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분당서울대병원, 방사선 치료 필요성 예측 모델 개발
  • 분당서울대병원, 방사선 치료 필요성 예측 모델 개발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기동 교수, 경희대학교병원 산부인과 황우연 교수 연구팀이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의 필요성을 평가하는 예측 모델을 세계 최초로 개발, 수술 전 난소전위술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악성 종양으로 인한 여성 질환 중에 네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조기 진단 검사가 활성화되면서 전체 발생률은 감소했으나 생식 기능을 보존해야 하는 젊은 여성에서의 발병률은 증가하는 추세다. 자궁경부암 환자는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방사선 치료를 받는다. 조직검사 결과 암세포가 자궁 조직 주변이나 림프절을 침범하는 등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에 방사선 치료 대상이 되며 그렇지 않은 환자는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으면 난소의 기능이 상실 및 저하되기 때문에 수술 시에 미리 난소의 위치를 방사선 치료 범위 밖으로 옮기는 ‘난소전위술’이 권장된다. 그러나 난소전위술은 그 자체로 난소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복통, 낭종 발생, 혈관 손상 등 합병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에게만 난소전위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는 수술 전 난소전위술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표준화된 지침이 없는 상태다. 전적으로 담당 의사의 경험에 기반한 판단을 따르다 보니, 난소전위술을 시행했는데 조직검사 결과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기동 교수, 경희대학교병원 산부인과 황우연 교수 연구팀은 수술 전에 방사선 치료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후향적 연구를 실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한부인종양연구회를 통해 수집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자궁경부암으로 ‘변형 근치자궁절제술’ 및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받은 20세~45세 환자 886명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데이터에는 연령, 병력, 종양의 크기, 종양의 유형 등 다양한 수술 전 변수가 포함된다. 종양의 크기가 크거나 주변 조직으로의 침범 등 고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방사선 치료 위험을 양성으로 정의했다. 반대로 이러한 특성이 없으면 음성으로 정의했다. 이후 이를 기반으로 기계학습 분석을 통해 종양의 크기와 연령을 기준으로 4개의 하위 그룹으로 계층화 시켜 비교 분석했다.이들을 분석한 결과, 종양 크기가 2.45cm 이하인 환자는 13.4%, 종양 크기가 2.45cm 초과 3.85cm 이하인 환자는 43.3%의 방사선 치료 위험도(양성)를 나타냈다. 종양 크기가 3.85cm 초과하고 연령이 39.5세 이하인 환자는 84.4%, 종양의 크기가 3.85cm 초과하고 39.5세 초과인 환자는 88.5%의 위험도를 나타냈다. 방사선치료 위험 예측과 결정트리모델(A decision-tree model and predicted adjuvant therapy risk).김기동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폐경 전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전 예측된 위험도에 따라 난소전위술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으며 “해당 모델을 임상에 적용함으로써 환자가 중심이 되는 치료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부인과 종양학의 치료 표준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06.10 I 이순용 기자
BS산업, 시행·시공·금융 '토탈 부동산 솔루션' 선봬
  • BS산업, 시행·시공·금융 '토탈 부동산 솔루션' 선봬
  •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건설·에너지그룹인 보성그룹에서 디벨로퍼를 담당하는 종합부동산개발기업 ‘BS산업’이 개발, 시공, 금융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하는 ‘토탈 부동산 솔루션’을 선보인다.BS산업은 보성그룹 계열사인 ㈜한양 및 금융사와 함께 국내 최고 수준의 부동산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10일 밝혔다. BS산업이 보유한 개발 역량에 계열사의 시공, 금융 조달 역량까지 더해진 토탈 부동산 솔루션을 통해 부동산 개발 경쟁력을 강화한다.전남 해남군에 조성중인 ‘솔라시도’ 개발계획 조감도. (사진=한양)토탈 부동산 솔루션이란 개발, 시공, 금융 역할을 한데 모은 것으로 BS산업이 사업개발을 위한 디벨로퍼 역할뿐만 아니라 내부에 별도 금융팀을 운영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자금조달을 원활히 하고, 그룹 계열사인 한양이 준공·운영까지 하는 종합 부동산 서비스를 말한다.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시행사의 도산, 공사비 문제로 인한 시공사 교체, 금융권의 PF 자금 조달문제 등 시행·시공·금융 중 한 축에 문제가 생겨 지연 및 좌초되는 사업장이 속출하는 가운데 개발사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BS산업은 지난 7일 토탈 부동산 솔루션을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기존 영업기획팀과 개발팀을 토지사업팀과 솔루션제안 1·2팀으로 재편하고 외부 인재를 영입해 기능을 강화했다. 솔루션제안팀은 토탈 부동산 솔루션의 핵심부서로 신규 개발사업의 시행, 시공, 금융 업무를 아우르는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 또 사업지원을 위한 상품개발, 설계, 마케팅 전담 부서를 신설해 자체적으로 상품개발까지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토탈 부동산 솔루션은 BS산업이 개발 중인 솔라시도에도 처음 적용된다. 솔라시도는 전남 해남군 632만 평에 조성 중인 친환경 미래도시로, 재생에너지를 만들고 사용하는 에너지 자립도시이자 자율주행, 데이터센터 등 디지털 인프라를 적용한 스마트도시다. BS산업은 토탈 부동산 솔루션을 통해 솔라시도에 5000세대 규모의 세컨하우스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2025년 공급 예정으로 이달 중 국내 유수의 설계사무소들을 대상으로 설계공모를 진행한다.BS산업 관계자는 “부동산시장 침체로 개발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토탈 부동산 솔루션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들 것”이라며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세컨하우스 등 디벨로퍼가 도전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서 과감한 투자를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4.06.10 I 이윤화 기자
앰틱스바이오, 기술성 평가 통과…코스닥 상장 도전
  • 앰틱스바이오, 기술성 평가 통과…코스닥 상장 도전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미생물 감염병 혁신 신약 및 아토피 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앰틱스바이오(대표 이종승)는 한국거래소(KRX)에서 지정한 전문평가기관인 기술신용보증기금과 한국기술신용평가로부터 각각 A, BBB 등급을 받아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코스닥 시장 상장에 도전한다.기술성 평가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첫 관문으로,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의 핵심 기술과 성장 잠재력을 엄밀히 심사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통과하기 위해서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전문평가기관 2곳에서 A 등급과 BBB 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이종승 앰틱스바이오 대표는 “이번 기술성 평가 결과는 당사의 연구개발(R&D) 기술력과 다양한 성과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성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코스닥 상장 준비에 속도를 내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도전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상장 주관사는 대신증권과 유진투자증권이다.앰틱스바이오는 미생물 감염병 및 염증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신약 개발 전문기업으로, 약물 타겟 발굴부터 신규 약물 합성, 약물 전달까지 포괄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보건산업진흥원 등이 주관하는 정부 R&D사업을 수주하며 사업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항진균제 주요 파이프라인인 손발톱 진균증 치료제(ATB1651)는 임상 1상을 통해 안정성과 내약성을 비롯해 뛰어난 효능을 확인했으며, 현재 뉴질랜드에서 글로벌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또한 임상대상국가를 유럽의약품청(EMA)의 규제를 받는 동유럽 국가로 확대 중에 있다.ATB1651는 세포벽 내 세포막을 공략해 간이나 신장에 독성을 일으키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진균 세포에만 존재하는 세포벽 구성성분을 타깃으로 해 안정성과 효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새로운 작용기전을 바탕으로 진균을 완전히 제거하는 최초 혁신 신약(First-in-Class)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회사 측은 부연했다.앰틱스바이오는 ATB1651과 관련해 국내를 비롯한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서 특허권을 확보했으며, 해당 물질에 대한 연구는 의약화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JMC(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21년 11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는 등 학계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앰틱스바이오 관계자는 “혁신적 작용 기전을 갖는 항진균제 신약 개발 사업은 극히 드물다”며 “최근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이 항진균제 개발 기업과의 인수합병(M&A)에 수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는 만큼, 항진균제 시장과 앰틱스바이오의 성장 잠재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신규 파이프라인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ATB1606)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 지원과제로, 염증과 가려움증에 탁월한 효능을 보여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올해 임상 1상에 진입할 예정이다.이밖에도 앰틱스바이오는 단백질, 항체 등 다양한 약물의 전달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는 히알루론산(HA) 기반 신소재를 개발했으며, 약물 투여 시 약효를 장기간 지속하게 하는 서방출(徐放出) 약물전달플랫폼으로 최적화시키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해당 소재는 차세대 필러로도 개발 중이며, 지난 1월 해외 수출을 위한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적합성인정검사를 통과해 올 하반기 매출 발생이 기대된다.한편 앰틱스바이오는 지난해 12월 대상그룹의 지주사인 대상홀딩스㈜와 총 75억원 규모의 투자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2024.06.10 I 이정현 기자
데이터브릭스, 아파치 아이스버그 창시자 설립 ‘타뷸러’ 인수 합의
  • 데이터브릭스, 아파치 아이스버그 창시자 설립 ‘타뷸러’ 인수 합의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데이터 및 AI 분야의 기업 데이터브릭스(Databricks)가 데이터 관리 전문 기업 타뷸러(Tabular) 인수에 합의했다고 10일 발표했다. 타뷸러는 아파치 아이스버그(Apache Iceberg)의 창시자인 라이언 블루(Ryan Blue), 다니엘 윅스(Daniel Weeks), 제이슨 리드(Jason Reid)에 의해 설립된 회사다. 이번 인수를 통해 데이터브릭스는 오픈소스 레이크하우스 형식 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데이터 호환성을 선도해 조직들이 데이터 형식에 제약받지 않도록 지원할 계획이다.데이터브릭스는 이번 인수로 델타 레이크와 아이스버그 커뮤니티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형식 호환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협력은 초기에는 델타 레이크 유니폼(UniForm) 내에서 이루어지며, 장기적으로는 개방적이고 통일된 상호운용성 표준으로 발전할 전망이다.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와 형식 비호환성 해결2020년 데이터브릭스가 도입한 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는 기존 데이터 웨어하우징 워크로드와 AI 워크로드를 통합해 관리가 가능한 단일 데이터 사본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워크로드와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형 형식을 유지한다. 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는 데이터 접근을 보편화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반면, 독점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특정 SQL 엔진만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 제한적이다.현재 전 세계 기업의 약 74%가 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의 ACID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데이터 형식에 기반하고 있다. 데이터브릭스는 리눅스 재단과 협력해 델타 레이크 프로젝트를 출범시켰으며, 500명 이상의 코드 기여자와 함께 전 세계 1만개 이상의 기업이 매일 평균 4엑사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다.델타 레이크 유니폼과 형식 상호 운용성델타 레이크가 탄생할 당시, 라이언 블루와 다니엘 윅스는 넷플릭스에서 아이스버그 프로젝트를 개발해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 기부했다. 이후 델타 레이크와 아이스버그는 레이크하우스 형식의 주요 오픈소스 표준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두 표준이 독립적으로 개발되면서 데이터 호환성 문제를 일으켜 기업 데이터가 파편화되는 문제가 발생했다.데이터브릭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델타 레이크 유니폼(UniForm)을 발표했다. 유니폼은 델타 레이크, 아이스버그, 후디(Hudi) 간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며, 기업이 모든 데이터에서 익숙한 분석 엔진과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타뷸러 인수를 통해 데이터브릭스는 유니폼을 더욱 확장할 계획이다.공동의 개방성 약속데이터브릭스와 타뷸러는 오픈소스 형식을 옹호하는 공통점을 공유하며, 이번 인수는 클라우드에서 개방형 포맷과 오픈소스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브릭스의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준다. 이는 기업들이 데이터를 제어하고 독점 공급업체 형식의 종속성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한다.라이언 블루 타뷸러 공동창업자 겸 CEO는 “아파치 아이스버그를 개발한 이유는 정확성, 성능, 확장성과 관련된 중요한 데이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타뷸러가 데이터브릭스에 합류하여 개방형 레이크하우스 형식을 기반으로 최고의 데이터 관리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데이터브릭스의 타뷸러 인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6월 10일부터 13일(현지 시간)까지 열리는 데이터브릭스 데이터 + AI 서밋(Data + AI Summit)에서 확인할 수 있다.이번 인수는 관례적인 마감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데이터브릭스 회계연도 2분기 내에 완료될 예정이다.
2024.06.10 I 김현아 기자
딥큐어 ‘하이퍼큐어’ 美 FDA IDE 승인…PMA 임상 진행
  • 딥큐어 ‘하이퍼큐어’ 美 FDA IDE 승인…PMA 임상 진행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딥큐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HyperQure(하이퍼큐어)’에 대한 임상시험계획서(IDE)를 승인받았다고 10일 밝혔다. 하이퍼큐어는 저항성 고혈압 치료를 위한 세계 최초의 복강경 RDN 의료기기다.이번 승인으로 회사는 저항성 고혈압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이퍼큐어의 안전성과 유효성 확인에 나선다. 임상시험은 미국 주요 대학병원으로 스탠포드대, 메이요 클리닉, 에모리대, 캘리포니아대 어바인, 애리조나대 등 5개 기관에서 전향적, 다기관, 단일군, 오픈라벨(Open-label) 형태로 진행한다.하이퍼큐어는 FDA 의료기기 3등급(Class III)에 속한다. FDA는 품목허가 시 시판 전 승인(PMA) 절차를 따라야 하는 고위험 의료기기에 Class III을 부여한다.PMA는 시판 전 신고 형식의 인증인 510(k)와 달리 생명유지 보조장치와 같은 고위험 의료기기에 적용되는 승인 절차다. FDA의 매우 엄격한 심사와 평가를 통해 의료기기 승인 절차가 이뤄진다. IDE 승인만으로도 높은 수준의 과학적 근거와 비임상 실험자료의 완결성을 인정받는 것으로 여겨진다.현재까지 국내 의료기기 가운데 하이퍼큐어가 유일하게 PMA 절차를 통해 미국 임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MA 절차를 통해 의료기기의 최종 승인을 받을 경우 6년간 임상 데이터에 대한 독점권이 부여돼 높은 진입장벽을 구축할 수 있다.딥큐어 관계자는 “하이퍼큐어는 국내에서 개발한 의료기기 최초로 FDA의 가장 까다로운 의료기기 승인 방식인 PMA 대상 임상시험을 진행한다”며 “이번 IDE 승인을 계기로 글로벌 임상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2024.06.10 I 이정현 기자
"암교육프로그램 사망률 감소 효과"
  • "암교육프로그램 사망률 감소 효과"
  •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진단시 암교육을 받은 환자와 교육을 받지 않은 환자의 사망률이 달랐다. 체계적인 암교육이 치료과정에 포함되면 암 생존율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게 과학적으로 증명된 셈이다.삼성서울병원 암병원(병원장 이우용 대장항문외과 교수)은 지난 2008년 국내 최초로 암교육센터 문을 열고 암환자 웰니스교육을 국내에서 가장 먼저 치료의 과정으로 도입했다.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는 환자와 가족이 암치료 중 스트레스를 다스리고, 질병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암의 이해와 치료 방법 교육, 부작용 관리, 심리사회적 지지, 치료 중·후 일상생활에 관한 교육 등을 다양하게 제공해 왔다. 당시만 하더라도 병원도, 환자도 생소한 분야였지만 지금은 주요 병원들이 암교육센터를 설립해 운영 중이고,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도 전국 14곳에 설치되어 있다. 16년 사이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이 시작한 새로운 암 치료 체계가 전국적으로 확산한 셈이다.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암교육센터 조주희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세계기분장애학회 공식 학술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최근호에 이 같은 내용으로 보고했다. 암 진단시 디스트레스를 호소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과 지지를 제공하면 암환자의 초기 사망 위험을 27% 낮출 수 있다는 결과다. 디스트레스는 스트레스를 좋은 쪽과 나쁜 쪽으로 나눴을 때 나쁜 쪽에 해당하는 것으로, 암환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정서적 어려움을 통칭하는 말로 쓰인다. 암 진단시 우울, 불안과 함께 매우 흔하게 나타나고, 암환자의 약 40%가 심각한 디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연구팀은 2014년 7월부터 2017년 12월 사이 암을 새로 진단받고, 심각한 디스트레스를 경험한 4880명의 환자 중 암교육을 받은 810명과 받지 않은 4070명의 1년 사망률을 추적 관찰했다. 암교육센터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치료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 증상 관리 교육, 심리사회적 지지교육 등으로 나뉘는데, 스트레스 관리 교육, 멘토링 프로그램,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 이해, 외모관리, 미술치료, 음악치료, 웃음치료, 원예치료, 암과 부부의 성교육 등이다. 현재 대면, 비대면으로 총 22개 교육이 진행되고, 138종의 교육자료가 환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월 평균 600여 명의 환자가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연구팀에 따르면 디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교육의 효과는 분명했다. 두 집단간 1년 사망률을 1000인년당 비교한 결과 교육 중재군은 5.5%였던 데 반해, 비중재군은 7.6%로 더 높았다. 교육을 받은 환자들의 1년 내 사망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뜻이다. 사망위험을 낮추는 효과는 나이가 젊은 환자인 경우 더욱 도드라졌다. 60세를 기준으로 50세 미만 환자에서는 63%, 50대 환자에서는 54% 가량 사망 위험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해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대장암센터 김희철?신정경 교수(대장항문외과), 암교육센터 조주희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팀이 미국외과학회지(Annals of Surgery)에 발표한 연구와 같은 맥락으로 풀이됐다. 해당 연구에서 수술 치료가 가능한 대장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와 재발·사망 사이의 연관성이 규명됐다. 디스트레스 정도가 컸던 대장암 환자들은 재발과 사망 위험도가 최대 84% 높았다.4기 대장암 환자에서는 153%까지 치솟았던 것으로 나타나 디스트레스 관리가 환자 치료에 중요한 요인이란 점을 암시했다.조주희 교수는 “암을 치료하기에 앞서 적절한 교육과 지지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환자들의 예후가 좋다는 것은 치료의 영역에서 암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근거”라며 “다양한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면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 뿐 아니라 생존율을 높이는 데도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은 환자 중심 포괄적 암치료의 새로운 장을 만들어 갈 예정이다. 지난 2014년 디스트레스 상담실 운영을 시작한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은 올해 디스트레스 스크리닝 고도화를 계획하고 있다. 암을 처음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했던 것을 모든 암환자, 암의심환자로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또 모바일 문진으로 환자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알고리즘을 개발해 환자 상태에 맞춰 적극적으로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통증, 수면 등 암 치료에 따른 동반 질환은 암치유센터에서, 우울증 고위험군에 해당하면 자동으로 정신건강클리닉 협진을 받아볼 수 있도록 체계를 정비했다. 뿐만 아니라 수 십 년 근무 경력의 베테랑 간호사를 ‘퍼스트 케어기버’로 배치하여 병원 내원한 환자들을 진료 전 사전 상담으로 돕고, 환자들의 어려운 속사정을 헤아릴 수 있도록 디스트레스 상담실에서 사회복지사의 활동도 강화하기로 했다.이우용 암병원장은 “암치료는 이미 잘하는 병원으로 인정받은 만큼 환자와 가족이 직면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과 두려움을 해소하고,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치료 너머 치유를 생각하는 새로운 암치료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이우용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장이 지난 5월 25일 열린 항암치료 중 암환자 외모관리 워크숍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은 암환자의 스트레스 관리가 치료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여기고 적극적인 중재에 나서고 있다.
2024.06.10 I 이순용 기자
신한라이프, 여성 생애주기 맞춤 보장 상품 출시
  • 신한라이프, 여성 생애주기 맞춤 보장 상품 출시
  •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신한라이프는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보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한건강보장보험 ONE더우먼(무배당, 해약환급금 미지급형)’을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신한건강보장보험 ONE더우먼’은 여성에게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질환뿐 아니라 여성의 삶에 있어 중요한 이벤트인 임신과 출산을 비롯해 갱년기 질병까지 보장하는 여성특화 건강보험이다.이 상품은 호르몬 변화나 가족력에 따라 여성 개개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갑상선, 유방, 자궁 등의 질병 위험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해 불필요한 점은 제외하고 꼭 필요한 보장만 담을 수 있도록 기획됐다.상품 가입 시 ‘여성암 진단특약’을 통해 난소암, 자궁암, 유방암, 특정 생식기암을 각각 보장 받을 수 있고 요실금, 골다공증 등 여성 다빈도 생활질병으로 인한 입원, 수술 외에도 △난임 진단·치료(급여 인공수정, 체외수정 치료 등) △조기폐경진단 △급여 골밀도검사지원 등 여성의 생애주기에 필요한 보장을 맞춤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신한건강보장보험 ONE더우먼’ 상품에 가입한 모든 고객에게는 여성특화 헬스케어 서비스도 제공한다. △난소기능 검사 할인 △난자동결 시술 우대 △이른둥이 방문간호 컨설팅 등 건강한 여성의 일상을 지원하고 치료 후 회복을 돕는 스페셜케어 혜택도 누릴 수 있다.일반심사형의 경우 만 15세부터 70세까지, 간편심사형은 30세부터 80세까지 가입할 수 있고, 보험료 납입기간은 5년 단위로 10년납부터 30년납까지 선택 가능하다.신한라이프 관계자는 “이번 신상품은 단순히 질병과 사망을 보장하는 기존 건강보험의 틀에서 벗어나 활력 있는 여성의 삶 자체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여성특화 보험이다”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세분화된 요구에 맞는 상품을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4.06.10 I 정병묵 기자
티움바이오, 혈우병 신약 안전성·약동학 특성 확인...ISTH에서 최초 발표
  • 티움바이오, 혈우병 신약 안전성·약동학 특성 확인...ISTH에서 최초 발표
  •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티움바이오가 ‘국제혈전지혈학회(International Society on Thrombosis and Haemostasis; 이하 ISTH)’에서 혈우병 치료 신약 ‘TU7710’의 임상 성과를 최초로 발표한다.티움바이오(321550)는 건강한 성인 남성 대상으로 혈우병 우회인자 치료제 TU7710의 안전성 및 약동학, 약력학적 특성을 평가한 임상 1a상에서 탁월한 임상 중간결과를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공개된 연구 초록에 따르면, TU7710 100μg/kg 투약그룹(cohort1)의 반감기 평균값은 14.81시간, 200μg/kg 투약그룹(cohort2)은 12.33시간으로 나타나 기존 치료제인 노보세븐(Novoseven) 반감기 대비 6~7배의 긴 반감기 데이터를 확보했다. 또한 혈전 관련 이상반응 등 심각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아 내약성 및 안전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혈우병 환자 30% 내외에서는 기존 혈우병 치료제에 대한 중화항체(neutralizing antibody)가 발생하는데, 이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개발된 치료제가 TU7710과 같이 혈액응고 제7인자(coagulation factor VIIa)를 재조합한 바이오 의약품이다. 현재 약 2조원 규모 중화항체 보유 혈우병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의 노보세븐(Novoseven)은 약 2시간의 짧은 반감기 및 높은 치료비용이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나, 이를 대체할 새로운 치료제는 오랜 시간동안 출시되지 않고 있다.김훈택 티움바이오 대표는 “올해 하반기에는 실제 혈우병 환자 대상의 글로벌 임상을 유럽에서 본격 개시하며 TU7710의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성 등을 확인할 계획”이라며, “TU7710이 새로운 혈우병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도록 글로벌 시장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라고 전했다.ISTH는 혈우병, 혈전증 등 혈액 질환 관련 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새로운 치료법에 대하여 공유하는 글로벌 학술대회로, 이번달 22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된다. 티움바이오는 학회 현장에서 400μg/kg 및 800μg/kg 투약그룹(cohort 3 및 4)에 대한 데이터도 추가 공개할 예정이다.
2024.06.10 I 송영두 기자
클라우데라, AI 운영 플랫폼 ‘베르타’ 인수로 AI 전문성 강화
  • 클라우데라, AI 운영 플랫폼 ‘베르타’ 인수로 AI 전문성 강화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클라우데라(한국지사장 최승철)가 AI 운영 플랫폼 ‘베르타(Verta)’를 인수하며 AI 전문성을 강화하고 인재와 기술을 확보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클라우데라의 기업용 AI 분야 리더십을 확장하기 위한 첫 번째 전략적 인수다.클라우데라는 베르타의 인수로 머신 러닝 팀에 합류시켜 AI와 머신 러닝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재와 기술을 확보했다. 이로써 클라우데라는 AI 로드맵을 추진하고 글로벌 고객의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됐다.찰스 샌즈베리(Charles Sansbury) 클라우데라 CEO는 “데이터 관리와 AI는 서로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며, “이번 인수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와 기업용 AI 분야 리더십을 확장하기 위한 첫 번째 전략적 활동”이라고 밝혔다.베르타는?베르타는 MIT 연구를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예측 및 생성형 AI를 위한 모델 관리, 서비스, 거버넌스 분야에서 활동한다.베르타의 기술은 데이터 세트를 맞춤형 검색 증강 생성(RAG)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간소화하여 머신 러닝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모든 개발자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생성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베르타 마나시 바르탁(Manasi Vartak)CEO는 “좋은 데이터는 좋은 모델을 만들기 때문에 베르타와 클라우데라의 기술은 완벽한 한 쌍”이라며, “클라우데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어 베르타의 혁신 비전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클라우데라는 온프레미스(설치형)를 포함한 여러 클라우드에서 비즈니스 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AI를 제공하며, 통합 거버넌스와 보안을 제공하는 유일한 하이브리드 개방형 데이터 레이크하우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데이터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고, 거대언어모델(LLM)을 통해 데이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2024.06.10 I 김현아 기자
"현금 자산 충분"… 추가 M&A 가능성
  • "현금 자산 충분"… 추가 M&A 가능성[HLB파나진 대해부①]
  •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지난해 8월 HLB 그룹에 편입된 분자진단 기업 HLB파나진(046210)이 750억원에 달하는 풍부한 자금력과 압도적 기술력을 발판삼아 글로벌 진단기업으로의 도약을 앞두고 있다. 회사는 최근 기존 분자진단에서 면역진단까지 영역을 확장해 몸집을 불렸고 추가 인수합병(M&A) 가능성도 시사하면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장인근 HLB파나진 대표.(제공= HLB파나진)31일 업계에 따르면 HLB파나진의 올 1분기 기준 현금 자산은 약 750억원으로, 파나진이 HLB 그룹에 인수되기 전보다 3배(2022년 12월 기준 약 200억원) 이상 많다. HLB파나진의 최근 3년 간 매출은 2021년 156억원, 2022년 142억원, 지난해 123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코로나 엔데믹으로 인한 관련 제품의 수요 급감으로 매출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2021년 42억원, 2022년 16억원에서 지난해 18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HLB 인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일시적인 법률 비용, 금융 비용, 평가 비용 등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성장 여력 커져… 추가 M&A 검토”HLB파나진은 올해 매출은 전년 대비 13.5% 증가,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을 각각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말레이시아와 멕시코, 브라질 등 신규 시장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고, 최근 인수한 면역진단 회사 바이오스퀘어의 매출도 인식되면서 실적 상승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회사는 이미 1분기 매출 34억, 영업이익 약 2억원으로 당초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고 밝혔다. HLB파나진은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추가 인수합병(M&A)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장 대표는 “HLB의 인수로 약 800억 원에 이르는 현금을 확보했다. 자금력과 함께 기존 파나진이 보유한 네트워트도 같이 들어왔기 때문에 내부 역량이 강화됐고 성장 여력도 커졌다”며 “바이오스퀘어와 같이 우리가 내재화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 분야를 찾으면 추가적인 M&A도 시도할 수 있다”고 밝혔다. HLB파나진은 장인근 전 HLB바이오전략기획본부 사장이 이끌고 있다. 장 대표는 동국대 대학원에서 화학공학 석사를, 아주대 대학원에서 의생명과학 박사 학위를 각각 받았다. 2003년 HLB의 전신인 라이프코드 의학연구소에 연구원으로 입사했다. 장 대표는 HLB의 표적항암제인 ‘리보세라닙’의 임상 계획과 적응증 확대 전략을 수립했다. HLB파나진은 세계 최초로 PNA(인공 DNA) 대량생산 기술과 이를 활용한 미량 유전자의 정밀 검출, 증폭 역량을 갖춘 회사다. 회사의 주요 사업은 크게 진단 사업과 소재 사업, 핵산 추출 사업으로 나뉘는데, 이 중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건 진단 사업이다. HLB파나진은 PNA 우수한 특성을 활용해 분자진단 제품 상용화에 성공했다. 암 관련 유전자 변이 검사제품(동반진단)부터 액체생검 분야까지 기술력을 확대한 상황이다. 다양한 암종에 대한 유전자 변이 검사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가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PNA 소재를 활용해 항암신약 개발에도 나선다는 목표다. 대전에 위치한 HLB파나진 회사 전경.(제공= HLB파나진)HLB파나진이 ‘암 동반진단’ 분야에 주력하는 이유 중 하나는 전 세계적으로 암 조기진단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조만간 다수의 유의미한 바이오마커가 발굴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새 바이오마커 발굴에 따른 암 조기진단이 가능해질 경우 분자진단 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HLB파나진은 새로운 바이오마커가 알려지면 곧바로 제품 개발에 착수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결과들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단기간 내 상용화 제품을 출시할 수 있는 경험과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지난해 암젠의 폐암 치료제인 ‘루마크라스’의 동반진단 제품인 ‘온코텍터 KRAS’,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의 동반진단 제품인 ‘파나뮤타이퍼 R EGFR’가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올해는 전이성 유방암에서 30~40%로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 ‘PIK3CA’를 검출하는 제품과, 비소세포폐암의 유전자 변이 중 하나인 ‘ROS1’을 검출하는 제품에 대한 허가를 받아 연내 출시한다는 목표다. 이밖에도 지난 2020년 2분기 BRAF 돌연변이를 가진 폐암의 표적치료제인 노바티스의 ‘라핀나매큐셀’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획득했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HLB파나진 제품이 폐암의 BRAF 검사에 대해 신의료기술 인정 고시돼 있어 해당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2024.06.10 I 석지헌 기자
빅파마급 진단기업 성장 자신하는 이유는
  • 빅파마급 진단기업 성장 자신하는 이유는[HLB파나진 대해부③]
  •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HLB파나진은 로슈와 같은 글로벌 빅파마급 진단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다. ‘혼자’가 아니라 개별 회사들이 협력해 연합군 형태로 함께 가겠다는 계획이다. 실제 회사는 글로벌 진단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양한 회사들과 협업을 추진 중이다. 젠큐릭스(229000), 바이오스퀘어와의 협업이 대표적이다. 장인근 HLB파나진 대표.(사진= 석지헌 기자)HLB파나진은 올해 1월 젠큐릭스(229000)와 지분 스왑을 통해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HLB파나진은 PNA를 소재로 한 분자진단 제품과 핵산추출 장비들을 갖고 있고, 젠큐릭스는 디지털PCR, 올인원 장비를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부족한 부분을 메워줄 수 있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HLB파나진은 PNA 기술을 바탕으로 각종 암과 감염병에 대해 빠르게 검출하는 ‘리얼 타임 PCR’(real-time PCR) 진단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젠큐릭스는 디지털 PCR 기술을 적용한 폐암, 대장암, 갑상선암, 자궁내막암 등의 동반진단키트인 ‘드롭플렉스’ 제품군들을 상용화했다. 자회사인 지노바이오를 통해 자체 개발한 체액 내 암 세포 분리 장비가 국내외의 승인을 받는 등 분석 장비 개발에서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최근에도 HLB파나진은 글로벌 기업으로 한 단계 도약하는 이정표를 마련했다. 차세대 면역진단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스퀘어를 인수하면서 체외진단의 양대 사업부문을 모두 갖추게 된 것이다. HLB파나진은 지난 22일 공시를 통해 바이오스퀘어가 발행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취득 주식수는 약 39억원이며, 유증이 완료되면 HLB파나진은 바이오스퀘어 지분 92.84%를 확보하게 된다. 바이오스퀘어는 반도체 소재인 ‘퀀텀팩’을 기반으로 한 인플루엔자, 코로나 진단키트 와 전용 분석 장비 플랫폼 ‘QDITS’의 국내 허가를 획득했다. 올해 3분기 안으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진단키트도 허가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스퀘어 매출은 올해부터 HLB파나진에 반영된다. 장 대표는 “분자와 면역이라는 상반된 진단 사업을 붙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두 회사 모두 원천소재를 보유하고 있고, 각각 정밀과 현장에 특화된 기술로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선 공통점을 갖는다”고 말했다.실제 HLB파나진은 PNA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한 ‘Bts 모노머’ 기술을 보유한 전 세계 유일한 곳이며, 바이오스퀘어도 퀀텀닷 구조체를 국내 최초로 고정, 코팅시켜 상용화시키는 기술을 보유했다. 두 기업 모두 원천기술에 기반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연합군 형태로 글로벌 진출”HLB파나진이 이처럼 다른 진단기업들과 협업을 적극 모색하는 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큰 그림으로 해석된다. 혼자 가지 않고, 시너지가 날 수 있는 기업과 함께 연합군 형태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겠단 전략적 판단인 것이다. 장 대표는 “우리나라에 진단 회사들은 500여 개 정도 되는데 이들 중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사례가 없는 건 임상시험이나 인허가 부분에서 장벽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규모의 경제 싸움에서도 우리 진단기업이 밀릴 수밖에 없다”며 “이 때문에 서로 필요한 부분을 메꿔줄 수 있는 기업끼리 협력해서 연합군 형태로 같이 나가자는 생각이다”라고 했다.이어 그는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회사로 투자자들과 주주들에게 기억되고 싶다”며 “지금의 HLB파나진은 암 진단과 감염 진단 포트폴리오만 구축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뇌질환과 치매 관련 진단기술도 개발해 궁극적으로는 진단의 모든 것을 공급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2024.06.10 I 석지헌 기자
점유율 90%… 암 동반진단 시장 '에이스'
  • 점유율 90%… 암 동반진단 시장 '에이스'[HLB파나진 대해부②]
  • [이데일리 석지헌 기자] HLB파나진이 대량생산할 수 있는 PNA(인공 DNA)는 분자진단을 위한 최적의 소재로 꼽힌다. 모든 종류의 분자진단에 PNA 적용이 가능하지만, 주로 암 환자의 치료제 선별을 위한 유전자 변이 검사에 사용된다. 특히 PNA를 이용한 파나진의 기술력은 암 진단 분야에서 독보적이다. 암의 미세한 유전자 돌연변이를 정밀하게 검출, 이를 선택적으로 증폭시켜 진단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이다. HLB파나진의 암 진단제품 점유율.(출처= HLB파나진 IR 자료)◇동반진단 시장 선점 성공이러한 기술력은 암 진단제품의 국내 시장 점유율에서도 나타난다. 종양 유전자(EGFR) 돌연변이 진단제품의 경우 90%, 고형암 변이(KRAS/NRAS) 진단제품은 80%, 폐암 돌연변이(BRAF) 진단제품은 60% 수준이다. 회사는 이러한 진단제품들을 1세대에서 3세대에 걸쳐 시장 수요와 편의성 등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진화시켜 왔다. 1세대 암 관련 돌연변이 검사 플랫폼인 ‘PNA클램프(PNAClamp)’는 폐암과 갑상선암 대장암, 흑색종 등 진단이 가능한 진단키트다. 1% 수준의 민감도와 높은 장비 호환성이 장점으로 꼽힌다.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은 유전자의 증폭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와 그렇지 않은 유전자를 구별하는 원리다. 2세대 ‘파나뮤타이퍼(PANAMutyper)’는 0.1%로 민감도가 높아지면서 다중검출과 액체생검이 가능해졌다. 다만 고성능 PCR 장비를 요구하기 때문에 장비 범용성은 떨어진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3세대 ‘온코텍터(OncoTector)’는 1세대의 장점(장비 범용성)과 2세대 장점(액체생검)을 합친 플랫폼이라는 평가다. 액체생검 적용이 가능하고 높은 장비 호환성을 갖는다. 여기에 더해 여러 개의 유전자를 한 번에 검사할 수 있는 패널화까지 가능하다. 이밖에도 회사는 암 동반진단 외에도 감염병 진단 플랫폼을 통해 결핵과 성병, 인유듀종바이러스(HPV) 등 다양한 감염병 진단 시약을 개발했다. 또 최근 동반진단 시장의 주요 기술로 떠오르는 ‘액체생검’(혈액이나 체액에서 암 세포를 찾아내는 방식) 검사 시스템도 일찌감치 구축했다. 해당 제품들은 유럽 주요 병원에서 글로벌 회사의 제품들과 성능 비교 시험을 통해 뛰어난 성능을 인정받았다는 설명이다. 현재 말레이시아와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제품을 공급해 액체생검 샘플 검사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액체생검을 포함해 HLB파나진이 표적 유전자별로 보유하고 있는 제품군은 24개에 달한다. 이들 모두 유럽 CE 인증을 받았다. 대부분은 식약처 허가도 확보했다. HLB파나진이 자체 제작한 ‘PNA 자동합성기’.(제공= HLB파나진)◇매출 책임지는 ‘PNA 소재 수출’PNA 소재 사업도 회사가 꾸준히 매출 발생을 기대할 수 있는 분야다. HLB파나진은 2004년 PNA 대량생산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글로벌 시장 선점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HLB파나진의 PNA 매출이 전 세계 PNA 소재 시장 규모나 다름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현재 전 세계 23개 나라에 PNA를 수출하고 있으며 올해는 브라질과 멕시코 등으로 진출하기 위한 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PNA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변형 핵산 소재다. 기존의 DNA나 RNA 소재와 비교했을 때 △높은 표적 핵산 결합력 △높은 염기서열 구별능력 △높은 안정성 등을 자랑한다. 장 대표는 “DNA와 PNA는 둘 다 염기서열 순서를 인식해 결합한다는 점에서 같지만, DNA는 PNA보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떨어지고 돌연변이 유전자와 정상 유전자를 잘 구별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며 “반면 PNA는 미량의 돌연변이도 검출해낼 수 있어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여러 강점을 갖고 있지만 대량생산이 어렵다는 게 한계로 꼽힌다. PNA를 합성할 때마다 부반응이 발생하면서 수율이 계속해서 떨어지기 때문이다. HLB파나진은 여기서 부반응을 최소화한 ‘Bts-monomer’(Bts 모노머)를 개발했다.Bts 모노머 관련 특허는 모두 6개 나라(한국, 미국, 유럽, 일본, 인도, 중국)에 등록됐고 올해 특허가 만료됐다. 하지만 특허 만료 후에도 다양한 PNA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기술력은 HLB파나진만 보유한 노하우로, 다른 업체들이 쉽게 따라잡기 어려운 기술장벽이 될 것으로 회사는 전망하고 있다.
2024.06.10 I 석지헌 기자
“페인트 뉴스레터 받아보세요”…삼화페인트, B2B 마케팅 강화
  • “페인트 뉴스레터 받아보세요”…삼화페인트, B2B 마케팅 강화
  •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삼화페인트(000390)공업은 신규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등 B2B(기업 간 거래) 마케팅 솔루션을 강화한다고 10일 밝혔다. 고객 친화 마케팅의 일환으로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 질적 서비스를 향상하겠다는 취지다.삼화페인트공업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된 온라인 뉴스레터. (사진=삼화페인트공업)기존 삼화페인트의 B2B 마케팅은 대리점 및 거래처 등에 카탈로그와 제품 시편(샘플)을 제공하는 등 대면 마케팅이 주요했으나 앞으론 온·오프라인을 모두 활용한 마케팅을 강화한다. 우선 오프라인으로 발행하던 뉴스레터를 온라인으로 확대한다. 오프라인 뉴스레터는 삼화페인트가 수십 년간 쌓아온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 소개, 시공 사례, 색상 솔루션을 담은 콘텐츠 모음집이다.삼화페인트는 이 뉴스레터를 온라인으로 확대해 향후 월 1회 발행하고, 페인트 정보뿐 아니라 화학기업의 종합 정보를 추가할 예정이다. 온라인 뉴스레터는 삼화페인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카카오톡 채널 ‘삼화페인트 뉴스레터’를 통해 구독 가능하다.삼화페인트는 일방향에서 벗어나 쌍방향 소통 강화를 위해 시공 현장 소개, 시공 노하우, 질답(Q&A) 등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신규 모바일앱을 개발해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안심할 수 있는 페인트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삼화페인트 관계자는 “B2B마케팅은 80주년을 바라보는 삼화페인트가 소비자에게 한발 다가가기 위한 핵심 과제다”며 “보유한 페인트 기술력에 미디어 밸류체인을 확보해 B2B 마케팅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페인트 업계 일류기업을 목표로 소비자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더 나은 안심공간을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4.06.10 I 김경은 기자
KAIST, 실내조명 활용한 고감도 이산화질소 센서 구현
  • KAIST, 실내조명 활용한 고감도 이산화질소 센서 구현
  •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우리나라 연구진이 녹색빛을 가스 센서에 쏴서 상온에서 최고 수준의 이산화질소 감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녹색광이 50% 이상 포함된 실내조명을 통해서도 작동할 수 있는 초고감도 상온 가스 센서를 개발했다.KAIST 연구진.(왼쪽부터)김일두 신소재공학과 석좌교수, 박세연 박사, 김민현 박사과정.(사진=KAIST)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일두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가시광을 활용해 상온에서도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 센서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금속산화물 반도체 기반 저항 변화식 가스 센서는 가스 반응을 위해 300도 이상 가열이 필요해 상온 측정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근 금속산화물 기반 광활성 방식 가스 센서가 주목받고 있지만 기존 연구는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이나 근자외선 영역의 빛을 활용하는 데 그쳤다.연구팀은 이를 녹색 빛을 포함한 가시광 영역으로 확대해 범용성을 높였다. 녹색광을 조사했을 때 이산화질소 감지 반응성이 기존 대비 52배로 늘었다. 특히 실내조명에 사용되는 백색광을 조사해 최고 수준의 이산화질소 가스 감지 반응성을 달성했다.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속표지 커버.(자료=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연구팀은 가시광선 흡수가 어려운 인듐 산화물 나노섬유에 비스무스 원소를 넣어 청색광을 흡수하도록 중간 밴드 갭을 형성시켰고, 금 나노입자를 추가로 결착해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통해 가시광 중 가장 풍부한 녹색광 영역에서의 활성도를 극대화했다.비스무스와 금 나노입자 첨가 효과와 나노섬유가 갖는 넓은 비표면적 특성을 통해 상온에서 이산화질소 반응성은 기존 센서 대비 52배 증가시켰다.김일두 교수는 “자동차 배기가스와 공장 매연에서 배출되는 대기 환경 유해가스인 이산화질소 가스를 우리 주변에서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녹·청색광(430~570 nm) 영역의 가시광을 활용해 상온에서 초고감도로 감지가 가능한 신소재를 개발했다”라며 “가스 센서의 소비전력과 집적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실내조명과 기기와의 결합을 통한 가스 센서 상용화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이번 연구에는 KAIST 신소재공학과 졸업생 박세연 박사(현 펜실베니아 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신소재공학과 김민현 박사과정이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지난 3월 4일 온라인 공개됐다. 이번달 13일 24호 전면 속표지 논문으로도 발표 예정이다.
2024.06.10 I 강민구 기자
KG모빌리언스, '분할결제서비스' 특허 출원 완료
  • KG모빌리언스, '분할결제서비스' 특허 출원 완료
  •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종합결제서비스 기업 KG모빌리언스(046440)가 신규 결제서비스 ‘분할결제’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10일 전했다.KG모빌리언스는 URL을 통해 자유롭게 결제창을 공유할 수 있는 분할결제 솔루션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분할결제는 KG모빌리언스가 자체 개발한 URL 결제 기능을 적용시켜 고도화한 결제 솔루션이다. 하나의 결제 건에 대해 다수 결제 승인을 제공하는 서비스다.기존 URL결제는 발행자가 결제 금액을 설정해 청구하는 방식으로 결제 청구 금액 조정이나 다중 결제 승인이 제공되지 않았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KG모빌리언스는 자유롭게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URL결제 방식을 도입해 여러 사람이 동시 결제할 수 있는 분할결제 솔루션을 개발했다.분할결제는 펀딩, 더치페이, 복합결제(다중결제수단)에 특화된 결제 기술로 다양한 목적의 온라인 결제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카드할부 및 분할정산과 같은 부가서비스도 함께 제공돼 더욱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KG모빌리언스 분할결제서비스는 지난 5월 삼성전자에 첫 도입됐다. 현재 삼성닷컴에 ‘기프트 펀딩’ 캠페인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특허 출원된 분할결제는 빠르면 내년 하반기 정식 특허 등록이 완료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KG모빌리언스 관계자는 “자사가 개발한 분할결제서비스는 기존 상용화된 더치페이 결제방식과 달리 최초 주문자가 URL을 통해 여러 사람에게 공유하고 원하는 금액만큼 자유롭게 결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며 “공동구매, 선물하기, 기부 및 모금활동 등 동시결제나 다중결제 수단이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전했다.
2024.06.10 I 이지은 기자
 한중엔시에스 11일까지 공모…24일 상장
  • [오늘 청약] 한중엔시에스 11일까지 공모…24일 상장
  •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에너지 저장장치(ESS) 부품 전문기업 한중엔시에스가 오늘(10일)부터 11일까지 일반투자자 대상 청약을 실시한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중엔시에스는 이날부터 오는 11일까지 일반 청약을 진행한다. 공모가는 3만원이다. 한중엔시에스는 코넥스 시장에서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하며, 상장일은 오는 24일이다. 주관사는 IBK투자증권이다. 1995년에 설립된 한중엔시에스는 ESS 부품 및 전기자동차(EV) 부품 등을 개발하고 양산하는 전문기업이다. 설립 초기에는 자동차 부품 사업을 영위했으나 전기차 시장 확대와 미래 에너지 산업성장 등에 발맞춰 2021년 에너지 저장장치 제조업으로 주업종을 변경했다. 삼성SDI(006400) 공급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차세대 제품 개발을 통해 신규 매출 창출을 계획하고 있다.한중엔시에스는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5일까지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 공모밴드 상단인 3만원에 공모가를 확정했다.수요예측은 총 2078개 기관이 참여해 최종 725.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수요 예측에 참여한 기관 중 99.04% 이상이 희망공모밴드 상단 초과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장 후 일정 기간 주식을 팔지 않기로 하는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6개월 확약이 전체 신청 수량의 1.9%이며, 3개월 이상 확약은 8.45%로 집계됐다. 한중엔시에스의 상장일 유통 가능 물량 비중은 전체 주식수의 29.22%(확약 미반영)이다. 작년 하반기부터 현재까지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한 기업들 대비 유통 가능 물량 비중이 낮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상장 주관사인 IBK투자증권 관계자는 “독보적인 수냉식 ESS 냉각시스템 기술력과 우량한 글로벌 고객사를 확보한 점, 수냉식 ESS 부품 핵심기업으로서의 성장가능성 등이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한중엔시에스 김환식 대표이사는 “코스닥 이전 상장이라는 새로운 출발점에서 ‘변하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라는 창업 초심을 가지고 투명한 경영과 혁신적인 미래 신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주주들께는 더 큰 가치를, 임직원들에게는 행복한 일터를 제공하는 글로벌 중견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2024.06.10 I 김소연 기자
4일간 1주당 주주 7번 바뀐 '산유국 테마'…단타매매 주의보
  • 4일간 1주당 주주 7번 바뀐 '산유국 테마'…단타매매 주의보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수 있다고 발표한 이후 석유·가스 관련 종목들의 단기 매매가 늘어나며 주식 보유 주주가 바뀌는 ‘손바뀜’이 잦아지고 있다. 최근 시장을 주도하는 종목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 발표가 단기 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의 단타 매매를 부추겼다는 지적이 제기된다.9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국내 증시에서 지난 일주일(6월 3~7일)간 회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종목은 한국ANKOR유전(152550)(742.17%)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전체 상장 종목의 평균 회전율이 5.8%에 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ANKOR유전의 회전율은 120배가 넘는 수치를 기록한 셈이다. 회전율은 일정 기간 거래량을 상장 주식 수로 나눈 수치를 말하는데, 해당 기간 1주당 주주 손바뀜이 얼마나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다. 한국ANKOR유전의 이 같은 회전율은 지난 3일 윤 대통령이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발표한 이후 현충일을 제외한 4거래일 사이 1주당 주주가 평균 7번 넘게 바뀌었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회전율 상위 10개 종목엔 △화성밸브(039610)(628.16%) △흥구석유(024060)(521.01%) △한국석유(004090)(419.78%) △하이스틸(071090)(363.66%) △지에스이(053050)(310.09%) △대동스틸(048470)(286.28%) △디케이락(105740)(276.92%) △우림피티에스(101170)(260.29%) 등 이른바 ‘동해 유전’ 테마와 관련 있는 석유·가스·밸브·강관 종목 9곳이 이름을 올렸다. 아울러 이들 종목을 중심으로 한 단타 매매가 성행하면서 각 종목의 주가 변동성도 커졌다. 한국ANKOR유전·화성밸브 등은 정부 발표 직후인 3일과 4일 두 차례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주가가 급등했으나 지난 7일 동해 심해의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분석한 ‘액트지오’(Act-Geo) 측의 기자회견 직후 20% 안팎의 주가 하락을 나타냈다. 성종화 LS증권 연구원은 “성공 확률과 시추·생산 일정의 장기성 등을 고려해야 하고, 개발·생산비에 따른 경제성과 관련 종목들의 수혜 연관성·정도 등에 대한 검증도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주가 급등은 과도한 측면이 있었다”며 “앞으로 관련 이슈의 확산·변이·발전 등에 따라 테마주 속성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며 주가 변동성이 남발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동해 유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종목들에 대한 ‘묻지마 투자’도 성행하면서 증권가에선 경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회전율 상위 종목에 이름을 올린 한국ANKOR유전은 미국 멕시코만 원유 개발로 얻는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분하는 펀드이고, 한국석유는 아스팔트 등 석유공업 제품 생산기업으로 석유·가스 채굴과 관련이 없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석유·가스 관련 종목이 급등했으나 상업적 개발은 10여년 뒤의 이야기이고, 실제 개발 주도나 가스 인수에서 실질적인 수혜는 한국가스공사가 받게 된다”며 “오히려 천연자원의 매장 여부와 무관하게 시추 인프라 사업을 수행하는 인프라·강관·조선·건설 기업들은 실제 수주 여부에 따른 실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2024.06.10 I 박순엽 기자
릴리 '제이피르카',  BTK 억제제 시장 흔드나
  • 릴리 '제이피르카', BTK 억제제 시장 흔드나[블록버스터 톺아보기]
  • 2022년 한 해 동안 진행됐던 ‘블록버스터 톺아보기 파트1’은 3년 전인 2020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의약품 1~55위를 차례로 다뤘다. ‘블록버스터 톺아보기 파트2’는 2022년~2023년 사이 새롭게 10억 달러 이상 매출을 올렸거나 3~4년 내로 그에 상응하는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약물을 하나씩 발굴해 다룬다. 이른바 신흥 블록버스터로 떠오른 약물의 탄생과정과 매출 전망 등을 두루 살펴본다.[편집자 주]미국 일라이릴리가 개발한 경구용 희귀 혈액암 치료제 ‘제이피르카’(혹은 제이피르카·성분명 퍼토브루티닙).(제공=일라이릴리)[이데일리 김진호 기자]미국 일라이릴리가 개발한 경구용 희귀 혈액암 치료제 ‘제이피르카’(혹은 제이피르카·성분명 퍼토브루티닙)가 지난해 1월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처음 가속승인된 데 이어 같은 해 10월 적응증 확장에도 성공했다. 앞으로 해당 약물의 성장성이 기대를 모으는 이유다.최초 가속승인 당시 제이피르카는 미국 기준 ‘임브루비카’(성분명 이브루티닙)와 ‘칼퀜스’(성분명 아카라브루티닙), ‘브루킨사’(성분명 자누브루티닙) 등에 이어 네 번째로 허가된 브루톤티로신키나아제(BTK) 억제 기전의 약물이 됐다. BTK는 B세포 및 골수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제이피카는 이 효소의 반응을 가역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이피르카의 첫 적응증은 앞선 3종의 BTK 억제제와 마찬가지로 재발 및 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MCL) 환자 대상 3차 치료제였다. 시장조사업체 글로벌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사실상 MCL 적응증 관련 제이피르카의 매출이 6100만 달러(한화 약 816억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FDA는 제이피르카에 대해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또는 ‘소림프구성림프종’(SLL) 등 성인 환자 대상 3차 치료 적응증을 확대하도록 가속승인했다. 제이피르카의 적용 범위가 사실상 3종의 혈액암으로 확장되면서 올해 매출이 크게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재 BTX 저해 기전 약물을 통한 혈액암 치료 시장은 미국과 일본, 유럽 5개국(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 주요 7개국에서 약 60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일라이릴리는 제이피르카가 이 같은 BTK 시장의 선도 물질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제로 회사 측은 2032년경 제이피르카가 약 30억 달러 안팎의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올해 초에 내놓은 바 있다. 일라이릴리는 현재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소포성 림프종, 변연부 B세포 림프종 등 제이피르카의 적응증을 추가하기 위한 임상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2024.06.09 I 김진호 기자
與박대출 “전 국민 지원금 지급 안하면 시추 130번 가능”
  • 與박대출 “전 국민 지원금 지급 안하면 시추 130번 가능”
  •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박대출 국민의힘 의원은 9일 정부가 추진하는 동해 포항 앞바다 석유·가스개발 사업(대왕고래 프로젝트)의 효과성을 지적하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민주당이 주장하는 전 국민 1인당 25만원을 지급하려면 13조원이 필요하다”며 “이 돈이면 시추 130번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날 본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석유·가스 개발사업을 통한) 최대 매장 추정량 140억 배럴은 싯가로 1조4000억여 달러이며, 한화로는 2000조여원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개발 효과를 두고 박 의원은 “국민연금 자산이 1000조원 규모이니, 국민연금이 두 개 생기는 셈이고 문재인 정부가 돌파한 1000조원의 국가 채무는 두 번 갚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민주당이 주장하는 전국 민생회복지원금에 대해선 “전 국민 1인당 25만원씩 나눠주는 것은 160번 할 수 있으며, 한꺼번에 나눠준다면 전 국민 1인당 4000만원씩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그러면서 “지난 20∼25년 사이 발견된 유정 중 가장 매장량이 큰 가이아나 리자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은 16% 였으며. 이번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이보다 높은 20%에 이른다”며 “갈 길은 하나”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 분석을 맡은 미국 석유탐사 전문기업 액트지오(Act-Geo)를 두고 업체 선정의 적정성을 지적하고 나섰다. 지난 4년간 세금도 못내 법인자격을 박탈당했던 회사에 국책 사업을 맡길 수 없다는 주장이다. 다만 한국석유공사는 지난해 2월 계약 당시 액트지오가 법인 영업세를 체납한 상태였다는 의혹에 대해 “텍사스주법에 따라 행위능력 일부가 제한된 상태에서도 계약 체결은 가능하다”고 해명했다.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에 최대 140억배럴 규모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대표가 지난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2024.06.09 I 김기덕 기자
유튜브·인스타의 크리에이터 커머스 진격…韓 플랫폼 대응은?
  • 유튜브·인스타의 크리에이터 커머스 진격…韓 플랫폼 대응은?
  •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이 크리에이터 중심의 쇼핑 서비스를 강화하며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크리에이터 경제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플랫폼들도 대응 속도를 높이고 있다. (그래픽=김정훈 기자)9일 업계에 따르면, 유튜브는 지난 4일부터 한국에서 유튜브 쇼핑 제휴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해 6월 미국에서 처음 소개됐는데 미국 외 지역에서 시작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튜브가 카페24와 공동으로 개발한 ‘유튜브 쇼핑 전용 스토어’도 이달 중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이 프로그램들은 크리에이터들이 협업하고 물건을 판매하는 과정을 보다 쉽게 만들어준다. 유튜브와 제휴한 이커머스 플랫폼이나 브랜드들이 상품을 제휴 등록하면, 크리에이터들이 별도의 절차 없이 해당 상품을 태그하여 판매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인 쿠팡과 제휴를 맺었으며, 제휴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카페24와 공동 개발한 전용 스토어는 유튜브 쇼핑에서 자체 상품을 판매하려는 크리에이터들이 복잡한 쇼핑몰 구축 없이도 물건을 팔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유튜브 쇼핑 내에서만 물건을 판매하는 크리에이터들이 쇼핑몰 구축과 운영에 신경 쓰지 않아도 간편하게 물건을 팔 수 있게 돕는다.◇크리에이터 시장, 글로벌 플랫폼들이 양분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이미 쇼핑 플랫폼으로 전환 중인 인스타그램은 NHN데이터가 개발한 ‘소셜비즈’를 도입하여 커머스 활용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었다. 소셜비즈는 다이렉트 메시지(DM)를 통한 자동응답 등 인플루언서들이 고객 관리를 편하게 할 수 있게 돕는다.글로벌 플랫폼들이 커머스에 주력하는 이유는 크리에이터들의 압도적인 경쟁력에 있다.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은 국내 크리에이터 시장을 사실상 양분하고 있으며, 글로벌 1위 숏폼 플랫폼 틱톡 역시 Z세대를 중심으로 국내 이용자를 끊임없이 확대하고 있다.유튜브는 숏폼 서비스인 ‘쇼츠’를 도입해 영향력을 더욱 확장하고 있으며, 인스타그램도 숏폼 서비스 ‘릴스’를 도입하여 국내에서 압도적인 1위 SNS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와이즈앱에 따르면, 유튜브는 올해 5월 기준 이용시간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국내 이용자의 지난달 유튜브 이용시간은 카카오톡의 3.2배, 네이버의 5.2배 수준이었다. 인스타그램 역시 사용시간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며, 지난 4월에는 네이버를 제치고 유튜브와 카카오톡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인스타그램은 사용 횟수 면에서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크리에이터 커머스는 성장중…“영향력 더 커질 것”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크리에이터 커머스의 비중은 아직은 미미하다. 2023년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크리에이터 산업 생태계 매출 4조 1254억원 중 커머스 관련 매출은 1060억원에 불과하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현재의 시장 규모보다는 성장 속도에 주목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글로벌 크리에이터 경제 규모가 올해 2500억 달러에서 2027년 480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크리에이터 경제의 성장과 함께 크리에이터 커머스도 자연스럽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이커머스 기업 관계자는 “생필품은 전통적인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주로 판매될 것이나 의류 등의 비생필품의 경우 크리에이터 커머스의 성장 속도가 빠르다. 크리에이터의 커머스 영향력이 커질수록 브랜드나 플랫폼들도 이들에 대한 의존이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국내 플랫폼들도 크리에이터 경제의 성장에 맞춰 전략을 조율하고 있다. 국내 1위 커머스 플랫폼인 쿠팡은 유튜브와의 협업을 통해 크리에이터 커머스에 진출했으며, 2위 이커머스 플랫폼 네이버는 지난해 숏폼 서비스 ‘클립’, 스트리밍 서비스 ‘치지직’을 출시한 후 여기에 네이버의 다양한 이커머스 서비스를 연동시키고 있다. 네이버는 기존의 쇼핑 인프라 경쟁력을 앞세워 크리에이터 커머스에서 경쟁력을 내겠다는 구상으로 전해진다.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은 “네이버가 보유한 인프라를 활용하면 확보된 크리에이터들이 네이버 셀러들의 상품을 방송으로 홍보하고 이를 통해 판매된 금액의 일정 부분을 수익으로 나눠 갖는 형태의 새로운 커머스가 등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2024.06.09 I 한광범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