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김교현 부회장 “국내서 녹색 신사업 어려워…글로벌 협력으로 대응”
  • 김교현 부회장 “국내서 녹색 신사업 어려워…글로벌 협력으로 대응”
  •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국내에서 수소·암모니아 생산 여건이 적절하지 않다. 개별 기업으로서 녹색 사업을 총체적으로 추진하기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글로벌 협력으로 대응하고 있다.”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부회장이 2일 KBCSD(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와 환경부가 주최한 최고경영자(CEO) 주도 고위급 민관 플랫폼 ‘제15회 KBCSD 리더스 포럼’에서 이같이 토로했다. 2일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된 ‘제15 KBCSD 리더스 포럼’에서 참석자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KBCSD 제공)최근 녹색 신규 시장 개척 의사를 공식화한 롯데그룹은 수소·암모니아, 배터리 소재, 자원 선순환, 탄소감축 등 4가지 부문의 그린 신사업 추진 계획을 밝히고 이 분야의 매출액을 2022년 1000억원에서 2030년 12조원으로 확대한단 목표를 밝힌 바 있다. 범용 석유화학제품의 업황 악화로 실적부진을 겪으면서 롯데그룹은 최근 최고경영자(CEO) IR데이에서 신규 시장 적극 개척 의사를 공식화했다.롯데케미칼은 특히 수소·암모니아 사업에 주력하고 있으나 기술 공백은 물론 경쟁력 있는 가격에 그린수소와 암모니아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다고 김 부회장은 호소했다. 그는 “롯데가 이미 국내 수소 유통 사업의 물량이 20%를 담당하고 있고, 특히 암모니아는 국내 공급의 70% 이상을 공급하는 최대 공급자가 된 만큼 이 분야에 대한 롯데그룹의 잠재력에 집중하려고 한다”며 “미국,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등 소규모 투자를 통한 해외 사업 역량을 확보한 만큼 이런 관계를 발전적으로 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생산·조달 여건이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해외 서플라이 체인을 확보가 경쟁력의 관건이란 판단이다. 김 부회장은 “녹색 신사업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관련 산업 생태계가 부족하고 법·규제 표준화 미흡, 핵심 기술 허들 등 개별입장에서 여러모로 어렵다”면서 “그럼에도 반드시 헤쳐나가야 하는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협력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국내 정부와 산업계가 주요국과의 ESG·탄소감축 기준에 대한 정합성을 제고할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시했다. 신사업 측면에서 국내 녹색 첨단산업 조기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표준화와 녹색금융 조달을 위한 국내외 시장선도자간 파트너십 발전 방안도 논의됐다.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한국형 탄소중립 전략사업에 대한 혁신적 규제완화와 선행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극 확대하고 저탄소 기술과 연계한 온실가스 감축을 규제시장에서 인정해주는 배출권거래제 방식의 제도화를 통해 탄소절감 투자에 우호적 환경조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경호 KBCSD 회장은 “최근 환경과 무역의 상호의존성이 커지면서 전세계적으로 통용가능한 친환경 표준 형성을 통해 국가 간 공정한 경쟁의 장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자산의 제품 생산방식을 탄소중립 기준으로 표준화함으로써 녹색산업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은 “국내 산업계가 ESG 자본시장에 진입하는데 있어 선발주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제도적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며 “기업의 녹색 첨단산업에 대한 혁신기금 조성과 투자세액공제, 핵심기술 인력양성 등 국가적 차원의 혁신적 제도 정비가 실현될 때 산업계 또한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ESG 신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한국형 CF연합(Carbon Free Alliance)을 결성을 제안한 이후 영국과 미국, 일본, 중국 등 국제사회의 전폭적 지지를 얻고 있다”며 “한국은 패스트 팔로워 전략을 버리고 우리 스스로 새로운 챕터를 열어 연합하는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3.11.02 I 김경은 기자
택시업계 요구 수용 나선 카카오…수수료 체계 일원화부터 매각 검토까지
  • 택시업계 요구 수용 나선 카카오…수수료 체계 일원화부터 매각 검토까지
  • 카카오T블루. (사진=뉴시스)[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강한 질책을 받은 후 수수료 체계 개편에 나서기로 했다. 카카오 본사에선 사회적 갈등이 심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카카오모빌리티는 1일 오후 윤 대통령의 질타 이후 당일 저녁 “가맹택시 수수료 등 택시 수수료 체계 전면 개편을 위해 택시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긴급 간담회를 개최하기로 했다”는 입장을 밝혔다.긴급 간담회와 관련해 택시업계와 논의된 바는 아직 없다. 한 택시단체 관계자는 “1일 저녁에 택시업계와 간담회를 하겠다는 내용의 공지문을 본 것이 전부”라며 “아직 연락을 받은 바는 없다”고 밝혔다.카카오모빌리티는 일단 내부에서 서비스 개편과 관련된 논의를 하고 있다. 윤 대통령 발언의 취지에 따라 내부 가이드라인을 정한 후, 택시업계와의 조율을 거쳐 간담회 일정을 잡겠다는 것이다.수수료 일원화해 3~4%로윤 대통령의 질책이 있었던 만큼, 가맹택시 수수료에대한 대대적인 개편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의 오해와 달리, 카모는 일반택시 호출에선 수수료를 받지 않고 가맹택시(카카오T블루)에 대해서만 수수료를 받는다. 그런데 수수료와 실질 수수료가 다르다. 카모는 100% 자회사 케이엠솔루션을 통해 가맹택시와 계약을 맺고 매출의 20%를 수수료로 받는다. 이와 별도로 카카오모빌리티가 가맹택시와 광고·데이터 등 업무제휴를 맺고 대가를 지급한다. 가맹수수료에서 업무제휴 대가를 지급하고 남은 실질 수수료는 3~4%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카모가 택시기사에서 받는 비용 자체가 높지는 않지만, 논란인 이유는 복잡성 때문이다. 자회사는 20%를 받고, 본사는 16~17%를 돌려주니 헷갈린다. 기사나 정부 입장에선 헷갈릴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의 지적대로 가맹택시 기사들에게 가맹수수료에서 업무제휴 대가를 제외한 금액을 한 번에 받는 안(3~4%)이 유력하다는 관측이다. IT업계 관계자는 “외부에서 ‘수수료 20%’라는 부분이 공격받기 쉬운 지점이었던 만큼, 개편을 통해 외부의 오해도 불식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일반택시 호출 포기 가능성도일반택시에 대한 호출 포기 가능성도 있다. 수수료를 받는 가맹택시만으로 택시호출 서비스를 운영하는 안이다. 카모는 문재인정부 시절 국토교통부가 2019년 마련한 ‘혁신성장과 상생발전을 위한 택시제도 개편방안’에서 나온 3가지 방안 중 플랫폼 가맹사업(타입2)과 플랫폼 중개사업(타입3)을 하고 있는데, 타입3를 포기한다는 의미다.업계 관계자는 “카모가 외부인으로 구성된 모빌리티투명성위원회를 구성해 공정성을 입증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택시 업계는 편파적 콜 배정을 비판하고 있다”면서 “가맹택시와 일반호출중개를 모두 해서 벌어질 수밖에 없는 사안”이라고 평했다. 그는 “플랫폼은 이용자 수를 기반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모델이 일반적임을 고려했을 때, 플랫폼 모델을 한국에선 할 수 없다는 의미여서 카카오의 일반택시 호출 포기가 무조건 반갑진 않다”고 부연했다.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시나리오도극단적으로 카카오가 카카오모빌리티를 매각하거나 택시 관련 사업을 포기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질적으로 경영 상황은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서, 택시업계와의 갈등으로 끊임없이 분란이 야기돼 카카오 공동체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에 기인한 관측이다. 애초 카풀 서비스를 준비했던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업계의 공적이 된 후 이를 포기한 바 있다. 이후 택시업계와의 협업을 앞세우며 호출 서비스와 가맹택시에 집중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호출 서비스의 압도적 점유율로 택시업계로부터 거센 공격을 받아왔다.과거 택시단체 간부를 역임했던 한 인사는 “타다 금지법 때도 확인했지만, 택시업계의 정치적 영향력은 막강하다”며 “카카오가 택시 서비스에서 영향력이 큰 만큼 앞으로도 끊임없이 택시업계의 견제를 받게 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2023.11.02 I 한광범 기자
정종연 PD 없는 ‘여고추리반3’, 인기 이어갈까
  • 정종연 PD 없는 ‘여고추리반3’, 인기 이어갈까
  • 왼쪽부터 박지윤, 장도연, 재재, 비비, 최예나, 정종연 PD(사진=티빙)[이데일리 스타in 최희재 기자] 정종연 PD가 ‘여고추리반3’ 연출에서 손을 뗀 가운데 오는 2024년 새 시즌 공개가 확정됐다.2일 티빙 측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여고추리반3’가 원조 추리반 멤버 박지윤, 장도연, 재재, 비비, 최예나와 함께 2024년 공개 예정이라고 밝혔다.티빙의 첫 오리지널 예능으로 주목받았던 ‘여고추리반’은 신선한 포맷과 출연진 조합, 정종연 PD의 노하우가 집약된 세계관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2021년 공개 이후 유료가입기여자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가 하면, tvN에서 방송되는 등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시즌2에서는 시즌1에 비해 시청UV가 약 120%(동일 기간 기준) 증가하는 등 뜨거운 인기를 입증했다. 이처럼 ‘여고추리반’은 티빙의 대표 IP로 자리잡으며 팬덤까지 형성했다.‘여고추리반’ 포스터(사진=티빙)‘여고추리반’은 추리예능의 대가 정종연 PD가 OTT 플랫폼에 새롭게 도전해 선보인 작품이다. ‘여고추리반’ 시즌1은 프로그램 소개부터 ‘대탈출’, ‘더 지니어스’ 제작진의 미스터리 어드벤처라고 설명했다. 그만큼 정종연 PD의 존재감은 컸다.이런 가운데 ‘여고추리반’이 새 출발을 알렸다. 다만 김태호 PD가 설립한 제작사 TEO로 거취를 옮긴 정종연 PD가 손을 떼고 앞선 시즌들을 함께했던 임수정 PD가 연출에 나선다. 공연희 작가, 황우택 무대 감독, 장연옥 미술 감독 등 기존의 제작진이 힘을 합친다.(사진=티빙 ‘여고추리반2’)다섯 멤버들의 근황도 눈길을 끈다. 맏언니 박지윤은 최근 최동석과 이혼 조정 중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결혼 후 14년만의 파경 소식에 관심이 쏠렸다. 비비(김형서)는 배우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는 올해 영화 ‘유령’, ‘화란’, 드라마 ‘최악의 악’으로 눈도장을 찍었다. 스브스뉴스 ‘문명특급’의 PD였던 재재 또한 SBS를 퇴사하고 방송인으로 활약 중이다.정종연 없는 ‘여고추리반’이 어떤 차별점을 가지게 될지, 기존의 인기를 이어갈 수 있을지 궁금증을 자아낸다.티빙 측은 시즌1과 시즌2에서는 보지 못한 현실감 있는 스토리와 특별한 장치가 더해져 역대급 소름 유발 추리 예능을 선보일 계획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2023.11.02 I 최희재 기자
"복잡한 공장 설립, 기술로 해결"…디플정, ‘간편 인허가 서비스’ 띄운다
  • "복잡한 공장 설립, 기술로 해결"…디플정, ‘간편 인허가 서비스’ 띄운다
  • 2일 서울 구로구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지역본부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위한 공장 간편 인허가 서비스 현장간담회’에 참석한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사진=김가은 기자)[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공장 설립 관련 법령과 절차, 제출 서류가 복잡해 대부분 대행사에 의존하고 통합 창구가 없어 원활한 서비스가 어려웠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간편 인허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이하 디플정) 위원장은 2일 서울 구로구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지역본부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위한 공장 간편 인허가 서비스 현장간담회’에서 “공장 간편 인허가 서비스는 후보지 추천이나 사전 컨설팅을 더 과학적으로, 디지털 기술로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생산성 향상:혁신에 데이터 기반 ‘디지털 트윈’이 많은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간편 인허가 서비스는 지난 4월 발표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 계획’ 중 하나다. 공장 설립에 필요한 복잡한 인허가 신청 과정을 디지털 트윈 등의 기술로 간소화해 불편함을 해결하는 점이 골자다. 공장입지 추천, 규제정보, 시설 시뮬레이션 등 사전 컨설팅과 인허가 준비부터 신청 및 처리, 결과 확인까지 제공하는 ‘원스톱 서비스’다.간편 공장 인허가 서비스 개념도(사진=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그간 공장을 설립하거나 이전하기 위해선 △토지 △건축 △환경 △지자체 조례 등 80개 이상의 법을 모두 확인해야 했다. 행정 지식이 없는 일반 국민이 이를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구조였던만큼, 전문 대행사나 별도 행정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간편 인허가 서비스는 공장입지 추천시 업종과 지역·면적 등을 검색하면 설립 가능한 토지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 평균 거래가, 편의시설 등 세부 기준과 분석 도구 등을 제공해 최적 입지를 추천해준다.시뮬레이션은 크게 ‘인허가 사전 시뮬레이션’, ‘디지털트윈 시뮬레이션’으로 나뉜다. 추천 입지별로 규제와 법령, 조례 등 적합도를 분석해 건축 가능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디지털트윈 기술로 자동 생성된 입체도면과 사업계획서 등을 사전심사 청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박종배 산단공 산단진흥실장은 “간편 공장 인허가 서비스가 실현되면 공장부지 탐색을 위한 시간·외부 컨설팅 비용 등 5년간 약 4200억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디플정은 지난 5월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과 ‘인허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현재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과정을 밟고 있다. 서비스 개시는 내년 말이다.고진 디플정 위원장은 “현재 추진 중인 121개 과제에 대한 예산 편성은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며 “앞으로 간편 인허가 서비스 등 과제가 잘 이행되고 있는지, 국민이 효과를 피부로 느끼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현장 행보를 더 넓게, 촘촘히 할 계획”이라고 힘줘 말했다.
2023.11.02 I 김가은 기자
씨플랫폼, 혼합현실 사업 론칭…메타버스 시장 공략
  • 씨플랫폼, 혼합현실 사업 론칭…메타버스 시장 공략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아이티센(124500)의 계열사 씨플랫폼은 메타버스 시장 진입을 위해 혼합현실(MR)비즈니스를 새롭게 론칭한다고 2일 밝혔다. (사진=씨플랫폼)회사 측은 MR 비즈니스 킥오프를 통해 산업용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혁신 방안과 국내 MR 시장 및 활용사례를 소개하며 IT산업의 미래형 비즈니스를 파트너와 함께 준비해가고 있다. 특히 씨플랫폼은 메타버스 솔루션의 국내 시장 확대를 위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클라우드 전문 파트너인 에쓰핀테크놀로지와 협력하기로 했다.회사 측은 MR 기기 시장 규모가 커짐에 따라서 회사의 외형성장도 이뤄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프레시던스리서치는 MR 기기 시장 규모는 지난해 67억8000만달러(약 9조원)에서 2026년 229억달러(약 30조원)로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씨플랫폼 김중균 대표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나 국내 굴지의 전자기업에서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MR비즈니스를 새롭게 론칭하게 되어 기대가 크다”며 “마이크로소프트사, 에쓰핀테크놀로지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MR 비즈니스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이승근 에쓰핀테크놀로지 대표는 “이번 씨플랫폼과의 파트너십은 국내 메타버스 솔루션 시장을 확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당사는 씨플랫폼과 함께 세미나, 웨비나, 전시회, 로드쇼 등을 통해 공격적으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는 것은 물론, 고객과 파트너에 홀로렌즈2를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 및 서비스 하겠다”고 전했다.
2023.11.02 I 이용성 기자
우리넷, 공연 컨벤션 사업 본격…내년 트로트 페스티벌 기획
  • 우리넷, 공연 컨벤션 사업 본격…내년 트로트 페스티벌 기획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우리넷(115440)(115440)은 자회사 제이스테어가 공연 컨벤션 사업을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사진=우리넷)제이스테어는 내년 봄 첫 행사 ‘트로트페스티벌’을 시작으로 K팝 공연과 유럽축구팀 아시아 투어 등 다양한 행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제이스테어는 공연 및 전시기획 전문 기업 스튜디오플래닛나인과 컨벤션 사업 공조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스튜디오플래닛나인은 K팝 해외공연을 기획, 제작한 미디어 컨텐츠 제작사다. 우리넷과 제이스테어는 국내외 행사를 통해 음악 시장을 포함하는 K컬처의 저변을 확대하고 전시와 공연 시장 지배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내년 봄 시즌에는 트로트페스티벌을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실무사업 추진 태크스포스(TF)팀을 구성했다. 국내 처음으로 열리는 트로트페스티벌은 5일 동안 4회 이상의 릴레이 공연과 부대행사를 기획한다. 회사측은 트로트페스티벌을 시작으로 해외 K팝 공연과 유럽축구팀 아시아투어 등의 스포츠 이벤트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최종신 우리넷 대표는 “우리넷의 안정적인 유무선 통신 IT 하드웨어 인프라 기반 위에서 K컬처가 가지고 있는 소프트파워의 확산과 전파는 상호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결합이 될 것”이라며 “K콘텐츠의 영향력을 극대화 시키는 플랫폼 비즈니스까지 사업영역을 역동적으로 확대해 가겠다”고 밝혔다.
2023.11.02 I 이용성 기자
尹 앞서 카카오 저격한 택시운전사는 '부산개인택시 이사장'
  • [단독]尹 앞서 카카오 저격한 택시운전사는 '부산개인택시 이사장'
  •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지난 1일 서울 마포구 한 카페에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에 참석해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카카오모빌리티의 독과점을 지적한 ‘택시운전사 김호덕씨’는 김호덕 부산개인택시조합 이사장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부회장이기도 한 그는 6년째 부산개인택시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택시기사 유니폼을 입고 회의에 참석해 카카오모빌리티를 강하게 비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마포구 한 카페에서 열린 제21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참석한 택시운전기사 김호덕씨와 인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부산택시 조합 이사장으로서 입장 전해”김 이사장은 2일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비상경제민생회의 참석 배경에 대해 “(카카오모빌리티와 관련해) 택시기사들의 입장을 알리러 갔다”고 밝혔다. 부산개인택시조합의 이사장으로서 조합원들의 이야기를 전했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의 요청을 받고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김 이사장은 카카오와 가맹계약을 체결한 조합원들의 어려움을 윤 대통령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부산개인택시조합의 조합원 중에는 카카오와 가맹계약을 체결하는 조합원도 있다는 것이다. 부산 지역엔 공공 플랫폼인 ‘동백콜’이 있다. 김 이사장은 이와 관련해 여러 차례 언론 인터뷰를 진행한 바 있다. 자회사는 떼고 모회사는 대가 지급..“택시기사 수입 부풀려져” 그는 “카카오가 매달 15일 가맹수수료를 빼가고 같은 날 업무제휴 계약에 따른 대가를 입금해 준다. 결과적으로 본인들에게만 유리한 구조이고, 택시기사들은 수입이 부풀려져 세금 등에서 피해를 보게 된다는 점을 윤 대통령께 말씀드렸다”고 설명했다.카카오모빌리티는 가맹사업자면허가 있는 100% 자회사 케이엠솔루션을 통해 가맹택시들과 가맹계약을 체결하고 매출의 20%를 수수료로 받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와 별도로 가맹택시들이 차량내 광고를 게시하고 차량 데이터를 주는 것에 대한 업무제휴 계약을 맺고, 가맹택시들에게 16~17% 대가를 지불한다. 금감원은 케이엠솔루션이 카카오모빌리티의 100% 자회사인 만큼, 두 계약을 사실상 하나의 계약으로 봐야 한다며 회계 기준 위반 소지가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카카오는 애초에 목적이 다른 계약인 만큼 별도의 계약으로 처리하는 것이 회계원리는 물론 경제적 실질에 부합한다고 반박하는 상황이다.김호덕 이사장은 윤 대통령에게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한 더 강력한 제재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윤 대통령에게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한 과징금이 너무 적다고 말씀드렸다. 과징금을 내더라도 카카오모빌리티에게 남는 장사”라며 “결국 공권력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3.11.02 I 한광범 기자
경동나비엔, 라이브커머스 누적 시청자 1000만명 돌파
  • 경동나비엔, 라이브커머스 누적 시청자 1000만명 돌파
  •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경동나비엔(009450)은 라이브커머스 채널인 ‘나비엔라이브’를 론칭한 지 2년 반 만에 누적 시청자 1000만명을 돌파했다고 2일 밝혔다.(사진=경동나비엔)경동나비엔에 따르면 지난 2021년 4월에 시작한 나비엔라이브는 경동나비엔이 ‘쾌적한 생활환경 파트너’로 도약하기 위해 시작한 의미 있는 시도 중 하나다. 특히, 우리 생활에 밀접한 필수 가전임에도 관련 정보를 찾기 쉽지 않았던 보일러, 청정환기시스템 등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등 고객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에는 청정환기시스템 렌탈케어 서비스도 나비엔라이브를 통해 소개하고 있다.방송에 출연하는 쇼호스트는 구매를 유도하는 멘트보다 사용법과 유지관리 팁 등 제품과 관련한 소비자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집중한다. 동시에 실시간 채팅으로 문의사항을 받은 뒤 제품 시연을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특히, 경동나비엔 임직원이 직접 출연해 제품이 주는 가치를 전문성 있게 전달한다.고객의 반응을 토대로 쌍방향 소통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방송 전후의 고객 반응을 토대로 개선점을 발굴하고, 이를 전사에 공유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방송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더불어 전담 운영 부서를 편성하고, 쇼호스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내부 직원 교육을 진행하는 등 운영 프로세스 역시 체계화했다.나비엔라이브에서는 보일러, 나비엔 청정환기시스템, 숙면매트 등 경동나비엔의 제품을 특별한 혜택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오는 11월 5일부터 30일까지는 나비엔 숙면매트 온수와 숙면매트 카본을 나비엔라이브를 통해 집중적으로 판매한다. 방송시간과 제품 모델 등 관련 자세한 내용은 경동나비엔 온라인 플랫폼인 나비엔하우스 내 ‘나비엔라이브’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나비엔 숙면매트는 나비엔라이브 외에 온라인 커머스와 홈쇼핑, 오프라인 양판점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김용범 경동나비엔 영업마케팅 총괄임원은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고객과 소통하고자 진행한 나비엔라이브를 통해 1000만명이 넘는 고객 여러분을 만날 수 있어 무척 영광스럽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궁금해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만들어 가는 데 함께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3.11.02 I 함지현 기자
스마일게이트, ‘시에라 스쿼드’ PC VR버전 정식 출시
  • 스마일게이트, ‘시에라 스쿼드’ PC VR버전 정식 출시
  • 사진=스마일게이트[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는 자체 개발한 가상현실(VR) 게임 ‘크로스파이어: 시에라 스쿼드’(이하 시에라 스쿼드)를 지난 1일 글로벌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시에라 스쿼드’ PC VR 버전은 밸브 인덱스, 오큘러스 리프트, 리프트 S, 퀘스트, HTC 바이브 등 9개 VR 기기를 지원하며 스팀에서 구입 가능하다. 가격은 출시 기념 10% 할인된 26.99달러다.‘시에라 스쿼드’는 글로벌 10억명 이상이 플레이한 ‘크로스파이어’의 지식재산(IP)을 VR로 확장한 첫 시도다. 13개의 캠페인 미션, 싱글 혹은 2인 협동으로 즐길 수 있는 50개의 스쿼드 미션뿐만 아니라 최대 4인이 함께 할 수 있는 호드 모드 등을 제공한다.‘시에라 스쿼드’ PC VR 정식 버전에는 플랫폼 간 크로스플레이도 가능해졌다. 또한 헤드마운드디스플레이(HMD) 호환성 개선과 밸브 인덱스, 피코, 바이브 시리즈의 컨트롤러 각도 개선 작업도 진행됐다. 각종 최적화 작업 외에도 초반 이용자 경험(UX) 및 게임 밸런스 수정, 리얼리즘 모드 초기 오픈, 멀티 플레이 공개 방 추가, 햅틱 수트 연동 작업 등 유저들의 다양한 요구 사항도 반영했다.한편, ‘플레이스테이션 VR2’(PSVR2) 버전으로 출시된 ‘시에라 스쿼드’는 호쾌한 슈팅감과 액션성을 인정받아 지난 9월 ‘플레이스테이션 블로그’에서 공개한 PSVR2 부문 ‘가장 많이 다운받은 게임’ 북미와 유럽 지역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닉스 게임 어워즈’에서도 플레이스테이션 게임 ‘VR/AR’부문 최우수상도 수상한 바 있다.
2023.11.02 I 김정유 기자
  • 한화시스템, K1전차 사통장치 PBL 체결…1467억원 규모(상보)
  •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한화시스템(272210)이 2일 방위사업청과 1466억9500만원 규모의 ‘K1전차 사통장치 성과기반계약(PBL)’ 외 3항목에 대한 판매·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건은 최근 매출액 대비 6.7% 규모로, 계약기간은 오는 2028년 9월 29일까지다. PBL(Performance BasedLogistics, 성과기반군수)은 주요 군수품의 안정적인 가동률 보장을 위해 무기체계를 개발한 업체가 운영, 유지, 성능개량 등을 담당하는 제도로 무기 체계 첨단화에 따른 운영 유지비의 최소화와 최상의 전투 준비 태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K1, K1A1 전차 사통장치는 전력화 이후 장기간 경과에 따라 단종품이 지속적 발생해 수리부속 공급과 정비 제한사항이 발생해왔다.한화시스템은 당사 부품 공급망 관리능력과 정비 노하우 등을 통해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고장발생시 신속한 부품지원으로 정비기간을 단축해 ‘K1전차계열사격통제장치’ 가동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금번 PBL사업에는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표준화된 MRO플랫폼을 최초 적용한다. 이번에 적용될 MRO플랫폼은 운영·유지 토탈원스탑(Total One Stop) 서비스로 운영, 정비, 기술 지원의 이력을 기록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장비의 효율적 운용·유지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이러한 표준화된 전산체계를 사용하면 예산 절감, 사용자 편의성 향상, 데이터를 활용 및 분석을 통한 가동률 향상 및 운영 유지비를 최적화 할 수 있다. 한개의 플랫폼에 전체 MRO비즈니스 및 운용·정비부대, 군수 지원 조직, 업체 등 다양한 고객들이 사용할 수 있어 향후 톰스 서비스 활용을 적극 확대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2020년부터 10년간 현재 군(軍)에서 운용중인 모든 K1A1전차의 조준경에 K2급 최신 열상장치를 적용하는 양산 사업을 맡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1990년 이전부터 K1전차의 포수 조준경, 전차장 조준경, 탄도 계산기를 제작해오며, K1A1전차부터 K2전차까지 조준경을 이용한 표적 획득, 사격, 확인 등 전체 사격 통제 과정을 관할하는 ‘사격통제 시스템’ 전문 업체로 인정 받고 있다.
2023.11.02 I 김경은 기자
경기도교육청 내년 예산 올해보다 3400억 준 21조9939억 편성
  • 경기도교육청 내년 예산 올해보다 3400억 준 21조9939억 편성
  •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경기도교육청의 내년 예산이 올해 본예산 대비 3406억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기도교육청은 21조9939억 원 규모 ‘2024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 내년 예산은 올해 본예산 22조3345억 원 대비 3406억 원 감소한수치다.경기도교육청 광교신청사 전경.(사진=경기도교육청)도교육청은 예산 감소에 따른 건전재정 기조를 확립하면서도 핵심 교육사업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 △에듀테크 활용 학력 향상 및 미래교육 체제 구축 △교육활동 보호 강화 △공교육 책임 확대 및 교육 사각지대 학생지원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등에 중점을 두고 예산안을 편성했다.특히 특수교육의 새로운 도약과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경기특수교육 활성화 3개년 계획에 따른 특수교육 활성화에 500억 원, 과대학교·과밀학급 해소에 4078억 원, 지역사회 협력에 기반한 학생 수요 맞춤형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지역교육협력 플랫폼(경기공유학교)에 228억 원을 편성했다. 또 학교로 교부하는 목적사업비를 대폭 줄이고 학교기본운영비를 늘려 학교 현장 예산 운영의 자율성을 강화했다. 2024년 예산 규모는 총 21조9939억 원으로 세입예산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7조3230억 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3조5521억 원 △기타수입 및 순세계잉여금 2188억 원 △기금전입금 9,000억 원이다. 주요 세출예산안은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력 향상 1947억 원 △미래교육 체제 구축 5670억 원 △교원의 미래교육 전문성 강화 227억 원 △경기형 미래역량교육 운영 89억 원 △미래형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 구축 1403억 원 △학생 맞춤형 진로·직업교육 활성화 618억 원 △균형 있는 인성·시민교육 운영 8억 원 △교육활동 보호 강화 75억 원 △교육공동체 자율성 확대 2조8846억 원 △공교육 책임 확대 1조3318억 원 △교육 사각지대 학생지원 2580억 원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3조7111억 원 △미래지향적 교육 행정 체계 구축 586억 원 △학교 지원 행정 강화 12조7461억 원을 편성했다.에듀테크를 활용한 학력 향상 사업은 △기초학력책임지도제 운영 370억 원 △학교 정보화 여건 개선 953억 원 △ICT 활용 교육 460억 원 △에듀테크 기반 교수학습 지원 등 164억 원이다.미래 교육 체제 구축사업은 △지역교육협력 플랫폼(경기공유학교) 228억 원 △미래교육협력지구 운영 155억 원 △과밀학급·과대학교 해소 및 학생 통학 지원 4,503억 원 △기초지자체 교육협력사업 등 784억 원이다.교원의 미래교육 전문성 강화 사업은 △교원 자격연수 120억 원 △교원역량 강화 등 90억 원 △국제문화교류협력 지원 17억 원이다.경기형 미래역량교육 운영은 △국제바칼로레아(IB)교육 운영 46억 원 △디지털시민교육 운영 43억 원이다.미래형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 구축 사업은 △외국어 교육 활성화 등 273억 원 △대학수학능력시험 269억 원 △도서관 운영 및 학교 도서관 지원 202억 원 △학력평가 관리 140억 원 △과학실 구축 및 과학교육 내실화 133억 원 △유아교육 지원 104억 원 △문화예술교육활동지원 102억 원 등이다.학생 맞춤형 진로·직업교육 활성화 사업은 △특성화고 운영지원 356억 원 △진로진학 및 직업교육 운영 149억 원 △특성화고 실습기자재 확충 113억 원이다.균형 있는 인성·시민교육 운영은 △인성교육 6억 원 △민주·세계시민교육 2억 원이다.교육활동 보호 강화 사업은 △교권보호 지원 45억 원 △ 학생생활지도 운영 30억 원이다.교육공동체 자율성 확대 사업은 △공립 학교운영비 및 사립 운영비 재정지원 2조7546억 원 △사립유치원 지원 1140억 원 △학원 및 평생교육 운영지원 145억 원 등이다.공교육 책임 확대 사업은 △누리과정 지원 1조67억 원 △어린이집 급식비 등 유보통합 운영 681억 원 △늘봄학교·돌봄교실·방과후학교 운영지원 1616억 원 △특수교육 지원 954억 원(특수교육 활성화 500억 원 포함) 등이다.교육 사각지대 학생 지원 사업은 △교과서 지원 1823억 원 △교육급여 및 교육비 지원 575억 원 △다문화 및 북한이탈주민 등 자녀교육 지원 92억 원 △대안교육 및 교육복지 우선 지원 62억 원 등이다.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사업은 △교육환경·시설안전 개선 1조3743억 원 △학교 신·증설 1조384억 원 △학교급식 운영 7639억 원 △학교 급식기구 및 시설 확충 1468억 원 △교직원 복지지원 873억 원 △학교 체육시설 여건 개선 및 학교체육 활성화 지원 등 779억 원 등이다.미래지향적 교육행정 체계 구축 사업은 △교원 및 교육전문직 인사 운영 430억 원 △지방공무원 인사관리 및 역량 강화 72억 원 △경기도교육연구원 운영지원 58억 원 등이다.학교 지원 행정 강화 사업은 △교직원 인건비12조1718억 원 △BTL운영비 3601억 원 △기관 기본 운영 및 시설관리 777억 원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 408억 원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296억 원 △교육정책 기획 및 홍보 100억 원 △예비비 350억 원 등이다.서혜정 경기도교육청 정책기획관은 “이번 2024년 예산안은 자율·균형·미래 기조하에 추진하는 경기교육 기본계획과 연계해 학교 교육력 강화를 위한 핵심 교육사업 중점 투자, 교육 현장의 여건과 사정에 맞는 재정 운용 자율성 강화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고 말했다.한편 경기도교육청이 제출한 2024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은 오는 11월 7일부터 도의회 본회의에서 심의 예정이다.
2023.11.02 I 황영민 기자
방통위, 시청자권익정보플랫폼 출범 기념식 개최
  • 방통위, 시청자권익정보플랫폼 출범 기념식 개최
  • [이데일리 전선형 기자] 시청자 권익보호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미디인’ 서비스가 본격 시작된다.2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시청자미디어재단과 ‘미디인’ 서비스 개시 기념 행사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가졌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방통위 시청자권익보호위원회 위원과 각 방송사의 시청자평가원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미디인은 방송에 대한 시청자의 이해와 참여·소통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지식정보, 의견수렴, 방송참여로 구성됐다. 지식정보 메뉴에서는 시청자와 방송 서비스의 개념부터 법·제도 현황까지, 방송과 시청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제도 전반을 안내한다. 특히 초고화질(UHD) 방송, 재난방송, 장애인방송 등을 손쉽게 시청하는 방법(방송시청가이드)과 방송상품 가입·이용·해지 등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청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내서도 제공한다.의견수렴에서는 방송 이용과정에서의 불편에 대한 조치 안내를 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온라인으로 불편사항을 문의하고 처리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다.방송참여는 시청자 모니터링 요원, 평가원, 참여프로그램 공모 등 시청자의 다양한 방송참여 방안과 미디어 교육정보를 안내한다. 방영된 우수한 시청자 참여 또는 평가프로그램도 볼 수 있다.기념식 이후에는 방송사 시청자업무 책임자 간담회와 시청자평가원 워크숍이 진행됐다. 미디인의 향후 운영방안과 시청자 권익관련 현안을 공유했다. 시청자평가원 워크숍에서는 ‘평가프로그램에서의 시청자평가원 역할 강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2023.11.02 I 전선형 기자
엔씨 명운 건 ‘TL’…‘12월7일’ 출격 확정
  • 엔씨 명운 건 ‘TL’…‘12월7일’ 출격 확정
  • 사진=엔씨소프트[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엔씨소프트(036570)의 명운을 건 신작 ‘쓰론 앤 리버티’(이하 TL)가 다음달 7일 출시된다. 특히 기존 엔씨의 대표 지식재산(IP)인 ‘리니지’식의 자동 전투와 페이투윈(P2W·과금으로 경쟁에서 이기는) 방식을 과감히 제외하며 변화를 예고했다. 글로벌 시장으로 향하는 엔씨의 ‘포스트 리니지’ IP 전략이 본격화할 전망이다.엔씨는 2일 온라인 론칭 쇼케이스를 통해 이같은 ‘TL’ 출시 일정과 비즈니스모델(BM) 및 핵심 콘텐츠를 공개했다. 공식 출시일을 한달 앞둔 이날부터 사전예약도 시작한다. ‘리니지’로 대표되는 엔씨가 ‘블레이드&소울’ 이후 11년 만에 선보이는 신규 IP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인만큼 ‘TL’에 대한 업계의 기대감은 상당하다.‘TL’을 총괄하는 안종옥 엔씨 프로듀서(PD)는 이날 쇼케이스에서 “‘TL의 공식 출시일은 다음달 7일로 확정했다”며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3’에서 주요 콘텐츠를 보여드릴 무대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PC와 콘솔 플랫폼으로 준비 중인 ‘TL’은 엔씨가 ‘리니지’ 이후 집중하고 있는 신규 IP다. ‘리니지’와 다른 색깔을 보여야 한다는 엔씨의 의지가 많이 반영됐는데, 대표적인 게 BM이다. 기존 ‘리니지’ 시리즈는 과금을 많이 해야 타인과의 경쟁에서 이기는 ‘P2W’ 방식이지만 ‘TL’은 이를 과감히 제외했다. 엔씨 관계자는 “‘TL’은 노(NO) P2W 게임”이라며 “배틀패스 형식으로 BM을 설정했다”고 설명했다.‘TL’의 BM은 △코스튬(의상)과 성장 지원 아이템으로 구성된 ‘패스형 상품’ △‘외형 꾸미기’와 개성에 따라 변형 가능한 ‘커스터마이징’ 상품 △이용자간 아이템을 사고 팔 수 있는 ‘거래소’ △구매 시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아미토이 및 야성 변신 상품 등 4종으로 구성됐다. 사실상 ‘확률형 BM’을 제외한 셈이다.안 PD는 “‘TL’의 패스형 상품의 핵심은 플레이하는 만큼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라며 “아미토이와 야성 변신은 외형적 가치에 비중을 둔 상품으로, 게임을 플레이해 습득할 수 있는 아미토이·야성 변신과 상품 사이에 성능 차이는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엔씨는 앞서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자동 전투 시스템도 없앴다. 국내 MMORPG에서는 대중적이었던 자동 전투이지만, 그간 게임의 재미를 떨어뜨린다는 비판도 동시에 받았던 방식이다. 안 PD는 “자동 전투를 없애면 비접속 상태에선 (이용자가) 게임에 관여하지 못하지만, 그 이상으로 접속시간에선 풍성한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엔씨는 국내에서 ‘리니지 라이크’(리니지류 게임) 장르를 만들 정도로 대표적인 IP ‘리니지’를 키워왔다. 하지만 지속적인 확률형 아이템·P2W 방식의 BM으로 국내 이용자들로부터 부정적인 인식을 받게 된데다, 북미 등 서구권 시장에 영향을 미칠만한 IP도 선보이지 못하면서 성장의 한계가 온 게 아니냐는 지적이 일었다. 이같은 엔씨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개발된 게임이 바로 ‘TL’이다. ‘리니지’와 다르면서 동시 글로벌 시장에서 흥행할 만한 ‘포스트 리니지’인 셈이다. 때문에 엔씨는 ‘TL’의 글로벌 퍼블리셔(유통사) 아마존게임즈와 함께 게임 전반을 수정하며 국내외 이용자들의 눈높이를 맞추는 데 전사적으로 매달려 왔다. 글로벌 출시는 내년이다.다만 이날 론칭 쇼케이스 이후 국내 게임 이용자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리니지’와 BM과 전투 방식이 다른만큼 기대된다”는 의견과 “정식 출시가 돼 봐야 실체를 알 수 있다”는 의견 등이다. 아직까지는 ‘엔씨=P2W’이란 인식이 여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날 엔씨의 종가는 전일대비 1.28% 남짓 오른 23만8000원을 기록했다. 안 PD는 “게임 외적으로도 풀어가야 할 과정들이 많다는 건 알고 있다. 회피하지 않고 숨김없이 헤쳐나가겠다”며 “게임 이용자들과 소통하는 시간도 점차 늘려가겠다”고 말했다.안종옥 엔씨소프트 ‘TL’ PD가 2일 온라인 론칭 쇼케이스에서 공식 출시일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엔씨소프트 유튜브 캡쳐)
2023.11.02 I 김정유 기자
경기도, 미래차·뿌리산업에 3년간 2000억 국비 프로젝트 추진
  • 경기도, 미래차·뿌리산업에 3년간 2000억 국비 프로젝트 추진
  •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경기도가 2026년까지 미래차와 뿌리산업 분야에 2000억 원에 가까운 국비 투입 프로젝트를 수행한다.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테크노파크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지역특화 프로젝트’ 공모사업에 선정됐다.경기도청 전경.(사진=경기도)이 프로젝트는 지방중기청이 지방정부와 함께 지역혁신 네트워크를 활용해 특색 있고 비교우위에 있는 프로젝트를 기획한 뒤, 가용한 효과적인 정책수단을 집중 투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기도는 미래차에 국비 포함 678억 원, 뿌리산업에 국비 포함 1,200억 원 등 3년간 총 1878억 원을 투입하는 프로젝트를 제출해 선정됐다. 중기부는 이달 중 국비 지원 규모를 결정할 예정이다. 미래차 분야 프로젝트명은 ‘경기도형 미래차 혁신생태계 조성’으로, 글로벌기업과 협력 가능한 핵심 자동차 부품기업 20개 사를 육성한다는 비전을 갖고 있다.구체적인 목표는 산학연관 협의체 가동, 이어달리기 중점지원 스타트업 10개 사 및 전기·수소차 부품기업 10개 사 발굴 지원, 연 450명 기술개발 인력양성 등이다. 도는 이를 위해 △미래차 진입 지원 플랫폼 구축 △미래차 창업공간 및 컨설팅 지원 △미래차 핵심기술 연구개발 지원 △미래차 부품 개발 인력양성 △경기도형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보급 △마케팅 및 수출바우처 지원 △자금융자 등 사업화의 전 과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도는 이같은 지역특화 프로젝트로 경기도 내 미래차 소부장기업들이 단기간에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뿌리산업 분야 프로젝트명은 ‘경기도 뿌리산업의 디지털 제조혁신을 통한 첨단화 지원(D-ROOT)이다. 첨단산업에 활용되는 정밀금형과 넓은 범위에서 범용되는 용접 분야의 디지털 전환 집중 지원을 핵심으로 유니콘 기업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이를 위해 △뿌리기업 공정 내 축적된 빅데이터를 활용해 제조 데이터를 가공하고 품질검증을 지원하는 ‘제조 데이터 활용’ △뿌리기술 전문인력 800명 양성 △공동연구기관의 인력·장비·기술을 활용한 뿌리기업 연구개발 지원 △이전 기술을 활용한 시제품 제작과 시험분석비를 지원하는 ‘뿌리기술 이전 지원’ 등 21개 사업을 추진한다. 중기부는 예산 지원과 프로젝트 관리를, 경기도는 프로젝트 수립과 참여기업 선정 및 사업 관리를, 경기테크노파크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각각 미래차와 뿌리산업 분야 프로젝트 기획과 사업 추진을 담당한다. 도는 이번 지역특화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미래차 산업, 뿌리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는 미래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위한 거점으로 도약하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미래산업의 필수요소인 미래차와, 모든 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의 육성을 통해 경기도가 대한민국 산업경제의 주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3.11.02 I 황영민 기자
AI 마스터링 ‘사운드플랫폼’, 시리즈 A 투자 유치
  • AI 마스터링 ‘사운드플랫폼’, 시리즈 A 투자 유치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인공지능 마스터링 솔루션 기업 사운드플랫폼(대표 서정훈)이 IBK기업은행, KB인베스트먼트, BNK벤처투자 등에서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2일 밝혔다.사운드플랫폼은 인공지능 마스터링 솔루션인 뮤닛(Munute)과 슬립테크 앱 서비스 잘자(Zalza), 기능성 사운드테라피 앱 서비스 뮤리프(Mulief)를 운영하고 있다.뮤닛(Munute)은 상업 음원 빅데이터의 딥러닝 학습을 통해 음악, 영상 등 오디오가 포함된 모든 콘텐츠를 상업 수준의 음원으로 가공하는 고품질 인공지능 오디오 마스터링(노래를 만든 뒤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최종 배포하거나 재생하기 위해 오디오 믹스를 준비하는 마지막 단계)솔루션이다. 음원뿐만 아니라 영상 오디오의 노이즈 제거 및 소리 증폭 등을 통해 세상의 모든 소리를 더 좋게 만드는 모든 사운드에 관한 플랫폼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잘자(Zalza)는 수면 사이클을 기반으로 전문 음악 연구원들이 작곡한 수면 음악을 숙면 상태의 뇌파동조를 유도하는 핑크 노이즈와 함께 제작하고 있으며, 뮤리프는 자사 자체 뇌파 주파수 변조기술인 F.O.R. Beats와 입체음향 기술이 적용하여 된 테라피 음악을 통해 사용자의 심신 안정, 집중력 증강 등을 돕는 서비스다.사운드플랫폼은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뮤닛의 마스터링 엔진 성능을 고도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현재 선행 업체와 동등한 성능 수준에서 나아가, 선행 업체들과의 기술 격차를 벌릴 수 있도록 마스터링 엔진의 압도적인 성능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시장을 필두로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을 진행중이다.서정훈 사운드플랫폼 대표는 “어려운 시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보수적인 금융권 투자기관으로 부터 좋은 기회를 얻어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대한민국의 음향기술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한편, 사운드플랫폼은 지난해 IBK기업은행의 창업육성 플랫폼 ‘IBK창공’ 대전 1기에 선정되며, IBK창공의 금융·비금융지원을 통해 서비스 기획, 런칭에 성공하였다. 또한 올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한 에서 최우수상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그래픽=문승용 기자)
2023.11.02 I 김현아 기자
첫 솔로 앨범 내는 정국 "퍼포먼스, 여러모로 역대급입니다"
  • 첫 솔로 앨범 내는 정국 "퍼포먼스, 여러모로 역대급입니다"
  • [이데일리 스타in 김현식 기자] “지금의 저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것들을 담은 앨범.”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정국은 첫 솔로 앨범 ‘골든’(GOLDEN)을 이 같이 소개했다. 정국은 2일 소속사 빅히트뮤직을 통해 언론에 공개한 앨범 소개 영상에서 “‘골든’은 ‘황금빛 순간’을 모티브로 삼은 앨범”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방탄소년단의 ‘황금 막내’로 불리던 시절부터 제 이름으로 나오는 앨범이 완성되기까지의 수많은 여정과 경험이 저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면서 “지금의 저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것들을 앨범에 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정국은 앨범을 총 11개의 트랙으로 구성했다. 싱글로 먼저 선보인 ‘세븐’(Seven)과 ‘3D’를 비롯해 ‘스탠딩 넥스트 투 유’(Standing Next to You), ‘예스 오어 노’(Yes or No), ‘플리즈 돈트 체인지’(Please Don’t Change), ‘헤이트 유’(Hate You), ‘썸바디’(Somebody), ‘투 새드 투 댄스’(Too Sad to Dance), ‘샷 글래스 오브 티어스’(Shot Glass of Tears) 등을 한 데 엮었다. ‘세븐’의 익스플리싯 버전(Explicit Ver.)과 ‘3D’의 클린 버전도 함께 수록했다.정국은 “앨범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말 많은 곡을 받았다”면서 “‘내가 잘하는 장르는 뭘까’, ‘도전하고 싶은 장르는 뭘까’ ‘부족한 게 뭘까’ 고민해보면서 저만이 소화할 수 있는 결과물을 만들고자 했다”고 밝혔다. 앨범을 영여곡으로만 채운 데 관해선 “해외 음악 시장을 목표삼아 준비한 앨범이라 영어곡을 선택한 것”이라며 “발음이 어려워서 고생했지만 결과적으로 전곡이 잘 나온 것 같다”고 했다. 이어 “다양한 모습을 보여드리기 위해 다각도로 고민하고 있다”며 “빨리 기회가 돼서 한국어 노래도 선물해드리고 싶다”고 했다.앨범 타이틀곡은 ‘스탠딩 넥스트 투 유’다. 디스코 펑크 장르의 올드 스쿨 사운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곡이라는 게 소속사의 설명이다. 정국은 “곡을 들었을 때 웅장함을 느꼈고, 무대 위에서 노래하면 정말 멋지겠다는 생각도 들어서 타이틀곡으로 적합했다”고 말했다. 퍼포먼스에 대해선 “감히 얘기하자면 여러모로 역대급이지 않나 싶다”며 “굉장히 열심히 준비했으니 많이 기대해 주셨으면 한다”고 당부했다.정국은 “노래, 춤, 음악 전부 다 완벽하게 보여드리고 싶다. 저만의 색깔을 만들고 싶어서 혼자 발성 연습도 많이 하고 모니터링도 자주하면서 보완하려고 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이어 “아직 부족하지만 다양한 곡을 불러도 위화감이 적고, 어울리는 면이 있는 목소리를 지닌 게 저의 장점이 아닐까 싶다”면서 “솔로 앨범은 처음이라 굉장히 뜻깊다. 이번 앨범을 어떻게 들어주실지 기대가 된다”고 설렘들 드러냈다.정국은 3일 오후 1시 각종 음악플랫폼을 통해 ‘골든’ 전곡 음원을 발매한다.
2023.11.02 I 김현식 기자
멜론, MMA2023 TOP10 투표 및 출석체크 이벤트
  • 멜론, MMA2023 TOP10 투표 및 출석체크 이벤트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멜론뮤직어워드(MMA2023)가 이번 해를 빛낸 아티스트를 선정하는 TOP10 후보를 공개하고, 투표에 참여하는 팬들에게 일일 행운의 선물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시작했다.카카오엔터테인먼트(대표 이진수, 김성수)의 뮤직플랫폼 멜론(Melon)은 2일부터 16일까지 MMA2023 TOP10 투표와 출석체크 이벤트를 진행하며, 참여자들을 위한 다양한 선물을 제공한다.MMA2023 TOP10 투표는 모든 멜론 이용자가 참여할 수 있으며, 출석체크 이벤트는 멜론 이용권을 보유한 회원만 참여할 수 있다.투표 후 출석체크를 완료하면 매일 다른 선물을 받을 수 있으며, 이 선물로는 디즈니 홈카페 유리컵 4P, 피자세트, 무선가습기, 요거트메이커 등 다양한 푸짐한 상품이 준비돼 있다.또한, 매일 출석체크를 완료한 참여자들은 멜론 인스타그램 팔로우 인증샷을 게시하여 MMA 초대권 보너스 경품에 응모할 수도 있다.MMA2023 TOP10 후보는 총 30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탄소년단 멤버들과 태양, 지수, 투모로우바이투게더, aespa, AKMU, BIG Naughty, IVE, LE SSERAFIM, NewJeans, NMIXX, STAYC, FIFTY FIFTY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후보로 선정됐다.뿐만 아니라 발라드 대표 주자들과 리메이크 곡 아티스트들도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음악 장르를 대표하는 아티스트들이 참여하고 있다.MMA2023 행사는 12월 2일에 인천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멜론과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아티스트와 팬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로 기대된다.티켓팅은 멜론티켓에서 1차와 2차로 진행되며, 1차 예매는 11월 6일에 멜론 골드등급 이상 회원에게 제공되고, 2차 예매는 모든 멜론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MMA2023 행사 당일에는 전국에서 인스파이어 아레나까지 이동할 수 있는 셔틀버스도 운행될 예정이며, 예약은 카카오T 앱 내 ‘T셔틀’ 메뉴를 통해 가능하며 다양한 지역에서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023.11.02 I 김현아 기자
KT에스테이트, 개인보관물류·호텔 3D 예약 스타트업과 제휴
  • KT에스테이트, 개인보관물류·호텔 3D 예약 스타트업과 제휴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KT에스테이트 리마크빌 부산역에 설치된 세컨신드롬의 개인보관물류 ‘다락’ 개인창고KT에스테이트 노보텔 앰배서더 동대문에 적용한 호텔 예약 루북의 ‘3D 연동’ 이미지KT에스테이트(대표이사 최남철)가 KT협업프로그램 ‘창업도약패키지’에 선정된 프롭테크 스타트업 2개사와 협업을 추진한다.‘창업도약패키지’는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경북대 테크노파크, 그리고 KT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3년에서 7년의 기업 도약기에 있는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스케일업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롭테크는 부동산 정보와 최신 정보기술을 결합한 부동산 서비스다.KT에스테이트는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해 ICT기반 부동산 사업의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부동산 디지털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췄다.KT에스테이트와 협업 중인 스타트업은 개인보관물류 솔루션 ‘미니창고다락’을 운영하는 ‘세컨신드롬’과 호텔 연회장 예약 플랫폼 기업 ‘루북’이다.먼저 ‘세컨신드롬’과 KT에스테이트는 기업형 임대주택 ‘리마크빌’의 입주민 서비스로 미니창고 ‘다락’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입주민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안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뒀다. 이 서비스는 이미 부산역에 위치한 ‘리마크빌’에서 시작됐으며, 동대문에 위치한 ‘리마크빌’에서도 내년 초에 시작할 계획이다.‘루북’과의 협업은 KT에스테이트가 운영 중인 호텔 연회장을 3D 형태로 구현해 고객들이 현장방문 없이 실제 공간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는 이미 노보텔 동대문에서 시작됐다. 고객들이 더 나은 정보를 얻고 원하는 객실을 예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KT에스테이트 ICT부동산본부장 임채환 전무는 “이 협업을 통해 부동산 디지털 경험을 향상시키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23.11.02 I 김현아 기자
불법 사이트 150여 곳 퇴출한 네이버웹툰 ‘美법원 소환장’ 성과
  • 불법 사이트 150여 곳 퇴출한 네이버웹툰 ‘美법원 소환장’ 성과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네이버웹툰이 미국 법원을 통해 발행한 ‘소환장(Subpoena)’ 조치로 해외 불법 사이트 150여 곳의 활동을 멈추게 했다. 네이버웹툰은 웹툰 업계에서 최초로 이러한 조치를 성공적으로 이뤄냈다.네이버웹툰은 지난 7월 미국의 대형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에 360여 개 불법 사이트 운영자의 개인정보 제출을 요구하는 소환장을 발행했다. 이러한 정보는 주소, 이메일, 결제 세부 정보 등으로 불법 사이트 운영자를 추적하고 검거하는 데 필수적이다. 소환장은 불법 사이트 운영자의 활동을 위축시키는 효과도 있었다.미국은 DMCA(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에 근거해 온라인 서비스 상에서 저작권 침해가 있는 경우 저작권자가 소환장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저작권 침해자로 의심되는 회원들의 개인정보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 창작자가 개별로 이를 진행하기에는 절차가 복잡하다. 네이버웹툰은 창작자들을 대리해 모든 비용을 부담하고 소환장 절차를 진행했다.네이버웹툰은 소환장에 기재한 360여 개의 불법 사이트 중 웹툰을 직접 불법 유포하는 대형 1차 불법 사이트를 포함해 약 150여 개 사이트가 완전히 삭제되거나 일시적으로 운영을 중지했다.이 조치로 인해 해당 사이트의 연간 이용자 방문 트래픽은 약 25억 회에 달하며, 이는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네이버웹툰은 이번에 확보한 불법 사이트 운영자 정보를 수사기관과 공유하고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 대응할 예정이다. 또, 불법 사이트로 인한 창작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이러한 조치에는 ‘툰레이더’와 같은 기술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신고, 법적 조치를 포함한 전방위 대응도 포함된다.네이버웹툰은 ‘웨이브(Wav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북미 지역의 불법 웹툰 사이트에 대응하고 있다. 불법 사이트 운영과 관련된 업체에 전방위로 집중 신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불법 사이트의 운영을 방해하고 피해를 줄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규남 네이버웹툰 법무실장 겸 안티 파이러시(Anti Piracy) TF장은 “이번 성과는 네이버웹툰 뿐만 아니라 불법 웹툰 사이트로 피해를 보고 있는 웹툰 업계 전체에도 도움이 되는 일”이라며 “불법 웹툰 근절을 위해 플랫폼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앞으로도 적극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3.11.02 I 김현아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