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엔화·유로화 강세에 ‘달러 약세’…환율, 장중 1350원대로 하락
  • 엔화·유로화 강세에 ‘달러 약세’…환율, 장중 1350원대로 하락
  •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50원대로 내려갔다. 글로벌 위험선호 분위기가 확산과 더불어 달러화 약세에 환율이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사진=AFP28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오전 9시 39분 기준 전 거래일 종가(1363.8원)보다 2.35원 내린 1361.45원에 거래 중이다.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359.3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20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63.8원) 대비 2.3원 하락 개장할 것으로 예상됐다.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 종가보다 3.0원 내린 1360.8원에 개장했다. 개장 직후 환율은 1359.0원을 터치했다. 이후 환율은 반등해 1360원 초반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는 메모리얼 데이로 인해 휴장이었지만, 유럽 증시 상승 등 위험자산 선호 회복 분위기가 강해졌다. 이에 위험통화인 원화에도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달러화는 약세다. 달러인덱스는 27일(현지시간) 저녁 8시 39분 기준 104.54를 기록하고 있다. 전날 104 후반대에서 중반대로 내려온 것이다.엔화와 유로화 강세로 인해 달러가 하락했다. 현재 달러·엔 환율은 156엔 후반대, 달러·유로 달러는 0.92유로로 소폭 하락하고 있다.장 초반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하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200억원대, 코스닥 시장에서 500억원대를 팔고 있다.
2024.05.28 I 이정윤 기자
국고채 금리, 1bp 내외 하락 출발… 10년물, 1.6bp↓
  • 국고채 금리, 1bp 내외 하락 출발… 10년물, 1.6bp↓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28일 국내 국고채 시장은 간밤 글로벌 금리 흐름을 반영하며 소폭 강세 출발했다. 이날 외국인은 3·10년 국채선물을 순매수 중이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10년 국채선물 가격 5분봉 차트(자료=마켓포인트)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22분 기준 3년 국채선물(KTB3)은 전 거래일 대비 5틱 오른 104.49를, 10년 국채선물(KTB10)은 15틱 오른 112.67을 기록 중이다. 30년 국채선물은 거래가 체결되지 않았다.수급별로는 3년 국채선물에서 외국인이 1329계약, 개인 146계약 등 순매수를, 금투 755계약, 은행 700계약 등 순매도를 보인다. 10년 국채선물에선 외국인 474계약, 금투 35계약 등 순매수를, 은행 350계약, 개인 126계약 등 순매도를 기록 중이다.국고채 현물 금리는 1bp 내외 하락 중이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민평3사 기준 장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2bp 내린 3.398%를 기록 중이다. 5년물은 1.1bp 내린 3.426%, 10년물은 1.6bp 내린 3.481%로 집계됐다. 20년물 금리와 30년물 금리는 각각 보합, 0.3bp 하락한 3.440%, 3.357%를 보인다. 아시아 장에서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4bp 내린 4.459%를 기록 중이다.한편 국내 시장서 전거래일 콜금리는 3.555%, 레포(RP)금리는 3.55%를 기록했다. 이날 지준 당일은 전일 대비 큰 폭의 잉여가 예상되는 만큼 은행권 콜차입 수요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024.05.28 I 유준하 기자
코스닥, 개인 ‘사자’에 강보합세 출발…850선 웃돌아
  • 코스닥, 개인 ‘사자’에 강보합세 출발…850선 웃돌아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코스닥 지수가 개인 투자자의 매수세에 강보합세로 출발했다. 28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4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3포인트(0.27%) 오른 850.32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선 장 초반 개인 투자자가 각각 451억원 규모를 순매수하고 있으며,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가 각각 374억원, 58억원치를 순매도하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는 현충일인 ‘메모리얼 데이’로 휴장했고 유럽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독일 DAX3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1.34포인트(0.44%) 오른 1만8774.71에 거래를 마쳤다. 프랑스 파리CAC4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7.52포인트(0.46%) 상승한 8132.49로 장을 마감했다. 영국 증시는 공휴일인 뱅크 홀리데이로 열리지 않았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양호한 대외 환경 속 전 거래일과 유사하게 소외주를 중심으로 강세가 예상된다”며 “유럽중앙은행(ECB) 6월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른 유럽 증시 강세, 미국 나스닥 선물 강세, 금리 하락 등 우호적인 대외 금융 환경에 전 거래일에 이어 반도체, 바이오, 이차전지 소외주를 중심으로 상승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선 업종별 혼조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중 운송장비·부품(0.83%), 정보기기(0.81%), 화학(0.76%) 등의 상승 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오락문화(-1.90%), 일반전기전자(-1.20%) 등이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도 혼조세를 나타냈다. 에코프로비엠(247540)은 전 거래일 대비 4500원(2.16%) 내린 20만4000원을 기록하고 있다. 에코프로(086520)와 리노공업(058470)도 각각 0.51%, 0.18% 약세다. 반면, 알테오젠(196170)과 HLB(028300)는 각각 0.42%, 0.53%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유일로보틱스(388720)는 SK배터리아메리카(SK Battery America, Inc.)를 대상으로 약 367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한다는 소식에 전 거래일 대비 8700원(29.85%) 오른 3만7850원을 가리키고 있다.
2024.05.28 I 박순엽 기자
코스피, 외인·기관 ‘팔자’ 속 약세 출발
  • 코스피, 외인·기관 ‘팔자’ 속 약세 출발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코스피 지수가 하락 출발했다.28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6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08%(2.06포인트) 내린 2720.93에 거래중이다.수급별로 외국인과 기관은 ‘팔자’인 반면 개인은 ‘사자’다. 외국인이 587억원, 기관이 265억원어치 내다 파는 가운데 개인만 874억원어치 순매수 중이다.간밤 미국 증시는 메모리얼데이로 휴장한 가운데 유럽 증시는 대부분 강세로 마감했다. 독일의 DAX30지수와 프랑스 파리 CAC40지수는 각각 0.44%와 0.46% 오른 1만8774.71과 8132.49에 장을 마감했다. 범유럽지수인 유로Stoxx50지수도 0.47% 상승한 5059.20에 장을 마쳤다. 영국 증시는 ‘스프링뱅크 홀리데이’로 휴장했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오늘 한국 증시는 ECB의 6월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른 유럽 증시 강세, 미국 나스닥 선물 강세, 금리 하락 등 우호적인 대외 금융 환경에 전일에 이어 반도체, 바이오, 이차전지 소외주를 중심으로 상승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 내다봤다.업종별 하락 우위다. 운수창고, 기계, 음식료업, 화학, 보험업, 운수장비, 종이목재, 전기가스는 강보합, 의료정밀, 서비스업, 의약품, 증권, 유통업, 전기전자, 금융업, 철강금속, 건설업, 통신업, 섬유의복, 비금속광물, 제조업 등은 약보합이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혼조세다. 삼성전자(005930)는 약보합, SK하이닉스(000660)는 1%대 오르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1%대 약세다. 이밖에 현대차(005380)와 기아(000270)는 강보합, 셀트리온(068270)은 약보합이다.종목별로 동일고무벨트(163560)가 28%대 오르고 있으며 DRB동일(004840)이 22%대 강세다. 한국화장품제조(003350)는 19%대, 한국화장품(123690)은 8%대 오름세다. 반면 롯데정밀화학(004000)은 4%대 약세이며 삼아알미늄(006110), TCC스틸(002710)과 HD현대마린솔루션(443060) 등은 2%대 약세다.
2024.05.28 I 이정현 기자
굳어지는 유로존 인하 기대…글로벌 금리 추종하며 소폭 강세
  • 굳어지는 유로존 인하 기대…글로벌 금리 추종하며 소폭 강세[채권브리핑]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28일 국내 국고채 시장은 간밤 글로벌 금리 흐름을 반영하며 소폭 강세 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간밤 미국장은 메모리얼 데이로 휴장한 가운데 독일 국채 금리는 일제히 하락했다. 독일 기업의 경기 판단을 보여주는 기업환경지수는 예상치를 하회했다. 이날 장 마감 후에는 미국 5월 컨퍼런스보드(CB) 소비자신뢰지수가 발표된다.사진=AFP간밤 독일 국채 금리는 초단기인 1년물을 제외하고 일제히 하락했다.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3.3bp(0.01%포인트) 내린 2.55%, 통화정책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2년물 금리는 3.5bp 내린 3.06%를 기록했다. 공개된 독일 Ifo 경제연구소의 5월 기업환경지수는 89.3으로 시장 예상치인 90.5를 하회했으며 전월치인 89.3과 동일했다. 경기동행지수는 이달 88.3을 기록해 전월치인 88.9를 하회했다.시장은 오는 6월6일 개최되는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서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독일 기업환경지수가 예상치를 하회한 만큼 인하 전망이 더욱 굳어질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현지시간으로 27일 올리 렌 ECB 집행위원 겸 핀란드 중앙은행 총재는 “유로 지역의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며 “금리인하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고 밝혔다.이에 이날 국내 국고채 시장은 간밤 글로벌 금리 흐름을 반영하며 소폭 강세 출발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주는 국내 입찰이 없다. 또한 시장에 영향을 줄만한 국내 이벤트도 부재한 만큼 글로벌 금리를 추종하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이날도 채권시장은 보함 흐름이 예상된다”면서 “발표된 지표가 부재한 가운데 월말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경계감이 유지되면서 변동폭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전거래일 국채 스프레드(금리차)는 일제히 축소됐다. 국내 국고채 시장의 전거래일 기준 3·10년물 스프레드는 직전 9.2bp서 8.5bp로 축소됐다. 이어 10년물과 30년물 스프레드 역전폭은 마이너스(-) 15.0bp서 마이너스 13.6bp로 좁혀졌다.채권 대차잔고는 지난주 내내 136조원 대에서 증감을 거듭하다 137조원대로 6거래일 만에 올라섰다. 전거래일 채권 대차잔고는 직전일 대비 1조3593억원 증가한 137조6069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이날 장 마감 후에는 미국 5월 CB 소비자신뢰지수가 발표된다.
2024.05.28 I 유준하 기자
디스플레이 테마 해뜰날 언제…아이폰 나올 하반기에 담아볼까
  • 디스플레이 테마 해뜰날 언제…아이폰 나올 하반기에 담아볼까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장기간 침체기를 지나고 있는 디스플레이 관련 종목이 반등의 기회를 노리고 있다. 올해 모바일과 태블릿 중심의 올레드(OLED) 업사이클 모멘텀이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다.(그래픽=이데일리 김다은)증권가에서는 주요 종목을 중심으로 1분기 실적에 매출 증가가 반영되기 시작했고, 2분기부터는 본격적인 실적 개선이 시작하리라고 보고 있다. 2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대장주인 LG디스플레이(034220)는 이날 1만 80원에 마감했다. 올 초 1만 3000원대까지 오르기도 했으나 지난달 9650원까지 하락하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하며 1만원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반복하는 모양새다.외국인과 기관의 수급 압박이 LG디스플레이의 주가를 강하게 압박 중이다. 지난 17일 이후 6거래일 연속 하락했는데 이 기간 외국인은 132억원, 기관은 64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던진 수급은 개인투자자가 소화해 196억원을 순매수했다. 1분기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하며 적자폭을 줄였으나 외국인과 기관은 IT 수요가 불확실하고 신규 투자가 필요한 것을 우려했다는 분석이다.약세인 주가, 불안한 수급 동향에도 시장에서는 LG디스플레이를 비롯해 디스플레이 관련 종목의 하반기 오름세를 기대하고 있다. 1분기 실적 저조에도 하반기 애플의 ‘아이폰16’ 출시 등 호재가 기다리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외신 등에 따르면 아이폰16은 9월께 출시가 예상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음 달 중 양산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증권가에서는 국내 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이 강점을 보이고 있는 올레드 패널이 고급형 스마트폰을 넘어 보급형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부진했던 북미 스마트폰 판매량이 회복된다면 디스플레이 관련주의 반등을 넘어 올레드 중심의 호황까지 노려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특히 소재업체를 중심으로 외형성장이 지속되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다. 올레드 소재를 납품하는 덕산네오룩스(213420)는 1분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으며 피엔에이치테크(239890) 역시 실적 개선세를 나타냈다.증권가에서는 올레드 중심의 업황 회복을 기대하며 디스플레이 섹터에 대해 투자의견을 비중 확대로 제시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애플 등 주요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가 하반기에 몰려 통상적으로 상저하고 흐름을 보여온 것도 배경으로 손꼽힌다.김종배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올레드 종목은 괜찮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밸류에이션으로 주가 상승에 제한이 있었다”면서도 “대규모 증설이 이뤄지지 않은 시점에서 올레드 확장 국면에 분명한 실적 모멘텀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소재 업체 특성상 높은 밸류에이션 부여는 타당하다”고 진단했다.
2024.05.28 I 이정현 기자
마주 본 '반가사유상'과 '생각하는 사람'…동서양의 '사유'를 잇다
  • 마주 본 '반가사유상'과 '생각하는 사람'…동서양의 '사유'를 잇다
  •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전시장에 들어서면 사색을 대표하는 동양의 ‘반가사유상’과 서양의 ‘생각하는 사람’이 서로 마주 보고 있다. 신상철 작가의 회화 ‘사유의 기억’ 시리즈다. 형태는 익히 알고 있는 그림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ㄱ, ㄴ, ㄷ’과 ‘ㅏ, ㅑ, ㅓ’ 등 자음과 모음을 조형요소로 활용한 것이 눈에 띈다. 특히 반가사유상 뒤로는 생각하는 사람 그림자가 보이고, 반대로 생각하는 사람 뒤로는 반가사유상 그림자가 보인다. 신상철 작가는 “작품의 주제는 기억”이라며 “익숙하던 것을 낯설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잊고 있었던 기억을 환기하고자 했다. 동양과 서양, 남성과 여성 등 대조적인 걸 보여주지만 결국 사회는 공존하고 있다는 걸 말하고 싶었다”고 말했다.내면 깊숙이 존재하던 기억을 예술로 승화시킨 작품들을 소개하는 전시가 열린다. 6월 11일까지 서울 강남구 맨션9(MANSION9) 갤러리에서 개최하는 신상철·박소희 2인전 ‘사색 contemplation’이다. ‘어떤 것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 이치를 따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색’(思索)은 시대와 지역을 아우른다. 변승연 큐레이터는 “지나간 경험은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으로서 내면에 존재한다”며 “두 작가의 작품을 통해 잊고 있던 기억을 되새기는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신상철 작가의 ‘사유의 기억’(사진=맨션9).신상철 작가는 소통 언어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기억을 작품 속에 새긴다. 언어는 인간의 삶을 형성하는 가장 고유한 방식이라는 생각에서다. 과거 작업실에 큰 화재가 발생하면서 인생의 기반이 흔들린 적이 있는데, 이때의 경험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과거의 기억을 회상하는 계기가 됐다.그의 작품에는 한 세대를 아우르며 기억 속에 남아있는 영향력 있는 유명인이나 조각들이 소재로 등장한다. 신작 ‘비너스’도 마찬가지다. 동서양의 대표적인 미인 이미지를 교차시켜 ‘아름다움’(美)을 나타냈다. 자음과 모음으로 표현한 ‘비너스’의 그림자는 신윤복의 ‘미인도’이다. 한글만 등장하는 것은 아니다. 알파벳으로 나타낸 테디베어 등도 있다. 신 작가는 “언어는 각 나라의 의사소통을 대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글뿐 아니라 여러 문자로 치환할 수 있다”며 “남성은 거친 붓질로, 여성은 부드럽게 그리는 등 페인팅 작업에서도 끊임없이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사색’ 전시 전경. 오른쪽에 보이는 회화 그림은 신상철 작가의 ‘비너스’다(사진=맨션9).박소희 작가는 내적으로 큰 울림을 제공했던 ‘꽃’을 소재로 그렸다. 꽃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생명력의 가장 화려한 결과물이다. 아름다운 꽃을 만들어내기 위해 발버둥 치며 이뤄낸 겹겹이 쌓인 꽃잎들이 인간의 치열한 삶과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꽃의 단면이 치밀하게 드러난 ‘삶’, 지난해 새롭게 선보인 ‘000에게’ 시리즈도 모두 꽃이 소재다. 특히 ‘000에게’ 시리즈에는 시들어있는 여러 개의 꽃 사이로 밝은 빛을 내며 피어나는 꽃봉오리가 담겨 있다. 변 큐레이터는 “인생이 성공 가도를 달릴 때도 있고 하락세로 좌절과 아픔을 주기도 한다”며 “힘든 시기에도 연연하지 말고 열심히 노력하다 보면 또다시 예쁜 꽃을 피울 날이 올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이라고 설명했다.박 작가는 수년간 전통 회화와 보존에 관한 연구를 비롯해 여러 문화유산을 복원한 경험이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려시대 ‘제석천도’를 재해석해 선보인다.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 ‘제석천’ 뒤로 꽃의 단면이 후경으로 등장한다. 비단을 염색하고 벼루에 먹을 갈아 정성스럽게 채색해 탄생한 작품이다. 제석천이 입고 있는 옷에 반짝반짝 빛나는 무늬는 실제 금가루를 입혔다. 변 큐레이터는 “작가는 섬세하게 채색한 작업의 전 과정을 수행의 마음가짐으로 임했다”며 “옛 가르침 앞에서 현재의 나를 되돌아보는 사유를 경험해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사색’ 전시 전경. 박소희 작가의 ‘제석천도’(왼쪽)와 ‘000에게’ 시리즈(사진=맨션9).‘사색’ 전시 전경(사진=맨션9).
2024.05.28 I 이윤정 기자
조정 vs 고점? 엇갈리는 中 증시…지켜볼 변수는
  • 조정 vs 고점? 엇갈리는 中 증시…지켜볼 변수는[e차이나]
  •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중국 증시가 중국 기업들의 실적 기대감에 다시 상승했다. 중국 증시는 그동안 부양책에 힘입어 랠리를 이어왔으나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커지고 미국과의 갈등 우려로 최근 부침을 겪었다. 현재 증시가 일시적인 조정 국면인지 추가 하락 여지가 있는지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부동산 문제 해결과 배당 확대 등이 관건으로 지목된다.(그래픽=게티이미지뱅크)27일 마켓포인트 등에 따르면 이날 중국 본토 상하이종합지수와 심천종합지수는 전거래일대비 각각 1.14%, 0.75% 오른 3124.04, 1747.83에 거래를 마쳤다.상하이지수는 지난 22일(3158.54)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2거래일 연속 하락했다가 이날 반등했다. 심천지수도 20일(1793.98) 1800선에 근접했다가 조정을 겪다가 3거래일만에 상승 전환했다.중국 대표 벤치마크 지수인 CSI300지수는 이달 23~24일 2거래일 연속 하락했다가 이날 0.95% 상승한 3635.71에 장을 마감했다.연중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세를 이어가던 홍콩 증시는 지난주 낙폭이 더 컸다. 홍콩 항셍종합지수와 H지수는 지난주 21일부터 24일까지 4거래일 연속 하락하면서 각각 2만선, 7000선 진입과는 다소 멀어지게 됐다. 이날 항셍지수와 H지수는 전거래일대비 각각 1.17%, 1.25% 오르면서 겨우 상승으로 돌아섰다.중화권 증시가 부진했던 이유는 우선 고점 경신에 따른 조정 성격이 크다는 분석이다. 주요 지수가 올해 저점대비 30% 이상 오르면서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선 것이다.대외 불안에 투자심리가 위축되기도 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불투명해 미국 달러화 강세가 계속되는 상황이다. 이달 22일 공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보면 연준 위원들은 미국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이 둔화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며 금리 인하 시기가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그럼에도 이날 중국 증시가 일제히 상승한 이유는 경제 회복에 대한 예상 때문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1~4월 일정 규모 이상 중국 공업기업 이익이 2조947억위안(약 394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3% 증가했다고 이날 밝혔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소비재 교체 정책 등이 영향을 미쳤는데 이에 따른 내수 촉진 기대감이 커졌다.글로벌 투자은행(IB)인 골드만삭스는 최근 중국 증시에 대해 여전히 반등 여지가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류진진 골드만삭스 수석 중국 주식 연구원은 “주식 밸류에이션(가치)이 상승한 다음에는 실제 상장사들의 이익 성장이 후속 반등의 관건”이라며 “올해 1분기 시장 예상치를 웃돈 기업의 비율이 54%에 달해 전체 수익성에 대한 전망치도 상승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중국 부동산 시장의 회복도 변수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달 17일 계약금 인하, 금리 하한선 해제, 적립금 대출 인하 등 부동산 정책을 내놓은 바 있다. 이에 증시에 반영될 부동산 시장 침체 리스크도 완화됐다는 평가다.세계 평균에 비해 낮은 배당 성향을 감안할 때 성장 잠재력도 기대된다. 류 연구원은 “현재 A주(중국 본토 주식)와 홍콩 주식의 배당률은 약 30%로 미국과 유럽 증시가 각각 50%, 60%인 것과 비교하면 개선의 여지가 많다”며 “한국과 일본 경험에 비춰볼 때 밸류에이션과 주주환원 개선 조치는 외국인 투자 유치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2024.05.27 I 이명철 기자
“낙폭 과했다”…한숨 돌린 삼성전자, 코스피도 반등
  • “낙폭 과했다”…한숨 돌린 삼성전자, 코스피도 반등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엔비디아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납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락했던 삼성전자(005930)가 반등에 성공하며 한숨을 돌렸다. 지난주 주가 하락이 과도했다는 증권가 분석이 나오면서다. 삼성전자의 반등에 코스피 지수 역시 2700선에 안착하는 등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사진=연합뉴스2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삼성전자는 전거래일 대비 1.71% 오른 7만 72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주 마지막거래일에 3%대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으나 하루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미국 증시 훈풍 및 반도체 테마를 중심으로한 강세 흐름에 개인과 기관 수급이 유입된 덕이다. 다만 외국인은 삼성전자에 대한 매도세를 이어갔다. 악재가 수면 위에 오른 지난 24일 이후 1조 2803억원어치 내다팔았다. 반면 SK하이닉스는 이틀간 5370억원대 외국인 수급이 유입되며 강세를 이어갔다. 삼성전자가 반등하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급이 유입되며 코스피 지수도 반등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32%(35.39포인트) 오른 2722.99에 장을 마감했다. 전거래일에 1%대 하락하며 2700선이 무너진지 하루만에 반등했다. 코스닥 지수 역시 1.02% 오르며 847.99까지 오르는 등 850선 회복을 목전에 뒀다. 주요 반도체 종목을 추종하는 KRX반도체 지수는 이날 1.97% 오르며 코스피 지수 상승률을 웃돌았다.삼성전자의 반등은 지난주 있었던 주가 하락이 과도했다는 시장의 진단이 배경이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품질 통과 실패 이슈 관련 보도로 삼성전자가 3% 넘게 하락했으나, 이는 기우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부 결점이 발견됐더라도 고객사 엔비디아와의 협의를 통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며 “5월만 놓고 보면 SK하이닉스에 대한 외국인 순매수 강도가 더 높지만, 연간 기준으로는 여전히 삼성전자가 우위임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한동희 SK증권 연구원은 “HBM 공급 부족 완화와 거시경제 회복 대비 탄력적 커머디티 가격 반등을 위한 삼성전자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국면”이라며 “HBM 시장 진입 당위성이 높아지는 국면이므로, HBM과 커머디티의 상호작용을 통한 이익 제고와 상저하고의 디스플레이, 저점을 통과한 파운드리를 감안한다면 밸류에이션에 대한 매력이 부각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24.05.27 I 이정현 기자
거래량 감소 속 월말 네고…환율, 1360원 초반대로 하락
  • 거래량 감소 속 월말 네고…환율, 1360원 초반대로 하락[외환마감]
  •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이 1360원 초반대로 하락 마감했다. 미국 증시 휴장 등으로 거래량이 줄어든 가운데 연말 네고(달러 매도) 물량이 출회되며 환율이 하락 압력을 받았다. 27일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습. (사진=연합뉴스)27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69.5원)보다 5.7원 내린 1363.8원에 거래를 마쳤다. 5거래일째 1360원대에서 마감한 것이다. 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 종가보다 3.5원 내린 1366.0원에 개장했다. 이날 장 내내 환율은 1363~1368원 사이의 좁은 레인지에서 등락을 오갔다. 1360원 중반대에 머무르던 환율은 장 막판 추가 하락하며 1360원 초반대로 내려왔다. 지난 주말 발표된 미국 5월 소비자심리지수가 한풀 꺾이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소폭 낮아지면서 달러화는 소폭 약세로 출발했다. 달러인덱스는 이날 새벽 3시 28분 기준 104.72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주 장 마감 기준 105에서 하락한 것이다. 달러·위안 환율은 7.25위안대, 달러·엔 환율은 156엔 후반대에서 거래되고 있다.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 우위를 보이며 환율 상승을 지지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1300억원대를 순매도 하는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500억원대를 순매수했다. 외환시장의 특별한 재료가 부재한 가운데 양방향 수급이 이어졌다. 다만 월말을 맞아 수출업체 등의 네고 물량이 우위를 보이며 환율 하락을 이끌었다. 이날 뉴욕 증시는 메모리얼 데이로 휴장이라 거래량도 저조했다.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에서 거래된 규모는 83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27일 환율 흐름. (사진=마켓포인트)
2024.05.27 I 이정윤 기자
하루만에 2700선 회복…삼전·SK하닉 1%대 상승
  • [코스피 마감]하루만에 2700선 회복…삼전·SK하닉 1%대 상승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상승 출발한 코스피 지수가 1%대 넘게 오르며 하루만에 2700선을 회복했다.2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32%(35.39포인트) 오른 2722.99에 장을 마감했다. 개장과 함께 상승하며 2700선을 돌파한 후 상승세를 이어가며 장중 2725.08까지 오르기도 했다.기관 매수세가 증시를 부양했다. 이날에만 3206억원어치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차익 실현에 나서 각각 1724억원, 1342억원어치 순매도했다.지난주 미국증시는 나스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소비자 기대치들이 당초 예상보다 둔화됐고, 소비자심리도 한풀 꺾이면서 시장은 안도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01% 상승한 3만9069.59를 기록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S&P500지수는 0.70% 오른 5304.72를,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도 1.10% 상승한 1만6920.79에 거래를 마쳤다.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매파적 FOMC 의사록의 악재와 불확실성이 지나가고 지난 금요일부터 글로벌 증시 반등 흐름이 이어졌다”고 진단했다.대부분 업종이 상승 마감했다. 기계가 6.03% 올랐으며 건설업은 2.35% 상승했다. 전기전자, 화학, 의료정밀, 제조어브, 운수창고, 철강금속, 음식료업, 유통업 등이 1%대 올랐다. 반면 보험업과 종이목재, 비금속광물은 약보합 마감했다. 나머지 업종은 강보합으로 장을 마쳤다.시가총액 상위주 역시 상승 우위다. 한때 약세를 보이던 삼성전자(005930)가 1.71% 올랐으며 SK하이닉스(000660)도 1.46% 올랐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2.39% 상승했다. 현대차(005380)는 약보합, 기아(000270)는 2.08% 상승했다. 종목별로 한전산업(130660)이 21.67% 상승했으며 두산에너빌리티(034020)가 16.65%, 수산인더스트리(126720)가 16.14%, SKC(011790)가 15.80%, 효성(004800)이 14.78% 상승했다. 반면 HD현대마린솔루션(443060)은 7.74% 약세를 보였으며 조선내화(462520)가 6.81%, 신풍(002870)이 6.38% 하락했다.이날 코스피 거래량은 5억 4694만주, 거래대금은 15조 6608억원이다. 상한가 없이 425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없이 443개 종목이 내렸다. 65개 종목은 보합 마감했다.
2024.05.27 I 이정현 기자
기관·외인 쌍끌이 매수에 1%↑…반도체주 강세
  • [코스닥 마감]기관·외인 쌍끌이 매수에 1%↑…반도체주 강세
  •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코스닥이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 힘입어 1% 상승 마감했다. 2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8.58포인트(1.02%) 상승한 847.99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은 740선에서 상승 출발해 장중 소폭 하락 전환하며 830선으로 미끄러졌지만, 장 후반 다시 매수세에 힘이 실리면 840선으로 올라섰다.24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01% 오른 3만9096.59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7% 상승한 5304.72로 집계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1% 뛴 1만6920.79에 장을 마쳤다.뉴욕증시가 엔비디아 등 인공지능(AI) 관련주 강세, 기대 인플레이션 둔화 등에 힘입어 상승 마감하자 국내 증시도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살아나면서 오름세로 마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매파적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악재와 불확실성이 지나가고 지난주 금요일부터 글로벌 증시가 반등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코스닥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수급별로는 기관이 1112억원, 외국인이 621억원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1553억원 순매도했다.프로그램별로는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894억원 매수 우위를 기록했다.업종별로는 상승하는 업종이 더 많았다. 일반전기전자(4.31%)는 4% 넘게 상승했다. 반도체(2.42%), 금융(2.15%), 오락문화(2.02%) 등은 2%대 올랐다. IT H/W(1.84%), 운송(1.4%), 방송서비스(1.33%), 컴퓨터서비스(1.32%) 등은 1% 넘게 상승했다. 반면 섬유·의류(4.1%)는 4% 넘게 급락했다. 통신서비스(0.91%), 화학(0.74%), 정보기기(0.52%) 등은 1% 미만 소폭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주도 상승하는 종목이 우위였다. HLB(028300)는 10% 넘게 급등했다. HPSP(403870)는 9%대 상승했다. 실리콘투(257720)는 7% 올랐으며, 리노공업(058470)과 에코프로비엠(247540)은 6% 넘게 상승했다. 유진테크(084370), 이오테크닉스(039030), 에스엠(041510), 테크윙(089030) 등은 5%대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와 달리 삼천당제약(000250), 엔켐(348370), 리가켐바이오(141080) 등은 6% 넘게 내렸다. 에스티팜(237690)은 4%대 하락했다.이날 거래량은 9억6515만주, 거래대금은 9조2058억원으로 집계됐다. 686개 종목이 상승했으며, 3개 종목은 상한가를 달성했다. 849개 종목은 하락했으며,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108개 종목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2024.05.27 I 김응태 기자
우에다 "인플레 예측 0% 고착화서 벗어난듯…임금 인상 덕분"
  • 우에다 "인플레 예측 0% 고착화서 벗어난듯…임금 인상 덕분"
  •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일본은행(BOJ)의 인플레이션 예측을 0%에서 밀어 올리는 데 성공한 것 같다.”27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이날 BOJ금융연구소 주최 ‘국제 콘퍼런스’ 기조 연설에서 “수입물가 상승으로 기업들의 임금 인상이 진행됐다”며 이같이 평가했다. 그는 또 “인플레이션이 제로에서 벗어나 기대치를 높이는 데 진전을 이뤘지만, (이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 (사진=AFP)우에다 총재는 “일본 경제엔 199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저인플레이션 상황이 고착화돼 있다”며 “경쟁 업체가 가격을 인상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기업들은 ‘우리도 (제품) 가격이나 임금을 그대로 두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고,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과 향후 예측이 0% 부근에 정착하게 된다”고 했다. 이어 “이러한 경제에서 벗어나려면 (수입물가 상승 등과 같은) 큰 충격이 필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BOJ 추산에 따르면 일본의 인플레이션율은 1996년부터 2022년까지 27년 동안 마이너스(-) 1.0%에서 플러스 0.7%의 범위에 머물렀다. 이에 1995년 이후 BOJ의 통화정책에서 단기금리는 0.5%를 넘긴 적이 없다. 또 2016년 2월부터는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탈피 목적으로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다. 하지만 지난 3월 -0.1%였던 단기금리를 0~0.1%로 인상했다. 당시 올해 물가상승률이 BOJ 목표치인 2%를 상회하고, 임금인상률도 5%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기 때문이다. 실제 BOJ는 지난달 공개한 보고서에서 올해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신선식품제외)을 기존 2.4%(1월 전망치)에서 2.8%로 상향했다. 아울러 일본 노동계는 올해 ‘춘계 투쟁’(춘투)에서 33년 만에 최고치인 평균 5.28%의 임금인상률을 이끌어냈다. 미국과의 장기금리 격차 확대로 엔화가 약세를 보인 것도 BOJ의 금리인상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우에다 총재는 “BOJ는 경제를 자극하기 위한 단기금리에 대한 영향력을 이미 다 써버렸다”고 자평했다. 우에다 총재는 BOJ가 이달 발표한 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도 인플레이션 예측이 0%를 벗어났다고 판단한 근거로 제시했다. 경쟁사의 가격인상 덕분에 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어려움이 완화했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이 약 40%에 달했기 때문이다. 그는 “수입물가 상승이 기업들의 제품 가격 및 임금 인상 결정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우치다 부총재는 또 물가나 임금이 오르지 않는다는 사회 통념과 관련해 “노동시장의 환경이 구조적이고 돌이킬 수 없게 바뀌었다. 인력 부족을 추진력으로 삼아 (임금 인상 문제가) 해소되고 있다. 앞으로도 임금은 상승해 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내다봤다. 우에다 총재는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2% 물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제 중 하나로 “자연이자율(중립금리)을 최대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라며 “지난 30년 동안 장기간에 걸쳐 단기금리가 거의 제로에 머물렀던 일본에선 (이 작업이) 특히 어렵다”고 말했다. 자연이자율은 물가상승률이 BOJ의 목표 범위에 있을 때 경제 성장을 자극하거나 저해하지 않는 위치의 금리를 뜻한다. 우치다 신이치 BOJ 부총재도 이날 강연에서 3월 마이너스 금리 해제와 관련해 “제로금리 제약을 극복했다. 인플레이션 예측을 2%로 고정시키기 위한 큰 과제는 남아있지만 디플레이션과 제로금리 제약과의 싸움의 종식은 시야에 들어왔다”고 평가했다. 이날 우에다 총재의 발언은 엔화 약세 속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시장 기대를 키웠다. 연설 이후 이날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중 한때 전거래일대비 0.015% 높은 1.020%로 상승(국채 가격은 하락)했다.
2024.05.27 I 방성훈 기자
양방향 수급…환율, 장중 1360원 중반대 횡보
  • 양방향 수급…환율, 장중 1360원 중반대 횡보[외환분석]
  •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60원 중반대에서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미국 소비자심리지수가 꺾이고 기대인플레이션도 낮아지면서 달러화가 소폭 약세로 돌아서 환율이 하락 출발했으나, 장중 양방향 수급에 횡보세를 나타내고 있다. 사진=AFP◇월말 네고 VS 저가 매수27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오후 12시 14분 기준 전 거래일 종가(1369.5원)보다 3.75원 내린 1365.75원에 거래 중이다.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 종가보다 3.5원 내린 1366.0원에 개장했다. 이후 환율은 1364~1368원 사이에서 등락을 오가고 있다. 지난 주말 발표된 미국 5월 소비자심리지수가 한풀 꺾이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소폭 낮아지면서 달러화는 소폭 약세다. 달러인덱스는 26일(현지시간) 저녁 11시 15분 기준 104.70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주 장 마감 기준 105에서 하락한 것이다. 달러·위안 환율은 7.25위안대, 달러·엔 환율은 156엔 후반대에서 거래되고 있다.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하며 환율 상승을 지지하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2200억원대, 코스닥 시장에서 300억원대를 팔고 있다.환율이 1360원대의 레인지를 벗어날 모멘텀이 보이지 않으면서 수급도 월말 네고(달러 매도)와 저가 매수가 혼재되며 환율은 횡보세를 나타내고 있다. 외국계은행 딜러는 “1365원 위에서는 월말 네고가 있고 아래서는 사는 분위기”라며 “주식 시장이 좋은 상황이기 때문에 1370원까지는 못가고 그전부터 달러 매도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이 딜러는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2000억원 이상 순매도하고 있지만 선물 매수는 5000억원 이상 하고 있어서 외국인 순매도에 따른 환율 영향은 크게 없는 모습”이라며 “최근 미국 증시가 워낙 좋기 때문에 달러 환전 수요도 많다”고 말했다. ◇미 PCE 물가 경계 속 횡보세 지속이번주 외환시장에서는 미국의 4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표를 주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31일 발표되는 4월 미국 PCE 가격지수는 헤드라인 기준 전년대비 2.7%, 근원 기준 전년대비 2.8% 상승하며 전월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달러화의 추가 강세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4월 PCE 물가지표가 변수가 될 것”이라며 “지난 4월 소비자물가와 같이 PCE 물가가 미 연준의 금리인하 불씨를 다시 되살릴지가 달러화 흐름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외국계은행 딜러는 “PCE 물가는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고, 달러화는 하향 안정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계절적으로 달러가 크게 빠지는 상황이 아니고 양방향에서 수급이 있어서 이번주 환율은 의미없이 횡보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2024.05.27 I 이정윤 기자
방향성 탐색하며 저가매수…국고채 금리 1bp 내외 하락
  • 방향성 탐색하며 저가매수…국고채 금리 1bp 내외 하락[채권분석]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27일 국내 국고채 시장은 1bp(0.01%포인트) 내외 금리가 소폭 하락 중이다. 아시아 장에서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2.0bp 내린 4.453%를 기록하는 가운데 외국인은 3·10년 국채선물을 순매도 중이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10년 국채선물 가격 5분봉 차트(자료=마켓포인트)◇국고채 금리 일제히 하락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장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오전 11시50분 기준 3.411%로 0.4bp 하락하고 있다. 5년물과 10년물 금리는 각각 0.5bp, 1.4bp 하락한 3.435%, 3.493%를 기록하고 있다. 20년물과 30년물 금리는 각각 0.1bp, 0.8bp 하락한 3.439%, 3.352%를 기록 중이다.국채선물도 약세다. 3년 국채선물(KTB3)은 전거래일 대비 3틱 내린 104.46에 거래되고 있다. 10년 국채선물(KTB10)은 18틱 내린 112.57에 거래 중이다. 30년물은 26틱 내린 130.86을 기록 중이나 단 1계약 체결에 그쳤다.이날 장이 얼마나 잠잠한지는 3년 국채선물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날 3년 국채선물은 3틱 내 가격 흐름을 보이는데 104.45에 거래 59.5%가 몰려있고 나머지 가격 레벨인 104.44에 22.9%, 104.46에 17.5%로 집계된다. 수급별로는 3년 국채선물서 외국인 1673계약, 투신 143계약 등 순매도 중이고 금투 1224계약 등 순매수 중이다. 10년 국채선물은 외국인이 269계약, 은행 815계약 등 순매도, 금투 1382계약 등 순매수 중이다.◇“한산한 장세 예상, 의미있는 금리 변동 가능성 적어”이날 레포(RP)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bp 내린 3.55%로 출발했다. 이날 장 마감 후에는 메모리얼 데이로 미국장이 휴장인데다, 주요국 경기지표 발표도 없는 만큼 장이 조용한 모습이다.한 자산운용사 채권 운용역은 “금리가 위든 아래든 의미있게 움직일 가능성은 적다고 본다”면서 “미국채 10년물이 4.50%, 국고 10년물이 3.50%서 막히는 모습인데 주 후반 개인소비지출(PCE) 지표 발표와 내주 30년물 입찰을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시장은 조용하지만 참여자들의 방향성 탐색은 이번 주 본격화될 전망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올해 하반기 한국과 미국의 두 차례 금리인하를 전망, “지난 1995년과 1998년 그리고 2019년 연준은 보험용 금리인하를 실시한 전례가 있다”면서 “올해 하반기 금리인하 성격 역시 보험용 금리인하가 될 것”이라고 봤다.다만 신중론도 제기된다. 권기중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하와 관련한 추가적인 낙관론이 부각될 수 있으나 당분간 국내 채권에 대한 경계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면서 “시중금리가 이미 너무 큰 폭으로 하락한 만큼 기술적으로 되돌릴 여지가 크며 특히 회사채 시장이 국고채 시장보다 과도하게 반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짚었다.이어 “국고채 시장의 경우 향후 긴축 부담이 재차 부각될 시 그간 장기물 위주로 금리가 올랐던 스티프닝 압력을 기술적으로 되돌릴 명분이 더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4.05.27 I 유준하 기자
“생산비용 올랐는데 中企 범위기준 그대로…상향해야”
  • “생산비용 올랐는데 中企 범위기준 그대로…상향해야”
  •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중소기업 범위기준’을 상향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범위기준이 매출액으로 정해진 지난 2015년 이후 물가와 생산비용이 올랐지만 범위기준엔 변동이 없어 현장과 괴리감이 있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 범위기준 상향 필요성. (사진=중소기업중앙회)27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10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범위기준 상한 조정 관련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72.5%는 “중소기업 범위기준을 상향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현행 기준은 중기업이 업종별 매출액 400억~1500억원, 소기업은 업종별로 10억~120억원에 해당한다. 업종별 매출액 기준을 넘으면 중견기업으로 승격해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이 기준이 오히려 중견기업으로 성장을 꺼리는 ‘피터팬 증후군’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업계에서는 중소기업 범위기준을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2015년 이후 생산자물가는 20.7%, 국내총생산(명목GDP)은 34.9% 올랐으나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기업들은 범위기준 상향이 필요한 이유로 ‘원자재 및 인건비 등 생산비용이 증가한 만큼 매출액 기준도 올려야 한다’(45.0%)를 가장 높게 꼽았다. 이어 △물가 인상, 원달러 환율 상승 등 화폐가치 하락(30.3%) △경제규모(GDP) 확대 감안(24.7%) 순으로 조사됐다.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의 72.8%, 건설업의 77.0%, 서비스업의 70.3%가 상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상향 수준에 대해서는 매출액 기준을 평균 26.7% 올려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업종별 △제조업(25.2%) △건설업(22.1%) △서비스업(31.5%)으로 각각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10% 상향’ 의견이 46.8%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 상향’(37.5%), ‘50% 상향’(9.1%) 순이다. 특히 매출액 규모가 큰 기업군의 경우 모든 업종에서 평균 30% 이상의 상향 조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반면 범위기준 상향을 동의하지 않은 응답기업은 27.5%로 조사됐다. 상향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매출액이 큰 기업이 중소기업으로 편입되면 중소기업 지원제도의 경쟁이 심화될 것’이 50.2%로 가장 많았다.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경기변동에 민감한 지표인 것을 감안해 5년마다 재검토하도록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에 규정돼 있지만 현재까지 조정되지 않았다”며 “범위기준 상향에 대해 72.5%의 중소기업이 찬성하는 만큼 물가 상승과 경제규모 확대를 고려해 시급히 매출액 기준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정부도 이 같은 목소리를 반영해 기준 손질에 나섰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발표한 ‘중소기업 도약 전략’을 통해 중소기업 범위 기준을 개편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고물가, 산업변화 등을 감안해 범위 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2024.05.27 I 김경은 기자
美소비자 기대인플레 하향 조정…환율 1360원 중반대로 하락 출발
  • 美소비자 기대인플레 하향 조정…환율 1360원 중반대로 하락 출발
  •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60원 중반대로 하락했다. 미국 소비자심리지수가 꺾이고 기대인플레이션도 낮아지면서 달러화가 소폭 약세로 돌아선 영향이다. 사진=AFP27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오전 9시 40분 기준 전 거래일 종가(1369.5원)보다 2.6원 내린 1366.9원에 거래 중이다.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364.6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25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69.5원) 대비 2.65원 하락 개장할 것으로 예상됐다.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 종가보다 3.5원 내린 1366.0원에 개장했다. 이후 환율은 개장가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소비자들의 심리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5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69.1로 집계됐다. 6개월 만에 최저치로, 4월 (77.2) 대비 크게 급락했다. 이는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계속될것이라는 우려에 소비자들이 졸라 메고 있다는 뜻이다.실제 1년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는 3.3%로 직전월(3.2%)보다 소폭 올라갔다. 하지만 이달 초 발표된 3.5%보다는 낮아졌다.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는 3.0%로 직전월과 같았다.이에 달러화는 소폭 약세다. 달러인덱스는 26일(현지시간) 저녁 8시 40분 기준 104.73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주 장 마감 기준 105에서 하락한 것이다. 달러·위안 환율은 7.26위안대, 달러·엔 환율은 156엔대에서 거래되고 있다.장 초반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하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600억원대, 코스닥 시장에서 20억원대를 팔고 있다.
2024.05.27 I 이정윤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