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7,067건

  • 한미약품, 03년 순익 170억..21.3% 감소
  • [edaily 박호식기자] 한미약품(008930)은 2003년 영업익 262억원으로 전년대비 27.22% 감소, 경상이익 234억원으로 23.28% 감소, 순익 170억원으로 21.3% 감소했다고 2일 공시했다. 또내년에는 매출 2900억원으로 19.19% 증가, 순익 290억원으로 70.59% 증가를 예상했다. - 매출액 추정 근거는 먹는 무좀약 이트라정, 소염효소제 뮤코라제, 치매치료제 카니틸 등 기존의 처방약 매출의 증가와 금년에 출시 예정인 암로디핀 성분의 고혈압치료제인 아모디핀, 바르는 남성호르몬제 테스토겔 등 30여개의 신제품의 성공적인 시장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신제품 발매계획은 고혈압 치료제인 암로디핀 성분의 아모디핀, 페디핀24 서방정, 펠로디핀, 바르는 남성호르몬제 테스토겔, 항생제 록세미신 등 총 30여개의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임. 연구개발전략은 항암제 오락솔은 자체적으로 창출한 우수 PGP저해제 후보물질 및 나노기술을 접목시켜 본격적인 전임상시험을 거쳐 금년말에 임상시험에 진입할 예정임.지속형 단백질 의약품 분야의 여러 후보물질 중 HM-10620(지속성 인터페론후보물질) 및 HM-10720(지 속성 EPO후보물질) 등에 대한 본격적인 전임상시험을 추진하고 형질전환 동물연구에서는 최근 메디 4 세 순종형질전환 흑염소를 확보하고 올해 초 발현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메디5세의 탄생을 눈앞에 두고 있음. 금년 1/4분기에는 항체의약품을 닭의 계란에서 다량 생산할 수 있는 형질전환 가금의 탄생도 예정되어 있음 수출실적 및 전망은 전년도 유럽 시장 및 중동지역에서의 매출증대로 약 3,500만불의 실적을 달성했으며 금년에도 세파계 항생제 등의 매출 호조로 3,800만불의 매출 목표를 설정하였음.
2004.01.02 I 박호식 기자
  • 대한화재, 무배당 노후안심실버보험Ⅱ 판매
  • [edaily 김병수기자] 대한화재(000400)는 노인질병 및 상해를 집중 보장함은 물론 장례절차에 따른 비용을 체계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노후안심실버보험Ⅱ’를 판매한다고 9일 밝혔다. 이 상품은 고연령층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집중 분석해 최소의 보험료로 조기치료가 가능하도록 담보조항을 대폭 확대하고, 질병 및 상해로 사망시 장례절차에 따른 비용을 체계적으로 혜택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일반 상해보험과는 달리 최고 65세까지 보험가입이 가능한 이 상품은 특히 고연령층에 자주 발생하는 골절, 치매, 호흡기질환, 고혈압성질환 등에 대해 보장하며, 주기적으로 건강진단자금을 지급(적립분리형에 가입시)하여 건강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 보험기간내에 질병 및 상해와 관계없이 불의의 사망시 사망위로금, 장제비, 묘지비용 및 제사비용까지 장례절차에 따른 사후 정리자금을 체계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상품구조는23세부터 65세까지 가입 가능하며, 5년, 10년, 15년 전기납인 적립분리형과 5년납, 10년납, 15년납, 20년납80세만기(일부담보 70세)까지 담보해 주는 순수보장형으로 구성됐다. 50세 남자가 20년 동안 월 4만4180원의 보험료를 납입하면 사망원인에 관계없이 사망위로금 2000만원, 장제비 500만원, 묘지비용 500만원, 제사비용 매년100만원(5회 한도), 치매치료비 1000만원, 골절화상치료비 10만원, 골절화상수술비 50만원, 요양자금 300만원, 병실료지원금 100만원 등을 보상받을 수 있다.(상품문의 : 3455-3282)
2003.10.09 I 김병수 기자
  • 盧 대통령, "노인 일자리 창출에 최선"
  • [edaily 김진석기자] 노무현 대통령은 2일 "노인들이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개인의 보람과 국가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노인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올림픽공원 역도경기장에서 열린 `제7회 노인의 날` 기념식에 참석, 연설을 통해 이 같이 말했다. 노 대통령은 "정부는 `노인인력운영센터`를 설립해 건강상태와 능력에 맞는 일자리가 주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고령화사회기본법을 제정하고, 대통령 직속의 `고령화사회대책 및 사회통합단`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노인복지대책을 마련해 2003년이 `노인복지 향상의 새로운 원년`이 되도록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대한노인회 회원과 자원봉사자 등 3천여명이 참석했으며, 김화중 보건복지부장관은 `참여정부의 고령사회 대책`에 대해 보고했다. 김 장관은 보고를 통해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오는 2007년까지 30만개의 노인 일자리를 새로 만들어 내기로 했다"며 "노인복지 예산도 현행 전체 예산의 0.37%(올해 3천억원)에서 2007년까지 1%선으로 늘리고 치매 전문병원 등 노인요양시설도 3백38개소에서 7백개소로 확충하는 등 종합적인 노인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또 "복지부는 우선 1백60억원을 예산을 확보, 내년에 "노인인력운영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한편 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한노인회(회장 안필준) 임원, 노인보건복지단체 대표 등 80여명을 청와대로 초청, 만찬을 함께한다.
2003.10.02 I 김진석 기자
  • `긴축속 균형`..경기회복이 최대변수
  • [edaily 김희석기자] 정부의 내년 예산안이 확정됐다. 지난달말 대통령 중간보고 때 공개된 것처럼 긴축기조속에 균형을 유지했다. 일단 적자국채의 발행없이 세입내 세출원칙을 견지했지만 이러한 원칙이 `끝까지` 유지될지는 미지수다. 국내경기가 내년에는 큰폭으로 회복된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산증가율 13년만에 최저 내년 예산 증가율 2.1%, 91년(마이너스 1.7%)이래 13년만의 최저치다. 예산 증가율은 지난 1993년 13.6%에 이어 99년까지 매년 두 자리 수를 유지했다. 최근의 경우 2000년 6.0%, 2001년 11.8%, 2002년 10.5%, 지난해 5.0% 등을 유지했다. 기획예산처는 어려운 경제여건을 감안해 불요불급한 예산을 제외하곤 최대한 정부 지출을 줄이려 노력했다. 특히 총선거등 정치 일정과 상관 없이 인기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긴축으로 내년 조세부담률은 22.6%로 올해 22.8%보다 0.2%p하락, 98년이후 8년만에 처음으로 내려간다. 조세부담률은 국내총생산(GDP)에서 조세(국세에 지방세를 합친 금액)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경제 규모에 비춰본 세금 부담 정도를 말한다. 조세부담률이 하락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세부담이 경감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있다. 비록 증가율 기준이기는 하지만 덜 걷어 덜 쓰고 그만큼 국민 부담을 줄여주자는 취지이다. ◇내년 경상성장 8%대 회복 전제 정부는 내년 국세수입이 6.4%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세출예산을 짰다. 이는 내년 경제성장이 경상기준으로 8.0%, 실질로는 5.5% 성장할 것이라고 전제했다. 내년 이후에는 경상성장률이 05년 7.7%, 06년 7.4% 등 7%대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따라 중기적 재정규모도 05년이후 8%대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맞춰 국세수입도 내년 6.9%에서 05년이후에는 8%대 이상의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결국 내년 균형예산이 가능할지는 경기가 얼마나 회복되느냐에 달렸다. 경기회복이 지연되거나 성장률이 예상에 미치지 못한다면 세수가 모자랄수 밖에 없고, 이는 적자로 이어질수 있다. 올해의 경우 균형기조가 태풍 `매미`로 무너지는 상황이라 균형예산 기조는 빡빡한게 현실이다. 역설적으로 올해 2차례의 추경이 경기를 회복시켜야 내년 균형재정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성장과 분배 조화..SOC감소 눈길 내년 예산에서 정부가 가장 중점을 둔 분야는 복지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 취약계층의 생활안정을 위해 복지분야 예산증가률을 9.2%로 가장 높게 잡았다. 최빈층(4인가족 기준 월 생계비 102만원)보다 20% 이내 소득이 높은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의료급여확대, 국민연금 가입혜택 등을 부여한다. 치매나 중풍 노인의 요양시설을 확충하고 장애인 생활시설도 대폭 늘어난다. 여성의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보육시설 관련 예산을 44% 늘려잡았고 육아휴직수당도 33% 인상한다. 복지확충과 함께 향후 10년 우리 경제를 이끌어갈 차세대 성장 동력 개발을 위해 지능형 로봇등 10대 엔진에 5000억원 이상을 투입하고 R&D와 정보화에도 6~8% 늘려 예산을 투입한다. 반면 사회간접자본 예산을 6.1%나 줄였다. 참여정부 국정과제인 `동북아 물류 국가 중심`을 감안하면 앞뒤가 맞지 않는 대목이다. 중소기업 지원 예산과 농어촌, 환경개선 예산을 줄이거나 올해 수준을 유지한 것도 논란이 될 수 있다.
2003.09.23 I 김희석 기자
  • (부문별예산안)①사회복지·교육
  • [edaily 김희석기자] 1. 참여복지의 구현과 취약계층 지원강화 (☆표시는 기금 지원사업)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지원 대폭 확대 ㅇ 소득기준을 초과하는 차상위 만성·희귀 질환자에 대한 의료급여를 도입(22천명)하고 자활근로사업의 차상위 참여도 신규 반영(10천명) * 차상위 계층 : 실제 소득이 최저생계비(4인가구 102만원/월, "03 기준)의 100% 이상 120% 미만인 저소득층 ㅇ 의료급여 2종 수급자의 진료비 본인부담률을 인하(20→15%)하고 근로소득공제 대상을 자활사업 참가자까지 확대 * 의료급여 2종 수급자 : 기초생활보장대상자중 근로능력이 있는 자 ☆국민연금 직장가입 대상을 확대(5인→1인 이상 사업장)하고, 고용보험 적용대상을 일용근로자·노령자까지 확대 ◇노인·장애인에 대한 지원 확충 ㅇ 치매·중풍노인 요양시설(366→458개), 치매병원(45→54개), 장애인 생활시설(235→249개소) 대폭 확충 ㅇ 노인·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고용 활성화를 위해 노후인력 운영센터, 중증장애인 고용사업체 육성사업 신규 지원 ◇여성의 사회활동 촉진을 위한 보육사업 확충 ㅇ 영아·장애아 전담시설 등 보육시설 대폭 신축(60→400개) ㅇ 보육료 지원대상을 차차상위까지 확대하고 지원수준도 향상 * 차차상위("04예산안 기준) : 차상위 소득이상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307만원, "02말기준)의 50% 미만인 소득층 ㅇ 농어민 자녀 영유아 보육료 및 저소득층 자녀 유치원 교육비 신규 지원 ☆ 직장보육시설 지원(77→107억원) 및 민간보육시설 증·개축비 신규 지원(100억원) ☆ 육아휴직수당(30→40만원) 인상 등 모성보호를 강화(662억원) ◇청년실업 완화를 위한 지원 강화(3,612→5,390억원) ㅇ 국내외 현장연수, 일자리 창출사업 등을 대폭 확대(2,484→3,684억원) * 청소년 직장체험(643→739억원), 사회적 일자리 창출(73→242억원) * 해외시장개척요원 양성(10→60억원), 해외봉사단 파견(65→222억원) 등 ㅇ 청년취업지원실 설치(34개, 96억원), 취업지원프로그램 개발확대(9→20억원) 및 청년창업보육센터 사업(신규 60억원) 지원 ☆ 영화·애니메이션 등 문화·관광산업 인턴사원 채용 지원(연 2,240명, 129억원) ◇국가유공자에 대한 지원 강화 ㅇ 보훈연금 5% 인상 등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 수준 향상 * 기본연금 : 642→674천원(5% 인상, 9,995억원) * 부가연금, 고엽제후유의증수당 및 간호수당도 5% 인상 ㅇ 요양병동 건립 등 의료시설 확충 ㅇ 참전명예수당 지급 대상범위 확대(70→65세 이상, 1,576억원) 2.우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투자 확충 ◇지역인재 양성을 위해 지방대학 중점 육성 ㅇ 수도권 대학과 구분, 지방대학 지원을 위한 별도 재원을 마련하여 지원규모를 확대(1,500억원 수준 → 2,200억원) ㅇ 신산학협력 우수 거점대학 신규 지원(300억원)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고등교육분야 지속 확충 ㅇ 이공계열 대학(원)생 장학금 지원 확대(240→530억원) ㅇ 연구기능 활성화를 위해 학술연구조성사업 지원 확충(2,276→2,300억원) ㅇ 대학원연구중심대학(BK21) 육성 및 의·치의학분야 전문대학원 전환을 차질없이 지원 ◇균등한 교육기회를 보장하는 교육복지의 확충 ㅇ 중학교 무상의무교육 전면 실시(市지역 1·2학년 → 전학년) ㅇ 장애유아 교육비(36억원) 및 장애학생 통합교육보조원 채용(28억원)을 신규 지원 ㅇ 저소득층 유치원 학비 지원을 만5세아에서 만3·4세아까지 확대(231→320억원) ◇교육여건 개선 등을 통한 초·중등교육 내실화 ㅇ 학교 220개 신설(학급당 평균 학생수를 33명 이하로 감축) 및 교원 5.2천명 증원
2003.09.23 I 김희석 기자
  • (자료)②민생점검회의-기본적 생활여건 보장
  • [edaily 김춘동기자] 다음은 민생분야 3대분야 10대과제 89개시책 추진실적중 제2분야 기본적 생활여건 보장(3개 과제) □과제6.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4대보험의 확충 및 복지사각지대 해소 (6-가)기초생활보장제도 내실화 및 사각지대 해소 ㅇ 건강보험 소액납부자 15만가구 일제조사를 통해 수급자 적극 발굴·보호("03.4~6월, 6,471명 추가 보호) ㅇ 각종 사각지대 해소시책 시행 (’03.6월말 현재) - 기준 초과자중 취약계층을 의료·교육특례 등으로 보호(20,366가구) - 주민등록말소자 등 기초생활보장번호부여 보호(2,014명) - 교정시설 출소자에 대한 기초생활보장 연계 보호(1,114명) (6-나)조건부수급자 등에 대한 자활사업 활성화 ㅇ 자활근로, 자활공동체 등 자활사업에 43천명 참여("03.6월말 현재) ㅇ 자활사업 참여자 23천명 근로소득공제 실시(’04.1월) (6-다)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 ㅇ 공공복지업무효율화방안 연구용역 진행중("02.12~"03.9) ㅇ 사회복지사무소 설치방안 검토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한 워크샵 및 토론회개최("03.4~8월, 5회) (6-라)건강보험 사각지대 해소 ㅇ 1회라도 보험료를 납부할 경우 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는 보험료 분할납부제도 실시(’02.3~’03.8 : 175천세대, 2,471억원) - 농어민·저소득층에 대해 보험료를 22~50%까지 경감(239만세대, 연간 2,580억원) (6-마)국민연금 소득보장 기능 강화 ㅇ 국민연금발전위원회의 다수안을 토대로 입법추진("03.8.19~9.8. 입법예고) - 2070년까지 기금이 소진되지 않고 2배의 적립률(당년도 지출대비 적립기금)을 유지하기 위하여 - 급여수준을 현행 60%에서 50%로 인하하되 국민충격 완화를 위해 "04~"07년간에는 55%로 조정(기존 가입기간 기득권 보장) - 보험료는2010년부터매5년마다1.38%pt씩 인상하여 2030년에 15.9%로 고정 (6-바)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 ㅇ 사업장가입자 확대를 통한 사각지대 해소 - `03.7월부터 5인미만 지역가입자 38만명을 직장가입자로 전환 (6-사)자영업자 소득파악율 제고 <건강보험> ㅇ `03. 상반기에는 의사, 약사, 변호사, 회계사 등 10개 전문직중 보수신고액이 2백만원이하인 사업장 11천개 중점 점검 실시하여 보험료 20억원 추징 ㅇ `03. 하반기에는 고소득 전문직종중 평균 보수이하 사업장(21천개)에 대해 단계적으로 지속점검할 예정임 <국민연금> ㅇ 의사, 변호사 등 13개 전문직 종사자 집중관리 - 전문직 종사자 가입대상 37,682명 중 37,190명(98.7%)이 가입하고, 최고등급 가입자는 71.1%임 ㅇ 소득 불성실신고자에 대하여 자동차 등 재산세관련자료를 참고한 추정소득에 의하여 실질소득신고 유도(‘03.1.시행) (6-아)4대 사회보험 정보시스템 연계 구축 ㅇ 4대보험 정보연계시스템 개발(‘02.3~ ’03.2) - 4대보험 포털서비스 개시(www.4insure.or.kr) ㅇ 4대보험 전자민원신청서비스 실시(‘03. 5) - 공통서식의 사용을 의무화, 민원편의 개선 (6-자)저소득층 만5세아 보육료 지원 확대 ㅇ 법정·농어촌 기타 저소득층 아동 지원(월 125천원), 도시지역 기타 저소득층 아동 지원(월 90~105천원) - 86,982명 지원 (6-차)고용·산재보험 적용 확대 ㅇ 고용보험-일용근로자 적용확대 관련 시행령&8228;시행규칙 개정 작업중 ※ `03.7~8월 관계부처 협의, 입법예고, ’03.9월 규개위 심사중 ㅇ 산재보험-5인 미만 법인 농림어업 및 2천만원미만 면허건설공사 적용확대 관련 시행령 개정 (6-카)고용·산재보험 가입률 제고 ㅇ 자진신고 강조기간 재운영(’03.10월), 타 사회보험 적용자료 조사결과 적용대상임에도 미가입된 모든 사업장에 대한 조사예정 ㅇ 영세사업장의 보험사무처리부담 경감 및 가입촉진을 위해 보험사무를 위탁받아 처리하는 보험사무조합의 효율적 활용방안 마련중 (6-타)참여형 선진근로복지기반 구축 ㅇ 생활안정자금·체불근로자생계 대부 및 신용보증지원 등 저소득 근로자 공공복지투자 추진 - 저소득근로자 3,341명에게 생활안정자금 16,423백만원 대부 - 체불근로자 3,667명에게 생계비 15,456백만원 대부 - 저소득·산재 근로자 등 20,579명에게 716억원 신용보증지원 ㅇ 선택적근로자복지제도, 성과배분형 신우리사주제, 사내근로복지기금제도 등 선진 기업복지제도 활성화를 지원 - `03. 1~7월 중 지역설명회 14회 개최, 홍보책자 3천부 배포 (6-파)퇴직연금제도 도입 ㅇ 퇴직연금제 도입 기본방향에 대한 노사정 합의 도출 추진 - 노사정위원회 상무위 간사회의 5회, 상무위 및 본위원회 각 1회 등 공식·비공식 협의 실시 ㅇ 가칭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안) 검토 - 관계부처와 실무협의 진행 중 (6-하)저소득층 만5세아 무상교육 확대 ㅇ 무상교육비 지원(‘03. 8) - 46,439명, 381억원 (6-거)유치원 종일반 운영 확대 ㅇ 유치원 종일반 운영 확대 방안(안) 기본계획 수립("03. 5. 19) (6-너)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 ㅇ 관련 당사자의 참여 확대를 위한 지역별 네트워크 구축 지원(‘03.2~계속) ㅇ 관계부처간 협조체제 구축 - `03년 1차 인적자원개발회의 상정(’03.4.23) ㅇ 광역단위 지원협의회 개최(‘03.5) : 지역별 사업계획 확정 ㅇ `04년도 사업추진 협의를 위한 실무자회의 개최(’03. 8.18) ㅇ `03년도 사업추진현황 및 ’04년도 예산규모 사전조사 - 서울, 부산교육청에 요청(‘03. 8.25) (6-더)저소득층 자녀 학습준비물 등 지원확대 ㅇ 학습준비물 지원(420억원) ㅇ 특기적성교육비 지원(126억원) (6-러)저소득층 학교급식 지원 확대 ㅇ 저소득층 학생 급식 지원(‘03.2) - 305,568명, 567억원 □과제7. 전국민 암검진체계 구축 등 국민건강 증진 (7-가)전국민 암검진체계 구축 ㅇ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간암(4대암)에 대한 국가암조기검진 사업 실시 - 사업 지침 작성 및 배포(3월) - 보건소 사업 담당자 및 보건소장 교육(3-4월) ㅇ 국가 암조기검진사업에 대한 홍보 강화 - TV-CM 제작 및 방영(전국 99개 유선방송) - 암검진 리플렛 제작 및 배포(435만부) (7-나)국민고혈압·당뇨 관리사업 체계 구축 ㅇ 고혈압·당뇨환자 예방·보 및 보건교육 - 상반기 : 242개 보건소, 459,005천원 ㅇ 국민건강증진사업(보건교육 및 홍보) 관련단체 사업 지원 - 상반기 : 3개 민간기관, 137,130천원 (7-다)국민 금연종합대책 추진 ㅇ 조선일보등 10개 언론기관 신문 담배사진 게재 금지 결의 ㅇ 금연사업확대를 위한 관계법령 등 개정 - 초·중·고교, 병원 등 금연시설로 지정 - 공중이용시설의 화장실·복도·계단 금연구역 지역 - PC방, 만화방을 금연·흡연구역 구분 □과제8. 노인·장애인 등 소외계층 복지 강화 및 경제·사회적 활동 참여 확대 (8-가)사회적 일자리 창출 ㅇ 사회적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용역 체결(03. 3) ㅇ 사회적 일자리 창출관련 현장확인(03. 5) ㅇ 사회적 일자리 창출 실무 TF 구성·운영 ㅇ 사회적 일자리 참여기관 신청 및 대상 선정(’03.7~8) - 428개 단체 2,372명 ㅇ 관계부처 및 민간전문가로 “사회적일자리 추진기획팀” 구성(’03.9월~) (8-나)고령자 고용촉진 활성화 ㅇ 03.1~7월까지 4.3만개 사업장에 265억원의 고령자 고용촉진 장려금 지금 ㅇ 고령자우선고용직종을 개편하여 공공부문 70개, 민간부문 90개 선정 ㅇ 고령자기준고용률을 업종별로 차등화 - 전업종 3% → 제조업 2%, 부동산 및 임대업·운수업 6%, 기타산업 3% (8-다)장애인 고용촉진 활성화 ㅇ 03.1~7월까지 64억원을 투입하여 3,923명의 장애인에 대해 직업훈련비용 지원 (8-라)지역사회시니어클럽사업 확대실시 ㅇ 지역사회시니어클럽 운영 내실화 준비 - 시니어클럽협회(사단법인) 설립(4.8) - 워크샵 실시(’03.4.10~4.11) ㅇ 시범사업추진 5개소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03.5.15~6.7) (8-마)경로연금 지급대상 및 지급액 확대 ㅇ 수급자 확대 - 61.6만명(’02년 말) → 61.9만명(’03.7) ㅇ 수급자 선정 재산기준을 지역별 차등화 : 노인복지법시행령 개정(’03.5.29) - 농어촌(5,075), 중소도시(5,250), 대도시(5,775) (8-바)노인복지회관 및 경로당 운영 활성화 ㅇ 노인복지회관 10개소 신축(’03년) ㅇ 노인복지회관 표준모형 개발 및 기능재정립 방안 수립 중(’03년) (8-사)치매노인을 위한 의료복지시설의 확충 ㅇ 공공치매병원 및 요양시설 확충 - 요양시설 8개소, 실비요양시설 28개소, 전문요양시설 35개소, 시·도립치매병원 7개소, 군립치매병원 2개소 건립 중 (8-아)장애인 직업재활대책 ㅇ 장애인 직업재활기금사업수행기관 추가 선정(‘02년:142개소→’03년:163개소) ㅇ 신규사업 특별지원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03. 6)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장비구입비 및 시설비 등 개소당 2억원 한도내에서 지원(9개소, 14억원) ㅇ 모범직업재활시설 모델화 프로그램사업 지원 (‘03. 4, 19개소, 2.3억원) ㅇ 장애인 자립 지원 위한 매점&8228;자동판매기 우선허가제도 5개년 계획 수립·시행 (8-자)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확대 ㅇ 장애수당 지원 : 259억원 (138,582명, ’03. 6) ㅇ 장애아동부양수당 지원 : 478백만원 지원 (2,746명, ’03. 6) ㅇ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인 장애인의 본인부담금 지원 : 53억원 지원(118,824명, ’03. 6) ㅇ 장애인 LPG 차량 세금인상분 지원: 371억원 (27만대, ’03. 6)
2003.09.22 I 김춘동 기자
  • (표)추경규모와 대상사업
  • [edaily 김희석기자] 추경규모 : 4조1775억원 ◇일반회계 36,492억원 -`02년 세계잉여금: 14,168억원 -`02년 한은잉여금: 9,007억원 -농업이차보전소요 감소액: 3,000억원 -세수(稅收)경정:10,317억원(법인세 22,672억원 증권거래세 -8,272억원 부가가치세 -4,083억원) ◇자동차교통관리개선특별회계 5,283억원 -`02년 세계잉여금: 5,283억원 추경 대상사업 ◇SOC등 건설투자: 1조5,374억원 ▲부산신항·광양항 및 인천신공항 2단계 등 동북아 물류기지화를 위한 인프라 투자 확대(1,779억원) -부산신항 850억원 -광양항 602억원 -인천신공항 327억원 ▲고속도로, 국고, 철도 등 상반기 조기집행에 따른 하반기 예산 부족분 충당 및 공정률 제고를 통한 조기완공 유도(13,595억원) -고속도로 및 국도 6,600억원 -철도 1,900억원 -기타항만·어항 848억원 -위험고속도로개량 등 도로교통안전시설 3,227억원 -광역상수도, 수해상습지 개선, 사병 병영시설개선 등 1,020억원 ◇서민·중산층 지원: 6,585억원 ▲저소득층·노인 등 사회 취약계층 지원(2,623) -저소득층 중·고생자녀 학자금 지원확대(164→227천명) 199억원 -저소득층 만5세아 무상교육 지원확대(31→45천명) 80억원 -영아·장애아 보육시설 인건비 및 교재교구비 지원 123억원 -지역건강보험 재정안정화 지원 1,500억원 -국가유공자의 민간병원 위탁진료비 529억원 -노인요양시설(12개소) 및 치매요양병원(8개소) 신축 191억원 ▲일자리 창출 및 현장연수를 통한 청년실업대책(962억원) -초·중등학교 전산보조원 채용(2,329명) 141억원 -중소기업 인턴사원 고용 직원(4,100명) 100억원 -복지시설 등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8,300명) 299억원 -한국 고전원문 등 지식정보자원의 DB화(1,140명 고용효과) 200억원 등 ▲지하철 내장재의 불연재로의 교체(1,459량), 수도권 국철 소방설비 개량 등 서민 교통수단의 안전대책 강화(1,500억원) ▲국민임대주택건설, 주거환경개선 등 저소득층 주거안정(1,500억원) ◇수출·중소기업 지원 5,901억원 ▲IT중심 중소기업제품의 수요 창출(2,551억원) -초·중등학교 노후 PC 교체(102천대) 245억원 -무인단속기·교통관제센터 등 교통안전투자 2,056억원 ▲기술개발·자금 등 중소기업 경영지원(2,290억원) -신용보증기관 출연 2,000억원 -재래시장 활성화(30개) 150억원 -부품·소재 기업에 대한 전문연구기관의 현장지도기술 100억원 등 ▲수출보험 확충, 해외마케팅 활동 등 수출지원(1,060억원) ◇농가소득 보전 및 농업생산기반시설 투자 3,857억원 ▲쌀수매가 인하에 대한 국회동의 및 한-칠레 FTA 국회비준과 관련한 농가소득 보전대책(1,157억원) -논농업 직불제 757억원 -과수농가 지원 400억원 ▲재해방지 및 영농편의를 위한 수리시설 개보수 등 농업생산 기반시설 투자(2,700억원) ◇교부금 정산 등 지역경제 활성화 9,364억원 ▲지방교부세·교육재정교부금 정산(7,508억원) ▲지역 인력양성(856억원) -지방국립대 기숙사(13개) 및 연구·강의동(22개) 확충 520억원 -지방대학 특성화 육성(대학당 16→ 20억원 지원) 100억원 -지방 이공계 대학·기업간 협동연구(100개 사업) 지원 등 126억원 -지역 신기술 창업보육(50개 사업) 40억원 등 ▲수도권기업의 지방이전 촉진 등을 위한 산은 출자(1,000억원) ◇이라크 전후 복구지원 등 현안소요 ▲중동지역과 교류기반 확대를 위한 이라크 전후(戰後)복구사업 지원(600억원) ▲SARS등 전염병 관리강화를 위한 진단장비 등 확충(94억원)
2003.06.04 I 김희석 기자
  • (서민생활대책⑧)3대분야 10대과제 89개시책
  • [edaily 김춘동기자] ◇제1분야: 소득창출기반 강화(5대 과제 51개 시책) ○과제1: 일자리 창출과 창업지원을 통한 적극적 고용안정 -청소년 직장체험 프로그램 추진(노동부) -전직 지원서비스 활성화(노동부) -장기실업자 및 여성의 자영업 창업지원 활성화(노동부) -청년 무역인력 양성(산자부) -벤처인력 인큐베이터(산자부) -산업기술인력 전직지원(산자부) -e비즈니스 여성 사이버아카데미 여성전문인력 양성(산자부) -대학생 중소·벤처기업 현장활동(중활) 활성화(중기청)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활동 지원(중기청) -전업주부 재취업 지원사업(여성부) -여성기술인력 창업자금 지원사업(여성부) -문화콘텐츠 채용박람회 개최(문광부) -게임 특수교육과정 운영(문광부) -방송광고 전문인력 양성(문광부) -한국영화아카데미 영상 전문인력 양성(문광부) -국악·연극강사 풀제도운영 ○과제2: 교육지원 확대 및 정보화 능력배양 -대학(원)생 학자금 융자 확대(교육부) -저소득청 자녀 PC 및 통신비 지원 확대(교육부) -유선전화에서 이동전화로 거는 통화(LM통화) 요금인하(정통부) -정보격차 해소사업(정통부) -국민정보화교육 사업 추진(정통부) -IT전문인력 양성(정통부) -저소득청소년 S/W 기술교육(정통부) -중소기업근로자 능력개발지원 확대(노동부) -IT분야 전문교육과정 운영(노동부) -중소기업 직업훈련 컨소시엄 운영(노동부) -능력개발 비용대부제 실시(노동부) -이공계 우수여학생 육성 및 지원(여성부) -여성 IT전문교육(여성부) -여대생 커리어개발센터 지원사업(여성부) -정보화시범마을 조성사업(행자부) ○과제3: 재래시장 등 서민층 종사분야의 사업환경 개선 -재래시장 활성화(중기청) -재래시장 기반시설 확충(행자부) -프랜차이즈 창업 활성화(산자부) -중소유통업 인프라 확충(산자부) -중소상인 경영 현대화 교육(산자부) ○과제4: 금융·세제분야 서민층 보호 및 재산형성 지원 -봉급생활자의 소득세부담 경감(재경부) -종업원 재산형성을 위한 우리사주제도 활성화(노동부) ○과제5: 농어민 소득증대 기반구축 및 농어촌 복지강화 -농촌복지여건 개선(농림부) -농가부채 부담 경감(농림부) -직접지불제 확충(농림부) -농업재해지원 확대(농림부) -농외소득 증대(농림부) -어가부채부담 경감(해수부) -수산물 수급안정대책(해수부) -어선·어선원 정책보험, 양식수산물 재해보험(해수부) -어촌종합개발 등 어촌정주여건 개선(해수부) -수산업 직접지불제 도입 추진(해수부) -농어촌 교육발전 종합방안 추진(교육부) -도서벽지 농어민 전력공급 지원(산자부) -농어촌 주거환경 개선사업(행자부) ◇제2분야: 기본적 생활여건 보장(3대 과제 30개 시책) ○과제6: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및 4대 사회보험 확충 -기초생활보장제도 내실화 및 사각지대 해소(복지부) -조건부수급자 등에 대한 자활사업 활성화(복지부)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복지부) -건강보험 사각지대 해소(복지부) -국민연금 소득보장 기능 강화(복지부)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복지부) -자영업자에 대한 소득 파악율 제고(복지부) -4대 사회보험 정보시스템 연계 구축(복지부) -저소득층 만5세아 보육료 지원 확대(복지부) -고용·산재보험 적용 확대(노동부) -고용·산재보험 가입률 제고(노동부) -참여형 선진근로복지기반 구축(노동부) -퇴직연금제도 도입(노동부) -저소득층 만5세아 무상교육 확대(교육부) -유치원 종일반 운영 확대(교육부)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교육부) -저소득층 자녀 학습준비물·현장체험학습·특기적성 교육비 지원확대(교육부) -저소득층 학교급식 지원 확대(교육부) ○과제7: 전국민 암검진체계 구축 등 국민건강 증진 -전국민 암검진체계 구축(복지부) -국민고혈압·당뇨 관리사업 체계 구축(복지부) -국민 금연종합대책 추진(복지부) ○과제8: 노인·장애인 등의 복지강화 및 경제활동 참여 확대 -사회적 일자리 창출(노동부) -고령자 고용촉진 활성화(노동부) -장애인 고용촉진 활성화(노동부) -지역사회 시니어클럽사업 확대실시(복지부) -경로연금 지급대상 및 지급액 확대(복지부) -노인복지회관 및 경로당 운영 활성화(복지부) -치매노인을 위한 의료복지시설의 확충(복지부) -장애인 직업재활대책(복지부)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확대(복지부) ◇제3분야: 삶의 질 향상(2개 과제 8개 시책) ○과제9: 서민주거 생활안정 -국민임대주택 50만호 건설(건교부) -서민주택금융 강화(건교부) -도시 저소득주민 주거환경개선 사업지원(건교부) ○과제10: 국민 문화체험 기회 확대와 생활체육 활성화 -서민·중산층을 위한 문화공간 확충(문광부) -청소년 전용 생활문화공간 확충(문광부) -`찾아가는 문화활동` 지원(문광부) -생활체육공원 등 국민생활체육시설 확충(문광부) -지역단위 생활체육지도자 배치(문광부)
2003.05.30 I 김춘동 기자
  • (서민생활대책④)복지사각지대 해소
  • [edaily 김춘동기자] ◇저소득층 보호내실화 및 복지사각지대 해소 1. 추진배경 □국민복지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여 저소득층의 생계를 보장하고 중산·서민층의 안정된 생활을 확보 2. 추진실적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00.10월), 4대 사회보험 전국민 확대, 노인·장애인 등에 대한 지원체계 구축 등 추진 *생계비 지급대상 : 54만명(‘99년) → 135만명(‘03.3) *사회보험 전국민(사업장) 확대 : 국민연금(‘99년), 건강보험(’89년), 고용보험(‘98년), 산재보험(‘00년) *경로연금 57만명 (‘01)→62만명(‘02), 장애수당 11만명(’02)→14만명(‘03) 지원 □97년 이후 복지투자를 확대하여 사회안전망의 기본틀 구축 *사회복지예산/일반회계 비중 : ’97년 6.4% → ‘03년 9.8% 3. 향후 추진계획 □기초생활보장제도, 국민연금 등 사회안전망 내실화 ㅇ차상위 계층에 대한 일제조사(‘03.하)를 통해 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을 추가발굴하고, 선정기준을 보완 *재산의 소득환산제(‘03.1월도압) 세부기준 및 부양의무자기준 개선 ㅇ국민연금의 지역가입자로 되어있는 비정규직 및 5인 미만 사업장근로자를 사업장가입자로 단계적 전환 추진 *전환계획: 46만명(‘03.7)→62만명(‘04.7)→140만명(‘05.7~’07년) ㅇ금년 하반기중 고학력 미취업자를 국민연금 상담도우미로 활용(추경안 77억원) □저소득계층 및 장애인의 빈곤화 예방 및 자립 지원 ㅇ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에 대한 자활사업 활성화 -자활사업참가자에 대해 근로소득공제제도 시범실시(‘03년 129억원) *근로소득중 30%를 공제한 후의 소득을 기준으로 기초생활보장 지급금액 산정 -기초생활수급자의 취업을 위한 사회적일자리 확충 ㅇ장애인 자립·자활 지원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을 확충(‘02년 194개소→‘03년 222개소)하고, 신규사업·훈련프로그램 개발 지원(‘03년 15억원) -공공기관의 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등을 독려 ㅇ차상위 계층에 대한 의료급여 단계적 확대 추진 *확대대상(예시) : 만성질환자, 희귀난치성질환자, 아동·임산부 등 50만명 □고령화 등 사회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복지서비스 확충 ㅇ금년중에 노인전문요양시설 12개소와 치매병원을 추가설치(추경안 191억원)하고, ‘03~‘04년중 노인요양보험제도 모형개발 추진 ㅇ영아·장애아 전담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 영아반에 대한 종사자 인건비를 확대 지원(추경안 122억원) ㅇ보육시설에 대한 교재교구비를 추가 지원(추경안 1억원) □노숙자 등 취약계층 보호대책 ㅇ노숙자쉼터(114개)를 통해 숙식, 의료, 자활 등의 서비스 제공 ㅇ쪽방상담소(11개소)를 통해 쪽방생활자에게 세탁, 상담 등 서비스 제공
2003.05.30 I 김춘동 기자
  • 추경 실업대책, 3만4000개 일자리 창출
  • [edaily 김희석기자] 추경 실업대책을 통해 약 3만4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예정이다. 또 서민·중산층 생활안정을 위해 소요되는 자금규모는 최소 5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정부가 발표한 참여정부의 서민·중산층 생활안정 대책에 따르면 추경을 통해 6개월 이상 고용효과가 있는 사업에서 1만9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예정이다. 이중 청소년 직장체험 대상자가 4000명이며 국민연금상담 도우미 1630명 등이다. 또 1개월 단기연수과정(대학생 중소기업체험활동)에서 1만5000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서민·중산층 안정대책에 투입되는 추경규모는 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규모는 중소기업 신용확대를 위한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신용보증 추가출연으로 2000억원에 이르고 있다. 또 국민임대주택 50만호 건설관련, 지원단가 현실화로 1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이날 발표된 추경 소요분은 중요하고 규모가 큰 것들"이라며 "최소한의 규모라며"라고 설명했다. 서민·중산층 생활안정 대책중 추경이 소요될 분야 및 추경 배정규모는 다음과 같다. -만5세아 무상교육비 지원확대: 80억원 -저소득층 중·고생 자녀에 대한 학비·학교급식비 지원확대: 199억원 -고학력 미취업자를 국민연금 상담 도우미로 활용: 77억원 -노인전문요양시설 12개소와 치매병원 추가설치: 191억원 -영아·장애나 전담보육시설 등 종사자 인건비 확대: 122억원 -보육시설에 대한 교재교구비 추가지원: 1억원 -직장체험 프로그램의 대상업종·인원 확대: 100억원 -국가정보자원 디지털화 DB구축사업확대: 200억원 -초·중등학교 전산보조원 채용: 141억원 -이공계 대촐 미취업자 연구현장 및 산업체 연수지원: 50억원 -대학생 중소기업 체험활동: 15억원 -공공섭스 분야에서 사회적 일자리 제공사업 시범실시: 299억원 -중소기업 신용확대 위한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신용보증기금에 추가출연: 2000억원 -중기 해외마케팅 추가재원 조성: 60억원 -국민임대주책 50만호 건설관련 지원단가 현실화: 1000억원 -주거환경개선 사업대상 지구 추가발굴·노후불량지 지속정비: 500억원 (총 5035억원)
2003.05.30 I 김희석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