버서더’로 임명하는 등 김치 과학·문화 글로벌 확산 체계도 구축했다.고재덕 김치연 사업예산실 실장은 “김치연이 광주에 있다보니 서울이나 대전에 있는 연구소와 달리 홀로 연구한다는 지적을 받았고, 신생 연구소라는 한계도 있었다”라며 “김치산업계 관련 이슈를 먼저 정부의 정책 수립 전반을 지원하는 ‘김치산업 관계기관 협의체’ 주관기관으로 개방형 협력체계를 만들고, 한국식품과학회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등 학회와 정기적으로 김치 세션을 운영하면서 소통하려고 힘썼던 부분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실제 김치연은 우수한 김치종균 개발과 산업계 보급을 통한 상용화로 수출용 김치의 품질향상 등 김치산업 애로사항을 과학기술로 해결했다. 탄소중립, 산업계 혁신을 위한 원천기술을 개발·적용하고, 목적 중심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저온성 김치유산균에 최적화된 시험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한국인정기구(KOLAS) 공인시험기관(ISO/IEC 17025)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연구지원체계평가 S등급,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 연구실 안전수준 분야 2년 연속 최고등급 달성 등을 달성했다.장해춘 소장은 “이번 기관운영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획득한 것은 연구소의 혁신을 위해 구성원들이 한마음 한뜻이 되어 노력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우수 연구성과를 꾸준히 창출하여 김치산업 육성·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국가 김치산업의 혁신 거점기관’으로 거듭나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강소(强小) 연구소가 되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
2024.06.10 I 강민구 기자
에스티팜, 美 바이오텍과 TNFR 저해제 공동개발 계약 체결
  • 에스티팜, 美 바이오텍과 TNFR 저해제 공동개발 계약 체결
  •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에스티팜(237690)은 미국 보스턴 소재 바이오텍 기업 인테론(Interon Laboratories)과 TNFR(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저해제 개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에스티팜 반월공장 전경.(제공= 에스티팜)이번 공동연구 계약을 통해 양사는 2024년 6월부터 2년간 공동 연구를 진행해 TNFR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저분자 전임상 후보물질을 도출할 계획이다. 인테론은 2020년 허준렬 하버드 의대 교수와 글로리아 최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교수가 공동창업한 바이오텍 기업이다. 신경물학 및 면역학 분야 파이프라인을 통해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특히 독점적인 자체 특허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이번 공동연구는 기존의 생물학적 제제 방식과 달리 저분자 물질로 TNFR만 선택적으로 저해한다는하는 저분자 물질이라는 차별점이 있다. TNF(tumor necrosis factor, 종양괴사인자)는 면역의 중심 조절자 역할을 하는 다기능 사이토카인으로 두 개의 서로 다른 수용체 복합체(TNFR1 및 TNFR2)를 통해서 신호를 전달한다. TNFR1 신호는 주로 세포사멸 및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 반면, TNFR2는 면역 조절 및 조직 재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항TNF 약물은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 치료에 사용되지만 면역원성에 의한 약효 소실, 안전성, 부작용, 높은 비용 등 단점이 있어 선택적인 대체 치료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TNFR를 저해하는 저분자 물질을 개발한다면 높은 선택성, 안정성, 및 비용 감소로 더 많은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우수한 약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에스티팜 김경진 대표이사는 “에스티팜 신약개발이 추구하는 ‘Innovative Virtual R&D’ 전략을 통해, 해외 바이오텍과 공동연구를 바탕으로 그 동안 에스티팜이 축적해온 신약개발 역량과 인테론의 우수한 바이오 시스템이 시너지를 일으켜 훌륭한 결과물을 성공적으로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한편, 에스티팜의 에이즈치료제 Pirmitegravir(STP0404, 피르미테그라비르)는 미국에서 임상 2a상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으며, 연내 중간 결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또한 탄키라제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항암제 Basroparib(STP1002, 바스로파립)은 미국에서 임상1상 시험을 완료하고 6월 중으로 임상시험결과보고서를 수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4.06.10 I 석지헌 기자
대만서도 '팝 유어 옹동'… 비비지, 대만 콘서트 성료
  • 대만서도 '팝 유어 옹동'… 비비지, 대만 콘서트 성료
  • 비비지(사진=빅플래닛메이드엔터)[이데일리 스타in 윤기백 기자] 그룹 비비지(VIVIZ)가 대만을 뜨겁게 달궜다.비비지는 9일 오후 6시(현지시각) 대만 타이베이 TICC에서 ‘2024 비비지 월드투어 [비하인드: 러브 앤 티어스]’를 개최했다. 서울 공연으로 월드투어의 성공적인 스타트를 끊은 비비지는 지난해 3월 이후로 대만에서의 첫 단독 공연을 열어 많은 팬들을 열광케 했다. 비비지는 ‘언타이’(Untie), ‘블루 클루’(Blue Clue), ‘럼펌펌’(Rum Pum Pum)으로 반갑게 인사를 전했다. 이어 ‘풀 업’(PULL UP), ‘환상’(Red Sun!), ‘러브 에이드’(LOVE ADE), ‘매니악’(MANIAC), ‘밥 밥’(BOP BOP!) 등 그동안 발매한 타이틀곡들과 ‘파티팝’(Party Pop), ‘러브 러브 러브’(LOVE LOVE LOVE), ‘오버플로우’(Oveflow) 등 수록곡 무대, 미공개 팬송 ‘와일드 플라워’(Wild flower) 무대로 팬들을 열광케 했다. (사진=빅플래닛메이드엔터)뿐만 아니라 ‘역주행 신화’를 쓴 미니 4집 ‘벌서스’(VERSUS) 타이틀곡 ‘매니악’(MANIAC)의 ‘팝 유어 옹동’ 댄스 챌린지 이벤트, 사인볼 이벤트, 떼창 이벤트 등 다양한 코너를 통해 재미와 감동을 다 잡은 웰메이드 공연을 선사하며 ‘믿고 보는 비비지’의 저력을 입증했다.대만팬들의 비비지에 대한 사랑도 뜨거웠다. 공연 도중 슬로건 이벤트를 선물한데 이어 객석 전체를 이용한 ‘비비지 다시와’라는 카드 섹션 이벤트를 선보여 멤버들에게 무한 감동을 선사했다. 대만 공연을 마친 비비지는 15일 방콕, 7월 5일 홍콩 등 아시아 3개 도시 투어에 나선다. 이후 7월 13일 미국 애틀랜타를 시작으로 샬럿, 워싱턴D.C, 필라델피아, 보스턴, 뉴욕, 피츠버그, 콜럼버스, 디트로이트, 루이빌, 내슈빌, 인디애나폴리스, 시카고, 미니애폴리스, 캔자스시티, 오클라호마시티, 댈러스, 샌안토니오, 피닉스, 로스앤젤레스, 산호세 등 21개 도시에서 미주 투어를 이어간다.
2024.06.10 I 윤기백 기자
NH투자증권, MTS 내 ‘큰손 PICK’ 서비스 출시…“해외주식 서비스 강화”
  • NH투자증권, MTS 내 ‘큰손 PICK’ 서비스 출시…“해외주식 서비스 강화”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NH투자증권(005940)은 해외주식 서비스 강화 차원에서 모바일트레이딩서비스(MTS) 내 ‘큰손 PICK’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NH투자증권)큰손 PICK은 월가의 투자 대가 5인(워런 버핏·스탠리 드러켄밀러·빌 애크먼·마이클 버리·론 바론)이 운용하는 헤지펀드(기관 투자자)의 13F 보고서(Form 13F) 공시를 활용해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한다. Form 13F란 운용자산이 1억달러 이상인 기관 투자자라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의무적으로 제출하는 분기별 보고서이다. 큰손 PICK 서비스는 투자 대가 5인의 분기별 비중 종목 데이터를 시각화해서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이 친숙하게 투자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이전 분기 포트폴리오는 물론 해당 종목이 분기 내 신규 매수·추가 매수·부분 매도·전량 매도 종목인지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매 동향과 포트폴리오 변화를 한 눈에 알 수 있다는 평가다. 또 큰손의 포트폴리오 이야기를 통해서 해당 종목의 매수·매도 이유를 더 쉽고 깊게 이해할 수 있는 해설 콘텐츠도 제공한다. 이 밖에도 투자자 편의를 위해 투자 대가별 포트폴리오 비중 상위 10개 종목을 대가의 보유 비중대로 매수할 수 있는 한 번에 주문하기 기능도 지원하며, 투자 대가들이 어떤 투자 철학으로 투자하고 그들이 운용하는 헤지펀드가 무엇인지 소개하는 콘텐츠도 확인할 수 있다. 정병석 NH투자증권 Digital플랫폼본부 대표는 “큰손 PICK 서비스는 국내 주식과 단기 매매 중심에서 벗어나 글로벌로 시야를 확대해 유망 종목을 발굴하고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인베스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라며 “대가들의 포트폴리오 변화와 그 변화에 대한 해설서까지 제공하는 점에서 유사 서비스들과 차별화되어 있고 앞으로 13G·D 등과 기관 투자자 데이터를 확대해 투자 대상 발굴·분석에서 차별화된 사용성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4.06.10 I 박순엽 기자
엔씨 신작 ‘배틀크러쉬’, SGF 2024서 신규 영상 공개…27일 사전 출시
  • 엔씨 신작 ‘배틀크러쉬’, SGF 2024서 신규 영상 공개…27일 사전 출시
  •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엔씨소프트(036570)는 난투형 대전 액션 신작 ‘배틀크러쉬(BATTLE CRUSH)’ 신규 영상을 ‘SGF 2024(Summer Game Fest 2024, 이하 SGF)’에서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사진=엔씨소프트)SGF는 오는 10일까지(현지 기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진행되는 온·오프라인 글로벌 게임쇼다. 배틀크러쉬는 지난 2023년 9월 닌텐도 다이렉트(Nintendo Direct)에서 트레일러 영상을 선보인 이후 9개월 만에 SGF에서 인게임 플레이 영상을 공개했다.신규 영상은 신화 속 인물을 모티브로 한 배틀크러쉬의 캐릭터들이 등장해 전투를 벌이는 내용을 담았다. 2D 애니메이션으로 캐릭터의 특성과 스킬을 묘사한 점이 특징이다. 실제 게임 화면은 ‘무너지는 전장에서의 전투’라는 배틀크러쉬의 핵심 요소를 나타냈다.배틀크러쉬는 오는 27일 한국, 북미, 유럽, 아시아, 동남아 등 글로벌 100개국에서 앞서 해보기(얼리 액세스) 버전을 출시한다. 서비스 플랫폼은 닌텐도 스위치(Switch), 스팀, 구글 플레이스토어 및 애플 앱스토어다. 모든 플랫폼은 크로스 플레이(Cross-Play)를 지원한다. 이용자는 모바일 앱마켓, 스팀, 배틀크러쉬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전예약에 참여하고 다양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2024.06.10 I 김가은 기자
“계속 영상 올릴 것” 밀양사건 폭로 유튜버, 방통위 심의에 한 말
  • “계속 영상 올릴 것” 밀양사건 폭로 유튜버, 방통위 심의에 한 말
  •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가해자를 지목하는 영상을 게시한 유튜버가 신상 폭로를 재개한 가운데 방송통신위원회의 심의를 받게 되자 “하지만 계속 영상은 올릴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사진=나락보관소 유튜브 커뮤니티 캡처)10일 유튜브 ‘나락 보관소’는 커뮤니티 게시글에 “나락 보관소 채널이 방송통신위원회 심의를 받게 됐다. 이제는 여러분과 함께할 수 없을 지도 모른다”면서도 “하지만 계속 영상은 올릴 것이다. 제발 좀 도와주십시오”라는 글을 올렸다.이 유튜버는 게시글 댓글에도 재차 “제재를 받더라도 그전까지는 계속 올릴 것”이라며 “이 규제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은 좀 도와 달라”고 말했다.방심위에 따르면, 방심위 통신심의소위원회는 이르면 오는 13일 회의 안건에 ‘나락 보관소’ 관련 영상 4건을 올려 심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방심위는 정보통신망법을 근거로 불법정보와 유해정보를 심의하고 시정 요구를 할 수 있는데, 밀양 사건 가해자 지목 영상을 심의 대상에 올린 것이다.다만 유튜브는 국내 법인이 아니기 때문에 방심위가 시정 요구를 해도 자체 가이드라인에 따라 콘텐츠 삭제 여부를 결정한다.이 유튜버는 지난 1일부터 밀양 사건 가해자를 지목하고 신상을 차례로 공개하며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이 채널을 통해 경북 한 식당에서 근무하던 A씨와 외제차 영업사원으로 활동하던 B씨의 신상이 공개됐고, 밀양 지방공기업에 근무하는 C씨의 신상도 공개됐다.이 과정에서 엉뚱한 사람을 밀양 가해자의 여자친구로 지목하는 일이 벌어지는 등 ‘사적 제재’에 따른 또다른 피해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이 유튜버는 피해자의 동의 없이 가해자들의 신상을 공개해 2차 가해를 유도했다는 비난도 받았다. 이후 ‘나락 보관소’는 영상과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했다가 하루 만에 “현재 연락 두절된 피해자 가족들이 연락 주시고 공론화를 원하시면 달리겠다”며 다시 폭로를 예고했다.한편, 이 유튜버는 경북 밀양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D씨, “밀양 사건 당시 망을 봐 줬다”는 E씨 등의 추가 폭로를 예고했다.
2024.06.10 I 김혜선 기자
포스코이앤씨, '창립 30주년 성공스토리 앱' 공개
  • 포스코이앤씨, '창립 30주년 성공스토리 앱' 공개
  •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포스코이앤씨는 오는 12월 1일 창립 30주년을 앞두고 사내 공개한 ‘창립 30주년 성공스토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이 직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10일 밝혔다.‘창립 30주년’ 엠블럼 (사진=포스코이앤씨)플랜트, 인프라, 건축, R&D 등 ’30개의 성공스토리‘는 각 사업본부로 부터 추천받은 1200여개의 스토리 중 엄선됐으며, 임직원들은 사내에 공개한 앱을 통해 접할 수 있다. 4월말에 오픈한 이 앱에는 10일 현재 67개의 스토리와 320여개의 댓글이 달렸으며, 임직원들은 현업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직접 느꼈던 성취감과 소외, 선배·동료로 부터 전해 내려오는 생생한 경험담을 공유하고 있다.일례로 2020년 7월 코로나19 시기에 준공한 모잠비크 도로건설에 참여한 직원이 직접 현장에서 말라리아, 코로나 바이러스와 싸워가며 적기에 준공한 경험을 소개하자 당시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직원들이 서로 의지하고 힘이 됐던 동료에 대한 감사의 글을 연이어 소개되는 등 감동 스토리가 이어지고 있다.성공 스토리 외에도 본인이 직접 겪었거나 혹은 선배에게 들은 실패 사례도 밝히며, 다시 반복하지 않아야 할 주안점을 소개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올해 포스코이앤씨에 입사한 김민식 사원은 “선배님들이 직접 경험한 이야기를 앱을 통해 접하면서 동료애와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다”면서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교훈을 얻는 기회로 삼고, 희망찬 Next 30년을 이끌어 가는 주역으로 성장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스토리가 릴레이로 이어지는 가운데 앱 초기 화면에 있는 나무도 직원들의 관심과 사랑으로 열매를 맺고,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소소한 재미를 주고 있다. 6월 이후에는 숏폼 영상, 손편지 등 다양한 형식의 참여 게시판도 앱에 추가 오픈할 예정이다.포스코이앤씨는 포항·광양 제철소 건설 경험을 통해 확보한 기술과 인력을 활용해 세계적인 종합엔니지어링 건설업체로 도약하고자 1994년 출범했다. 일관제철소 설계·조달·시공이 가능한 건설사로서 단기간에 시공능력평가 5위권(2011년 4위, 2014년 3위)에 진입하는 등 성장을 거듭해 왔다.포스코이앤씨는 30주년을 단순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세상에 가치를 더하는 미래사회 건설 선도기업으로, 전 임직원이 의지를 다지는 의미 있는 해가 되도록 올해 1월 나무의 나이테를 모티브로 ’Eco & Challenge‘ 글자를 활용한 앰블럼을 공개한 바 있으며, 성공스토리의 특징을 이미지화(Flexible Identity)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올해 어려운 대내외 여건속에서 포스코이앤씨는 ’도전과 혁신‘의 문화를 바탕으로 전임직원이 함께 위기를 돌파해 나가며, 미래를 향한 도약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2024.06.10 I 오희나 기자
하반기도 달군다…‘잭팟’ 노리는 K뷰티 매물은
  • 하반기도 달군다…‘잭팟’ 노리는 K뷰티 매물은
  • [이데일리 마켓in 허지은 기자] 올해 하반기에도 국내 뷰티업계 인수합병(M&A) 시장은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수와 수출 모두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알짜 매물을 찾는 곳이 늘어나면서다. 밸류에이션(기업가치) 상승에 매각과 인수 측 모두 물 밑 접촉을 늘리고 있어, 선제 투자에 나선 재무적 투자자(FI)들의 엑시트(투자금 회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사진=크레이버)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화장품·미용 의료기기 기업에 대한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의 러브콜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 초 ‘스킨천사(SKIN1004)’ 등 화장품 브랜드 전문 회사 크레이버가 매각 자문사로 삼정KPMG를 선정하고 매각 작업을 본격화했다. 매각 대상은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등 FI가 보유한 지분 55%다. 피부재생 기기 ‘리쥬란’으로 유명한 파마리서치(214450)의 매각설도 불거졌다. 현재 파마리서치 시가총액은 1조4344억원으로, 경영권 프리미엄을 더한 매각 시 몸값은 2조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전망됐다. 뷰티 기업은 바이오에 비해 엑시트 기간이 짧고, 자본적 지출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투자 부담이 적은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 기존에 바이오·헬스케어에 관심이 많았던 사모펀드(PEF)나 벤처캐피탈(VC)들도 뷰티 쪽으로 눈을 돌려 알짜 매물을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상장을 앞두고 있는 기업들의 구주를 구하려는 문의도 크게 늘었다는 전언이다. ‘승무원 미스트’로 이름을 알린 달바(d‘Alba) 운영사 비모뉴먼트가 대표적이다. 비모뉴먼트는 올해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올초 진행된 프리IPO(상장 전 투자유치)에서 기업가치 3400억원을 인정받으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비모뉴먼트 구주는 4000억~5000억원 수준의 밸류에이션에서 거래되고 있다. 통일 주권이 발행되지 않아 거래가 쉽지 않은데도 매입가의 수십배 제안이 들어올 정도로 구주 확보 열기가 뜨거운 것으로 알려졌다. 피부 의료기기 기업 중에선 텐텍을 주목할 만하다. ‘연예인 리프팅’으로 유명한 텐쎄라를 개발한 텐텍은 지난해 진행된 프리IPO에서 기업가치 1000억원을 인정받았다. 2022년 NH투자증권에 이어 지난해 HB인베스트먼트, BNH인베스트먼트, 모비릭스파트너스 등이 연달아 후속 투자를 단행했는데, 올해 상장을 준비 중이어서 FI들의 엑시트가 가능할 전망이다. IB업계 관계자는 “최근 사모펀드는 물론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대기업들도 뷰티 기업 M&A에 눈독을 들이면서 경쟁적으로 매물을 찾고 있다. 가업승계 매물을 다루는 회계법인, 법무법인에도 뷰티 매물을 찾는 문의가 늘고 있다”며 “고금리에 시장 여건은 녹록지 않지만, 뷰티 기업에 대해서는 매각과 인수 양 측의 기업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2024.06.10 I 허지은 기자
'유로2024 우승후보' 프랑스, 캐나다와 최종 평가전 무승부
  • '유로2024 우승후보' 프랑스, 캐나다와 최종 평가전 무승부
  • 프랑스 대표팀 킬리앙 음바페가 캐나다와 평가전에서 0-0으로 비긴 뒤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사진=AP PHOTO[이데일리 스타in 이석무 기자] 오는 15일 독일에서 막 올리는 2024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2024)의 강력한 우승후보 프랑스가 캐나다와 최종평가전에서 불안함을 노출했다.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2위 프랑스는 10일(한국시간) 프랑스 보르도의 마트뮈트 아틀랑티크에서 열린 캐나다(49위)와 평가전에서 한 골도 넣지 못하고 0-0으로 비겼다.24년 만의 유로 우승을 노리는 프랑스는 대회를 코 앞에 두고 분위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한 수 아래 전력인 캐나다와 평가전을 선택했다. 하지만 예상 외 졸전을 펼치면서 오히려 찜찜함을 안고 대회를 시작하게 됐다.이날 프랑스는 최근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을 확정한 간판 공격수 킬리앙 음바페를 벤치에 두고 대신 올리비에 지루(AC밀란)를 최전방 원톱에 뒀다. 2선에는 마르쿠스 튀랑(인테르 밀란), 앙투앙 그리즈만(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우스만 뎀벨레(바르셀로나)를 배치했다.프랑스는 캐나다보다 두 배 가까이 많은 슈팅(13-7)을 때렸고 유효슈팅도 4-0으로 압도했다. 하지만 골 결정력에서 아쉬움을 드러냈다. 후반 29분에는 음바페까지 교체 투입했지만 끝내 캐나다 골문을 열지 못했다. 폴란드,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등과 함께 유로2024 본선 D조에서 속한 프랑스는 오는 18일 오스트리아와 조별리그 1차전을 치른다.한국 축구대표팀 사령탑 최종 후보에 올랐다가 캐나다 대표팀으로 방향을 바꾼 제시 마쉬 감독은 데뷔 첫 승을 다음으로 미뤘다. 사흘 전 캐나다 대표팀 데뷔전에서 네덜란드에게 0-4로 대패했던 마쉬 감독은 부임 이후 2경기에서 1무 1패를 기록했다.한편, 지난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9위)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74위)를 1-0으로 눌렀다. 이탈리아는 전반 38분 페데리코 키에사(유벤투스)의 크로스를 다비데 프라테시(인테르 밀란)가 오른발 발리슛으로 마무리해 귀중한 결승골을 뽑았다.유로 2024에서 다크호스로 꼽히는 슬로바키아는 골폭풍을 몰아치며 웨일스를 4-0으로 눌렀다. 유로 본선에 첫 진출한 조지아도 몬테네그로를 3-1로 꺾고 기분 좋게 대회를 맞이하게 됐다.
2024.06.10 I 이석무 기자
윤성에프앤씨, 2차전지 제조 등 Mixing 전문 ‘R&D 센터’ 준공
  • 윤성에프앤씨, 2차전지 제조 등 Mixing 전문 ‘R&D 센터’ 준공
  •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2차전지 전극공정 믹싱장비 제조기업 윤성에프앤씨(YUNSUNG F&C)는 업계 최초로 세계 최대규모의 Mixing 전문 R&D 센터 및 신공장을 준공했다고 10일 밝혔다.윤성에프앤씨 Global Mixing R&D Center는 안성 공도읍에 있는 본사 공장을 확장해 1만3136㎡(3980평) 대지에 4층 규모 건축면적 4173㎡(1264평), 연면적 1만318㎡(3126평) 규모로 제조시설과 함께 지어졌다. 윤성에프앤씨는 중대형 연속식 전극 슬러리 제조 시스템은 물론 건식 전극제조 시스템 등을 개발하고 있다. 기존 배치식 시스템 대비 높은 생산성과 설비공간 확보로 향후 2차전지 제조공장을 포함한 산업시설 효율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또한, 이곳에 최첨단 파일럿 설비를 도입하고 차세대 믹싱 시스템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여 시장 확대에 대응할 예정이다. 또한 제조시설 확장으로 증가하고 있는 생산 물량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박치영 윤성에프앤씨 대표이사는 “이번 믹싱설비전문 R&D Center 개소는 당사의 높은 품질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고객 커스터마이징 제품 확대를 통한 고객사와의 파트너십 강화 전략의 일환”이라며 “기존사업 외에도 당사에서 추진 중인 신규사업 연구개발에도 전력을 다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2024.06.10 I 이윤정 기자
앰틱스바이오, 기술성 평가 통과…코스닥 상장 도전
  • 앰틱스바이오, 기술성 평가 통과…코스닥 상장 도전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미생물 감염병 혁신 신약 및 아토피 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앰틱스바이오(대표 이종승)는 한국거래소(KRX)에서 지정한 전문평가기관인 기술신용보증기금과 한국기술신용평가로부터 각각 A, BBB 등급을 받아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코스닥 시장 상장에 도전한다.기술성 평가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첫 관문으로,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의 핵심 기술과 성장 잠재력을 엄밀히 심사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통과하기 위해서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전문평가기관 2곳에서 A 등급과 BBB 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이종승 앰틱스바이오 대표는 “이번 기술성 평가 결과는 당사의 연구개발(R&D) 기술력과 다양한 성과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성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코스닥 상장 준비에 속도를 내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도전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상장 주관사는 대신증권과 유진투자증권이다.앰틱스바이오는 미생물 감염병 및 염증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신약 개발 전문기업으로, 약물 타겟 발굴부터 신규 약물 합성, 약물 전달까지 포괄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보건산업진흥원 등이 주관하는 정부 R&D사업을 수주하며 사업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항진균제 주요 파이프라인인 손발톱 진균증 치료제(ATB1651)는 임상 1상을 통해 안정성과 내약성을 비롯해 뛰어난 효능을 확인했으며, 현재 뉴질랜드에서 글로벌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또한 임상대상국가를 유럽의약품청(EMA)의 규제를 받는 동유럽 국가로 확대 중에 있다.ATB1651는 세포벽 내 세포막을 공략해 간이나 신장에 독성을 일으키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진균 세포에만 존재하는 세포벽 구성성분을 타깃으로 해 안정성과 효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새로운 작용기전을 바탕으로 진균을 완전히 제거하는 최초 혁신 신약(First-in-Class)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회사 측은 부연했다.앰틱스바이오는 ATB1651과 관련해 국내를 비롯한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서 특허권을 확보했으며, 해당 물질에 대한 연구는 의약화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JMC(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21년 11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는 등 학계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앰틱스바이오 관계자는 “혁신적 작용 기전을 갖는 항진균제 신약 개발 사업은 극히 드물다”며 “최근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이 항진균제 개발 기업과의 인수합병(M&A)에 수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는 만큼, 항진균제 시장과 앰틱스바이오의 성장 잠재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신규 파이프라인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ATB1606)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 지원과제로, 염증과 가려움증에 탁월한 효능을 보여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올해 임상 1상에 진입할 예정이다.이밖에도 앰틱스바이오는 단백질, 항체 등 다양한 약물의 전달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는 히알루론산(HA) 기반 신소재를 개발했으며, 약물 투여 시 약효를 장기간 지속하게 하는 서방출(徐放出) 약물전달플랫폼으로 최적화시키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해당 소재는 차세대 필러로도 개발 중이며, 지난 1월 해외 수출을 위한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적합성인정검사를 통과해 올 하반기 매출 발생이 기대된다.한편 앰틱스바이오는 지난해 12월 대상그룹의 지주사인 대상홀딩스㈜와 총 75억원 규모의 투자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2024.06.10 I 이정현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