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도이치모터스, ‘애스턴마틴 수원’ 도이치오토월드 내 공식 오픈
  • 도이치모터스, ‘애스턴마틴 수원’ 도이치오토월드 내 공식 오픈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자동차 종합 플랫폼 전문 기업 도이치모터스(067990)(대표이사 권혁민)는 자회사 브리타니아오토를 통해 애스턴마틴의 국내 유통 사업을 전개하는 가운데 고객을 위한 허브 역할을 수행할 ‘애스턴마틴 수원’을 오픈했다고 3일 밝혔다.브리타니아오토는 지난달 프리미엄 수입차 공식 딜러로서의 세일즈 및 서비스 노하우을 바탕으로 애스턴마틴 공식 수입사로 선정됐다. 브리타니아오토가 속한 도이치오토모빌 그룹은 프리미엄 수입차부터 럭셔리 슈퍼카까지 다양한 브랜드의 딜러십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구매부터 판매까지 전 영역을 아우르는 서비스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자동차 전문 기업이다.도이치모터스는 애스턴마틴 수원을 토대로 프리미엄 수입차 시장에서 쌓아온 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세계 최대 규모 자동차 쇼핑몰 도이치오토월드에 마련된 전시장에서는 총 4대의 모델이 전시 가능한 규모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세대 스포츠카인 신형 밴티지를 비롯한 애스턴마틴의 프리미엄한 모델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했다.신형 밴티지는 지난 2월 처음 공개된 모델이다. 대폭 업그레이드된 수제작 4.0 트윈터보 V8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665PS, 최대토크 800Nm의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국내에서는 지난달 30일 그레고리 아담스 애스턴마틴 아시아지역 총괄 사장이 참석한 애스턴마틴 고객초청 행사를 통해 국내 최초 공개된 바 있다.이외에도 ‘영국의 새로운 우상(THE BIRTH OF NEW ICON)’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트윈터보 V8 엔진을 탑재한 DB 라인업의 신형 DB12 모델도 전시장에서 직접 만나볼 수 있다. 브리타니아오토는 애스턴마틴이 출시를 계획하고 있는 신형 뱅퀴시 모델 등 차세대 차량들을 빠르게 선보이는 것은 물론,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내 고객과의 접점을 늘려간다는 계획이다.애스턴마틴 수원은 한국 고객을 위한 허브 역할을 하는 만큼, 전시장 기능은 물론 공식 서비스 센터의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기존 애스턴마틴 고객은 애스턴마틴 수원을 통해 공식 서비스를 만나볼 수 있으며, 기존 딜러사를 통해 접수된 주문 또한 애스턴마틴 수원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행될 예정이다.권혁민 도이치모터스 대표는 “애스턴마틴 수원을 통해 애스턴마틴의 국내 고객과 애스턴마틴 팬들을 위한 서비스와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오랜 기간 쌓아온 도이치오토모빌 그룹만의 노하우와 자산으로 국내 시장에서 애스턴마틴의 입지를 확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4.06.03 I 이정현 기자
금호타이어, 글로벌 타이어 전시회 참가로 유럽 시장 공략
  • 금호타이어, 글로벌 타이어 전시회 참가로 유럽 시장 공략
  • [이데일리 박민 기자] 금호타이어는 오는 4일부터 6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글로벌 타이어 전시회 ‘더 타이어 쾰른 2024(The Tire Cologne, 이하 TTC)’에 참가한다고 3일 밝혔다. TTC는 세계 최대 규모의 타이어 전문 전시회로서 세계 주요 타이어 메이커들이 참가한다. 금호타이어가 ‘더 타이어 쾰른 2024’에 마련하는 부스 조감도.(사진=금호타이어)금호타이어는 이번 전시 컨셉을 ‘Passion in Innovation & Progress-고객과 시장이 요구하는 최적의 주행 성능 구현을 위한 타이어 기술의 혁신과 진화’로 정하고, 초고성능 타이어 등 극한의 주행 환경에서도 최상의 안정성과 완벽한 드라이빙 퍼포먼스를 제공하는 기술력을 알릴 계획이다.이번 전시회에서 금호타이어는 신제품 여름용 타이어 ‘엑스타 스포츠 S(ECSTA SPORT S)’, ‘엑스타 스포츠(ECSTA SPORT)’의 패밀리 제품과 전기차 전용 겨울용 타이어 ‘윈터크래프트(WinterCRAFT) WP52 EV’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특히 엑스타 스포츠 S 및 엑스타 스포츠는 고성능, 고출력 차량의 드라이빙 퍼포먼스를 완벽하게 구현해내는 초고성능 스포츠 타이어이다. 금호타이어는 유럽 및 글로벌시장에서 퍼포먼스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굳히고자 KETC(금호타이어 유럽 연구소)에서 4년(2021년~2024년)의 개발기간을 거쳐 초고성능 스포츠 퍼포먼스를 검증하면서 에너지효율 및 마일리지까지 향상시켰다. 또한 윈터크래프트 WP52 EV는 기존 겨울용 타이어인 윈터크래프트 WP52 제품을 전기차의 특성에 맞게 페이스리프트(Face Lift)한 전기차 전용 제품이다.또한 엑스타 HS52, 솔루스 HA32, 윈터크래프트 WP72 등 주력 판매 제품 전시와 함께 에어본 타이어 등 미래 컨셉 타이어들을 전시한다는 방침이다. 금호타이어는 이번 전시회에 유럽지역 주요 거래선을 초청하고, 신규 거래선 발굴 및 개발을 위한 전시 상담도 병행할 예정으로, 금호타이어의 미래 전략 방향성을 제시하며 고객과 소통하고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이강승 금호타이어 유럽본부장 전무는 “세계 최대 규모의 타이어 전시회에서 금호타이어의 주력 제품이라 할 수 있는 ECSTA SPORT 패밀리 제품을 잠재 고객들에게 첫선을 보이는 자리”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지향적 스마트 모빌리티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금호타이어는 최근 5년간 유럽시장에서 연평균 20%이상 꾸준히 매출이 성장했으며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약 44% 증가하며 발군의 성장세를 보였다. 이러한 매출 성장에는 유럽 시장 특성을 고려한 연구·개발(R&D) 전략이 주효했다. 최근 금호타이어는 세계적 권위를 지닌 독일 자동차 전문지 아데아체(ADAC), 아우토빌트(AutoBild)에서 실시한 타이어 성능 테스트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증명했다.
2024.06.03 I 박민 기자
현대공업, 현대차 출신 전문경영인 영입
  • 현대공업, 현대차 출신 전문경영인 영입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자동차 내장재 전문기업 현대공업(170030)이 34년 경력 자동차산업 분야 전문가인 한상욱 부사장을 영입했다고 3일 밝혔다.한 부사장은 현대차 인도법인, 북경현대기차, 덕양산업 등에서 34년 간 생산과 운영·신차종 개발 등 다양한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둔 전문 경영인이다. 현대공업은 자동차 산업 전문 역량을 보유한 한 부사장 영입으로 50년 이상 쌓아온 현대공업만의 경쟁력과 노하우를 더해 자동차분야에서 한걸음 더 성장할 수 있는 지속성장 가능한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한 부사장은 현대차 인도법인(HMI) 건설 프로젝트 참여 등 신공장 건설, 신차종 개발 등을 담당했다. 북경현대기차에서는 공장장 및 생산기술 총괄부서장으로 고효율 공장 건설, 신차종 개발, 양산 안정화 등 생산 전반을 총괄했다. 덕양산업에서는 안전보건 경영체계 구축, 품질 5스타 인증 획득, 신차 판매 100일 무결점 달성 등 성과를 냈다. 현대공업 관계자는 “현대공업은 한 부사장의 자동차 산업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생산 운영 체계 구축을 기대한다”며 “미국 조지아 공장 및 국내 공장 가동에도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2024.06.03 I 김소연 기자
페덱스, 한국-홍콩 신선 과일 당일 배송 서비스 제공
  • 페덱스, 한국-홍콩 신선 과일 당일 배송 서비스 제공
  • 페덱스 제공.[이데일리 문다애 기자] 글로벌 특송 회사 페덱스 익스프레스(이하 페덱스)가 경상북도 지역 농가와 과일 수출업체의 신선 과일에 대해 홍콩 당일 배송을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경상북도와의 지역 기업 대상 해외 무역 기회 제공 협업의 일환이다.신선 과일 당일 배송 서비스는 인천에서 홍콩으로 주 4회 운항하는 기존 항공편을 통해 2024년 6월 4일부터 시작한다. 신선 과일과 같이 온도에 민감한 화물은 운송 전까지 품질 및 신선도 유지를 위해 페덱스 인천 물류센터의 120평방미터 규모 콜드체인 시설에 보관한다. 저온 냉동고, 냉장고, 보온고 등 세 개의 개별 저장 공간으로 구성된 이 시설은 유럽연합(EU)의 우수 의약품 유통 관리 기준인 GDP(Good Distribution Practice)를 준수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제품 및 부패하기 쉬운 식품 보관에도 적합하다.경상북도는 국내 대표 과일 생산지 중 하나로, 참외, 포도, 복숭아, 딸기 등의 특산품으로 유명하다. 지난해 경상북도의 농식품 수출액은 2013년 2억 7222만 달러에서 2023년 9억 3314만 달러로 3배 이상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박원빈 페덱스 익스프레스 코리아 지사장은 “차별화된 솔루션과 첨단 디지털 도구를 통해 전자, 자동차, 의료, 전자 상거래 배송, 농산물, 과일까지 한국이 전 세계로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앞으로도 협력 관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농산물 항공 수출을 지원하고 해외 유통 채널을 강화할 것”이라며 “대구경북공항 개항에 따라 화물 노선을 개설하고 확대할 기회를 모색하여 이 공항을 아시아의 물류 허브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6.03 I 문다애 기자
알멕, 저탄소 알루미늄 기술개발 사업자 선정
  • 알멕, 저탄소 알루미늄 기술개발 사업자 선정
  • [이데일리 마켓in 권소현 기자] 글로벌 전기차 알루미늄 부품 전문 기업인 알멕(354320)이 225억원 규모의 저탄소 알루미늄 기술개발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알멕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_패키지형에 최종 선정돼 ‘사용 후 스크랩을 재활용해 프라이머리급 알루미늄 합금으로 소재화하는 기술개발’에 나서게 됐다고 3일 밝혔다. 과제 기간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약 5년으로, 전체 사업비 중 177억원이 정부지원금으로 운영된다. 정부의 저탄소 정책에 따른 이번 국책과제는 총괄과 세부과제 1, 2, 3으로 구성되고, 총 12개 기관이 연구 및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모든 세부 과제들은 알멕이 총괄 주관을 맡아 개발과 관리를 진행한다. 알멕은 이번 국책과제를 통해 향후 스크랩 재활용을 사업화, 유럽연합(EU) 탄소국경세(CBAM) 탄소중립 장벽을 극복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이번 국책과제는 현대자동차가 수요기업으로 예정돼 있어 사업화 가능성은 매우 높아졌다는 평가다. 알멕 관계자는 “이번 대형 국책과제로 리사이클을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을 제품화해 기존 사업에 ‘저탄소’라는 경쟁력을 부가할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 효과 및 저탄소 알루미늄이라는 신사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알멕의 주요 사업은 전기차 전용 제품으로 2차전지의 모듈 케이스와 배터리 팩 프레임, 전기차 플랫폼 프레임 및 관련 부품 등을 개발, 생산하고 있다. 지난달 초 미국 알루미늄압출재 덤핑조사 예비판정에서 0%를 받아 미국 수출확대에 청신호가 들어온데 이어 이번 국책과제를 통해 유럽의 탄소장벽을 극복, 유럽시장에 대한 수출비중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사진=알멕
2024.06.03 I 권소현 기자
DB하이텍, 로봇·전장 쓰일 이미지센서 공정 고도화 가속
  • DB하이텍, 로봇·전장 쓰일 이미지센서 공정 고도화 가속
  •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국내 파운드리 기업 DB하이텍(000990)은 자동차, 산업, 로봇, 의료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글로벌 셔터(Global Shutter)와 SPAD(Single-Photon Avalanche Diode·단일광자 포토다이오드) 공정 기술을 고도화해 특화 이미지센서 사업을 확대 중이라고 3일 밝혔다.DB하이텍 부천캠퍼스. (사진=DB하이텍)글로벌 셔터는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왜곡 없이 포착하는 센서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수적인 머신비전(Machine Vision·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 및 영상 분석 시스템)을 비롯해 자동차, 드론, 로봇,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22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시장성장률이 16%에 이를 전망이다.DB하이텍의 글로벌 셔터는 빛 민감도인 PLS가 1만 이상으로, 광인식률이 99.99%이며 노이즈 발생률도 1만분의 1 미만에 불과하다. SPAD는 입자 수준의 미약한 빛 신호를 감지하는 초고감도의 3D 이미지센서다. 정밀도가 높고 장거리 측정이 가능해 자율주행차, AR·VR 기기, 로봇, 스마트폰 등 미래 첨단기술을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부품이다.DB하이텍은 이번에 확보한 글로벌 셔터와 2세대 SPAD 공정을 기반으로 팹리스 고객들이 특화 이미지센서 사업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글로벌 셔터와 SPAD 분야는 파운드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많지 않다.DB하이텍 관계자는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지의 글로벌 선두 기업들과 협업해 제품을 개발 중”이라며 “고객 맞춤형 공정, 픽셀 개발을 위해 시뮬레이션하거나 고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4.06.03 I 김응열 기자
'소상공인 동반 성장 지원'…현대차, 포터2 LPG 모델 구매 혜택
  • '소상공인 동반 성장 지원'…현대차, 포터2 LPG 모델 구매 혜택
  • [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현대자동차가 LPG 공급 사업자 E1, 중소기업중앙회와 손잡고 국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포터2 구매 혜택을 제공한다.(왼쪽부터)김수근 E1 영업본부장, 이창호 중소기업중앙회 공제운영본부장, 안정일 현대차 국내판매추진실장이 지난달 28일 진행된 MOU 체결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사진=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는 지난달 28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E1 사옥에서 안정일 현대차 국내판매추진실장, 김수근 E1 영업본부장, 이창호 중소기업중앙회 공제운영본부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소상공인 동반 성장 및 LPG 차량 보급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이번 업무협약은 현대차가 국내 주요 LPG 공급 사업자인 ‘E1’과 소기업·소상공인의 사업 및 생활 안정을 위한 공제 제도인 노란우산공제를 운영하고 있는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소상공인들을 돕기 위한 차원에서 체결됐다.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차, E1, 중소기업중앙회는 포터2 LPG 모델을 구매하는 노란우산공제 회원을 대상으로 △차량 20만원 할인 △전용 멤버십 카드 발급 △LPG 충전 10만 포인트 증정 등 혜택을 제공한다.특히 전용 E1 멤버십 카드는 결제금액 1000원당 30포인트가 적립되는 카드로, 일반 고객 대비 10배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차량 출고 시 카마스터를 통해 수령 가능하며, 적립된 포인트는 전국 E1 충전소 및 다양한 제휴처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소상공인들의 LPG 트럭 구매 및 충전에 대한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이번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로 했다”며 “현대차는 앞으로도 소상공인과의 동반 성장을 위한 다양한 협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현대자동차는 포터2 일렉트릭 모델을 구매하는 노란우산공제 회원에게도 차량 50만원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2024.06.03 I 공지유 기자
현대글로비스, 에코프로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
  • 현대글로비스, 에코프로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
  •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현대글로비스(086280)가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이차전지 소재 전문 기업 에코프로(086520)와 협력한다고 3일 밝혔다.현대글로비스는 에코프로와 지난달 30일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전후방 사업 및 제조물류 자동화 솔루션 사업 협약 (MOU)’을 체결하고 사업 전반에서 협력키로 했다.지난달 30일 에코프로 서울사무소 인근 별도 장소에서 열린 현대글로비스-에코프로 업무협약식에서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왼쪽)와 송호준 에코프로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글로비스)협약에 따라 양사는 국내외 재활용 사업 밸류체인 강화, 재활용 사업 운영 체계 최적화, 재활용 공정 자동화 구축 등에 나선다.배터리 재활용 사업 확대를 위해 글로비스는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물류 역량과 전처리 역량을, 에코프로는 후처리 기술과 재활용 기술 등을 각각 활용할 계획이다.이를 통해 양 사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SCM 최적화 체계를 구축키로 했다.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공정 중 전처리는 물리적으로 사용후 배터리에 남아 있는 전력을 방전시키고 해체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양극재 분리물인 블랙파우더까지 만드는 공정이다. 후처리의 경우 이렇게 확보한 원료에서 유가 금속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현대글로비스는 글로벌 전기차 수요확대에 따른 사용후 배터리 물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물류 역량을 앞세워 국내외 배터리 재활용 분야에서 우위를 점할 계획이다.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전략적 회수 거점을 설립하고 전처리 기술을 확보하며, 배터리 전용 물류 공급망을 최적화하는 등 관련 기술 경쟁력을 내재화하고 확대해 배터리 재활용 시장을 더욱 빠르게 공략하는 것이 목표다.이를 위해 현대글로비스는 제주도와 제주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용 후 배터리 물량을 재사용하기 위한 MOU를 맺고, 전처리 기술을 갖춘 배터리 재활용 전문 기업 ‘이알’에 지분 투자를 하는 등 다양한 협력에 나서고 있다.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재활용 사업 운영체계 최적화, 스마트한 재활용 공정 구축 등을 갖추고, 국내외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산업 발전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6.03 I 이다원 기자
한국딜로이트, 2024년 정기임원 승진 인사…24명 임원 승진
  • 한국딜로이트, 2024년 정기임원 승진 인사…24명 임원 승진
  •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한국 딜로이트그룹은 파트너 17명 및 수석위원(ED) 7명에 대한 2024년 정기 임원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고 3일 밝혔다. 2025년 회계연도의 시작과 함께 그룹이 발표한 조직개편을 반영한 첫 임원 승진이다.이에 따라 회계감사 부문에선 김선호, 김주해, 박소영, 박희완, 유진무, 유희상, 최명식 파트너가 승진했다. 세무자문 부문에선 도강현, 박동환, 이종원, 조성문 파트너가, 경영자문 부문에선 고병욱, 김태호, 안정숙, 정영태, 천정우, 한형주 파트너가 승진했다. 이외에도 회계감사 부문에선 이승희 수석위원이, 세무자문 부문에선 정광석, 최경원 수석위원이 승진했다. 경영자문 부문에서 최경식, 최현정 수석위원이, 컨설팅 부문에선 안종식, 이상훈 수석위원이 승진했다. 자동차와 전자, 통신 및 금융 등 대한민국 주력 산업별 전문 역량을 갖춘 전문가의 임원 승진을 통해 산업별 전문성을 강화했다는 평가다. 또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 분야 인재를 신규 임원으로 승진 발탁했다.연령대로 보면 작년에 이어 올해 정기 임원 인사에도 80년대생이 강세를 이어갔다. 작년 임원 승진의 60%에 이어 올해 승진 임원의 63%(15명)가 80년대생이다. 성별의 경우 회계감사 부문 2명, 경영자문 부문 2명, 총 4명의 여성 임원이 배출되었다. 작년 여성 임원 승진자는 2명이었다. 홍종성 한국 딜로이트 그룹 총괄대표는 “2025년 회계연도 새로운 조직체계와 리더십을 발표하고 협업과 통합을 통한 차별화된 플레이로 1등 펌이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또 “이를 실현해 나갈 인재들을 임원으로 발탁하고 그룹 차원에서 이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06.03 I 김보겸 기자
에코프로, 현대글로비스와 폐배터리 재활용 MOU 체결
  • 에코프로, 현대글로비스와 폐배터리 재활용 MOU 체결
  •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에코프로(086520)는 지난달 30일 현대글로비스(086280)와 ‘전기차(EV) 사용후 배터리(폐배터리) 재활용 전후방 사업 및 제조물류 자동화 솔루션 사업’ 업무협약(MOU)을 맺고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 협력을 강화한다고 3일 밝혔다.에코프로 가족사인 에코프로씨엔지는 폐배터리와 스크랩한 배터리의 전처리와 후처리 공정을 거쳐 유가금속을 회수한다. 폐배터리 재활용은 전처리와 후처리로 구분되는데 전처리는 물리적으로 폐배터리에 남아 있는 전력을 방전시키고 해체한 뒤 불순물을 제거한 이후 블랙파우더를 만드는 공정이다. 후처리는 블랙파우더를 황산에 녹여서 직접 유가 금속을 추출한다.에코프로씨엔지는 전처리와 후처리를 모두 갖춘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현대글로비스의 물류망을 활용할 수 있어 물류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의 물류 노하우를 기반으로 관련 인허가 취득 등에서도 공동 대응할 방침이다.현대글로비스는 국내 52개, 해외 96개 주요 물류거점을 확보하고 있다. 90척에 육박하는 자동차 운반선을 통해 연간 약 344만대의 완성차를 글로벌 시장에 운송한다. 에코프로씨엔지는 지난 4월 현대글로비스의 스마트 물류 솔루션 시스템을 공급받아 물류 자동화를 준비하는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유럽연합의 재활용 의무화 추진 등 세계적으로 관련 정책이 강화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순수전기차(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를 포함한 세계 전기차 폐차 발생량은 2040년까지 연평균 33%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글로벌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연평균 17% 성장해 2030년 424억달러, 2040년 2089억달러(약 263조 원)로 늘어날 전망이다.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재활용 사업 운영체계 최적화, 스마트한 재활용 공정 구축 등을 갖추고 국내외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산업 발전을 선도할 것”이라고 했다.송호준 에코프로 대표는 “차별화된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확보한는 에코프로씨엔지는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원료 확보는 물론 물류 경쟁력까지 갖출 수 있게 됐다”며 “이번 MOU 체결이 폐배터리 자원 재활용 시장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했다.송호준 에코프로 대표(오른쪽)와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가 지난달 30일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 MOU를 맺은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에코프로)
2024.06.03 I 김은경 기자
현대차, '녹색 지옥' 獨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 9년 연속 완주
  • 현대차, '녹색 지옥' 獨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 9년 연속 완주
  •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현대차(005380) 고성능 N 브랜드가 혹독한 코스로 ‘녹색 지옥(Green Hell)’이라는 별명을 가진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를 9년 연속 완주했다. 또 클래스에서 우승도 거머쥐었다.2024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 질주하는 엘란트라 N TCR. (사진=현대차)현대차는 지난 1~2일(현지시각) 독일 뉘르부르크링에서 열린 2024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에서 엘란트라 N TCR(국내명 아반떼 N TCR)이 TCR 클래스 1·2·3위를 차지했다고 3일 밝혔다. 또 i30 패스트백 N 컵 카는 VT2 클래스 2위에 올랐다.현대차는 이번 대회에 TCR 클래스 엘란트라 N TCR 3대, VT2 클래스에 i30 패스트백 N 컵 카 1대 등 총 네 대의 차량을 출전시켰다. 출전한 네 대 모두 코스를 완주하고 클래스 포디움에 든 셈이다.엘란트라 N TCR은 4년 연속 TCR 클래스에서 우승하며 N 브랜드의 우수한 내구성과 주행 성능을 발휘했다는 평가다.현대차는 지난 2016년부터 9년 연속 뉘르부르크링 레이스를 완주하며 N 브랜드의 기술력을 전 세계 모터스포츠 팬에게 각인시키고 있다.현대차는 현장에서 시뮬레이션 레이싱 게임 ‘그란 투리스모’와 협업을 발표하며 부스 방문객들이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가상으로 레이싱을 즐길 수 있는 체험 공간을 마련하고 팔켄 드리프트 쇼에도 참가하는 등 다채로운 이벤트도 벌였다.틸 바텐베르크 현대차 N브랜드&모터스포츠사업부 상무는 “엘란트라 N TCR이 4년 연속 뉘르부르크링 레이스 TCR 클래스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둬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고성능 N브랜드의 기술력 축적과 해외 다양한 지역에서의 모터스포츠 활동으로 고객들에게 드라이빙 즐거움을 선사하는 자동차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2024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 공개된 아이오닉 5 N TA Spec. 차량. (사진=현대차)한편 현대차는 레이스 기간 동안 뉘르부르크링 서킷 외부 공간에 부스를 설치하고 오는 23일(현지시각) 미국 콜로라도 ‘파이크스 피크 힐클라임’(PPIHC) 대회에 참가할 ‘아이오닉 5 N TA(타임어택) 스펙’ 차량을 공개했다.이 차는 84.0kWh 고용량 배터리와 650마력을 낼 수 있는 고출력 모터 시스템, 고성능 충격 흡수 장치, 18인치 슬릭 타이어, 공기역학성능 강화 설계, 배터리 화재 방지 시스템 등 모터스포츠 전용 패키지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2024.06.03 I 이다원 기자
현대자동차 월드랠리팀, 2024 WRC 이탈리아 랠리 우승
  • 현대자동차 월드랠리팀, 2024 WRC 이탈리아 랠리 우승
  • [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현대자동차가 2024 WRC 이탈리아 랠리에서 올해 세 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사진=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2일(현지시간)까지 이탈리아 사르데냐에서 열린 ‘2024 WRC’ 시즌 6라운드에서 현대 월드랠리팀이 우승을 차지했다고 3일 밝혔다.지중해에 위치한 이탈리아 제2의 섬 사르데냐에서 진행되는 이탈리아 랠리는 좁고 거친 노면과 무더운 초여름 날씨로 인해 대회에 참가하는 드라이버들에게 힘든 랠리 중 하나로 손꼽힌다.‘i20 N Rally1 하이브리드’ 경주차로 출전한 현대 월드랠리팀 오트 타낙은 2위 도요타팀 세바스티앙 오지에와 0.2초 차이의 접전 끝에 1위를 차지하며 현대 월드랠리팀에 시즌 세 번째 우승컵을 선사했다.(사진=현대자동차)2019~2020년 이탈리아 랠리에서 연속 우승한 다니 소르도 역시 안정적인 주행을 바탕으로 3위에 이름을 올리며 더블 포디움을 달성했다.오트 타낙은 드라이버 부문에서 총 25점을 획득해 도요타팀 엘핀 에반스와 함께 드라이버 순위 2위에 올랐으며 현대 월드랠리팀은 소속 선수들의 활약으로 총 50점을 획득해 제조사 부문 1위 자리를 유지했다.특히 현대 월드랠리팀은 이번 우승을 통해 2022년, 2023년 이탈리아 랠리에 이어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2004년부터 스물한 번 개최된 역대 이탈리아 랠리에서도 총 일곱 번의 우승컵을 들어 올리는 대기록을 달성했다.틸 바텐베르크 현대자동차 N브랜드&모터스포츠사업부 상무는 “이탈리아 랠리에서 2024년 WRC 시즌 세 번째 우승을 달성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지속적으로 N브랜드와 모터스포츠 팬들에게 좋은 모습 보여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한편 WRC는 국제자동차연맹 FIA가 주관하는 세계 최정상급 모터스포츠 대회로, 포장도로에서부터 비포장도로, 눈길까지 각양각색의 환경에서 펼쳐지는 연간 경기결과를 토대로 제조사 및 드라이버 부문 챔피언이 결정된다.
2024.06.03 I 공지유 기자
아바코, 2차전지 자동화시스템 프로젝트 돌입…700억 유동성 확보
  • 아바코, 2차전지 자동화시스템 프로젝트 돌입…700억 유동성 확보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진공박막증착기술 기반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장비 전문기업 아바코(083930)(대표이사 김광현)는 700억원 규모의 단기차입금 증가를 결정했다고 지난달 27일 공시했다. 실제 차입금액이 아닌 차입약정 한도 설정금액으로 차입 목적은 2차전지 자동화시스템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운영자금 확보다.3일 아바코는 선제작 후공급을 진행하는 장비사업의 특성 상 사전에 운용자금 확보를 위해 이러한 결정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최근 아바코는 2차전지 자동화 공정 뿐만 아니라, 2차전지 롤투롤(Roll to Roll) 장비, OLED, MLCC, 건식PCB 등 다양한 사업에서 수주를 확보하고 있다. 아바코는 2023년말 기준으로 약 3000억원의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인 B사로부터 8.6세대 OLED 관련 장비 공급사로 계약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아바코가 공급할 장비는 샘플 기판 생산 성공 및 제품 양산 검증을 완료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으며, 국내에서 아바코가 유일하게 양산 가능한 장비다.아바코의 OLED 진공증착 시스템(OLED Vacuum Transfer System EV Line)은 OLED 증착 공정 중 마스크 및 기판을 보호하고 공정을 이어주는 장비로써 유기물 증착에 반드시 필요한 장비다. 유기물 증착의 정확도를 위해 기판의 미세 위치 조절과 온도 유지, 산소, 수분 등 이물질의 접촉을 최소화 시켜주며, 증착 전후 과정에서 진공 상태를 유지시켜 기판에 증착 된 유기물 층의 손상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공정으로 연결시켜주는 장비다. 연결과정에서 기판의 안정화 및 적재, 결함유무 확인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집약적 장비다.관계자는 “현재 양산 장비에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수주 계약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사업 단일 규모 최대 수주 실적이 될 것”이라며 “추가적으로 해당 장비 이외에도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스퍼터링 시스템과 OLED 봉지기술(TFE) 등의 장비 공급을 위해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06.03 I 이정현 기자
디케이티, 과도한 저평가 구간…중장기 성장 가능성 -NH
  • 디케이티, 과도한 저평가 구간…중장기 성장 가능성 -NH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NH투자증권은 3일 디케이티(290550)에 대해 과도한 저평가 구간이라고 분석했다. 폴더블과 전장에서의 성장성을 모두 누릴 수 있는 업체라는 평가다. 투자의견,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현재 주가는 지난달 31일 종가 기준 1만1310원이다. 이규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과거 국내 스마트폰 고객 비중이 높아 성장성이 제한적이었지만 향후 북미업체로의 고객사가 다변화되고 전장,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사업이 확장되면서 성장세가 본격화될 것”이라며 “중장기 성장성을 고려했을 때 현재 주가는 과도한 저평가 구간”이라고 말했다. 가장 먼저 실적에 기여할 신사업은 차량용 무선충전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관련 사업부는 수주가 중장기적으로 쌓여있어 실적 안정성이 높다는 점이 장점”이라며 “2026년부터는 북미 전기차 1위 업체에도 신규 납품이 기대돼 매력적”이라고 강조했다. 2025년부터 국내 자동차업체로 파킹 리튬 배터리모듈(PLBM)향 신규매출로 성장세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2025년 주당순이익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7.3배의 현재 주가는 과도한 저평가 구간이라는 판단이다. 이 연구원은 “전장, 북미 스마트폰 업체, 폴더블 스마트폰 등 고객 및 전방산업이 다변화돼 중장기 실적 성장세가 클 것”이라며 현저한 저평가 구간이라고 설명했다. 2024년 영업이익은 245억원, 2025년 394억원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신규 사업부 매출액과 고객사 다변화를 통한 이익 성장세가 전망된다”고 말했다. 특히 북미 스마트폰 업체로 고객사가 다변화된다는 점이 가장 큰 성장동력이라는 판단이다. 2024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태블릿 모델에 처음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FPCA) 모듈을 납품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2025년 스마트폰, 2026년 폴더블 제품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4.06.03 I 김소연 기자
BGF에코머티리얼즈, 삼성전자 HBM 수혜 기대…상승여력 67% -리서치알음
  • BGF에코머티리얼즈, 삼성전자 HBM 수혜 기대…상승여력 67% -리서치알음
  •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리서치알음은 3일 BGF에코머티리얼즈(126600)에 대해 전기차 활성화로 인한 차량 경량 요구가 커지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봤다. 또 삼성전자(005930)의 엔비디아 고대역폭메모리(HBM) 품질검증 통과시 수혜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주가 상승여력은 67.4%라고 봤다. 최성환 리서치알음 연구원은 “BGF에코머티리얼즈 등 자동차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업 상장사 대부분이 지난해에 이어 1분기에도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영업이익률은 기존 6.4%에서 17.9%로 개선돼 반도체 소재 기업 자회사 케이엔더블유 인수 후 수익 부서 위주로의 재편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BGF에코머티리얼즈는 자동차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제조 기업이다. 전기차 활성화 수혜가 기대된다는 게 최 연구원의 설명이다. 전기차는 배터리 문제로 같은 사양의 내연기관 모델에 비해 약 400kg 가량 무거운데, 차량 경량화를 위해 고기능성 폴리머 소재 부품의 적용범위가 확대될 것이란 판단이다. 최 연구원은 “BGF에코머티리얼즈의 고기능성 폴리머 소재는 자동차 경량화와 연료소비 효율 증대, 배기가스 저감, 비용 절감 등에 효과가 있어 친환경 부품으로 각광받고 있다”며 “동사 제품은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라디에이터 탱크 등 친환경차 부품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내연기관 완성차에도 확대 적용 중”이라고 했다.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개선도 기대된다고 했다. PA66 원재료 가격은 작년 대비 14% 하락했고, 같은 기간 PA6 원재료 가격도 11% 가량 떨어졌다. 반면 전기차와 전자기기, 포장재 등 산업에서 이들 소재에 대한 수요는 연평균 6% 가량 늘고 있다. 삼성전자 HBM 품질검증이 통과하면 추가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것으로도 봤다. 최 연구원은 “자회사 케이앤더블유의 반도체 특수가스 최대 고객사가 삼성전자”라며 “엔비디아 HBM 품질검증에 통과하면 수혜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적정주가는 7200원을 제시했다. 이는 현재 주가 대비 67.4% 상승여력이 있다고 본 것이다.
2024.06.03 I 김보겸 기자
“파괴적이진 않지만 불안 고조”…전국 곳곳 뒤덮은 ‘北 오물풍선’
  • “파괴적이진 않지만 불안 고조”…전국 곳곳 뒤덮은 ‘北 오물풍선’
  • [이데일리 이로원 기자] 최근 잇따라 벌어지고 있는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와 관련해 외신들이 북한이 이러한 도발을 하는 배경과 수십년간 남북이 주고받은 ‘전단 살포’ 전쟁 등 과거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2일 경북지역에서 식별된 오물 풍선.(사진=뉴스1)2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는 “왜 북한은 쓰레기 풍선으로 남한을 폭격했나”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북한이 지난 달 28일부터 비무장지대 너머로 쓰레기 풍선 약 1000개를 보냈다”며 “풍선에서 떨어진 비닐봉지는 자동차 앞유리를 박살 낼 정도로 무거웠다”고 전했다.또 “대부분의 한국인은 침착하게 반응했으며, 이 사건을 짜증나고 터무니없는 사건 정도로 여겼다”며 한국 분위기도 전했다. 풍선을 만지지 말고 신고하라는 정부 지침에 대해서는 “북한은 김정일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을 암살하기 위해 사용했던 생화학 무기를 대량으로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짚었다.NYT는 “한국이 북한에서 뭔가 발사됐다고 알리면 이는 주로 탄도미사일을 실은 로켓이었다. 그러나 지난 한 주 동안 북한의 행동은 냉전시대 전술의 부활이었다”며 “이는 불안을 자극하지만 파괴적이지는 않은 수단”이라고 분석했다. NYT는 냉전시대 남북한의 심리전을 조명하며 “남북한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서로의 시민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했다. DMZ를 따라 설치된 확성기가 밤낮으로 상대 병사들에게 선전곡을 퍼부었다”고 설명했다.당시 전단 살포에 대해서도 “남북한은 상대 정부를 비난하는 수백만 개의 전단을 서로의 영토에 뿌렸고 양측 모두 이를 읽거나 보관하는 것을 금지했다”며 “남한에서는 아이들이 야산에서 전단지를 발견해 신고하면 경찰이 연필이나 다른 학용품으로 바꿔 줬다”고 전했다. 2020년 한국에서 정부가 대북 전단 살포를 법적으로 금지했으나 지난해 이 법에 대한 위헌 결정이 내려진 과정도 짚었다.영국 공영방송 BBC도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 남북한 모두 선전전에 풍선을 이용해 왔다”면서 “남한의 활동가들은 북한을 비방하는 선전 외에도 현금, 북한에서 금지된 미디어 콘텐트, 한국의 간식으로 역시 북한에서 금지된 ‘초코파이’ 등까지 넣은 풍선을 날렸다”고 소개했다.AP통신은 이번 풍선 살포에 대해 “북한 주민 2600만명은 외국 뉴스를 거의 접하지 못하며, 북한은 이들에 대한 김정은의 절대적인 통제력을 저해하려는 외부의 어떤 시도에도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2020년 북한이 민간인 전단 살포에 반응해 개성공단 내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했으며, 코로나19 국면에서는 남한에서 날아온 풍선이 바이러스를 퍼뜨렸다고 주장하기까지 했다고 지적했다.2일 오전 인천 중구 전동 인천기상대 앞에 떨어진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 잔해를 군 장병들이 지뢰 탐지기로 확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한편 북한은 2일 남측으로 쓰레기 등을 매단 ‘오물 풍선’ 살포를 잠정 중단하겠지만 다시 북한으로 ‘삐라’(전단)를 보내온다면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김강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성 부상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에 올린 담화에서 “지난 5월 28일 밤부터 6월 2일 새벽까지 우리는 인간쓰레기들이 만지작질하기 좋아하는 휴지쓰레기 15t을 각종 기구 3500여개로 한국국경부근과 수도권지역에 살포했다”며 “ 우리는 한국것들에게 널려진 휴지장들을 주어담는 노릇이 얼마나 기분이 더럽고 많은 공력이 소비되는지 충분한 체험을 시켰다”고 밝혔다.이어 “우리의 행동은 철저히 대응조치이기 때문에 국경너머로 휴지장을 살포하는 행동을 잠정중단 할 것”이라며 “다만 한국것들이 반공화국 삐라(대북전단) 살포를 재개하는 경우 발견되는 양과 건수에 따라 우리는 이미 경고한대로 100배의 휴지와 오물량을 다시 집중살포하는것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합동참모본부는 “1일 저녁 8시부터 남쪽으로 날리기 시작한 오물 풍선이 2일 오후 1시까지 서울·경기·충청·경북 등 지역에서 720여개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달 28∼29일 오물 풍선 260여개를 남쪽으로 날린 데 이어 전날 사흘 만에 살포를 재개한 것으로, 모두 합쳐 지금까지 1000개 가까이 식별됐다.
2024.06.03 I 이로원 기자
서울시 ‘40대 직업 캠프’, 지속 가능한 미래 유망직종 진입 돕는다
  • 서울시 ‘40대 직업 캠프’, 지속 가능한 미래 유망직종 진입 돕는다
  •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직업 전환을 고려하는 40대를 대상으로, 미래 사회의 유망직종 진입을 돕기 위한 직업 캠프를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이들의 경제활동 패턴과 특성을 반영하여 직종을 선정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신직업을 찾아 빠르게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사진=서울시)올해 ‘40대 직업캠프’는 재직자를 대상으로 부가수익 창출이 가능한 스마트 시니어 헬스케어 지도자 과정과 구직자를 대상으로 재취업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관리사 과정을 운영한다.스마트 시니어 헬스케어 지도자는 어르신들에게 정보통신기술(ICT) 기기를 활용해 의사와 운동 전문가가 개발한 운동 및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전문인력이다. 고령화 시대에 맞춰 어르신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과 공공 체육시설 연계 프로그램이 확대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유망직업이다.전기차 충전인프라 관리사는 전기 및 수소 자동차 충전 인프라 구축과 운영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420만 대 보급과 충전기 123만기 이상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어, 충전시설 전문인력의 양성은 필수적이다. 서울시도 2030년까지 전기차 인프라를 확대할 계획이어서 관련 전문인력의 필요성이 높다.3개월 동안의 교육 기간에는 온·오프라인 직무 교육뿐만 아니라 동료 학습 기반의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40대의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또한 현업 전문가의 직무 멘토링을 제공하여 직업 전환에 관한 고민을 실질적으로 해결하도록 돕는다.이번 직업캠프는 직업전환을 고민하며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40대 서울시민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신청 접수는 오는 17일까지 진행한다. 서류심사와 면접심사를 거쳐 과정별 35명씩, 총 70명의 참여자를 선발할 예정이다.올해는 과정 개설 전 40대 유망직종에 관한 진로설명회를 개최해 참여자의 궁금증을 해결할 예정이다. 오는 10일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설명회에서 현업 전문가가 ‘스마트 헬스케어 지도자’와 ‘전기차 충전인프라 관리사’ 직종의 업무 내용과 전망을 자세히 설명하고, 40대 서울시민의 질문에 답변하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50+포털을 통해 사전 신청 가능하며 질문도 미리 제출할 수 있다.황윤주 서울시50플러스재단 사업운영본부장은 “일·양육 등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도 더 나은 일자리를 고민하는 40대를 위해 지속 가능한 신직업을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며 “이번 40대 직업캠프를 통해 재직자는 현업에서 진로를 확장하고 부가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고, 구직자는 성공적인 직업전환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4.06.03 I 함지현 기자
10대 그룹 시총 희비…AI열풍 타고 HD현대·SK 웃었다
  • 10대 그룹 시총 희비…AI열풍 타고 HD현대·SK 웃었다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올해 들어 10대 대기업 그룹의 시가총액 변화를 보니 HD현대그룹의 올해 시총 증가율이 40%를 넘었다. HD현대그룹은 10대 그룹 중 올해 시총 증가율 1위에 이름을 올렸다. SK그룹도 시총이 38조원 이상 불면서 몸집을 키웠다. 인공지능(AI)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전력 인프라 수요가 증가하고, AI 반도체 수요도 뒷받침되며 반도체·전력 관련주가 강세를 기록해서다. 반면 포스코와 LG그룹 등은 지난해 말 대비 시총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차전지 업황에 따라 실적이 나빠진 그룹들은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말 대비 올해 시총 증가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HD현대그룹으로 집계됐다. HD현대그룹 시총은 지난해 말(12월31일) 34조 3150억원에서 49조 1204억원(5월 29일)으로 43.15%(14조 8054억원) 증가했다.HD현대그룹에서 HD현대일렉트릭(267260)의 주가 상승이 두드러졌다. HD현대일렉트릭은 올해 들어 주가가 무려 260.10% 급등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해 말 2조 9631억원에서 10조 6700억원으로 불었다. AI 산업을 중심으로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리란 전망이 나오면서다. 이어 HD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29.34%), HD한국조선해양(009540)(11.08%)도 두자릿수 이상 주가가 올랐다. 단위=억원. (자료=에프앤가이드)같은 기간 SK그룹도 시총이 20% 이상 불어났다. SK그룹 시총은 180조 5294억원에서 218조 5990억원으로 21.09%(38조 696억원) 증가했다. 시총 금액으로 보면 SK그룹 시총이 10대 그룹 중에서 가장 많이 늘어났다. 미국에서 시작된 엔비디아발 AI랠리에 더해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이 SK 그룹주 주가에도 긍정적 영향을 줬다. 반도체 유리기판 계열사인 SKC(011790)(55.63%)와 투자 지주회사 SK스퀘어(402340)(49.49%) 등의 주가가 올랐다.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의 최고가 행진에 SK하이닉스(000660)도 주가가 크게 올랐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AI 반도체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3)를 공급하고 있다. SK하이닉스 시총은 103조123억원에서 147조4205억원으로 무려 44조4081억원(43.11%) 늘었다. 한화그룹(18.17%)과 현대자동차그룹(12.28%)은 두 자릿수대 시총 증가율을 기록했다. 최근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 수혜를 보면서 현대차 그룹 전반의 강세가 이어졌다. 한화그룹은 방산업체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75.10%)와 한화엔진(082740)(51.43%)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자주포 외 장갑차, 잠수함, 천무 등 무기 수출이 급격하게 늘어나며 수주 잔고가 꾸준히 우상향 중이다. 한화엔진은 1분기 깜짝 실적 발표를 했으며,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 반면 포스코·LG 그룹 등은 시총이 쪼그라들었다. 포스코그룹은 시총이 30% 이상 줄었다. 지난해 말 93조 8751억원이었던 포스코그룹 시총은 65조 5323억원으로 28조원 이상 감소했다. 그간 포스코그룹은 2차전지 사업 덕에 급격히 성장했으나 글로벌 전기차·배터리시장의 수요 둔화(캐즘)에 따라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정보기술(IT) 서비스기업 포스코DX(022100)는 50% 이상 시총이 줄어드는 등 부진을 겪고 있다. 포스코엠텍(009520)(-34.97%),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30.29%), 포스코퓨처엠(003670)(-28.97%), POSCO홀딩스(005490)(-25.13%), 포스코스틸리온(058430)(-19.61%) 등 모두 두 자릿 수 하락폭을 기록했다. LG 그룹도 2차전지 업황 부진에 따른 시총 축소를 피하지 못했다. LG화학(051910)(-25.75%), LG에너지솔루션(373220)(-20%) 등이 약세를 기록했다.
2024.06.03 I 김소연 기자
'고향 방문' 젠슨 황 "'블랙웰'로 AI 가속화…대만, 빠르게 도입"
  • '고향 방문' 젠슨 황 "'블랙웰'로 AI 가속화…대만, 빠르게 도입"
  • [타이베이(대만)=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서버, 네트워킹, 인프라 제조업체부터 소프트웨어 개발자에 이르기까지 업계 전체가 블랙웰을 통해 모든 분야에서 인공지능(AI) 기반 혁신을 가속화할 준비를 하고 있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일(현지시간) ‘컴퓨텍스(COMPUTEX) 2024’ 기조연설에서 “차세대 산업 혁명이 시작됐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기업과 국가들이 수조 달러 규모의 기존 데이터센터를 가속 컴퓨팅으로 전환하고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센터인 AI 팩토리를 구축하려고 한다”며 “(이들이) AI를 생산하기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하고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3월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시그니아 바이 힐튼 호텔에서 가진 전 세계 미디어와 간담회에서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AI 컴퓨팅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는 이날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그레이스 CPU(중앙처리장치),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의 시스템을 공개했다. 신제품 블랙웰은 엔비디아가 개발한 차세대 AI 가속기로 올해 4분기 출시할 예정이다. 황 CEO는 “대만의 선도 기업들이 AI의 힘을 자사 비즈니스에 활용하기 위해 블랙웰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만의 대표적인 의료기관인 CGMH은 엔비디아 블랙웰 컴퓨팅 플랫폼을 사용해 생물의학 연구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영상과 언어 애플리케이션을 가속화하고 임상 워크플로우를 개선해 궁극적으로 치료 수준을 향상시킬 예정이다. 세계 최대 전자제품 제조업체 중 하나인 폭스콘은 엔비디아의 그레이스와 블랙웰을 사용해 전기 자동차와 로봇 플랫폼을 위한 AI 기반 스마트 솔루션 플랫폼을 개발하고 고객에게 보다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언어 기반 생성형AI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황 CEO는 오는 3일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과 비공개로 만나 협력 세부 사항을 논의하며 협업을 가속화한다. 황 CEO는 “애즈락 랙, 에이수스, 기가바이트, 인그라시스, 인벤텍, 페가트론 등 컴퓨터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GPU와 네트워킹을 사용해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임베디드와 엣지 AI 시스템을 제공한다”고 밝혔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월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콘퍼런스 ‘GTC 2024’에서 신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엔비디아는 모든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단일 GPU부터 멀티 GPU, x86 기반 프로세서부터 그레이스 기반 프로세서, 공냉식부터 수냉식 기술까지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엔비디아의 최신 플랫폼인 GB200 NVL2 역시 MGX와 블랙웰을 기반으로 한다. 황 CEO는 GB200 NVL2는 엔비디아 블랙웰 텐서 코어 GPU, GB200 그레이스 블랙웰 슈퍼칩, GB200 NVL72를 포함하는 블랙웰 제품 라인업에 합류했다고 설명했다. GPU ‘B200’은 엔비디아가 내놓은 2개의 제품을 하나의 칩으로 묶은 것으로 최신 AI칩 H100의 뒤를 이을 차세대 제품으로 꼽힌다. GB200 NVL2는 기업들이 매년 수백억 달러를 지출하는 데이터 분석과 같은 신흥 시장 기회에 적합하게 설계됐다. NV링크(칩을 빨리 연결하는 엔비디아 인터페이스)와 블랙웰 아키텍처의 전용 압축 해제 엔진이 제공하는 고대역폭 메모리 성능을 활용하면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18배 빨라지고, x86 CPU를 사용할 때보다 에너지 효율이 8배 향상된다.황 CEO는 “세계 최고의 반도체 제조업체이자 엔비디아의 파운드리 파트너인 대만 TSMC를 비롯해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업체와 포괄적인 파트너 에코시스템으로 협업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4.06.02 I 조민정 기자
폭염 속 카트정리 美 90에 기부금 쏟아져…"은퇴하시길"
  • 폭염 속 카트정리 美 90에 기부금 쏟아져…"은퇴하시길"
  • [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미국 한 마트에서 카트 정리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계를 꾸려가는 90세 노인의 사연이 알려지면서, 그의 은퇴를 기원하는 사람들이 약 3억원을 모아 전달했다는 따뜻한 소식이 전해졌다.영국 일간 가디언은 1일(현지시간)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인근 소도시 메타리의 한 마트 주차장에서 흩어진 카트를 모아 밀어서 정리하는 일을 하는 퇴역 공군 딜런 매코믹 씨에게 일어난 일을 소개했다.딜런 매코믹의 사연이 소개된 온라인 모금사이트 고펀드미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미국 메모리얼 데이(현충일)에도 일하고 있던 그의 모습이 전직 지역 방송 뉴스 앵커인 캐런 스웬슨 론키요 눈에 띄었다.론키요는 체감온도가 섭씨 39도에 달한 폭염 속에 카트를 밀고 있는 메코믹에게 “메모리얼 데이인데도 일하고 계시네요.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라고 물었고, 그는 “먹기 위해서요(To eat)”라고 짤막하게 대답했다.집에 돌아온 론키요는 온라인 모금사이트 ‘고펀드미’(GoFundMe)에 매코믹의 사연을 올리고 그의 은퇴를 돕기 위한 모금을 시작했다. 그는 모금 사이트에 “매코믹의 생활비는 2500달러(346만원)인데 사회보장연금으로 받는 돈은 1100달러(152만원)에 불과하다. 그는 나머지 금액을 벌기 위해 마트에서 일자리를 얻었고, 때로는 한꺼번에 20대가 넘는 카트를 밀고 미로와 같이 주차된 자동차들 사이를 지나간다”라고 그의 사연을 소개했다.이 글은 큰 호응을 얻었고, 불과 나흘 만에 약 5400명이 참여해 총 23만3000달러(약 3억원) 이상이 모금됐다. 론키요는 매코믹이 은퇴를 할지 아니면 일을 계속할지는 그의 선택에 달렸다며 “더 이상 먹고 살기 위해 무더위 속에서 쇼핑카트를 밀지 않아도 되고, 출근할 때도 걸을 필요 없이 자동차를 탈 수 있다”고 말했다.매코믹은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론키요를 만난 것이 행운이라며 “이 미친 세상에는 그와 같은 좋은 사람들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고 고마움을 드러냈다.
2024.06.02 I 임유경 기자
1 2 3 4 5 6 7 8 9 10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