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343건

지놈앤컴퍼니,마이크로바이옴 약물 작용기전 유전체 분석으로 규명
  • 지놈앤컴퍼니,마이크로바이옴 약물 작용기전 유전체 분석으로 규명
  • [이데일리 류성 제약바이오 전문기자] 면역항암제 개발기업 지놈앤컴퍼니와 광주과학기술원(이하 GIST) 연구팀이 함께 진행한 면역항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결과가 관련분야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Nature Microbiology)온라인 판에 12일 게재됐다.지놈앤컴퍼니(314130)와 GIST 연구팀은 이 논문에 모두 235명의 삼성서울병원 폐암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장내 유익균으로 알려진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비피덤)의 동일한 종(specie)이라도 균주(strain)마다 암 억제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연구결과를 게재했다. 특히 지놈앤컴퍼니와 GIST연구팀은 이 연구를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서 난제로 알려진 약물작용기전(MOA)을 규명하여 마이크로바이옴 항암제 개발 가능성을 한 단계 높였다는 평가다.연구팀은 다중오믹스(multi-omics) 분석을 통해 특정 마이크로바이옴 균주가 면역항암제(PD-1저해제)와 함께 투여될 경우, 해당 균주로부터 펩티도글리칸 및 L-트립토판 등과 같은 대사체가 분비됨을 확인했다. 이렇게 분비된 대사체들이 종양 미세환경에서 T 세포 및 NK세포를 활성화시켜 인터페론감마 등 항암 사이토카인을 분비함으로써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기전을 규명했다.이번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한 이세훈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이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실제 치료 중인 환자의 검체에서 시작한 연구이므로, 연구 결과를 임상 현장에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측면과, 세계 최초로 아시아인 비소세포성폐암에서 항암제 치료 효능을 높이는 마이크로바이옴 균주를 밝혔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며 “이번 연구결과가 기존 면역항암치료제에 추가적인 부작용 없이 효능을 올려 향후 환자의 치료와 예방 모두에 도움이 되는 결과가 나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놈앤컴퍼니는 이번 연구에서 유전체 분석 기법을 통해 기존 마이크로바이옴 약물작용기전(MOA)을 성공적으로 증명하며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기전 연구능력을 한단계 끌어올렸다고 자평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은 기존의 신약개발과는 다른 새로운 분야로, 약물작용기전(MOA)을 어떻게 규명해야 하는지가 업계 전체의 난제였는데, 지놈앤컴퍼니 연구팀은 이를 다중오믹스 기법으로 이를 해결해낸 것으로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탑 연구개발능력을 증명한 것” 이라고 평가했다.지놈앤컴퍼니는 이번 논문에서 밝혀진 면역항암 마이크로바이옴 기전연구를 기반으로 자사 주요 파이프라인인 면역항암제 GEN-001의 연구개발을 진행해왔다. 현재 한국과 미국에서 암환자 대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의약 전문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GBI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면역항암제 시장 규모는 2022년에는 758억 달러(약 9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01.12 I 류성 기자
  • [특징주]지놈앤컴퍼니, 마이크로바이옴 작용기전 네이처 게재에 ‘강세’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지놈앤컴퍼니(314130)가 세계최초로 아시아인 비소세포성폐암에서 항암제 치료 효능을 높이는 마이크로바이옴 균주 연구 결과를 네이처 마이크로 바이올로지에 게재해 강세다.1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25분 기준 지놈앤컴퍼니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3.97%(2900원) 오른 7만6000원을 기록 중이다.지놈앤컴퍼니와 광주과학기술원(이하 GIST) 연구팀의 면역항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결과가 관련분야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Nature Microbiology IF=15.54, JCR 저널 랭킹 상위 2.9%) 국내 시간으로 12일 오전1시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지놈앤컴퍼니와 GIST 연구팀은 총 235명의 삼성서울병원 폐암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장내 유익균으로 알려진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이하 비피덤)의 동일한 종(specie)이라도 균주(strain)마다 암 억제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서 난제로 알려진 약물작용기전(MOA)을 규명하여 마이크로바이옴 항암제 개발 가능성을 한 단계 높였다.회사 관계자는 “연구팀은 다중오믹스(multi-omics) 분석을 통해 특정 마이크로바이옴 균주(strain)가 면역항암제(PD-1저해제)와 함께 투여될 경우, 해당 균주로부터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 및 L-트립토판(L-tryptophan)등과 같은 대사체가 분비됨을 확인했다”며 “이렇게 분비된 대사체들이 종양 미세환경에서 T 세포(CD4+, CD8+등) 및 NK세포를 활성화시켜 인터페론감마(IFN-γ) 등 항암 사이토카인을 분비함으로써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기전을 규명했다”고 설명했다.이번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한 삼성서울병원 이세훈 교수는 “이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실제 치료 중인 환자의 검체에서 시작한 연구이므로, 연구 결과를 임상 현장에서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측면과, 세계 최초로 아시아인 비소세포성폐암에서 항암제 치료 효능을 높이는 마이크로바이옴 균주를 밝혔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며 “이번 연구결과가 기존 면역항암치료제에 추가적인 부작용 없이 효능을 올려 향후 환자의 치료와 예방 모두에 도움이 되는 결과가 나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지놈앤컴퍼니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유전체 분석 기법을 통해 기존 마이크로바이옴 약물작용기전(MOA)을 성공적으로 증명하며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기전 연구능력을 입증했다.
2021.01.12 I 유준하 기자
합참 "北, 10일 밤 열병식 실시 정황…한·미, 분석중"(종합)
  • 합참 "北, 10일 밤 열병식 실시 정황…한·미, 분석중"(종합)
  •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북한이 10일 밤 노동당 제8차 대회를 기념하는 군 열병식을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는 군 당국 분석이 나왔다. 열병식이 실제로 열렸을 경우 지난해 10월 이후 3개월 만이다. 이례적으로 짧은 간격을 둔 두 차례의 열병식이 열리는 셈이다.합동참모본부는 11일 “우리 군은 북한이 전날 심야 시간대에 김일성 광장에서 당 대회 관련 열병식을 실시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합참은 이같은 활동이 예행연습일 가능성도 있어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추적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전문 매체인 NK뉴스는 10일 북한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군 장비가 평양 김일성 광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북한이 8차 당 대회를 야간 열병식으로 마무리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NK뉴스에 지난해 10월 10일 열병식 이후로 볼 수 없었던 수준의 조명이 김일성광장에 켜졌다고 전했다.북한의 열병식 준비 움직임은 이미 인공위성 사진 분석 등을 통해 예견됐다. 인공위성 사진 전문 기업인 플래닛랩스에 따르면 지난 5일과 7일 촬영된 평양 미림비행장 위성사진에는 북한군 병사들이 행진 연습을 하고 있었다. 지난해 12월 말에도 수백 대의 군용 차량이 위성 사진에 포착됐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10일 당 창건 75주년 기념일에도 심야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신형 전략무기들을 동원한 열병식을 진행한 바 있다. 북한은 2012년 김정은 위원장 집권 이후 열병식을 총 9번 개최했다. 당대회 계기로 열병식이 이뤄진 적은 없었다. 북한이 지난 해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21.01.11 I 김관용 기자
박셀바이오, 7거래일만에 하락…거래정지 피할까
  • 박셀바이오, 7거래일만에 하락…거래정지 피할까
  • (그래픽=이데일리 이동훈 기자)[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투자위험종목에 지정된 박셀바이오(323990)가 거래 재개 이틀만인 8일 하락 마감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까지 사흘 연속 상승하더라도 투자위험종목 지정일 전일(5일 종가 26만200원)보다 낮으면 거래는 정지되지 않는다. 8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박셀바이오는 이날 전일대비 14.77%(3만9800원) 떨어진 22만97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12월 28일 9.96% 하락 마감한 이후 7거래일만에 하락세를 기록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오늘 하락한 박셀바이오는 투자위험종목 지정일(6일)이후 10거래일간 투자위험종목이 유지된다”며 “다만 이기간내에 3일 연속 상승하더라도 지정일 전일 종가(26만200원)보다 낮을 경우 거래가 정지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거래소는 1월 20일 박셀바이오의 투자위험종목 해제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이날 종가가 △5일 전날(T-5) 종가보다 60%이상 상승하거나 △15일전날(T-15) 종가보다 100%이상 상승하거나 △최근 15일 종가중 최고가 여부를 기준으로 한다. 만약 1월 20일 종가가 3가지 요건에 모두 해당되지 않을 경우에만 투자위험 종목에서 해제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하루씩 투자위험종목 지정 해제 요건 여부를 판단해 투자위험종목기간을 연장하게 된다. 투자위험 종목은 위탁증거금을 100% 납부해야 하며, 신용융자로 매수할 수 없다. 또 요건을 만족해 투자위험종목에서 해제되더라도 한 단계 낮은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된다.박셀바이오는 면역체계 전반을 활용해 항암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기업이다. 전남대 의과대학과 임상백신연구개발사업단에서 분사한 바이오벤처로 국내 면역학 전문가 이준행 대표와 혈액암 전공인 이제중 최고의료책임자(CMO)가 포진해 있다. 이제중 CMO는 201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박셀바이오 대표이사를 맡아왔다. 박셀바이오는 지난해 9월 22일 공모가 3만원으로 코스닥시장에 데뷔했지만 한달 가량은 공모가를 밑도는 부진을 보였다. 그러다 지난해 10월 26일 한양증권 보고서 발간이후 무서운 상승세를 기록하며, 지난해 1015%의 상승률로 새내기주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오병용 한양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10월 보고서에서 “수준이 다른 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이라며 “간암치료제 VAX-NK는 2016~2017년 진행된 임상 1상 데이터에서 투약 2개월뒤 11명중 4명에게서 완전관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완전관해는 CT나 MRI검사에서 암세포가 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는 “더 중요한 것은 임상 종료 이후 약 3년이 지난 지금까지 11명중 10명이 생존 중이고, 올(2020년) 1월 기준 중앙생존기간은 40개월에 달했다”며 “진행성 간암 표준치료제로 쓰이는 ‘소라페닙’의 반응률이 10% 내외, 중앙생존기간이 3개월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대단한 치료 효과”라고 분석했다.
2021.01.08 I 김재은 기자
거래 재개된 `투자위험종목` 박셀바이오, 공방 끝에 상승 마감
  • 거래 재개된 `투자위험종목` 박셀바이오, 공방 끝에 상승 마감
  • *수정주가 기준[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돼 6일 거래가 정지됐던 박셀바이오(323990)가 7일 결국 상승세로 마감했다. 만약 8일과 11일에도 상승세로 마감하면 12일에 또 다시 매매거래가 정지된다.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박셀바이오는 이날 장중 11.34%가량 하락하며 23만700원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전거래일대비 3.57%(9300원) 상승한 26만9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엔 29만9700원으로 30만원을 코앞에 두기도 했다. 이날 박셀바이오 거래량은 274만7600여주로 지난 12월 1일(351만4400여주)이후 최고 거래량을 기록했다. 이날 종가 26만9500원은 100% 무상증자를 반영한 공모가(1만5000원)대비 상승률 1697%에 달하는 수준이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5일 박셀바이오를 투자위험종목에 지정하면서 6일 하루동안 거래를 정지한다고 밝혔다. 투자위험종목은 종목 매수시 위탁증거금을 100% 납부해야 하고, 신용융자로 매수할 수 없다. 투자위험종목 상태에서 3일 연속 상승하면 상승률에 관계없이 하루간 거래정지된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되고 3거래일 연속 상승시 다음거래일에 거래가 정지된다”며 “거래정지가 풀리는 날 또다시 투자위험종목으로 재지정된다”고 설명했다.박셀바이오는 면역체계 전반을 활용해 항암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기업이다. 전남대 의과대학과 임상백신연구개발사업단에서 분사한 바이오벤처로 국내 면역학 전문가 이준행 대표와 혈액암 전공인 이제중 최고의료책임자(CMO)가 포진해 있다. 이제중 CMO는 201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박셀바이오 대표이사를 맡아왔다. 박셀바이오는 지난해 9월 22일 공모가 3만원으로 코스닥시장에 데뷔했지만 한달 가량은 공모가를 밑도는 부진을 보였다. 그러다 지난해 10월 26일 한양증권 보고서 발간이후 무서운 상승세를 기록하며, 지난해 1015%의 상승률로 새내기주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오병용 한양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10월 보고서에서 “수준이 다른 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이라며 “간암치료제 VAX-NK는 2016~2017년 진행된 임상 1상 데이터에서 투약 2개월뒤 11명중 4명에게서 완전관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완전관해는 CT나 MRI검사에서 암세포가 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는 “더 중요한 것은 임상 종료 이후 약 3년이 지난 지금까지 11명중 10명이 생존 중이고, 올(2020년) 1월 기준 중앙생존기간은 40개월에 달했다”며 “진행성 간암 표준치료제로 쓰이는 ‘소라페닙’의 반응률이 10% 내외, 중앙생존기간이 3개월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대단한 치료 효과”라고 분석했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2021.01.07 I 김재은 기자
  • [특징주]박셀바이오, 거래재개되자 또다시 급등세
  •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7일 거래가 재개된 박셀바이오(323990)가 또다시 상승세다. 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박셀바이오는 오전 9시 8분 현재 14.26%(3만7100원) 오른 29만3000원을 기록중이다. 박셀바이오는 이날 장초반 29만9700원을 기록하며, 30만원을 코 앞에 뒀다.한국거래소는 지난 5일 박셀바이오를 투자위험종목에 지정하면서 6일 하루동안 거래를 정지한다고 밝혔다. 투자위험종목은 종목 매수시 위탁증거금을 100% 납부해야 하고, 신용융자로 매수할 수 없다. 투자위험종목 상태에서 3일 연속 상승하면 상승률에 관계없이 하루간 거래정지된다. 박셀바이오는 지난 9월 22일 공모가 3만원으로 코스닥시장에 데뷔해 지난해 1015%의 상승률로 새내기주 1위에 오르기도 했다. 박셀바이오는 면역체계 전반을 활용한 항암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기업이다. 전남대 의과대학과 임상백신연구개발사업단에서 분사한 바이오벤처다. 국내 면역학 전문가 이준행 대표와 혈액암 전공인 이제중 최고의료책임자(CMO)가 포진해 있다. 이제중 CMO는 201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박셀바이오 대표이사를 맡아왔다. 자연살해(NK) 세포는 정상이 아닌 세포가 우리 몸에서 발견되면 가장 먼저 인식해서 공격하는 선천면역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활용해 회사가 개발 중인 항암면역치료플랫폼 ‘Vax-NK’는 첫 번째 적응증인 진행성 간암에 대해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완전반응(CR)을 보여 암을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관찰됐다는 평가다.
2021.01.07 I 김재은 기자
  • [특징주]엔케이맥스, 비소세포폐암 임상1/2a상 식약처 승인에 강세
  •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엔케이맥스(182400)가 3종 병용투여 국내 임상1/2a상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승인을 완료했다는 소식에 강세다. 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4분 기준 엔케이맥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27%(800원) 오른 2만5300원을 기록 중이다.엔케이맥스가 이번에 추가한 임상은 TKI(Tyrosine kinase inhibitor; 티로신키나아제 저해제) 치료에 실패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서울 소재 한 병원에서 진행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TKI 치료에 실패할 경우 현재 적합한 치료요법이 없는 상황”이라며 “TKI는 대표적인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암세포의 성장을 유도하는 티로신키나아제(Tyrosine kinases)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는 약물”이라고 설명했다. 임상은 총 2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우선 4개의 코호트로 환자를 분류해 슈퍼NK(SNK01)와 GC(Gemcitabine Carboplatin) 및 얼비툭스(성분명: Cetuximab)를 병용투여한다. 이번 임상에서는 슈퍼NK와 화학항암제/표적항암제 병용투여에 따른 투약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한다. △코호트1 및 코호트3의 환자군 12명에게는 슈퍼NK(40억개 및 60억개)와 GC를 병용투여하며, △코호트2 및 코호트4의 환자군 12명에게는 슈퍼NK(40억개 및 60억개)와 GC, 얼비툭스 3가지 약물을 병용투여한다. 이후 △ 용량제한독성(DLT; Dose Limiting Toxicity)가 발생에 따라 코호트 5 및 코호트6 진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김용만 엔케이맥스 연구소장은 “현재 TKI에 내성이 생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는 표준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기존 폐암 임상에서 이런 환자들에 대한 슈퍼NK의 치료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번 임상을 추진하게 되었다”며 “SNK01의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KI내성이 생긴 폐암세포주 2종(PC-9/GR, PC9/OR)을 대상으로 In vitro 실험을 진행한 결과 SNK01은 TKI 내성이 생긴 폐암세포주에서도 우수한 암세포 살상 효과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이어 “특히, 얼비툭스를 병용 처리했을 때 NK세포의 ADCC 기전을 통해 더 강력한 항암작용을 보였다. 표준치료 요법이 없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슈퍼NK라는 새로운 항암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1.01.07 I 유준하 기자
박셀바이오, `투자위험종목` 지정에 6일 거래정지된다
  • 박셀바이오, `투자위험종목` 지정에 6일 거래정지된다
  •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지난해 새내기주 상승률 1위에 오른 박셀바이오(323990)가 6일 하루간 거래가 정지된다. 투자경고종목 지정에도 불구하고 급등하면서 투자위험종목에 지정된 탓이다. 박셀바이오는 주가 급등에 따른 새해 첫 투자위험종목이자 거래정지 사례가 됐다.한국거래소는 5일 박셀바이오에 대해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돼 6일 하루 간 거래가 정지된다”고 밝혔다. 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박셀바이오는 전일대비 19.69%(4만2800원) 급등한 26만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무상증자 등을 반영한 공모가(1만5000원)대비 상승률은 1635%(24만5200원)에 달한다. 박셀바이오는 지난 9월 22일 공모가 3만원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지만, 공모가대비 10% 낮은 2만7000원을 시초가로 거래를 시작, 21% 이상 급락한 2만1300원에 첫날을 마감했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공모가를 넘어선 건 상장 한 달여 뒤인 10월 26일(3만1700원)부터다. 이날 한양증권은 박셀바이오에 대해 “수준이 다른 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이라며 “간암치료제 VAX-NK는 2016~2017년 진행된 임상 1상 데이터에서 투약 2개월뒤 11명중 4명에게서 완전관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완전관해는 CT나 MRI검사에서 암세포가 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오병용 한양증권 연구원은 “더 중요한 것은 임상 종료 이후 약 3년이 지난 지금까지 11명중 10명이 생존 중이고, 올 1월 기준 중앙생존기간은 40개월에 달했다”며 “진행성 간암 표준치료제로 쓰이는 ‘소라페닙’의 반응률이 10% 내외, 중앙생존기간이 3개월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대단한 치료 효과”라고 분석했다.이후 박셀바이오는 10만원까지 가파른 상승추세를 이어갔고,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다 지난해 12월에만 3배 가까운 상승률을 기록했다. 11월30일 종가(9만3400원)대비 12월 29일 종가(25만7400원)는 175%(16만4000원)나 급등한 수치다. 무상증자 권리락 반영일인 지난달 30일에도 상한가를 기록하며 16만7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12월 29일 투자경고 종목에 지정했고, 4일에는 위험종목 지정예고 및 매매거래 정지를 예고했다. 5일에는 박셀바이오에 대해 투자위험종목으로 최초 지정하면서 6일 매매거래를 정지한다고 밝혔다. 주가가 일정기간 급등할 경우 투자주의→투자경고→투자위험 종목의 단계로 시장경보 종목으로 지정된다. 투자경고 위험종목의 경우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 만약 박셀바이오의 5일 종가(26만200원)가 12월 30일(D-2) 종가(16만7300원)대비 40%이상 상승하고, 투자경고종목 지정(12월 30일) 전일 종가(12월 29일 종가 25만7400원·수정주가 기준 12만8700원 )보다 높은 경우 지정일에 하루간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박셀바이오 5일 종가는 12월 30일 종가대비 55.5%(9만2900원) 높고, 29일 종가보다 높아 6일 하루간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오는 7일 거래가 재개되더라도 주가가 추가로 상승하면 또다시 거래가 정지된다. 주가가 추가로 상승하지 않아 투자위험종목에서 해제되면 투자경고종목으로 한 단계 낮춰진다. 투자위험종목은 종목 매수시 위탁증거금을 100% 납부해야 하고, 신용융자로 매수할 수 없다. 투자위험종목 상태에서 3일 연속 상승하면 상승률에 관계없이 하루간 거래정지된다.박셀바이오는 면역체계 전반을 활용한 항암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기업이다. 전남대 의과대학과 임상백신연구개발사업단에서 분사한 바이오벤처다. 국내 면역학 전문가 이준행 대표와 혈액암 전공인 이제중 최고의료책임자(CMO)가 포진해 있다. 이제중 CMO는 201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박셀바이오 대표이사를 맡아왔다. 자연살해(NK) 세포는 정상이 아닌 세포가 우리 몸에서 발견되면 가장 먼저 인식해서 공격하는 선천면역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활용해 회사가 개발 중인 항암면역치료플랫폼 ‘Vax-NK’는 첫 번째 적응증인 진행성 간암에 대해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완전반응(CR)을 보여 암을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관찰됐다는 평가다. 박셀바이오는 관련 내용을 논문으로 작성해 발표한 후 본격적으로 라이선스 아웃(기술수출 계약)에 나설 계획이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2021.01.05 I 김재은 기자
2020년 돋보인 새내기 `박셀바이오`는 어떤 기업?
  • 2020년 돋보인 새내기 `박셀바이오`는 어떤 기업?
  • (그래픽=이데일리 이동훈 기자)[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2020년 증시에서 단연 돋보인 새내기주는 박셀바이오(323990)다. 박셀바이오는 면역항암치료제 신약개발기업으로 독창적인 항암면역치료 플랫폼이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다. 박셀바이오는 올해 상장 새내기중 주가상승률이 1000%를 넘어,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1조2500억원을 넘어선 상태다. ◇ 박셀바이오, 상장후 한달여 공모가 밑돌아 박셀바이오는 지난해 9월 22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공모주식수는 98만여주로 기관수요예측 경쟁률은 94대 1을 기록했다. 시장친화적 가격을 위해 공모가 희망밴드(3만~3만5000원) 하단인 3만원으로 결정했다. 주관사는 하나금융투자다. 박셀바이오가 상장이전부터 시장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건 아니다. 박셀바이오는 지난 9월 공모주 청약 당시 핌스, 비비씨와 일정이 겹치며 상대적으로 덜 부각됐다. 기술특례상장 기업임에도 환매청구권(풋옵션)이 부여되지 않아 더 리스크가 큰 것으로 평가됐다. 그 결과 지난 9월 10~11일 진행된 박셀바이오의 일반청약 경쟁률은 96.44대 1에 그쳤다. 통상 시장의 관심이 쏠리는 상장주 청약경쟁률이 세 자릿수 혹은 1000대 1을 넘어섰던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공모주 청약 열풍의 주인공인 카카오게임즈 청약경쟁률은 1524.85대 1을 기록한 바 있다. 자료:마켓포인트 (100% 무상증자 반영한 수정주가 기준)상장 첫 날인 9월 22일도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박셀바이오는 공모가대비 10% 낮은 2만7000원을 시초가로 거래를 시작, 21% 이상 급락한 2만1300원에 첫날을 마감했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공모가를 넘어선 건 상장 한 달여 뒤인 10월 26일(3만1700원)부터다. 이날 한양증권은 박셀바이오에 대해 “수준이 다른 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이라며 “간암치료제 VAX-NK는 2016~2017년 진행된 임상 1상 데이터에서 투약 2개월뒤 11명중 4명에게서 완전관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완전관해는 CT나 MRI검사에서 암세포가 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오병용 한양증권 연구원은 “더 중요한 것은 임상 종료 이후 약 3년이 지난 지금까지 11명중 10명이 생존 중이고, 올 1월 기준 중앙생존기간은 40개월에 달했다”며 “진행성 간암 표준치료제로 쓰이는 ‘소라페닙’의 반응률이 10% 내외, 중앙생존기간이 3개월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대단한 치료 효과”라고 분석했다.이후 박셀바이오는 10만원까지 가파른 상승추세를 이어갔고,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다 지난해 12월에만 3배 가까운 상승률을 기록했다. 11월30일 종가(9만3400원)대비 12월 29일 종가(25만7400원)는 175%(16만4000원)나 급등한 수치다. 무상증자 권리락 반영일인 지난달 30일에도 상한가를 기록하며 16만7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셀바이오는 지난 12월 14일 보통주 1주당 신주 1주를 배정하는 100% 무상증자(신주발행주식수 752만3000주)를 공시했다.◇ 면역체계 활용 항암치료제…무상신주 상장시 시총 2.5兆박셀바이오는 면역체계 전반을 활용한 항암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기업이다. 전남대 의과대학과 임상백신연구개발사업단에서 분사한 바이오벤처다. 국내 면역학 전문가 이준행 대표와 혈액암 전공인 이제중 최고의료책임자(CMO)가 포진해 있다. 이제중 CMO는 201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박셀바이오 대표이사를 맡아왔다. 자연살해(NK) 세포는 정상이 아닌 세포가 우리 몸에서 발견되면 가장 먼저 인식해서 공격하는 선천면역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활용해 회사가 개발 중인 항암면역치료플랫폼 ‘Vax-NK’는 첫 번째 적응증인 진행성 간암에 대해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완전반응(CR)을 보여 암을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관찰됐다는 평가다. 박셀바이오는 관련 내용을 논문으로 작성해 발표한 후 본격적으로 라이선스 아웃(기술수출 계약)에 나설 계획이다. 오병용 한양증권 연구원은 “VAX-NK의 임상 2상에서 NK세포를 임상 1상보다 2배가량 더 투여한다”며 “현재 진행 중인 임상 2상에서 첫 환자부터 완전 관해가 나왔다”고 밝혔다.현재 박셀바이오와 유사한 세포치료제 기업은 녹십자셀(031390) 녹십자랩셀(144510) 엔케이맥스(182400) 셀리드(299660) 에스씨엠생명과학(298060) 등이다. 녹십자셀 시총은 6400억원, 녹십자랩셀 9700억원, 엔케이맥스 7100억원, 셀리드 3900억원, 에스씨엠생명과학 5800억원 규모다. 박셀바이오의 현재 시총은 1조2500억원 수준이지만, 무상증자 신주가 상장될 경우 2조5000억원 이상으로 불어날 전망이다. 면역 세포치료제 바이오 기업중 가장 큰 시가총액을 부여받는 것이다. 2조5000억원 기준 박셀바이오의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는 스튜디오드래곤에 이은 14위다. 코스닥 상장 바이오 기업 가운데서도 톱 5(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씨젠, 알테오젠, 에이치엘비)와 제넥신(095700)에 이은 7위로 급부상한다. 박셀바이오 무상증자 신주 상장일은 1월 22일이다. ◇ 이익실현은 2024년부터…매출은 올해부터 가능할 듯기술력에 대해선 뛰어난 평가를 받고 있지만, 박셀바이오의 실제 이익 실현은 2024년부터나 가능할 전망이다. 아직 3년이나 남은 데다 최근 가파르게 급등한 만큼 투자엔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박셀바이오가 상장을 위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주요 연구개발 과제의 글로벌 기술이전(라이센스 아웃) 수익이 2021년과 2022년부터 본격화하고, 2023~2024년 Vax-NK, Vax-DC 제품 매출이 실적에 기여하기 시작할 전망이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동훈 기자)회사 측은 2023년 매출 155억원, 영업손실 26억원에서 2024년 매출 882억원, 영업이익 589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최종경 흥국증권 연구원은 “수익 시현 시점까지 꽤 긴 기간이 남아있지만, NK세포치료제 임상2a상 단계에 다다른 경쟁력을 높게 평가한다”고 말했다.선민정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박셀바이오의 면역세포치료제는 대부분 자가 방식으로 병원에서 시술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간세포암 환자 대상의 Bax-NK는 국내에서 자체 생산/판매될 예정”이라며 “임상 2b상 완료이후 조건부 승인을 통해 2024년부터 상업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발골수종 치료제인 Vax-DC와 교모세포종 치료제인 Bax-NK+DC, 췌장암과 난소암 치료제인 Vax-CAR-T는 글로벌 임상을 통해 라이센스 아웃시킴으로써 2022년부터 매출 발생이 기대된다”며 “박스루킨-15를 반려동물 전용 항암 면역치료제로 개발중으로 조기상업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2021.01.02 I 김재은 기자
  • [특징주]박셀바이오, 무상증자 권리락일에도 상한가
  •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무상증자 권리락일인 박셀바이오(323990)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전날에 이어 이틀연속 상한가다.3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 10분 현재 박셀바이오는 전일대비 29.99%(2만64000원) 오른 16만7300원을 기록중이다. 박셀바이오는 100% 무상증자 신주를 받을 수 있는 전날에 상한가로 마감한 바 있다.100% 무상증자 신주 배정 권리가 없는 이날에도 기준가 12만8700원 대비 20%대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박셀바이오는 지난 14일 보통주 1주당 신주 1주를 배정하는 100% 무상증자를 공시했다. 면역 항암치료제 개발업체인 박셀바이오는 지난 11월 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공모가 3만원대비 하락한 2만7000원에 거래를 시작, 상장 첫날 2만1300원으로 마감했다. 이후 간암치료제 기대감 등으로 연일 상승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나금융투자는 지난 24일 “파이프라인인 Vax-NK 세포치료제가 긍정적 임상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며 향후 항암 면역세포치료의 새로운 기대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 2016년 임상 1상을 시작한 Vax-NK는 1상에서 매우 뛰어난 임상 효과를 보여주기도 했다. 선민정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간세포암 치료 요법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간동맥내 항암주입요법’과 Vax-NK 투여를 병용한 임상 디자인을 적용, 1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진행했다”며 “그 결과 높은 객관적 반응률과 중앙생존기간 40개월로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2020.12.30 I 김재은 기자
IPO 신기록 파티…최고 수익률 `박셀바이오`
  • [아듀!2020 증시]IPO 신기록 파티…최고 수익률 `박셀바이오`
  • [이데일리 조용석 박정수 기자] 올 한해 ‘코로나19’ 악재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주식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기업공개(IPO) 시장도 전례 없는 기록을 쏟아냈다. 공모 기업 10개 중 8개가 공모가 대비 주가가 올랐고 200% 이상 수익률을 낸 비율도 10%에 육박했다. 새해에도 LG에너지솔루션, 카카오뱅크 등 IPO 대어(大漁)가 대기하고 있어 공모주 광풍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공모규모 전년 比 50%↑…기관·개인경쟁률 ‘역대최고’한국거래소와 IRP 컨설팅업체 IR큐더스 등에 따르면 올해 코스피·코스닥 신규 상장 기업은 76개사(스팩 제외)로 공모액 규모는 총 5조788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비 상장 기업 수는 1개 늘었으나 공모액 규모는 51.9%(2019년 3조8109억원) 증가했다. 올해 청약증거금은 총 295조5000억원으로 100조원 미만(96조8000억원)이었던 2019년 대비 3배가 넘어 역대 최고규모라는 게 증권업계의 평가다.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및 청약경쟁률은 최고 신기록을 다시 썼다. 카카오게임즈(293490)는 지난 8월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에서 ‘1478.53대 1’을 기록하며 이 부문 기록을 새로 썼고, 이루다(164060)는 지난 7월 ‘3039.55대 1’로 개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청약 경쟁률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기관 수요예측에서 경쟁률 ‘1000대 1’ 이상을 기록한 회사는 40개사로 전체의 절반(57.1%, 리츠 6개 제외)을 넘었고 일반청약 경쟁률이 ‘1000대 1’을 넘어선 회사도 33개사로 전체의 47.1%(리츠 6개 제외)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기관 수요예측 및 청약 경쟁률 ‘1000대 1’을 넘어선 회사가 각각 19곳, 13곳으로 올해보다 최소 2배 이상 적었다.뜨거운 공모 열기 속에 10개 회사 중 8개는 확정 공모가격이 회사가 제시한 공모밴드의 최상단 이상에서 결정됐다. 공모밴드 상단이상(초과포함)에서 공모가 확정된 회사는 56개사로 전체의 80%(리츠 6개 제외)에 달했고, 아예 가격밴드 자체를 초과해 확정한 회사도 9개나 됐다. 박석현 KTB투자증권 매크로팀장은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시장이 뜨거워지면서 상장하는 기업입장에서는 어느 때보다 공모가격을 잘 받을 수 있고, 투자자들은 수익을 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상승작용을 일으킨 것”이라고 설명했다.[디자인=문승용 기자]◇ 10개 중 8개 공모가 대비↑…박셀바이오 633%공모주 열풍만큼 새내기 종목들의 수익률도 준수했다. 24일 기준 올해 신규 상장한 총 76개사 가운데 주가가 공모가 대비 오른 곳은 58개사로 76.32%에 달한다. 새내기 종목 10개 중 8개가 공모 참여자들에게 수익을 안겨줬고, 4분의 1에 불과한 18개사만 공모가 대비 주가가 떨어졌다. 올해 신규 상장 기업의 공모가 대비 상승률(단순 합산 평균)은 66.7%로 전년(4.9%) 대비 60%포인트 이상 높았고, 공모가 대비 200% 이상 상승한 기업도 7개사로 전체의 9.2%에 달한다.새내기 주 중에선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기업인 박셀바이오(323990)가 공모가 대비 상승률이 633%에 달해 최고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박셀바이오는 청약경쟁률과 상장 당일 시초가 모두 부진했으나 파이프라인인 ‘Vax-NK’ 세포치료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상승률 2위는 ‘테슬라 효과’에 힘입어 가파른 주가 상승을 보였던 명신산업(009900)(532.3%)이 차지했고 이후 알체라(347860)(296.5%), SK바이오팜(326030) (249%), 포인트모바일(318020)(230.3%)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올해 상장 후 공모가 대비 가장 주가가 많이 떨어진 곳은 비비씨(318410)로 하락률이 40.1%다.◇ LG에너지솔루션 등 내년도 대어급 IPO ‘줄대기’증권가에서는 내년에도 풍부한 유동성 속에서 IPO 호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증시 호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는 없었던 공모규모 1조원 이상급 초대어급 IPO가 줄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올해 공모규모 최대는 빅히트(352820)로 9626억원이었다.내년 예상되는 대어급 IPO는 LG에너지솔루션(LG화학 분사기업), 크래프톤,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지, SK바이오사이언스 등이다. SK증권에 따르면 이들의 기업가치는 40조~50조원으로 추산되는 LG에너지솔루션을 포함해 약 78조원으로 추산된다. 이소중 SK증권 연구원은 “내년 대어급 업체들의 공모규모는 약 15조원으로 IPO 시장이 최근 5년간 가장 뜨거웠던 2017년보다 규모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며 “개인 투자자가 배정받을 수 있는 공모주 물량이 확대됨에 따라 대어급 업체들의 공모 청약에 대한 참여도가 이전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0.12.27 I 조용석 기자
명신산업 뛰어넘은 새내기株 어디?
  • [아듀! 2020 IPO]명신산업 뛰어넘은 새내기株 어디?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던 올해 증시 상승률만큼 새내기주들의 수익률도 고공 행진을 펼치고 있다. 특히나 개인투자자들이 대거 기업공개(IPO) 시장에 뛰어들면서 새내기주 대부분 흥행에 성공했다. 24일 한국거래소 및 기업설명(IR) 전문 컨설팅 기업 IR큐더스에 따르면 올해 신규 상장 기업(스팩 제외)은 76개사로 집계됐다. 특히 이들 기업의 공모가 대비 상승률은 66.7%(단순 평균)에 달한다. 지난해 신규 상장 기업의 공모가 대비 등락률은 4.9%에 불과하다.윤정한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올해는 부동산 규제와 함께 채권시장에 돈이 많이 풀리면서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몰렸다”며 “무엇보다 IPO 기업에 대거 자금이 쏠리면서 증시 상승과 함께 맞물려 새내주 주가가 대부분 올랐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새내기주 대부분이 코스닥 기업으로 해외 글로벌 동종(PEER) 기업 기준으로 공모가를 선정하다보니 공모가가 할인돼 투자자들이 대거 몰린 영향도 있다고 풀이했다.실제 올해 신규 상장한 총 76개사 가운데 주가가 공모가 대비 오른 곳은 58개사에 달한다. 4분의 1에 불과한 18개사만 공모가 대비 주가가 떨어졌다.기업별로 보면 올해 상장 후 공모가 대비 가장 주가가 많이 뛴 곳은 박셀바이오(323990)로 상승률은 633%에 달한다. ‘테슬라 효과’에 힘입어 가파른 주가 상승을 보였던 명신산업(009900)(532.3%)보다도 100%포인트 웃돈다. 상위권인 알체라(347860)(296.5%), SK바이오팜(326030)(248.9%), 포인트모바일(318020)(230.3%) 보다도 큰 폭으로 올랐다.9월에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박셀바이오는 2010년 2월에 설립된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기업이다.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및 임상백신연구개발사업단에서 분사해 창업한 기업으로도 알려져 있다.특히 박셀바이오 청약 경쟁률은 96.44대 1로 전체 청약경쟁률 평균(880.03대 1)을 크게 미치지 못했고 상장 당일에는 공모가(3만원)를 10% 밑도는 2만7000원으로 시초가를 형성, 종가는 2만1300원으로 하락 마감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지속해서 상승하면서 현재 주가는 21만9900원에 달한다.증권가에서는 여전히 박셀바이오에 대해 파이프라인 ‘Vax-NK’ 세포치료제가 긍정적인 임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며 향후 ‘항암 면역세포치료’ 부문의 새로운 기대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거라고 보고 있다. 지난 2016년 임상 1상을 시작한 Vax-NK는 1상에서 매우 뛰어난 임상 효과를 보여주기도 했다. 선민정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간세포암 치료 요법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간동맥내 항암주입요법’과 Vax-NK 투여를 병용한 임상 디자인을 적용, 1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진행했다”며 “그 결과 높은 객관적 반응률과 중앙생존기간 40개월로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박셀바이오는 임상 2a상은 1상보다 Vax-NK세포의 투여 횟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지난 10월부터 임상이 개시됐다. 선 연구원은 “지난 6월 임상2a상의 첫 번째 환자로부터 ‘완전 관해’ 반응이 나오면서 임상2a상에서도 뛰어난 효능 입증을 기대할 만하다”고 평가했다.한편 올해 상장 후 공모가 대비 가장 주가가 많이 떨어진 곳은 비비씨(318410)로 하락률이 40%에 달한다. 하위권인 젠큐릭스(229000)(-29.7%), 미코바이오메드(214610)(-29.0%), 엔피디(198080)(-24.5%), 에이플러스에셋(244920)(-22.4%)보다도 1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2008년 설립된 비비씨는 고분자 방사·가공기술을 기반으로 한 테이퍼모(미세 칫솔모) 제조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2019년 기준 국내 칫솔모 시장점유율 69%기록한 과점 기업으로 공모 당시 청약 경쟁률이 464.19대 1에 달했다. 한 증권사 스몰캡 연구원은 “비비씨는 상장 당시 피어기업 밸류에이션을 LG생활건강으로 잡아 높은 수준으로 공모가를 선정했다”며 “비비씨는 기업간거래(B2B) 기업임에도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기업인 LG생활건강과 비교하다 보니 무리하게 공모가를 잡은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비비씨 대표의 구주매출 이력이 개미투자자 사이에서 재조명 되면서 투자자들 신뢰가 떨어진 점도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국내시장 점유율 지속 상승, 우량 고객(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확보, 마스크 매출액 등을 이유로 들어 향후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는 크다고 분석했다. 윤 연구원은 “현대 비비씨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4배 수준으로 바닥을 다지는 수준”이라며 “법인 전환 후 매출이 역성장한 적이 없는 만큼 비비씨의 향후 비전은 밝다”고 설명했다.
2020.12.25 I 박정수 기자
  • [특징주]박셀바이오, 52주 신고가…항암 면역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기대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박셀바이오(323990)가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이 기대된다는 증권사 호평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6분 현재 박셀바이오는 전 거래일보다 3.24%(7000원) 오른 22만3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23만9800원까지 치솟아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이날 하나금융투자는 박셀바이오에 대해 파이프라인 ‘Vax-NK’ 세포치료제가 긍정적인 임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며 향후 ‘항암 면역세포치료’ 부문의 새로운 기대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거라고 내다봤다. 지난 2016년 임상 1상을 시작한 Vax-NK는 1상에서 매우 뛰어난 임상 효과를 보여주기도 했다. 선민정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간세포암 치료 요법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간동맥내 항암주입요법’과 Vax-NK 투여를 병용한 임상 디자인을 적용, 1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진행했다”며 “그 결과 높은 객관적 반응률과 중앙생존기간 40개월로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임상 2a상은 1상보다 Vax-NK세포의 투여 횟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지난 10월부터 임상이 개시됐다. 선 연구원은 “지난 6월 임상2a상의 첫 번째 환자로부터 ‘완전 관해’ 반응이 나오면서 임상2a상에서도 뛰어난 효능 입증을 기대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2020.12.24 I 박정수 기자
박셀바이오,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기대 -하나
  • 박셀바이오,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기대 -하나
  •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하나금융투자는 24일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전문 기업인 박셀바이오(323990)에 대해 파이프라인 ‘Vax-NK’ 세포치료제가 긍정적인 임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며 향후 ‘항암 면역세포치료’ 부문의 새로운 기대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거라고 내다봤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지난 2010년 설립된 박셀바이오는 선천면역을 총괄하는 NH세포, 항원제시 역할을 하는 수지상세포(DC), 적응면역을 다루는 T세포 등 항암 면역세포와 관련된 모든 영역을 다루는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전문 기업이다. 현재 박셀바이오는 NK세포를 활용한 치료제 파이프라인인 ‘Vax-NK’는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2a상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DC세포치료제인 ‘Vax-DC’는 다발골수종 치료제로 임상2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풍부한 임상 경험 및 생산 시설 등은 박셀바이오의 강점으로 여겨졌다. 선민정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전남대 병원의료진의 풍부한 임상 경험과 함께 세포치료제의 직접 생산이 가능한 GMP 시설 보유 등으로 인해 항암면역세포치료제 기업으로 향후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특히 회사의 파이프라인 중 지난 2016년 임상 1상을 시작한 Vax-NK는 1상에서 매우 뛰어난 임상 효과를 보여주기도 했다. 선 연구원은 “현재 간세포암 치료 요법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간동맥내 항암주입요법’과 Vax-NK 투여를 병용한 임상 디자인을 적용, 1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진행했다”며 “그 결과 높은 객관적 반응률과 중앙생존기간 40개월로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임상 2a상은 1상보다 Vax-NK세포의 투여 횟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지난 10월부터 임상이 개시됐다. 선 연구원은 “지난 6월 임상2a상의 첫 번째 환자로부터 ‘완전 관해’ 반응이 나오면서 임상2a상에서도 뛰어난 효능 입증을 기대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2020.12.24 I 권효중 기자
국민의힘 외통위 "삐라금지법, 국제사회서도 비판…끝까지 저항할 것"
  • 국민의힘 외통위 "삐라금지법, 국제사회서도 비판…끝까지 저항할 것"
  •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 일동이 22일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남북관계발전법 개정안)과 관련 “국민의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를 지키고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해 끝까지 문재인 정권에 맞서 싸울 것을 결의한다”고 밝혔다.지난 14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대북전단을 금지하는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이들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이 세계적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대북전단법으로 불리는 남북관계발전법 개정안이 오늘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됐다. 이 법은 대통령 재가를 거쳐 오는 29일 공포될 예정이다”이라며 “문재인 정권과 더불어민주당이 날치기 처리한 김여정 하명법은, 우리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반헌법적, 반인권적 과잉입법으로,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의 거센 비판을 받아왔다”고 강조했다.이들에 따르면 지난 11일, 미국 의회 내 초당적 기구인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 위원장인 크리스 스미스 공화당 하원의원과 미 의회 지한파 의원 모임인 ‘코리아 코커스’ 공동 의장을 맡고 있는 제럴드 코널리 민주당 의원도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에 우려를 나타냈다.영국도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데이비드 올턴 상원의원은 “영국은 한반도에서 평화와 인권을 증진하기 위해 오랜 기간 노력해왔고, 6.25 때 수만 명을 파병하며 희생을 감수한 것도 같은 이유”라면서 의회 내 ‘북한 문제에 관한 초당파 의원 모임(APPG NK)’을 대표해,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에게 ‘한국 정부가 대북 전단 금지법을 재고하도록 요청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앞서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국제인권표준에 도전’이라며 대북전단금지법 강행을 강하게 비난한데 이어, 휴먼라이츠워치 등 300여 개 비정부기구를 대표하는 47개 국제인권단체 역시 문재인 대통령 앞으로 공동서한을 보내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참여 등 한국이 북한 인권 문제에 전향적으로 나설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민주화된 이후 대한민국이 인권 문제 때문에 국제사회의 융단 폭격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며 “문재인 정권과 더불어민주당은 국제사회의 심각한 문제 제기를 완전히 무시하고 독재국가들이 할 법한 자기합리화에만 급급하고 있다”고 꼬집었다.이들은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비판하고 있는데도 이를 아랑곳하지 않고 내정간섭이라고 화를 내는 것은, 그동안 인권 문제가 제기됐을 때 북한이 보여준 행태와 똑같은 것이다. 또 우리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면서까지 김정은과 김여정의 비위를 맞추려는 모습이 마치 북한 통일전선부를 보는 것 같다”고 비꼬았다.그러면서 “반헌법적, 반인권적 대북전단금지법 저지를 위해, 위헌청구 소송 등에 나서겠다고 밝힌 개인 및 단체들과 연대하여 모든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또한, 남북관계발전법 개정안을 발의하여 문재인 정권과 민주당이 훼손하려는 국민 기본권 회복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다짐한다”고 했다.
2020.12.22 I 송주오 기자
  • 에이치엘비, 中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시 폐암·담낭암 완전 관해
  •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에이치엘비(028300)는 중국에서 수행된 리보세라닙(중국명 아파티닙)과 캄렐리주맙(PD-1 항체) 연구 임상 결과, 비소세포폐암, 담낭암에서 완전 관해가 관찰됐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10일 간세포암에 대한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의 병용임상에서 완전 관해가 관찰된 데 이어 또 다시 완전 관해 사례가 나오면서 리보세라닙의 뛰어난 약효와 범용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리보세라닙은 지난 ‘ESMO 2020’ 등 학회에서 위암, 폐암, 식도암, T세포종 림프암 등에서도 완전 관해 사례가 발표된 바 있다.이번에 진행된 담낭암 임상은 난징의과대 제1부속병원(the First Affiliated Hospital of Nanjing Medical University)에서 진행된 재발한 다수의 간전이가 있는 담낭암 환자에 대해 캄렐리주맙과 리보세라닙을 투여한 결과 종양의 완전 관해가 확인된 것이다. 특히 환자는 면역관문억제의 바이오마커인 종양변이부담(TMB), 현미부수체안정(MSS)이 낮을 뿐만 아니라 PD-1과 PD-L1의 발현도 낮은 것으로 확인돼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의 시너지효과를 검증한 사례다. 또한, 상해의 동제(Tongji)대학 등에서 진행된 비평편 비소세포폐암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에서도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투여받은 환자 중 1명의 완전 관해 사례가 관찰됐다. 객관적반응률(ORR) 30.9%, 무진행생존기간(mPFS) 5.7개월, 생존기간(mOS) 15.5개월을 보여주었고, 바이오마커 확인 결과 STK11/KEAP1 변이가 있는 환자에게서 더 유의한 결과를 보여줬다. 이번 임상 시험은 혈관내피세포수용체2(VEGFR-2)를 타겟으로 신생혈관의 생성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증식억제와 면역세포의 정상화를 촉진하는 리보세라닙이 면역관문인 PD-1의 발현을 낮추고 NK세포 등을 활성화해 종양미세환경내 면역을 효과적으로 활성시켜 준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에이치엘비 관계자는 “이미 니볼루맙(옵디보)과의 병용임상을 통해 리보세라닙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주는 등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높여준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며 “현재 당사가 캄렐리주맙과 병용으로 진행중인 간암1차 3상 임상 외에 다양한 고형암에 대한 면역항암제와의 병용임상을 빠르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0.12.22 I 김재은 기자
  • [특징주]엔케이맥스, 알츠하이머 임상 1상 투약일정 공개에 강세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엔케이맥스(182400)가 강세다. 알츠하이머 환자 대상 임상 1상의 투약일정을 공개한 것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2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11분 현재 엔케이맥스는 전 거래일보다 8.01%(1550원) 오른 2만900원에 거래되고 있다.이날 엔케이맥스는 알츠하이머 환자 대상 임상 1상의 투약일정을 공개했다. 엔케이맥스는 슈퍼NK 자가 면역세포치료제(SNK01) 10억개 투여 대상자 3명의 첫 투약 일정을 2021년 1월 29일로 확정했다. 본 임상 대상자에게는 3주 간격으로 SNK01을 총 4회 투약한다. 본 임상은 21명의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그 중 9명(Cohort1-3)은 SNK01 10억개, 20억개, 40억개를 투약해 최대 내성용량(MTD)을 평가하며, 12명(Cohort4)은 최대 내성용량의 안전성, 내약성 및 잠재적 유효성을 확인한다. 잠재적 유효성은 ‘알츠하이머인지세부척도(ADAS-Cog)’,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외 2가지 척도로 평가한다. ADAS-Cog는 알츠하이머 임상시험의 대표적인 평가지표로 널리 사용된다. 이외에 뇌척수액(CSF) 내의 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amyloid beta 42, T-tau, P-tau)을 확인하는 바이오마커도 유효성 평가지표로 사용한다. 박상우 엔케이맥스 대표이사는 “멕시코의 앙헬레스 병원에서 본 임상의 환자를 스크리닝 중이다”며 “최근 8명의 환자 선별을 마쳐 저용량 투여군(Cohort1) 일정을 확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알츠하이머는 올해 기준 전세계적으로 5000만명 이상의 환자가 있으며, 치료제 시장은 약 1100조원 규모”라며 “현재 글로벌 제약사들이 전세계 유일한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기대되는 슈퍼NK에 관심을 보여, 그들과 기술 협력을 논의 중이다”고 전했다.
2020.12.22 I 박정수 기자
  • 엔케이맥스, 알츠하이머 임상 1상 투약 일정 확정
  •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엔케이맥스(182400)가 알츠하이머 환자 대상 임상 1상의 투약일정을 22일 공개했다. 엔케이맥스는 슈퍼NK 자가 면역세포치료제(SNK01) 10억개 투여 대상자 3명의 첫 투약 일정을 2021년 1월 29일로 확정했다. 본 임상 대상자에게는 3주 간격으로 SNK01을 총 4회 투약한다. 본 임상은 21명의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그 중 9명(Cohort1-3)은 SNK01 10억개, 20억개, 40억개를 투약해 최대 내성용량(MTD)을 평가하며, 12명(Cohort4)은 최대 내성용량의 안전성, 내약성 및 잠재적 유효성을 확인한다. 잠재적 유효성은 ‘알츠하이머인지세부척도(ADAS-Cog)’,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외 2가지 척도로 평가한다. ADAS-Cog는 알츠하이머 임상시험의 대표적인 평가지표로 널리 사용된다. 이외에 뇌척수액(CSF) 내의 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amyloid beta 42, T-tau, P-tau)을 확인하는 바이오마커도 유효성 평가지표로 사용한다. 박상우 엔케이맥스 대표이사는 “멕시코의 앙헬레스 병원에서 본 임상의 환자를 스크리닝 중이다”며 “최근 8명의 환자 선별을 마쳐 저용량 투여군(Cohort1) 일정을 확정한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알츠하이머는 올해 기준 전세계적으로 5000만명 이상의 환자가 있으며, 치료제 시장은 약 1100조원 규모”라며 “현재 글로벌 제약사들이 전세계 유일한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기대되는 슈퍼NK에 관심을 보여, 그들과 기술 협력을 논의 중이다”고 전했다. 한편, 엔케이맥스는 현재 한국 1건, 미국 2건, 멕시코 2건의 임상을 진행 중이다. 미국 임상의 경우 머크·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동임상으로 진행한다고 밝혀 시장의 주목을 받은 바 있으며, 이 외에도 기술 이전(License-out) 등 다양한 방법의 협의를 진행 중이다.
2020.12.22 I 박정수 기자
‘대북전단법’ 역풍에도…정부, 입법절차 강행 예고
  • ‘대북전단법’ 역풍에도…정부, 입법절차 강행 예고
  •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일주일 전 국회를 통과한 이른바 ‘대북전단 살포금지법’(남북관계발전법 개정안)을 놓고 국제사회의 비판이 그치지 않고 있다. 미국 의회를 중심으로 시작된 문제 제기는 유엔으로 번지더니, 영국과 일본 등 자유진영 주요국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정부의 입장은 단호하다. 정부와 여권은 해당 법안이 ‘주권 사항’에 해당하는 만큼 후퇴 없이 입법 절차를 위한 후속조치를 강행한다는 방침이다. 남북관계 걸림돌로 작용해왔던 대북전단 관련법이 통과된 만큼 국제사회 부정 여론을 적극 방어해 남북관계 악화 요소를 정면 차단하겠다는 의지다. 정부의 외교력이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오른 것이다.21일 통일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미 의회를 중심으로 국제사회의 잇단 우려에도 대북전단금지법 시행 절차를 그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법안이 국내법인 만큼 ‘주권 사항’에 해당한다는 판단이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4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대북전단을 금지하는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된 뒤 박병석 국회의장이 감사 인사를 하자 손을 들어 화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비공개 회의에서 “내일 남북관계발전법이 국무회의 (의결 후) 공포될텐데 시행령 차원에서 법이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호 통일부 차관도 지난 20일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에 기고한 글을 통해 “북한 인권을 위해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권을 침해하는 것은 무책임하고 비효율적인 행동”이라고 비판하면서 “한국 정부는 법 이행을 위해 필요한 후속 조치를 철저히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통상의 절차에 따르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대북전단금지법이 정부로 이송돼 공포 뒤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발효된다. 이에 따라 내년 3월께부터는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전단 살포 행위 등 남북합의서 위반행위를 하는 경우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처벌할 수 있게 될 방침이다. 하지만 미 조야에선 법 시행 전 관련 개정법을 재검토하고, 수정해야 한다는 반응이 여전하다. 미국 의회 산하 초당적 기구인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는 해당 법에 대해 표현의 자유 침해, 과잉처벌 등을 지적하며 내년 1월 청문회 개최를 공언했다. 영국 데이비드 올턴 상원의원도 자국 정부에 ‘대북 전단 금지법’ 재고를 요청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마이클 커비 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위원장은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은 미국 새 행정부와의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정부는 대북전단금지법 방어에 팔을 걷어붙였다. “대북전단 살포가 북한 인권을 개선한다는 증거가 없다”며 반(反)민주ㆍ반인권적 입법이라는 국제사회 비판을 정면 부인하고 나섰다. 한국 정부의 입장은 일관된다. “인권은 타협할 수 없는 가치로서 어느 가치보다 존중하고 있다”면서 “다만 이번 법률 개정안은 접경지역 주민들의 생명 안전을 보호하려는 최소한의 조치다”라는 설명이다.외교부는 각국 공관을 통해 개정 법률안의 내용을 설명하고 설득해나간다는 계획이다. 통일부는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법안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균형 잡히지 않은 일부 의견이 국내·외에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폭넓은 소통으로 이해를 구해나가겠다고 밝혔다.법안을 주도해서 통과시킨 민주당은 더 강경한 모습이다. 민주당은 “미국 정치권 일각에서 한국 내정에 대한 훈수성 간섭이 도를 넘고 있다”며 “편협한 주장에 깊은 유감”이라고 맞섰다.외교가 일각에선 대북전단금지법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논란이 예상보다 가열되면서 인권을 중시하는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관계에 새로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책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바이든 행정부는 가치적 측면에서 인권을 1순위로 놓고 있다”며 “바이든 행정부와 관계를 유지함에 있어 대북전단금지법이 문재인정부에 큰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국제사회와의 갈등을 관리하면서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020.12.22 I 김미경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