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산별로 살펴보면 △국내주식 13.91% △해외주식 13.48% △국내채권 4.14% △대체투자 2.82% △해외채권 1.82% 등 순이다. 전 자산 수익률이 전달보다 상승했고, 해외주식과 해외채권 등을 제외하면 BM 수익률을 모두 상회했다. 국내주식과 국내채권은 BM 수익률 대비 각각 0.17%p와 0.36%p, 대체투자는 0.05%p의 초과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주식과 해외채권은 BM 대비 초과수익률이 -0.66%p와 -0.13%p로 집계됐다.
지난해 공무원연금의 전체 시간가중수익률은 -4.26%로 저조했지만, BM 수익률 -5.23%보다 0.97%p 높아 비교적 다른 연기금보다 선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주식과 채권 가격이 동시에 떨어지면서 지난해 손실액은 3822억원에 달했다.
공무원연금과 함께 국내 3대 연기금으로 꼽히는 국민연금과 사학연금도 마찬가지로 증시 회복에 힘입어 지난해 실적을 뒤집고 수익률을 빠르게 개선하는 모습이다. 국민연금은 올 1분기까지 운용 수익률 6.35%를 기록하며 지난해 손실액 79조6000억원 중 58조4000억원가량을 회복했다. 사학연금도 지난 4월까지 시간가중수익률이 8.27%로 BM 대비 초과수익률은 -0.01%지만, 넉 달 만에 누적 수익금 1조7780억원을 거둬들였다.
한편, 공무원연금의 지난 3월 기준 총 금융자산 규모는 8조1261억원이다. 자산별 투자규모는 △채권 2조4804억원(30.52%) △대체투자 2조1907억원(26.96%) △단기자금 1조8500억원(22.77%) △주식 1조6050억원(19.75%) 등 순이다. 공무원연금은 다른 연기금보다 전통자산 비중이 적은 대신 변동성이 적은 대체자산이 많은 편이다.
한 공무원연금 관계자는 “시장 상황이 매일 변하고 있긴 하지만, 지난달 기준 주식 수익률이 15% 정도 나오고 채권과 대체투자가 3% 내외 수준”이라며 “자산 총계가 아닌 손익 기준으로 봤을 때 현재는 지난해 손실을 전부 만회한 상태”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