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민생·경제 `불안` 靑·與 ↓…정의당은 10.1% `최고`

28일 6월4주차 주중집계 결과
文대통령, 70.6%로 2주째 내림세
민주당, 11개월만에 50%대 이탈..47.8%
  • 등록 2018-06-28 오전 9:30:00

    수정 2018-06-28 오전 9:30:00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더불어민주당 지지도가 11개월만에 처음으로 40%대로 하락한 가운데 정의당 지지도가 사상 처음 10%대를 넘어섰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2주째 하락하며 70.6%를 기록했다. 문 대통령이 지난 26일 청와대 경제수석과 일자리 수석을 교체하는 등 민생 경제에 대한 지속적 불안심리와 고 김종필 전 총리의 훈장 추서 논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조사한 6월 4주차 주중집계 결과 6.13 지방선거 이후 2주째 무당층이 늘어난 가운데 정의당이 전주대비 2.1%포인트 오른 10.1%를 기록했다. 이는 정의당 지지율가운데 사상 최고치로 5월 4주차(4.8%) 이후 5주째 오르며 두 배 이상 상승했다.

정의당은 수도권과 PK, 20대, 진보층과 중도층 등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상승했는데, 민주당을 이탈한 유권자 일부를 흡수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민주당은 민생, 경제에 대한 여당 책임론이 본격화하며 전주대비 6.3%포인트 떨어진 47.8%를 기록했다. 수도권과 충청권, 부산·경남·울산(PK), 호남, 30대 이하와 50대 이상 등 전 연령층, 중도층과 진보층 등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내렸다.

이같은 하락세는 4·27 남북정상회담과 6·12 북미정상회담 등 한반도 대화 정국을 거치면서 ‘위장평화론’을 견지했던 한국당의 민심 이반에 따른 반사효과가 줄어들고, 민생과 경제 등 주요 현안에서 여당으로서의 책임성 평가가 본격화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자유한국당은 1.6%포인트 오른 18.3%로 6·13 지방선거 이후 2주째 완만하게 상승했는데, 충청권, 20대와 30대, 중도층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보수층(6월 2주차 55.0% → 3주차 44.6% → 4주차 38.8%)에서 2주째 하락세를 보이며 30%대로 떨어졌다. 한국당이 보수층에서 30%대를 기록한 것은 작년 7월 4주차(37.7%) 이후 11개월 만에 처음이다.

바른미래당은 0.2%포인트 오른 5.3%를 기록했고, 민주평화당은 0.7%포인트 내린 2.3%로 5월 4주차와 동률인 최저치로 하락했다.

이어 기타 정당이 0.8%포인트 오른 2.6%, 무당층(없음·잘모름)은 2.3%포인트 늘어난 13.6%로 집계됐다.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60주차 국정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은 전주대비 4.8%포인트 떨어진 70.6%(매우 잘함 44.2%, 잘하는 편 26.4%)를 기록, 2주 연속 하락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 3.6%포인트 오른 22.7%(매우 잘못함 11.9%, 잘못하는 편 10.8%)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1.2%포인트 늘어난 6.7%.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지난주 금요일(22일) 일간집계에서 77.5%(부정평가 18.3%)를 기록한 후, 고(故) 김종필 전 총리에 대한 훈장 추서와 조문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졌던 25일(월)에는 76.0%(부정평가 18.6%)로 하락했다. 경제수석·일자리수석 등 청와대 참모진 개편 소식이 있었던 26일(화)에도 71.2%(부정평가 21.8%)로 크게 내린 데 이어 27일(수)에도 70.1%(부정평가 23.4%)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종 주중집계는 전주대비 4.8%포인트 내린 70.6%(부정평가 22.7%)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충청권에서 60%대 초반으로 크게 내린 것을 비롯해 수도권과 호남, 부산·경남·울산(PK), 50대 이상과 30대 이하, 중도층과 진보층 등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하락했다.

지역별로 대전·충청·세종(-15.6%p, 76.8%→61.2%, 부정평가 30.0%), 경기·인천(-5.6%p, 77.1%→71.5%, 부정평가 23.2%), 서울(-4.6%p, 76.1%→71.5%, 부정평가 22.2%), 광주·전라(-4.1%p, 87.5%→83.4%, 부정평가 10.7%), 부산·경남·울산(-2.4%p, 69.5%→67.1%, 부정평가 23.8%), 연령별로는 60대 이상(-6.7%p, 67.0%→60.3%, 부정평가 27.4%), 50대(-6.4%p, 71.0%→64.6%, 부정평가 26.2%), 30대(-4.9%p, 81.6%→76.7%, 부정평가 20.8%), 20대(-4.9%p, 79.8%→74.9%, 부정평가 21.7%),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6.3%p, 74.3%→68.0%, 부정평가 25.2%)과 진보층(-3.1%p, 90.8%→87.7%, 부정평가 9.2%) 등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하락했다.

이번 조사는 리얼미터가 TBS의뢰로 2018년 6월 25일(월)부터 27일(수)까지 사흘 동안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3만438명에 통화를 시도해 최종 1501명이 응답을 완료, 4.9%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무선 전화면접(10%),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방식,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우리 엄마 맞아?
  • 토마토에 파묻혀
  • 개더워..고마워요, 주인님!
  • 공중부양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