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이정재 사진에 연속 상한가…테마에 올라탄 '우선주' 투자 주의보

대상홀딩스 우선주, 4거래일 연속 '上'
덕성·태양금속 우선주도 상한가
정치 테마에 우선주, 보통주 가격 추월
소액 투자금 만으로 주가 급등락…"묻지마 투자 피해야"
  • 등록 2023-12-01 오전 6:00:00

    수정 2023-12-01 오전 7:45:48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한동훈 법무부 장관과 배우 이정재씨가 저녁 식사 후 찍은 사진 한 장이 ‘우선주’를 흔들고 있다.

배우 이정재와 한동훈 법무부 장관(사진 오른쪽)이 서초구 한 식당 앞에서 찍힌 것으로 보이는 사진 (사진=사회관계망서비스)
한 장관이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에 출마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며 이미 ‘한동훈 테마주’ 바람이 불고 있는데 여기에 더해 우선주까지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다. 증권가에서는 테마주, 특히 우선주에 무조건 달려 들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거래량이 많지 않아 수급에 따라 변동성이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묻지마 투자’에 나섰다가 큰 손실을 볼 수 있어서다.

[이데일리 조지수]
3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대상홀딩스 우선주인 대상홀딩스우(084695)는 전 거래일보다 5010원(29.75%) 오른 2만18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7일 상한가를 기록한 데 이어 4거래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합성피역 제조사 덕성의 우선주인 덕성우(004835) 역시 전 거래일보다 5340원(29.98%) 오른 2만3150원에 마감했다. 지난 22일부터 28일까지 5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전날 투자 경고종목으로 올라 매매거래가 정지됐지만, 이날 거래가 풀리자 바로 상한가로 직행했다. 11월 한 달 동안 덕성우는 399.46%, 대상홀딩스우는 204.32%나 급등했다.

이들은 모두 한동훈 장관 테마주로 분류되는 기업들의 우선주라는 공통점이 있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 배당을 우선적으로 많이 해주는 주식을 의미한다. 보통주보다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지만, 배당은 액면가 기준 1% 정도 더 받을 수 있다.

대상홀딩스우의 주가 급등세를 이끈 것은 사진 한 장이다. 서울 압구정 현대고 동문인 한 장관과 이씨가 식사 뒤 찍은 사진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공개되면서 대상그룹주들은 투자자 사이에서 한동훈 테마주로 분류됐다. 이씨의 오랜 연인인 임세령 대상홀딩스 부회장이 뜻밖의 수혜를 보게 된 셈이다.

덕성우는 덕성 대표와 사외이사가 한 장관과 서울대 법대 동문이라는 이유로 동반 상승하고 있다. 덕성은 지난 27일 한국거래소의 현저한 시황변동 관련 조회공시 요구에 “최근 정치 테마주로 거론되고 있으나 과거와 현재 당사의 사업 내용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선을 긋기도 했다. 그러나 주가 급등세는 진정되지 않고 있다.

태양금속(004100) 우선주도 한동훈 테마주에 뒤늦게 올라탔다. 태양금속 한우삼 회장이 한 장관과 같은 청주 한씨라는 이유로 관련주로 엮여 태양금속우(004105)는 이날 상한가로 마감했다.

우선주는 다른 종목에 비해 유통 주식 수가 적어 소액 투자금만으로도 주가가 크게 움직인다. 호재를 만났을 때 주가가 빨리 오른 만큼 재료가 소멸하거나 악재가 터지면 급격하게 떨어질 위험도 크다.

예컨대 대상홀딩스의 상장 주식 수는 3621만2538주로 시가총액은 약 3849억원이지만, 대상홀딩스우는 상장 주식수는 91만3482주로 시총이 200억원에 불과하다. 최근 한 달간 대상홀딩스 우선주가 200% 이상 올랐을 때 보통주 주가 상승률이 60%대에 그쳤던 이유다.

전문가들은 주로 거래량이 적고 유동성이 낮은 우선주들이 정치 테마주로 묶이는 경우가 많아 묻지마 투자에 나섰다가 낭패를 볼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들 투자 비중이 높은 대형주의 경우 주가를 단기간에 급등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우선주가 정치 테마주 단골이 되는 것”이라며 “기업가치와 본질적으로 관련 없이 과도하게 오른 경우 이를 장기간 유지하기 어려운 만큼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공중부양
  • 이강인, 누구와?
  • 다시 뭉친 BTS
  • 착륙 중 '펑'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