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지난달 31일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스텔스 전투기들과 핵 항공모함과 같은 전략자산을 더 많이 전개할 것’이라고 했다. 북한이 지난해 유례없는 도발을 일삼은 만큼 추가적인 핵 개발이나 도발을 억지하겠다는 의도에서다. 한미 양국은 회담 직후인 지난 1일 미국 전략자산를 활용한 올해 첫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
북한이 `강경 대응` 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치면서, 그간 잠잠했던 한반도 정세가 다시 긴장 국면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총장)는 “한반도 정세악화의 책임이 전적으로 미국에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는 한편, 2·8 건군절 대규모 열병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재개될 핵 미사일 개발의 정당성과 명분을 축적했다”고 분석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올해도 정세와 위기관리에 조금이라도 허점이 생길 경우 한반도에서 핵과 핵이 충돌하는 사태까지 벌어질 수도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극히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정부 당국은 북한을 향해 도발을 멈추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호소했다. 대북 주무부처인 통일부 관계자는 “위협과 도발이 아닌 대화와 협력을 선택해야 한다”며 “(북한이) ‘담대한 구상’에 호응함으로써 비핵평화 한반도를 만들어가기 위한 대화의 길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