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시대'…거래소 "국내외 파트너십 구축해 사업 본격 추진"

미국 나스닥 등 관련 기술 활용… 글로벌 컨소시엄도 구축
"기술적·제도적 정비 시급"
  • 등록 2016-02-03 오후 1:45:46

    수정 2016-02-03 오후 1:45:46

3일 서울 여의도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블록체인의 현황과 자본시장에의 활용’ 세미나에서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사진=이명철 기자)
[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 앞으로 금융시장의 새로운 플랫폼으로서 일대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미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증권 거래 방안이 추진 중이다. 국내에서도 한국거래소를 중심으로 국내외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블록체인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블록체인은 전달 가능한 자금거래 기록과 상호 자금거래 관계를 각 참여자에게 분산시켜 원장(ledger)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해킹이나 변조, 조작이 불가능한 누적형 데이터베이스(DB)로 전자화폐인 비트코인 전자장부에 쓰인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신재룡 한국거래소 경영지원본부 상무는 3일 서울 여의도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블록체인 현황과 자본시장에의 활용’ 세미나에서 “오는 4월까지 IT 부서 주관으로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기초 조사를 할 예정”이라며 “이후 9월쯤 국내외 관련기관 및 해외 거래소와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블록체인 사업 로드맵을 공표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블록체인은 P2P(Person to person) 방식이어서 공인된 제 3자의 역할이 없어지기 때문에 거래소에 위기일수도 있지만, 획기적인 비용 절감과 보안 강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회”라며 “매매체결이나 청산결제, 시장감시 부분에서 블록체인의 특징인 투명성을 활용할 수 있고 크라우드펀딩과 관련해 포털을 구축하는 등 코스닥시장 위주의 적용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외 사례를 보면 미국의 경우 지난해 10월 나스닥 장외시장 프라이빗 마켓 인증에 블록체인을 도입했고, 증권거래위원회는 블록체인 관련 기술회사인 오버스탁에 공모주식을 발행할 수 있는 권한 부여를 추진 중이다. 특히 골드만삭스·JP모건 등 42개의 글로벌 금융기업들이 ‘R3CEV’라는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블록체인시스템 구축과 국제표준 개발에 착수한 상황이다.

전 세계에서 블록체인 연구개발이 한창이지만 국내는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정옥현 서강대 미래기술연구원장은 “최근 많이 회자되는 클라우드나 빅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한 기술은 블록체인이 될 것”이라면서도 “미국은 관련 전공까지 만들어 기술을 선점하려고 하지만 아직 국내 업체들의 기술 수준은 높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보급처럼 블록체인 역시 시장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서둘러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박사는 “블록체인에 따른 변화가 처음에는 느리게 보이겠지만 어느 순간 급격해질 것”이라며 “P2P 금융거래 활성화에 따라 자금 중개 기능의 축소 등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술의 표준화와 관련 규제 환경 등 이슈에 대한 검토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반면 블록체인 도입 시 불거질 수 있는 문제점으로 인해 급작스러운 변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강태홍 코스콤 기술연구소장은 “자본시장은 매매를 위해 자금이 움직이는 구조인 만큼 블록체인에 대한 면밀한 이해 없이 섣부르게 적용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며 “주식 거래의 처리 속도 등 기술적 문제와 제도적인 부분에서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 '블록체인의 현황과 자본시장에의 활용' 세미나, 내달 3일 열려
☞ 어니스트펀드, P2P 금융 최초 모바일앱 출시
☞ P2P 금융 ‘어니스트펀드’, 7억원 상당 포트폴리오 2호 모집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7년 만의 외출
  • 밥 주세요!!
  • 엄마야?
  • 토마토탕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